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292A -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292A
KR20050065292A KR1020040097982A KR20040097982A KR20050065292A KR 20050065292 A KR20050065292 A KR 20050065292A KR 1020040097982 A KR1020040097982 A KR 1020040097982A KR 20040097982 A KR20040097982 A KR 20040097982A KR 20050065292 A KR20050065292 A KR 2005006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oltage
liquid crystal
bipolar voltage
bi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다케료타
카와시마토시타카
우에다미쓰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8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related to liquid crystal pixels
    • G09G2300/0482Use of memory effects in nematic liquid crystals
    • G09G2300/0486Cholesteric liquid crystals, including chiral-nematic liquid crystals, with transitions between focal conic, planar, and homeotropic st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09G2310/063Waveforms for resetting the whole screen at o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드라이버와,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장치는, 상기 제 1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LIQUID CRYSTAL DRIVER CIRCUIT AND LIQUID CRYSTAL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2003년 12월 24일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우선권 서류 제 2003-42602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으로, 이 우선권의 전체 내용은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로는, 예를 들면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TN(Twisted Nematic) 액정이나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이나 MIM(Metal In Metal) 액정 등이 이용되고 있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은, 격자상으로 X 전극, Y 전극이 배치되고, 이들 전극이 적절한 타이밍으로 ON/OFF되어 교점부의 액정을 구동하는 것이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전극수가 적고, 구조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효율이 높으므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제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가격이 싸다. 그러나, 화소를 구성하는 액정 셀의 전극이 독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압이 간섭하여 주위의 셀에 영향을 미쳐 버려, 화소의 1개 1개를 클리어하게 표시하기 어렵다. 한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은, 단순 매트릭스 방식과 달리, 화소마다 온, 오프를 전환한다(화소의 1개 1개에 대응하는 능동 소자를 추가하여 액정을 구동한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은, 단순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반응속도가 빠르고, 잔상이 적으며, 또한 시야각도 넓은 것 등 성능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제조 비용이 높다.
이들 액정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정보의 표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액정에 전압을 계속하여 인가할 필요가 있다. 액정에 일정 기간 전압이 인가된 경우, 「번인(burn-in」이라고 불리는 잔상현상이 발생한다. 번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소정주기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반전시키는 프레임 반전기술 등이 사용된다. 프레임 반전 등의 극성반전 기술이 채용된 경우, 신호선에 인가되는 전압의 진폭은, 단극성으로 구동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2배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신호선에 인가되는 전압진폭을 반감시키기 위해, 코몬(common) 반전기술 등이 사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인가 전압에 의해 (플래너 상태와 포컬코닉 상태 사이에서) 상태가 천이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1번 표시된 정보를, 전원의 공급없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일간공업신문사 발행, 「액정 디바이스 핸드북」, 1989년 9월 29일 발행, 제 352쪽 내지 제 355쪽 참조).
콜레스테릭 액정은, 플래너 상태에서는, 액정 나선층의 간격에 대응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고, 포컬코닉 상태에서는, 거의 투명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2개의 전극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리 기판 11-1에는, 투명 칼럼 전극(ITO: Indium Tin Oxide)(12)이, 스트라이프 형태로 증착(또는, 스퍼터링)되어 배치되는 한편, 유리 기판 11-2에는, 투명 로우 전극(ITO:Indium Tin Oxide)(15)이, 스트라이프 형태로 증착(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배치된다. 유리 기판 11-1 및 유리 기판 11-2의 투명 칼럼 전극(12) 및 투명 로우 전극(15)이 증착(또는, 스퍼터링)된 측의 면에는, 각각, 막두께 수 ㎛ 정도의 폴리이미드층 13-1 및 13-2가 형성된다.
