KR20050066329A -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329A
KR20050066329A KR1020030097599A KR20030097599A KR20050066329A KR 20050066329 A KR20050066329 A KR 20050066329A KR 1020030097599 A KR1020030097599 A KR 1020030097599A KR 20030097599 A KR20030097599 A KR 20030097599A KR 20050066329 A KR20050066329 A KR 20050066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erver
laundry
washing machine
humidit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329A/ko
Publication of KR20050066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세탁 코스가 모두 종료되면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한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 종료후에 제 1 설정 시간이 지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조내의 세탁물 존재 여부의 판단 및 습도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세탁기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 방치에 관한 정보 및 후속 조치의 진행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실행을 명령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washer using the smart server}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세탁 코스가 모두 종료되면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한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거쳐 오염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회전날개, 외조 또는 내조(세탁조/탈수조)의 수평방향 회전을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 또는 드럼의 수직방향 회전을 이용한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탁코스, 기능 등이 개발되고 실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날개, 내조 또는 외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0)와, 급수밸브·배수밸브 등의 기타 여러 가지 부하(11)와, 사용자가 각종 세탁관련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KEY) 입력부(12)와, 세탁기의 동작상태 또는 기능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와, 상기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상응하는 세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터(10) 및 부하(11)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 동작상태 또는 기능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는 주로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의 것이 사용되었으며, 마이컴(14)내에는 세탁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세탁조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키 입력부(12)를 통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코스 선택을 하거나 수동모드로의 기능전환을 하거나 세탁명령을 입력한다.
이어서 마이컴(14)은 상기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세탁명령을 인식하고 내부의 롬(도시생략)에서 해당 세탁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를 바탕으로 모터(10) 및 부하(11)를 구동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4)은 현재 세탁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세탁 진행 상태 등을 상기 마이컴(14)의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탁기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 버튼을 조작하여 세탁기를 작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외부에서 세탁기를 원격 제어할 수 없었고, 외출시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정해진 예약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탁기를 포함하는 여러 가전 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각 가정 또는 원격에서 가정에 있는 가전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경우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 기기를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고 각 기기간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제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가정의 다수의 전자기기들 즉,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세탁기, 퍼스널 컴퓨터(PC) 등이 통신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다른 제품군 또는 인터넷과의 통신은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네트워크 관리기가 다른 외부 프로토콜 사이의 브리지(Bridge)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가능하다.
네트워크 관리기는 DTV 또는 냉장고 등의 대용량의 마이컴을 갖는 가전 기기의 어느 하나가 마스터 기기가 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특히 세탁기의 제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세탁이 종료되면 세탁기에서 발생하는 세탁 종료 경보음에만 의존하여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알게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세탁물을 처리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하게 되어 세탁물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세탁물을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에는 세탁물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여 불쾌한 냄새 발생 및 변질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가 있음에도 세탁물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알려주거나 세탁기에서 세탁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는 제어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지능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이전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하고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세탁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세탁 코스가 모두 종료되면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한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새로운 세탁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스마트 서버에 의해 지능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종료후에 제 1 설정 시간이 지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조내의 세탁물 존재 여부의 판단 및 습도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세탁기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 방치에 관한 정보 및 후속 조치의 진행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실행을 명령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실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의 장시간 방치에 관한 안내 및 필요한 후속 조치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제 2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세탁조내의 세탁물 존재 여부 및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진행하고, 세탁기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에서 스스로 판단하여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 1,2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 진행하는 세탁물의 존재 여부 및 습도 측정을 하는 단계 이전에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었는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없었다면,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기 전까지 세탁 종료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세탁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 조치는 스마트 서버의 명령에 의해 진행하는 재세탁, 건조 단계의 실행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 단계없이 대기 모드로 바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에서의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세탁물의 장기간 방치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이하에서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가 구비된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세탁기에서 전체 세탁 코스를 수행한 후에 스마트 서버가 세탁 종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세탁 완료 이후의 세탁물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서비스를 지능화되지 않은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관리기와는 별도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전용의 스마트 서버를 구성하여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 제어를 위한 구성은 도 3에서와 같다.
먼저, 인터넷(31)등의 통신망에 접속되고 각각의 가전 기기들을 홈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를 통하여 가정내에 구성되는 가전 기기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스마트 서버(34)의 제어에 의해 세탁 종료 이후에 세탁물에 대한 처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세탁기(33)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제조 업체 사이트를 통한 기기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의 업데이트 그리고 세탁 종료시에 해당 정보 및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메시지의 전송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 세탁물을 재세탁 또는 건조 등의 행정을 실시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등의 지능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34)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스마트 서버(34)에 관하여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어느 하나 예를 들면, DTV 또는 냉장고 또는 PC등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관리에 주목적이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스마트 서버(34)는 관리 기능을 배제하고 지능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만약, 스마트 서버에 서비스 기능 이외에 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하나의 통합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기(예를 들면, 제조 회사가 다른 경우)와의 결합이 어렵다.
