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05B1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05B1
KR101024905B1 KR1020030074770A KR20030074770A KR101024905B1 KR 101024905 B1 KR101024905 B1 KR 101024905B1 KR 1020030074770 A KR1020030074770 A KR 1020030074770A KR 20030074770 A KR20030074770 A KR 20030074770A KR 101024905 B1 KR101024905 B1 KR 10102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t water
washing machine
supply devic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333A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삶음 세탁 과정의 진행시에 온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에서 삶음 세탁을 위한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급수를 일시 정지하고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동 명령을 온수 공급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온수 공급 장치가 구동 명령에 의해 온수가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면 급수를 다시 진행하는 단계;급수가 완료되면 세탁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30074770
스마트 세탁기, 홈 네트워크, 삶은 세탁, 보일러, 순간 가열 온수 공급기

Description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appliance using the home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인터넷 32. 홈 네트워크 관리기
33. 세탁기 34. 온수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삶음 세탁 과정의 진행시에 온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세탁기에서 다른 온수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한 홈 네트워크를 이 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거쳐 오염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회전날개, 외조 또는 내조(세탁조/탈수조)의 수평방향 회전을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 또는 드럼의 수직방향 회전을 이용한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탁코스, 기능 등이 개발되고 실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날개, 내조 또는 외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와, 급수밸브·배수밸브 등의 기타 여러 가지 부하(2)와, 사용자가 각종 세탁관련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KEY) 입력부(3)와, 세탁기의 동작상태 또는 기능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와, 상기 키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상응하는 세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터(1) 및 부하(2)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 동작상태 또는 기능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는 주로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사용 상태 를 표시하는 방식의 것이 사용되었으며, 마이컴(5)내에는 세탁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세탁조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키 입력부(3)를 통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코스 선택을 하거나 수동모드로의 기능전환을 하거나 세탁명령을 입력한다.
이어서 마이컴(5)은 상기 키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되는 세탁명령을 인식하고 내부의 롬(도시생략)에서 해당 세탁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를 바탕으로 모터(1) 및 부하(2)를 구동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5)은 현재 세탁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상기 세탁 진행 상태 등을 상기 마이컴(5)의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한다.
그리고 세탁물의 세탁력을 높이고, 세탁물의 살균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탁기에 별도의 히팅 수단을 구비하여 삶음 세탁 기능을 갖는 세탁기가 있다. 삶음 기능을 가진 세탁기는 통상 수조에 채워진 세탁수를 전기적인 가열 수단을 통해 가열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가열 수단의 전기 소비량을 줄이고, 세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하여 삶음 세탁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탁기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 버튼을 조작하여 세탁기를 작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외부에서 세탁기를 원격 제어할 수 없었고, 외출시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정해진 예약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탁기를 포함하는 여러 가전 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각 가정 또는 원격에서 가정에 있는 가전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경우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 기기를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고 각 기기간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제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가정의 다수의 전자기기들 즉,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세탁기, 퍼스널 컴퓨터(PC) 등이 통신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에 적용되는 많은 마이컴들은 직렬 통신 기능을 빌트 인(Built-in)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마이컴이나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마이컴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메모리등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크기가 다양하다.
PC와 그 주변 기기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또는 DTV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제 품에서는 기본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고기능의 H/W 사양이 채용되고 따라서 많은 데이터량과 빠른 속도의 통신을 위한 규격이 필요하다.
반면에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제품과 전등, 가스 경보기, 스탠드, 보일러 등에서는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8bit 이하의 비교적 저기능의 마이컴을 채용하고 있고 이러한 제품들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에서는 원격 제어나 동작 상태의 모니터링이 주요 통신 목표이기 때문에 PC나 멀티미디어 계열의 제품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와는 달리 소규모의 마이컴 자원을 이용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규약(HNCP)이 필요하다.
HNCP(Home Network Control Protocol)는 홈 네트워크내의 제품들간에 통신을 위한 신호선의 연결 방법 및 신호 흐름의 순서를 정의하는 통신 규격이다.
다른 제품군 또는 인터넷과의 통신은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네트워크 관리기에서 HNCP와 다른 외부 프로토콜 사이의 브리지(Bridge)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특히 세탁기의 제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세탁기와 세탁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하여도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여 삶은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탁기의 제어와 보일러의 제어를 별도로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진 세탁기를 원격 제어 및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에서 삶은 세탁 행정과 같이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일러등과 같은 온수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는데, 전열 장치가 OFF되어진 상태이면 사용자가 이를 별도로 제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삶음 세탁 과정의 진행시에 온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세탁기에서 다른 온수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기에서 삶음 세탁을 위한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급수를 일시 정지하고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동 명령을 온수 공급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온수 공급 장치가 구동 명령에 의해 온수가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면 급수를 다시 진행하는 단계;급수가 완료되면 세탁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급수를 일시 정지한 후에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세탁기 자체에서 온수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제어 권한이 있다면, 온수 공급 장치로 구동 명령을 바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급수를 일시 정지한 후에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세탁기 자체에서 온수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제어 권한이 없다면, 온수 공급 장치의 미작동 상태 및 자동 제어 여부를 묻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사용자로부터 권한이 부여되면 온수 공급 장치로 구동 명령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여, 온수 공급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설정 회수만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설정 회수만큼 재전송하여도 온수 공급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사용자로부터 권한이 부여되지 않으면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다시 시작한다.
여기서,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하여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기 자체의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된 물을 적정 온도가 되도록 가열한 후에 다음 세탁 행정을 시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이하에서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 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수의 가전 기기들중에 세탁기가 스스로 온수 사용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스스로 판단하여 보일러를 작동시켜 온수를 세탁 행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탁기와 온수 공급 장치(보일러 및 순간 가열 온수 공급기 등등)의 제어가 세탁기에서의 제어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은 도 3에서와 같다.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원격지에서의 제어, 그리고 제조 업체 사이트를 통한 기기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의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터넷(31)등의 통신망에 접속되고, 각각의 가전 기기들을 홈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른 제품군 또는 인터넷과의 통신 그리고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를 통하여 인터넷등의 외부 통신망과 접속되고 서로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가전 기기들 즉, 보일러(34), 세탁기(33)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삶은 세탁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는 세탁기를 직접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삶음 세탁시에 온수 급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세탁기에서 보일러를 제어하거나, 세탁기와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갖는다.
먼저, 세탁기의 세탁 전체 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삶음 세탁을 위한 동작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S401), 세탁기는 급수를 시작한다.(S402)
그리고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403), 온수 급수가 이루어지면 그대로 급수 단계를 진행하여 급수 동작을 완료하고(S404) 삶음 세탁을 시작한다.
그리고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를 일시 정지한다.(S405)
이와 같은 급수를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세탁기 자체에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는지를 판단한다.(S406)
판단 결과 세탁기에서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면,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보일러 가동 명령을 전송한다.(S407)
이와 같이 보일러 가동 명령이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되면 이를 보일러에서 이 명령을 수신하여(S408), 온수 공급을 위한 보일러 작동을 시작하고(S409), 그 결과를 세탁기의 제어 수단으로 전송한다.(S410)
그리고 세탁기에서는 보일러에서 전송된 작동 시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S411)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된 것으로 판단되면(S412),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포함하는 급수 행정을 다시 수행한다.(S413)
이와 같이 급수가 진행되어 완료되면(S414), 삶음 세탁을 시작한다.
상기 S412단계에서, 세탁기에서 보일러 작동 결과에 관한 정보를 받아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설정된 횟수만큼 보일러 가동 명령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된 휫수만큼 가동 명령의 재전송이 이루어진 후에도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다면 보일러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냉수만 사용하여 급수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급수 완료 후에 세탁기 자체의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된 냉수가 적정 온도가 되도록 가열한 후에 삶음 세탁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S406 단계의 판단 결과 세탁기 자체에서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일러 미작동 상태 및 자동 제어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15)
그리고 사용자가 보일러 제어를 세탁기에서 하도록 명령을 한 것으로 판단되면(S416) 세탁기는 보일러 가동 명령을 보일러로 전송하고,(S407) 아니면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다시 시작한다.(S417)
그리고 급수가 완료되면(S418), 세탁기 자체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공급된 냉수를 적정 온도까지 가열한다.(S419)
이와 같이 가열이 완료되면(S420), 삶음 세탁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삶음 세탁시에 온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탁기에서 사용자와 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보일러를 세탁기에서 자체적으로 가동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에서의 보일러 제어에 의한 온수 공급은 삶음 세탁이외에도 온수를 필요로 하는 다른 세탁 행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삶음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세탁기에서 보일러를 가동시켜 온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보일러 가동을 위한 제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자체에 보일러 제어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와의 커뮤니 케이션에 의해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적절한 삶음 세탁이 가능하다.