이렇게 전극이 설치된 유리 기판 11-1 및 유리 기판 11-2는,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각각의 스트라이프가 크로스하고, 폴리이미드층 13-1및 폴리이미드층 13-2를 통해 마주보도록, 갭 재료 등에 의해, 갭 두께 수 ㎛(예를 들면, 5㎛ 정도)로 서로 부착된다. 그리고, 유리 기판 11-1 및 유리 기판 11-2의 갭 사이에, 예를 들면, 진공주입법 등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이 주입되어, 콜레스테릭 액정막(14)이 형성된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N(Twisted Nematic) 액정 등과 같이, 폴리이미드층을 배향시키거나, 편광판을 유리 기판 위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분자구조로서, 특수한 헬리컬 구조(나선형 구조)를 갖고 있다. 인가된 양극성 펄스 전압의 값에 의해, 헬리컬 구조가 변화시키기 때문에, 상태가 변화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은,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의 값에 의해, 포컬코닉 상태 및 플래너 상태의 안정한 2개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플래너 상태는, 빛의 특정 파장대역을 간섭산란하는 상태이고, 포컬코닉 상태는, 빛을 광대역에 걸쳐 투과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파장대역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제 1 색과, 포컬코닉 상태에서 액정이 투명한 경우에 액정을 투과하여 보이는 제 2 색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이, 플래너 상태에서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난반사하도록 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의 아래를 흑색으로 색칠하고, 포컬코닉 상태에서, 그 흑색이 투과하여 보이도록 함으로써, 특정 파장색과 흑색의 모노톤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플래너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극성 펄스 전압의 전압값 Vps는,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극성 펄스 전압의 전압값 Vfs의 거의 2배의 전압값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소정의 화소전극에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되어, 포컬코닉 상태, 또는, 플래너 상태가 되고, 그후, 전압의 인가를 받지 않으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콜레스테릭 액정은, 다시, 필요에 따라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된 경우, 그 인가된 전압값에 의해 상태를 다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은, 양극성 펄스 전압의 인가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그후의 전원의 공급을 받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경우에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구동전압 파형의 예이다. 포컬코닉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화소전극에, 전압 Vps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경우, 플래너 상태가 되므로, 표시색은 제 1 색이 되는 반면에, 플래너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화소전극에, 전압 Vfs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경우, 포컬코닉 상태가 되므로, 표시색은, 제 1 색으로부터 제 2 색으로 변화된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패널의 전체면에 전압값 Vps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표시면 전체를 플래너 상태로 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일단 리셋트한 후, 필요한 위치의 화소전극에 전압값 Vfs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여,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그후에 전압을 걸지 않음으로써, 표시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을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액정 구동회로(2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은, n×m 화소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칼럼 드라이버(31)는, 클록(CLK)신호 및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DATA)신호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구동전압 ±V2 및GND(0V)과 접속되어,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칼럼 전극(12)의 칼럼(신호)전극 Y1 내지 Yn에,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버이다.
로우 드라이버(32)는, 클록(CLK)신호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구동전압 ±V1 및 칼럼 드라이버(31)에 공급되고 있는 GND와 공통의 GND와 접속되어,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로우 전극(15)의 로우(주사)전극 X1 내지 Xm에,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버이다.
여기에서, 구동전압 V1과 구동전압 V2는, V1+V2>Vps를 충족시키는 전압값이다.
다음에, 3×3의 9화소를 2색으로 표시(특정 파장색과 흑색의 2색으로, 예를 들면, 특정 파장색이 초록인 경우, 초록과 흑색의 2색으로 화소들을 표시)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3×3의 9화소 중에서,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를 흑색으로, 다른 화소를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특정 파장색의 표시는, 플래너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특정 파장색의 빛이 간섭 산란되어 있는 상태이며, 흑색의 표시는, 포컬코닉 상태의 투명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투과하여, 흑색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7 및 도 8은, 칼럼 드라이버(31) 및 로우 드라이버(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3×3의 9화소의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 칼럼 드라이버(31)가 칼럼 전극 X1 내지 X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 및, 로우 드라이버(32)가 로우 전극 Y1 내지 Y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가 전압에 의해, 3×3의 9화소 (X1,Y1) 내지 (X3,Y3)의 화소전극 사이(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 교점이 되는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우선, 현재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리셋트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는,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고, 로우 전극 X1내지 X3에는,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 (X1,Y1) 내지 (X3,Y3)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전극 사이에는, V1+V2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V1+V2>Vps이므로,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플래너 상태가 되어, 특정 파장빛을 간섭 산란한다. 즉, 화소 (X1,Y1) 내지 (X3,Y3)은, 모두 특정 파장색의 표시가 된다(이하, 전체 플래너 리셋트로 칭한다).
그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드라이버(32)는, 로우 전극 X1, X2, X3를 순차적으로 주사하고, 전압 V3의 양극성 펄스를 주사 인가함으로써, 어느 한 개의 로우 전극을 선택한다. 그리고, 칼럼 드라이버(31)는, 로우 전극의 선택 타이밍에 대응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칼럼 전극 Y3에, 선택적으로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를 인가한다. 이때, V3+V4>Vfs이며, V1>V3, 또한 V2>V4인 것으로 가정한다.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V3+V4>Vfs의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포컬코닉 상태가 되어, 투명이 된다. 즉,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V3+V4>Vfs이고, 전압값 Vps는, 전압값 Vfs의 거의 2배의 전압값이므로, V1+V2>V3+V4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체 플래너 리셋트한 후, 임의의 화소를 특정 파장색으로부터 흑색으로 반전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래너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 전압 Vps 및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 전압 Vfs는, 전극 사이의 갭 두께에 의해 다르다. 예를 들면, 갭 두께가 5㎛인 경우, Vps는 약 40V, Vfs는 약 20V 정도가 된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화소위치에 양극성 펄스 전압 Vps=40V를 인가하여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한 후, 원하는 화소위치에,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 전압 Vfs=20V를 인가하면 된다.