그러나 스마트 서버를 서비스 기능으로 한정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홈 네트워크 관리기와의 결합이 용이하여 충분한 확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34)를 서비스 기능으로 한정하여 이미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전 기기들도 지능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와 서비스 가능을 갖는 스마트 서버를 나누어 구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기능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에 복합 프로그램에 의한 시스템보다는 더 용이하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스마트 서버를 이용하여 세탁 행정 종료후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는 세탁기를 직접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세탁 코스를 수행 한 후에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를 제어하여 세탁물이 세탁조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내부 습도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세탁 행정의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세탁기의 세탁 전체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이 종료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관한 메시지를 세탁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01)
세탁이 종료된 후에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있었다면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아니면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세탁 종료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전송한다.
이는 세탁이 종료된 이후에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었다면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었을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 것이다.
먼저, 세탁이 종료된 후에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 종료 후에 스마트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S402), 세탁기에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것으로 요청한다.(S403)
이어,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 서버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S404)
여기서, 세탁물의 존재 여부의 판단은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세탁물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고, 제 1 설정 시간은 세탁물 방치에 따른 실제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10시간으로 설정한다.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S405) 수신된 결과를 판단하여(S406) 세탁기의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것으로 요청한다.(S407)
만약,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플로우를 종료하고 스마트 서버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습도 측정 요청에 의해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서버로 회신한다.(S408)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기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S409), 측정된 습도를 판단하여(S410) 세탁조 내부의 습도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수준 즉, 적정 습도 이하이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적정 습도는 세탁물을 외부에서 말리는 단계에서의 외부 습도와 동일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대기 상태에서 다시 세탁물 존재 여부의 판단 및 후속 조치를 실행하는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만약, 측정된 습도가 적정 범위 이상이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물 방치에 관한 메시지 및 후속 조치(재세탁 또는 건조 등의)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1)
이어,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412),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준으로 세탁물 보호를 위한 재세탁 또는 건조를 원하는지를 판단한다.(S413)
만약,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진행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414)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 서버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송신한다.(S415)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 실행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고(S416)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7)
상기 S413 단계에서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4c의 ④부터의 플로우를 진행한다.
그리고 세탁이 종료된 후에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401 단계에서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에는 도 4b의 ③부터의 플로우를 진행한다.
먼저, 세탁 종료 후에 스마트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S418), 세탁기에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것으로 요청한다.(S419)
이어,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 서버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S420)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S421) 수신된 결과를 판단하여(S422) 세탁기의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것으로 요청한다.(S423)
만약,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플로우를 종료하고 스마트 서버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습도 측정 요청에 의해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424)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기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S425), 측정된 습도를 판단하여(S426) 세탁조 내부의 습도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수준 즉, 적정 습도 이하이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만약,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상이면 도 4a의 ①의 단계로 진입하여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물 방치에 관한 메시지 및 후속 조치(재세탁 또는 건조 등의)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1)
이어,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412),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준으로 세탁물 보호를 위한 재세탁 또는 건조를 원하는지를 판단한다.(S413)
만약,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진행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414)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 서버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송신한다.(S415)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 실행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고(S416)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7)
이상에서와 같이 제 1 설정 시간이 지난후의 세탁물 보호를 위한 제어 방법을 진행하고, 상기 S413 단계에서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4c의 ④부터의 플로우를 진행한다.
먼저,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을 장기간 방치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 및 필요한 조치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28)
그리고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관한 메시지를 세탁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29)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는 경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스마트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 2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S430), 세탁기에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것으로 요청한다.(S431)
이어,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 서버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S432)
여기서, 세탁물의 존재 여부의 판단은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세탁물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고, 제 2 설정 시간은 세탁물 방치에 따른 실제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5시간으로 설정한다.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S433) 수신된 결과를 판단하여(S434) 세탁기의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것으로 요청한다.(S435)
만약,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플로우를 종료하고 스마트 서버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습도 측정 요청에 의해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436)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기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S437), 측정된 습도를 판단하여(S438) 세탁조 내부의 습도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수준 즉, 적정 습도 이하이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적정 습도는 세탁물을 외부에서 말리는 단계에서의 외부 습도와 동일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대기 상태에서 다시 세탁물 존재 여부의 판단 및 후속 조치를 실행하는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만약,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상이면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없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물 보호를 위한 재세탁 또는 건조 실행 제어 명령을 세탁기로 전송한다.(S439)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 서버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송신한다.(S440)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 실행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고(S441)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7)
그리고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스마트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S442), 세탁기에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것으로 요청한다.(S443)
이어,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 서버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S444)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S445) 수신된 결과를 판단하여(S446) 세탁기의 내부에 세탁물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것으로 요청한다.(S447)