Claims (7)

  1.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에 있어서,
    세탁기에서 삶음 세탁을 위한 급수 단계에서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급수를 일시 정지하고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권한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권한이 없다면, 온수 공급 장치의 미작동 상태 및 자동 제어 여부를 묻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권한이 부여되면 온수 공급 장치로 구동 명령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온수 공급 장치가 구동 명령에 의해 온수가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면 급수를 다시 진행하는 단계;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권한이 있다면, 온수 공급 장치로 구동 명령을 바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온수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여, 온수 공급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설정 회수만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온수 공급 장치의 구동 명령을 설정 회수만큼 재전송하여도 온수 공급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권한이 부여되지 않으면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냉수만을 사용하여 급수를 하여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기 자체의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된 물을 적정 온도가 되도록 가열한 후에 다음 세탁 행정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74770A 2003-10-24 2003-10-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02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770A KR101024905B1 (ko) 2003-10-24 2003-10-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770A KR101024905B1 (ko) 2003-10-24 2003-10-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333A KR20050039333A (ko) 2005-04-29
KR101024905B1 true KR101024905B1 (ko) 2011-03-31

Family

ID=372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770A KR101024905B1 (ko) 2003-10-24 2003-10-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804B1 (ko) * 2003-12-26 2011-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546A (ja) * 1998-06-03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注水装置
JP2000157783A (ja) * 1998-11-24 2000-06-13 Toto Ltd 水回り装置
KR20020069849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삶기 기능을 갖는 건조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546A (ja) * 1998-06-03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注水装置
JP2000157783A (ja) * 1998-11-24 2000-06-13 Toto Ltd 水回り装置
KR20020069849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삶기 기능을 갖는 건조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333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291B1 (ko) 세탁 시스템
KR101024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00082666A (ko) 세탁수 온도 제어방법
JP2005034179A (ja) 機器の制御システム
KR101033567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029804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N108625095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KR100998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10067814A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46353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74083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010078A1 (ja) 洗濯システム、洗濯機、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66329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029802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4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119734A (ko) 가전기기 자동제어방법
KR101029801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83384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5366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404198B1 (ko) 세탁기 및 그 외부신호 수신방법
KR20050066451A (ko) 모니터링 시스템
KR100404199B1 (ko) 세탁기 및 그 전원제어모드 전환방법
KR20050066325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400759B1 (ko)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4201B1 (ko) 세탁기 및 그 서비스 요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