그렇지만, 리셋트 전의 상태가 플래너 상태인 화소위치와 리셋트 전의 상태가 포컬코닉 상태인 화소위치에서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 후의 콜레스테릭 액정의 반사율/투과율이 약간 달라진다. 원하는 화소위치에 양극성 펄스 전압 Vfs를 인가한 경우, 그들 화소는, 균일한 포컬코닉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소위치에 따라 약간 다른 반사율/투과율을 갖는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대하여 양극성 펄스 전압 Vfs를 인가하더라도, 화소위치에 의해 콜레스테릭 액정의 반사율/투과율이 약간 달라진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표시에 있어서,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없거나, 균일한 표시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한 표시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균일하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과 종래기술과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과,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더구나, 이 표시장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인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인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로부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소정기간 동안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표시수단에는, 플래너 상태에 있어서 다른 파장대역의 빛을 반사하는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구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있어서는,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액정 구동회로는,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과,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과, 제 1 구동수단 및 제 2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액정 구동회로에서,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일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일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로부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소정기간 동안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리,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구동장치 및 액정 구동방법에 있어서는,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더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표시장치(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 및 액정 구동회로(41)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및 제 2 전극(예를 들면, 투명 로우 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과,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칼럼 드라이버(52))과,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예를 들면, 도 9의 로우 드라이버(53))을 구비한다. 이 표시장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는 제어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콘트롤러(51))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표시장치는,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예를 들면, 전체 플래너 리셋트)이며,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1+V2>Vp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1)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1+V2>Vp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2)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표시장치는,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포컬코닉 상태)이며,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플래너 상태)로부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소정기간 동안에 제 1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3+V4>Vf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3)을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3+V4>Vf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4)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표시장치의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 및 제 2 전극(예를 들면, 투명 로우 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면, 도 1의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를 구비한다. 이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도 12의 스텝 S2, 도 15의 스텝 S11, 또는, 도 18의 스텝 S21 또는 스텝 S22의 처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도 12의 스텝 S1, 또는, 도 15의 스텝 S12의 처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표시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도 18의 스텝 S21 또는 스텝 S22의 처리)을 더 포함한다.
액정 구동회로(예를 들면, 도 9의 액정 구동회로(41))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를 구동한다. 이 액정 구동회로는,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칼럼 드라이버(52))과,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예를 들면, 도 9의 로우 드라이버(53))과, 제 1 구동수단 및 제 2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예를 들면, 도 9의 콘트롤러(51))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액정 구동회로는,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예를 들면, 전체 플래너 리셋트)이며,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1+V2>Vp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1)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1+V2>Vp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2)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액정 구동회로는,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포컬코닉 상태)이며, 제어수단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플래너 상태)로부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전극에, 소정기간 동안에 제 1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3+V4>Vf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3)을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예를 들면, V3+V4>Vfs를 만족시키는 전압값 -V4)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 및 제 2 전극(예를 들면, 투명 로우 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예를 들면, 도 9의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를 구동하는 액정 구동회로(예를 들면, 도 9의 액정 구동회로(41))의 액정 구동방법이다. 이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도 12의 스텝 S1, 도 15의 스텝 S11, 또는, 도 18의 스텝 S21 또는 스텝 S22의 처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도 12의 스텝 S1, 또는, 도 15의 스텝 S12의 처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액정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예를 들면, 투명 칼럼 전극(12))에, 제 1 양극성 전압 및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제 2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도 18의 스텝 S21 또는 스텝 S22의 처리)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을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구동회로(4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과, 전원공급부(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등)에 의해, 액정표시장치가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것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은,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종래의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과 유사한 것이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화소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Vps 이상이 되도록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경우, 그 화소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콜레스테릭 액정이 플래너 상태가 됨으로써, 대응하는 화소가, 플래너 상태에 있어서 반사되는 파장대역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제 1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화소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Vfs 이상이 되도록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경우, 그 화소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콜레스테릭 액정이 포컬코닉 상태가 됨으로써, 대응하는 화소가, 포컬코닉 상태에서 액정을 투과하여 보이는 제 2 색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이, 플래너 상태에서 특정 파장색의 빛을 난반사하도록 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의 아래를 흑색으로 하고, 포컬코닉 상태에서, 그 흑색이 투과하여 보이도록 함으로써, 특정 파장색과 흑색의 모노톤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파장대역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제 1 색, 즉, 특정 파장색은, 예를 들면, 초록, 파랑, 빨강 등, 어떤 색이라도 상관없으며, 액정을 투과하여 보이는 제 2 색도, 어느쪽의 색이라도 상관하지 않는다.