만약,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플로우를 종료하고 스마트 서버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세탁기에서는 스마트 서버의 습도 측정 요청에 의해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448)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기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S449), 측정된 습도를 판단하여(S450) 세탁조 내부의 습도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수준 즉, 적정 습도 이하이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만약,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상이면,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없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물 보호를 위한 재세탁 또는 건조 실행 제어 명령을 세탁기로 전송한다.(S439)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 서버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송신한다.(S440)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탁물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 실행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고(S441)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17)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제어 플로우를 크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서버에서 제 1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세탁조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요청하여 그 결과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후속 조치의 제어를 명령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를 실행한 후에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를 제어하여 다시 세탁조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없이 스마트 서버에서 바로 후속 조치를 취하는 제 2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제 1,2 단계의 실행 전에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있었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에서 습도 측정 및 판단 결과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다 건조된 세탁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장기간 세탁물 방치에 관한 안내를 하기 위한 것이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있는 경우에서의 습도 측정 및 판단 결과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세탁물을 사용자가 이미 꺼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별도의 메시지 전송을 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스마트 서버가 스스로 판단하여 세탁물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리성 및 세탁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탁 종료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세탁물의 존재 여부 및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하므로 세탁물의 장시간 방치에 의한 손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물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를 스마트 서버에서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스마트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를 갖는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지능화된 최적의 세탁을 위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도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인터넷 32. 홈 네트워크 관리기
33. 세탁기 34. 스마트 서버

Claims (11)

  1. 세탁 종료후에 제 1 설정 시간이 지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조내의 세탁물 존재 여부의 판단 및 습도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세탁기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 방치에 관한 정보 및 후속 조치의 진행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실행을 명령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의 실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세탁물의 장시간 방치에 관한 안내 및 필요한 후속 조치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 2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세탁조내의 세탁물 존재 여부 및 세탁조 내부의 습도를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진행하고,
    세탁기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에서 스스로 판단하여 세탁물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2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 진행하는 세탁물의 존재 여부 및 습도 측정을 하는 단계 이전에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있었는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세탁기의 도어 열림 및 닫힘이 없었다면,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기 전까지 세탁 종료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설정 시간을 세탁물 방치에 의한 세탁물 손상 진행 정도를 고려하여 10 시간으로 설정하고, 제 2 설정 시간을 5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 조치는 스마트 서버의 명령에 의해 진행하는 재세탁, 건조 단계의 실행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 단계없이 대기 모드로 바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세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없는 경우에서의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세탁물의 장기간 방치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정된 습도가 세탁기 외부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 세탁물 방치에 관한 정보 및 후속 조치의 진행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습도 측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스마트 서버에서의 습도 측정에 관한 요청이 있으면,
    세탁기에서 세탁조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습도 측정 결과를 세탁기에서 스마트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회신 결과를 기준으로 측정된 습도가 적정 습도인지 아닌지를 스마트 서버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97599A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99A KR20050066329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99A KR20050066329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29A true KR20050066329A (ko) 2005-06-30

Family

ID=3725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599A KR20050066329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32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60B1 (ko) * 2005-07-01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4176918A1 (zh) * 2013-05-03 2014-11-06 海尔集团公司 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CN104711812A (zh) * 2013-12-17 2015-06-17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洗衣机的设备和方法
JP2016214497A (ja) * 2015-05-19 2016-12-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9765469B2 (en) * 2013-07-10 2017-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tely controlled airfl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3201902A (zh) * 2021-05-17 2021-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智能开门控制方法和装置、洗衣机
US11208755B2 (en) 2009-08-21 2021-12-28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4263033A (zh) * 2021-12-30 2022-04-0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自动烘干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60B1 (ko) * 2005-07-01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208755B2 (en) 2009-08-21 2021-12-28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1913160B2 (en) 2009-08-21 2024-02-27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WO2014176918A1 (zh) * 2013-05-03 2014-11-06 海尔集团公司 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US9765469B2 (en) * 2013-07-10 2017-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tely controlled airfl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697104B2 (en) 2013-07-10 2020-06-3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tely controlled airfl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711812A (zh) * 2013-12-17 2015-06-17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洗衣机的设备和方法
JP2016214497A (ja) * 2015-05-19 2016-12-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13201902A (zh) * 2021-05-17 2021-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智能开门控制方法和装置、洗衣机
CN114263033A (zh) * 2021-12-30 2022-04-0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自动烘干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290B1 (ko) 세탁기기의 고장해석 시스템
EP3617362B1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101158060B1 (ko) 세탁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318652B1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9956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9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998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2005034179A (ja) 機器の制御システム
JP5945693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KR101033567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74083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6456A (ko) 원격 제어 시스템
JP6904936B2 (ja) 洗濯機
KR101029804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404199B1 (ko) 세탁기 및 그 전원제어모드 전환방법
CN111379118A (zh) 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KR101054195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50066324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5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50046353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39399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29801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024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20056400A (ko) 세탁기 및 그 이상경고 출력방법
KR20050066454A (ko) 원격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