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040A -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040A
KR20050063040A KR1020030094093A KR20030094093A KR20050063040A KR 20050063040 A KR20050063040 A KR 20050063040A KR 1020030094093 A KR1020030094093 A KR 1020030094093A KR 20030094093 A KR20030094093 A KR 20030094093A KR 20050063040 A KR20050063040 A KR 2005006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hard mask
polysilic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9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040A/ko
Publication of KR2005006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84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being a rough surface, e.g. using hemispherical g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콘택 플러그를 갖는 기판 상에 식각 정지막, 절연막 및 질화막을 포함하는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 플러그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박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박막 패턴의 상부 표면, 콘택홀의 측벽 및 노출된 콘택 플러그의 표면 상에 폴리 실리콘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박막 패턴의 하드 마스크막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폴리 실리콘막을 화학기계적 연마로 제거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각 노드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도 상기 하드 마스크막이 연마 정지의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함으로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높이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a storage electrode of a capacitor}
본 발명은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램 소자와 같은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장치로서는 정보의 입력과 출력이 자유로우면서도 고용량을 갖는 DRAM 장치가 범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DRAM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하의 형태로 정보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 영역과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주변 회로 영역으로 구성된다. DRAM 장치의 각 셀은 하나의 트랜지스터(transistor)와 하나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셀에 구비되는 커패시터는 집적도의 증가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그 크기가 더욱 감소되어야 한다. 실제로, 기판 상에서 커패시터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은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축적 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의 제반 상황을 고려할 때, 커패시터의 유효 면적의 증가를 통하여 축적 용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초기의 평면 커패시터 구조에서 스택(stack)형 또는 트렌치형 커패시터 구조로 변화되고 있으며,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에서도 실린더형 커패시터 또는 핀(fin)형 커패시터 등 하부 전극의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로 기술 변화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스택형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층간 절연막 패턴(12)을 형성한 후,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12)의 콘택홀 내에 도전 물질을 필링시켜 콘택 플러그(13)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12) 상에 식각 정지막(도시되지 않음), 절연막(14) 및 폴리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마스크막(1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 마스크막(16), 절연막(14) 및 식각 정지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13)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박막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전극으로 형성하기 위한 폴리 실리콘막(18)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 전극으로 형성하기 위한 폴리 실리콘막(18)이 형성된 높이는 ℓ1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폴리 실리콘막(18)의 각 노드를 분리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즉, 상기 박막 패턴의 표면 상에 형성한 폴리 실리콘막(18)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 실리콘막(18)의 제거는 전면 식각 또는 화학기계적 연마 등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에 의해 각 노드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하드 마스크막(16)으로 형성한 폴리 실리콘막이 다소 많이 연마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하부 전극으로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막(18a)의 높이가 ℓ1에 비해 낮은 ℓ2를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패시터 하부 전극의 형성에서는 그 높이가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함으로서 커패시터의 축적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각 노드를 분리시키는 화학기계적 연마를 수행하여도 그 높이가 거의 줄어들지 않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은,
콘택 플러그를 갖는 기판 상에 식각 정지막 및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질화막을 포함하는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절연막 및 식각 정지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패턴의 상부 표면, 콘택홀의 측벽 및 노출된 콘택 플러그의 표면 상에 폴리 실리콘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패턴의 하드 마스크막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폴리 실리콘막을 화학기계적 연마로 제거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각 노드(node)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막은 저압 화학기상증착 또는 플라즈마 증대 화학기상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표면에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폴리 실리콘막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연마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 마스크막으로서 질화막을 적용한다. 따라서, 폴리 실리콘막의 각 노드를 분리시켜 하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화학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도 상기 하드 마스크막이 연마 정지의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함으로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높이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때문에,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의 높이 감소로 인하여 축적 용량에 지장을 주는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20)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층간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층간 절연막 패턴(22)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22)의 콘택홀 내에 폴리 실리콘과 같은 도전 물질을 필링시켜 콘택 플러그(23)를 형성한다. 상기 콘택 플러그(23)의 형성은 적층 공정 및 연마 공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22) 상에 식각 정지막(24)과 절연막(25) 및 하드 마스크막(26)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24)은 질화막을 선택하고, 상기 절연막(25)은 산화막으로서, 테오스막(TEOS layer)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 마스크막(26)의 경우에는 화학기계적 연마의 실시에도 연마 정지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질화막을 선택한다. 특히, 상기 질화막은 저압 화학기상증착 또는 플라즈마 증대 화학기상증착을 실시하여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한 식각을 실시하여 콘택 플러그(23)를 노출시키는 박막 패턴을 형성한다. 즉, 상기 하드 마스크막(26), 절연막(25) 및 식각 정지막(2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갖는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박막 패턴의 표면, 콘택홀의 측벽 및 노출된 콘택 플러그(23)의 표면 상에 하부 전극으로 형성하기 위한 폴리 실리콘막(28)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 실리콘막(28)의 표면에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폴리 실리콘막(28)의 표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함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전극으로 형성하기 위한 폴리 실리콘막(28)을 형성한 후, 연마에 대한 희생막으로서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연마 희생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28)의 각 노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화학기계적 연마를 실시한다.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는 상기 박막 패턴의 하드 마스크막(26)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26)의 표면이 노출되어도 상기 하드 마스크막(26)이 질화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마를 충분하게 수행하여도 상기 하드 마스크막(26)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전극으로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막(28)의 높이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연마 희생막 및 박막 패턴을 제거함으로서 스택형 하부 전극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전극으로 형성하기 위한 폴리 실리콘막의 각 노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화학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도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이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그 높이 또한 거의 변화가 없다. 이는, 하드 마스크막으로서 질화막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본 발명은 충분한 축적 용량의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정적인 공정의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스택형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3)