또한, 플래너 상태에서, 각각 다른 파장대역을 반사하는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을 사용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을 사용하여, 다색의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플래너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극성 펄스 전압의 전압값 Vps는, 포컬코닉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극성 펄스 전압의 전압값 Vfs의 거의 2배의 전압값이다.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서는, 예를 들면, 패널의 전체면에 전압값 Vps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표시면 전체를 플래너 상태로 하고,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리셋트(전체 플래너 리셋트)한 후, 필요한 위치의 화소전극에 전압값 Vfs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여,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그후, 전압을 걸지 않음으로써, 표시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콘트롤러(51)는, 칼럼 드라이버(52) 및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는 동시에, 칼럼 드라이버(52)에 클록(CLK)신호 및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DATA)신호를 공급하고, 로우 드라이버(53)에 클록(CLK)신호를 공급한다.
칼럼 드라이버(52)는, 콘트롤러(51)에서 클록(CLK)신호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구동전압 ±V2 및 기준전압 GND와 접속되어,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칼럼 전극(12)의 칼럼(신호)전극 Y1 내지 Yn에, 도 10,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버이다.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에서, 클록(CLK)신호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구동전압 ±V1 및 기준전압 GND와 접속되어,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로우 전극(15)의 로우(주사)전극 X1 내지 Xm에, 도 10,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버이다.
또한, 콘트롤러(51)는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54)에 접속되며, 드라이브(54)에는, 자기 디스크(61), 광 디스크(62), 광자기 디스크(63), 또는, 반도체 메모리(64)가 장착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가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특정 파장색인 3×3의 9화소를 표시시키는 경우의, 칼럼 드라이버(52) 및 로우 드라이버(5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0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콜레스테릭 액정(1)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3×3의 9화소의 정보를 균일하게 표시시키기 위해, 칼럼 드라이버(52)가 칼럼 전극 X1 내지 X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 및, 로우 드라이버(53)가 로우 전극 Y1 내지 Y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가 전압에 의해, 3×3의 9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현재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리셋트하기 위해서는, 화소 (X1,Y1) 내지 (X3,Y 3)의 각각에, Vps 이상의 전압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지 않으면 안된다.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소정의 시간폭으로,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소정의 시간폭으로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전극 사이에는, V1+V2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V1+V2>Vps이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플래너 상태가 되어, 특정 파장빛을 간섭 산란한다. 즉, 화소 (X1,Y1) 내지 (X3,Y3)의 표시는, 모두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되어, 전체 플래너 리셋트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체 플래너 리셋트 상태의 화소 (X1,Y1) 내지 (X3,Y3) 중에서 원하는 화소에 선택적으로 양극성 전압 Vfs가 인가되어,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가 천이됨으로써, 포컬코닉 상태의 패널(1)에 원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나, 화소 (X1,Y1) 내지 (X3,Y3)의 반사율/투과율은, 전체 플래너 리셋트 상태로 되기 전의 상태가, 플래너 상태이었는지, 포컬코닉 상태이었는지에 따라, 균일하지 않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그후,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 X1, X2 및 X3를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전압 V3의 양극성 펄스를 로우 전극에 인가하는 경우, 어느 한개의 로우 전극을 선택 할 때에도,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회(도 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양극성 전압 3V를 인가한다. 그리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의 선택 타이밍에 대응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선택적으로,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럼 드라이버(52)는, 로우 전극 X1이 선택되고,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회(도 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양극성 전압 3V가 인가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1 및 칼럼 전극 Y2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로우 전극 X1에 주어지고 있는 선택 펄스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고, 로우 전극 X2가 선택되고,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회(도 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양극성 전압 3V가 인가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로우 전극 X2에 주어지고 있는 선택 펄스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며, 로우 전극 X3이 선택되고,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회(도 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양극성 전압 3V가 인가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로우 전극 X3에 주어지고 있는 선택 펄스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한다.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화소전극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V3+V4>Vfs의 양극성 펄스 전압이 소정의 기간에 복수회(도 11에 있어서는 2회) 인가되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전체 플래너 리셋트 전의 상태에 상관없이, 균일한 포컬코닉 상태가 되어, 투명(균일한 투과율을 갖는 상태)하게 된다. 즉, 선택된 (X1,Y1) (X1,Y2) (X2,Y2) (X2,Y3) (X3,Y2) 및 (X3,Y3)의 6화소는, 균일한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의 표시는 특정 파장색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는,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시간 내의 반복의 전압인가 회수를 2회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소정기간에서의 시간 내의 반복의 전압인가 회수는, 2회 이상의 어느 회수라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태를 포컬코닉 상태로 하기 위해 반복하여 주어지는 전압의 전압값은, 포컬코닉 상태로 된 화소의 빛의 투과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기간의 시간폭은, 정보의 표시에 필요한 속도와, 액정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액정의 상태를 포컬코닉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폭으로 몇회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는지는, 액정의 전압에 대한 반응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소정의 시간 내에 몇 번이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1회의 전압의 인가 시간을 극단적으로 짧게 한 경우, 액정이 인가 전압에 반응할 수 없어, 상태가 천이되지 않는다. 액정이 반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인가 시간은, 액정의 점성이나, 액정의 갭 두께에 따라 다르다.
또한, 균일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정 기간폭에 주어지는 양극성 전압의 반복의 인가 회수를 늘리는 쪽이 좋으며, 그를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폭을 길게 설정하면 적합하다. 그러나, 소정의 시간폭을 길게 한 경우, 정보의 표시완료 속도가 늦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소정의 시간폭과 전압의 반복인가 회수는, 요구되는 표시 성능에 의해,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구동회로(41)에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하여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도록 한 경우, 포컬코닉 상태의 천이를 위한 양극성 전압을, 소정의 시간에 복수회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플래너 리셋트 전의 상태에 관계없이, 원하는 화소를 균일한 흑색(또는 다른 지정색)으로 표시시키고, 다른 화소의 표시는,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색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표시되는 정보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구동회로(41)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화소마다의 리셋트 전의 상태에 상관없이, 임의의 화소의 표시색을,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색으로부터 균일한 흑색(또는 다른 소정의 색)으로 반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회로(41)의 처리 1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콘트롤러(51)는, 칼럼 드라이버(52)를 제어하여, 칼럼 전극 Y1내지 Y3에,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시키고,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체 플래너 리셋트가 실행된다.
스텝 S2에서, 콘트롤러(51)는,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을 주사하고 이 로우 전극에 선택 전압 3V를 소정기간 동안에 각각 T회 주사 인가시키는 동시에, 칼럼 드라이버(52)를 제어하여, 칼럼 전극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4V를 소정기간 동안에 각각 T회, 로우 전극에의 주사/인가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선택적으로 인가시켜, 원하는 화소위치의 액정만을 포컬코닉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키고,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이밍으로, 칼럼 드라이버(52)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칼럼 전극(12)의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전압이 인가되고, 로우 드라이버(53)로부터, 투명 로우 전극(15)의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화소 (X1,Y1) 내지 (X3,Y3)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전극에는, 도 11에 도시된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3×3의 9화소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된 후,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에 대해, 2회,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액정이, 종래에서의 경우보다도 균일한 투명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소가, 균일한 흑색(또는 다른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한번 표시시킨 정보를, 전원공급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 임의의 화소를, 화소마다의 리셋트 전의 상태에 상관없이, 특정 파장색으로부터 균일한 다른 색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가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특정 파장색인 3×3의 9화소를 표시시키는 경우의, 칼럼 드라이버(52) 및 로우 드라이버(5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3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콜레스테릭 액정(1)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3×3의 9화소의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 칼럼 드라이버(52)가 칼럼 전극 X1 내지 X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 및, 로우 드라이버(53)가 로우 전극 Y1 내지 Y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가 전압에 의해, 3×3의 9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현재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리셋트하기 위해서는, 화소 (X1,Y1) 내지 (X3,Y 3)의 각각에, Vps 이상의 전압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서,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 종래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소정기간 내에 1회의 양극성 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행하여도, 본래 빛을 투과하지 않을 것인 플래너 상태의 액정의 투과율이 약간 달라져버린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소정의 시간폭 내에서 복수회(도 13에 있어서는 2회),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소정의 시간폭 내에서 복수회(도 13에 있어서는 2회), 로우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전극 사이에는, V1+V2의 양극성 펄스가 소정기간 내에 2회 인가된다. 여기에서, V1+V2>Vps이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각각의 화소위치가, 리셋트 전에 플래너 상태이었는지, 포컬코닉 상태이었는지에 상관없이, 보다 균일한 반사율을 갖는 플래너 상태가 되어, 특정 파장빛을 간섭 산란한다. 즉, 화소 (X1,Y1) 내지 (X3,Y3)의 표시는, 모두 특정 파장색이 되어, 균일한 전체 플래너 리셋트 상태가 된다.