  1. 콘택 플러그를 갖는 기판 상에 식각 정지막 및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질화막을 포함하는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절연막 및 식각 정지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패턴의 상부 표면, 콘택홀의 측벽 및 노출된 콘택 플러그의 표면 상에 폴리 실리콘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패턴의 하드 마스크막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폴리 실리콘막을 화학기계적 연마로 제거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각 노드(node)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저압 화학기상증착 또는 플라즈마 증대 화학기상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의 표면에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 실리콘막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연마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KR1020030094093A 2003-12-19 2003-12-19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KR2005006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093A KR20050063040A (ko) 2003-12-19 2003-12-19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093A KR20050063040A (ko) 2003-12-19 2003-12-19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040A true KR20050063040A (ko) 2005-06-28

Family

ID=3725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093A KR20050063040A (ko) 2003-12-19 2003-12-19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36B1 (ko) * 2003-06-30 2008-04-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36B1 (ko) * 2003-06-30 2008-04-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655B2 (en) Method of forming DRAM capacitors with protected outside crown surface for more robust structures
JP2005183918A (ja) 半導体素子のビットライン形成方法
US20080242042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KR20040078828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US814313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rown-shaped capacitor
US6403431B1 (en) Method of forming in an insulating layer a trench that exceeds the photolithographic resolution limits
US6607954B2 (en) Methods of fabricating cylinder-type capacitor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a hard mask and a mold layer
CN114823539A (zh)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及半导体结构
KR10046586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제조방법
US20030227045A1 (en) Method of forming storage nodes comprising a base in a contact hole and related structures
US639170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RAM capacitor
CN114823540A (zh)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及半导体结构
KR20050063040A (ko)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형성 방법
KR100532959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811268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토리지 전극 형성방법
US623608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for high density DRAMs
KR100762869B1 (ko) 캐패시터의 형성방법
TWI833494B (zh) 半導體結構及其形成方法
KR100373361B1 (ko) 유전체와 전극 사이에 산화장벽막을 갖는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476399B1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1199784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structure
KR100622756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60004508A (ko)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08359B1 (ko)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99945B1 (ko)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형 캐패시터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