그후, 로우 드라이버(53)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 X1, X2 및 X3를 순차적으로 주사하고, 이 로우 전극에 전압 V3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어느 한 개의 로우 전극을 선택한다. 그리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의 선택 타이밍에 대응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칼럼 전극 Y3에, 선택적으로,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럼 드라이버(52)는, 로우 전극 X1이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1 및 칼럼 전극 Y2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인가하고, 로우 전극 X2가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인가하며, 로우 전극 X3가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를 인가한다.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화소전극 사이에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V3+V4>Vfs의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포컬코닉 상태가 되어, 투명하게 된다. 즉, 선택된 (X1,Y1) (X1,Y2) (X2,Y2) (X2,Y3) (X3,Y2) 및 (X3,Y3)의 6화소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의 표시는 특정 파장색인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도, 소정의 기간의 시간폭은, 정보의 표시에 필요한 속도와, 액정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전체 화소에 대응하는 액정의 상태를 플래너 상태에 변화시켜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폭에 몇회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는 것인지는, 액정의 전압에 대한 반응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소정의 시간 내에 몇 번이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1회의 전압의 인가시간을 극단적으로 짧게 한 경우, 액정이 인가 전압에 반응할 수 없어, 상태가 천이되지 않는다. 액정이 반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인가 시간은, 액정의 점성이나, 액정의 갭 두께에 의해 다르다. 또한,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행하기 위해 반복해 주어지는 전압의 전압값은, 리셋트된 표시 화면의 빛의 반사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구동회로(41)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같이 하여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도록 한 경우, 전체 플래너 리셋트에 있어서, 화소마다의 리셋트 전의 상태에 관계없이, 균일한 상태로 표시를 리셋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비교하여,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회로(41)의 처리 2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콘트롤러(51)는, 칼럼 드라이버(52)를 제어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소정기간 동안에 T회 인가시키고,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소정기간 동안에 T회 인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체 플래너 리셋트가 실행된다.
스텝 S12에서, 콘트롤러(51)는,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을 주사하여 이 로우 전극에 선택 전압 3V를 인가시키는 동시에, 칼럼 드라이버(52)를 제어하여, 칼럼 전극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4V를, 로우 전극에의 주사/인가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선택적으로 인가시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을 구동시켜, 원하는 화소위치의 액정만을 포컬코닉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키고,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이밍으로, 칼럼 드라이버(52)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칼럼 전극(12)의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전압이 인가되고, 로우 드라이버(53)로부터, 투명 로우 전극(15)의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화소 (X1,Y1) 내지 (X3,Y3)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전극에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에,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시간 내에 2회의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3×3의 9화소는, 전체 화소위치에서 균일한 반사율이 되도록 전체 플래너 리셋트된 후,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에 대하여,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화소가 투명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원하는 화소가, 흑색 등의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균일한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한번 표시시킨 정보를, 전원공급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보다 균일한 상태로 표시를 리셋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6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가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특정 파장색인 3×3의 9화소를 표시시키는 경우의 칼럼 드라이버(52) 및 로우 드라이버(5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은, 콜레스테릭 액정(1)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전체 플래너 리셋트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3×3의 9화소의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 칼럼 드라이버(52)가 칼럼 전극 X1 내지 X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 및, 로우 드라이버(53)가 로우 전극 Y1 내지 Y3에 인가하는 양극성 펄스의 전압과 타이밍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가 전압에 의해, 3×3의 9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된 화소 중에서 원하는 화소를 포컬코닉 상태로 하기 위해 각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양극성 전압을,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실행하기 위해 전체 화소의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양극성 전압을, 각각,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시키도록 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1)에서, 균일하며 콘트라스트가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래서, 제 3 실시예에서는, 현재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리셋트하기 위해, 화소(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인가되는 Vps 이상의 전압의 양극성 펄스와, 원하는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 소정의 화소에 인가되는 Vfs의 양극성 펄스 전압을, 모두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시키도록 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1)에 표시되는 정보의 콘트라스트나 표시의 균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현재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리셋트하기 위해서는, 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Vps 이상의 전압의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소정의 시간폭 내에 복수회(도 16에 있어서는 2회),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소정의 시간폭 내에 복수회(도 16에 있어서는 2회), 로우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 (X1,Y1) 내지 (X3,Y3)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전극 사이에는, V1+V2의 양극성 펄스가 소정기간 내에 2회 인가된다. 여기에서, V1+V2>Vps이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보다 균일한 플래너 상태가 되어, 특정 파장빛을 간섭 산란한다. 즉, 화소 (X1,Y1) 내지 (X3,Y3)의 표시는, 모두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되어, 균일한 전체 플래너 리셋트 상태가 된다.
그후, 로우 드라이버(53)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 X1, X2 및 X3를 순차적으로 주사하고, 전압 V3의 양극성 펄스를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도 16에 있어서는 2회) 인가함으로써 어느 한 개의 로우 전극을 선택한다. 그리고, 칼럼 드라이버(52)는, 콘트롤러(51)의 제어에 근거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 전극의 선택 타이밍에 대응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칼럼 전극 Y3에, 선택적으로,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도 16에 있어서는 2회)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럼 드라이버(52)는, 로우 전극 X1이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1 및 칼럼 전극 Y2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인가하고, 로우 전극 X2이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인가하며, 로우 전극 X3이 선택되고 있을 때, 칼럼 전극 Y2 및 칼럼 전극 Y3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V4을 인가한다.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된 화소전극 사이에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V3+V4>Vfs의 양극성 펄스 전압이 소정기간 내에 2회 인가되므로, 대응하는 화소위치의 투명 칼럼 전극(12)과 투명 로우 전극(15)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14)은, 포컬코닉 상태가 되어, 투명하게 된다. 즉, 선택된 (X1,Y1) (X1,Y2) (X2,Y2) (X2,Y3) (X3,Y2) 및 (X3,Y3)의 6화소는, 흑색 등의 특정한 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의 표시는, 플래너 상태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색인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도, 소정의 기간의 시간폭이란, 정보의 표시에 필요한 속도와, 액정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모든 화소에 대응하는 액정의 상태를 플래너 상태로 변화시켜 전체 플래너 리셋트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폭에 몇회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는 것인가는, 액정의 전압에 대한 반응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소정의 시간 내에 몇번이나 양극성 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1회의 전압의 인가 시간을 극단적으로 짧게 한 경우, 액정이 인가 전압에 반응할 수 없어, 상태가 천이되지 않는다. 액정이 반응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인가 시간은, 액정의 점성이나, 액정의 갭 두께에 의해 다르다.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구동회로(41)에 있어서, 제 3 실시예와 같이 하여 양극성 펄스를 인가하도록 한 경우, 전체 플래너 리셋트에 있어서, 화소마다의 리셋트 전의 상태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리셋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가 천이되는 화소도, 각각의 화소에서 균일한 투과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표시의 콘트라스트 및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회로(41)의 처리 3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콘트롤러(51)는, 칼럼 드라이버(52)을 제어하여, 칼럼 전극 Y1 내지 Y3에, 전압 V1의 양극성 펄스를 소정기간 동안에 T회 인가시키고,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 X1 내지 X3에, 전압 -V2의 양극성 펄스를 소정기간 동안에 T회 인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체 플래너 리셋트가 실행된다.
스텝 S22에서, 콘트롤러(51)는, 로우 드라이버(53)를 제어하여, 로우 전극을 주사하여 이 로우 전극에 선택 전압 3V를 소정기간 동안에 각각 T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칼럼 드라이버(52)를 제어하여, 칼럼 전극에 역특성의 양극성 펄스 -4V를 소정기간 동안에 각각 T회, 로우 전극에의 주사/인가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선택적으로 인가시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을 구동시켜, 원하는 화소위치의 액정만을 포컬코닉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키고,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 타이밍으로, 칼럼 드라이버(52)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투명 칼럼 전극(12)의 칼럼 전극 Y1 내지 Yn에 전압이 인가되고, 로우 드라이버(53)로부터, 투명 로우 전극(15)의 로우 전극 X1 내지 Xm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화소 (X1,Y1) 내지 (X3,Y3)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전극에는, 도 17에 도시된 양극성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1)의 3×3의 9화소는, 전체 화소위치에서 균일한 반사율이 되도록 전체 플래너 리셋트된 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X1,Y1) (X1,Y2) (X2,Y2) (X2,Y3) (X3,Y2) (X3,Y3)의 6화소에 대하여, 2회, 포컬코닉 상태로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양극성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화소가 균일한 투명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원하는 화소가, 균일한 흑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화소가 균일한 특정 파장색으로 표시된다.
이때, 도 18의 흐름도에서는, 스텝 S21에서 인가되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에서의 양극성 전압, 및, 스텝 S22에서 인가되는 액정을 포컬코닉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양극성 전압을, 모두, 소정기간 내에 T회 인가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텝 S21에서 인가되는 전체 플래너 리셋트에서의 양극성 전압, 및, 스텝 S22에서 인가되는 액정을 포컬코닉 상태에 천이시키기 위한 양극성 전압은, 각각, 2회 이상의 다른 회수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한번 표시시킨 정보를, 전원공급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균일한 콘트라스트와 보다 명확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여기에서는, 2색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색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기록매체로부터 인스톨될 수 잇다.
이 기록매체의 일례로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6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6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63)(MD(Mini-Disk)(상표)을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64)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설계요구와 다른 인자들에 의존하여, 다양한 변형, 조합, 변경 등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이것의 동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한,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 조합, 변경 등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의 콘트라스트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가 표시되도록 액정을 구동할 수 있으며, 표시의 콘트라스트 및 균일성이 향상되도록 액정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와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콜레스테릭 액정에 대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액정 구동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표시되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액정 구동회로의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8은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의 도 5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로우 전극과 칼럼 전극들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구동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GND 레벨을 나타낸 제 1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1은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의 각 화소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을 나타낸 제 1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2는 액정 구동회로의 처리 1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GND 레벨을 나타낸 제 2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4는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의 각 화소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을 나타낸 제 2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는 액정 구동회로의 처리 2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로우 전극 및 칼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GND 레벨을 나타낸 제 3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은 도 9의 액정 구동회로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의 각 화소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양극성 펄스 전압을 나타낸 제 3 패턴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8은 액정 구동회로의 처리 3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콜레스테릭 액정 패널 31: 칼럼 드라이버
32: 로우 드라이버 41: 액정 구동회로
51: 콘트롤러

Claims (14)

  1.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로부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플래너 상태에서 다른 파장대역의 빛을 반사하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장치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 및 상기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 및 상기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8.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액정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구동수단과,
    상기 제 1 구동수단 및 상기 제 2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리셋트 상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회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표시를 리셋트 상태로부터 상기 정보표시를 위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회로.
  11.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액정 구동회로의 액정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을 제 1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2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1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 및 상기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1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상기 제 1 양극성 전압 및 상기 제 2 양극성 전압과는 다른 제 3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소정기간과는 다른 제 2 소정기간 내에 복수회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3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제 4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제 3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방법.
  14.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드라이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을 소정기간 동안에 복수회 인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양극성 전압과는 역특성의 양극성 전압을, 상기 제 1 전극에 양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시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소정의 화소의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97982A 2003-12-24 2004-11-26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 KR20050065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6203A JP4470096B2 (ja) 2003-12-24 2003-12-24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JPJP-P-2003-00426203 2003-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92A true KR20050065292A (ko) 2005-06-29

Family

ID=3474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982A KR20050065292A (ko) 2003-12-24 2004-11-26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9059B2 (ko)
JP (1) JP4470096B2 (ko)
KR (1) KR20050065292A (ko)
CN (1) CN100356240C (ko)
TW (1) TWI2853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5916B2 (ja) * 2008-10-17 2013-10-16 富士通株式会社 マトリクス表示素子およびマトリクス表示装置
WO2010138568A2 (en) * 2009-05-28 2010-12-02 Kent Displays Incorporated Writing tablet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JP5071442B2 (ja) * 2009-06-03 2012-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201227660A (en) * 2010-12-22 2012-07-01 Ind Tech Res Ins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ulti-stable display panel
CN105807458B (zh) * 2016-05-20 2021-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公共电压的烧录检测方法及装置
CN114203120A (zh) * 2021-11-16 2022-03-18 北京奕斯伟计算技术有限公司 液晶手写板及其驱动电路和驱动方法
TWI792688B (zh) 2021-11-17 2023-02-11 虹彩光電股份有限公司 膽固醇液晶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840B1 (en) * 1997-05-12 2001-07-31 Kent Displays Incorporated Unipolar waveform drive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US6278429B1 (en) * 1998-09-11 2001-08-21 Kent State University Bistable reflective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s utilizing super twisted nematic driver chips
US6812913B2 (en) * 2000-02-17 2004-11-02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329265A (ja) * 2000-05-22 2001-11-27 Minolta Co Ltd 液晶表示素子
GB0022055D0 (en) * 2000-09-07 2000-10-25 Secr Defence Addressing multistable nematic liquid crystal devices
JP3606830B2 (ja) * 2001-11-02 2005-01-05 株式会社ジーニック コレステリ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用ドライバ
JP3891018B2 (ja) * 2002-02-18 2007-03-0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駆動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705436B2 (ja) * 2003-01-21 2005-10-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US6911965B2 (en) * 2003-01-28 2005-06-28 Kent Displays Incorporated Waveform sequen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stable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0096B2 (ja) 2010-06-02
US20050156846A1 (en) 2005-07-21
US7379059B2 (en) 2008-05-27
JP2005181916A (ja) 2005-07-07
CN100356240C (zh) 2007-12-19
CN1637490A (zh) 2005-07-13
TWI285360B (en) 2007-08-11
TW200529160A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191A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nematic liquid crystal
US81440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paper having the same
KR10023890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00069992A (ko) 초기에는 네마틱 상태로 설정된 콜레스테릭 액정 평판 디스플레이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3959256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S6031120A (ja) 液晶装置
JP370543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KR100749851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65292A (ko)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과, 액정 구동회로 및 액정 구동방법
JP3807205B2 (ja) コレステリック液晶表示装置
JP470612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US63964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nematic liquid crystal
TW202333134A (zh) 彩色電泳顯示器
JPH11231287A (ja) 強誘電性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回路
US20030080933A1 (en)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JP2006350117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JP3893905B2 (ja) 液晶表示画面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0206899A (ja) 相転移型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と相転移型液晶表示装置
JP200133081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EP1045270B1 (en)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04116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H01145633A (ja)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CA2215226C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nematic liquid crystal
JPH06222332A (ja) 液晶表示装置
CA2215867C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nematic liquid crys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