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120A -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120A
KR20050062120A KR1020030093794A KR20030093794A KR20050062120A KR 20050062120 A KR20050062120 A KR 20050062120A KR 1020030093794 A KR1020030093794 A KR 1020030093794A KR 20030093794 A KR20030093794 A KR 20030093794A KR 20050062120 A KR20050062120 A KR 2005006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
order
leakage
order sheet
pressure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327B1 (ko
Inventor
문정기
Original Assignee
문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기 filed Critical 문정기
Priority to KR102003009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3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폐기물 매립장에 시공한 후, 그 내부공간의 진공상태를 외부에서 압력계로 검출하도록 하면서 압력계의 눈금이 변하면 손상에 의한 누설을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누설위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히 검출해낼 수 있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내에 침출수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하여 시공되면서 그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수시트 구조에 있어서, 차수시트(8)가 밀폐된 상태에서 이중망시트(12)를 내장하도록 구비되고 누설감지관(13)이 압력계(14)를 통해 상기 차수시트(8)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차수시트(8)내에 진공상태의 진공쳄버(9)를 형성한 후, 진공쳄버(9)의 압력변화를 누설감지관(13)의 압력계(14)로 검출하여 침출수의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WATERPROOF SHEET STRUCTURE FOR SENCING EASILY LEAKAGE IN SCRAPPED MATERIAL LANDFILL}
본 발명은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폐기물 매립장에 시공한 후, 그 내부공간의 진공상태를 외부에서 압력계로 검출하도록 하면서 압력계의 눈금이 변하면 손상에 의한 누설을 판단하게 되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매립장은 환경부고시 매립장의 시공기준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립장의 기초지반(1)중 폐기물의 침출수가 모이는 하부측 지반위에 점토층(2)을 약 50㎝의 두께로 시공한 후, 매립장의 기초지반 위에 차수재(3)와 차수시트(4)를 차례로 시공한 다음, 하부측 차수시트(4)의 위에 보호사층(5)을 시공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차수시트(4)는 보호사층(5)의 완충작용에도 불구하고 매립장에 폐기되는 폐기물에 의한 충격으로 빈번하게 손상을 입게 되고, 이로 인해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차수시트의 손상부위를 통해 누출되면서 지하수 및 토양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장의 시공시 차수시트(4)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보수함으로써 차수시트의 손상부위를 통한 침출수의 누출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할 것이다.
한편, 차수시트(4)의 손상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선형성 전극을 이용한 검출방법(한국특허공개 제1999-6769호), 전기적 차수막 손상위치검출방법(한국특허등록 제319646호), 전기적 매립장 침출수 누출검지장치(한국특허공개 제2002-19306호, 제2002-19307호, 제2002-19308호), 폐기물 매립장의 차구시트 손상위치 및 누수검지시스템(한국특허공개 제2002-81165호)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기적 또는 전자적인 방법을 응용한 기술로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오작동과, 손상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등의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내재되어 있어 현장에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밀폐된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폐기물 매립장에 시공한 후, 그 내부공간의 진공상태를 외부에서 압력계로 검출하도록 하면서 압력계의 눈금이 변하면 손상에 의한 누설을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누설위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히 검출해낼 수 있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내에 침출수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하여 시공되면서 그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수시트 구조에 있어서, 차수시트가 밀폐된 상태에서 이중망시트를 내장하도록 구비되고 누설감지관이 압력계를 통해 상기 차수시트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차수시트내에 진공상태의 진공쳄버를 형성한 후, 진공쳄버의 압력변화를 누설감지관의 압력계로 검출하여 침출수의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절재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X-X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시공구조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차수시트 구조는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의 이중망시트(12)를 상하부의 차수시트(8) 사이에 적층한 상태에서 차수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시켜 그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차수시트 구조는 차수시트(8)에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면서 그 밀폐된 내부공간에 이중망시트(12)를 내장시킴으로써 일정한 체적을 지닌 진공쳄버(9)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설감지관(13)은 그 내측단이 상측의 차수시트(8)를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면서 차수시트내의 진공쳄버(9)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그 외측단부에 압력게이지(14)와 개폐밸브(1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트 구조는 개폐밸브(15)를 개방한 상태에서 누설감지관(13)의 외측단에 진공펌프(20)를 연결 접속시켜 작동시키게 되면 차수시트(8)의 내부 즉, 진공쳄버(9)가 진공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처럼, 진공쳄버(9)의 내부가 진공펌프(20)에 의해 진공상태를 이루게 되면 개폐밸브(15)를 닫게 되는데, 이때 압력게이지(14)는 진공상태인 "0"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차수시트 구조에 있어 차수시트(8)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누설이 발생되면 진공쳄버(9)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상태였던 압력이 자연히 상승하게 된다.
결국, 진공쳄버(9)의 압력상태는 누설감지관(13)을 통해 압력게이지(14)에 전달되고, 차수시트(8)의 손상에 의한 누설유무는 압력게이지(14)의 눈금을 보면서 쉽고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트(8)는 시공시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위가 중첩되도록 연결되어 접합부위를 통한 폐기물의 침출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 매립장에 시공되는 다수의 차수시트(8)에 각각 그 시공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고유번호를 지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처럼 시공되는 다수의 차수시트(8)와 연결된 각 누설감지관(13)의 압력게이지(14) 및 개폐밸브(15)를 관리가 용이한 매립장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각 누설감지관(13)의 개폐밸브(15)를 개방한 후, 각 누설감지관에 진공펌프(20)를 연결하여 각 차수시트(8)의 진공쳄버(9)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되고, 압력게이지(14)가 진공상태를 가리키면 개폐밸브(15)를 닫아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매립장내에 폐기물이 적층되면서 차수시트(8)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그 손상에 의해 차수시트에 누설이 발생되면 외부공기가 차수시트의 진공쳄버(9)에 유입되면서 진공쳄버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각 진공쳄버(9)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게이지(14)의 변화를 보고서 어느 지점의 차수시트(8)에 누설이 발생되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누설이 발생되는 차수시트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찾아 보수함으로써 침출수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중 오작동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수시트의 누설위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히 검출해낼 수 있고, 더욱이 손상된 차수시트에 대한 보수작업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침출수에 의한 토양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종래 폐기물 매립장의 시공구조를 예시하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절재사시도,
도3은 도2의 X-X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시공구조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매립장 기초지반 2: 점토층 3: 차수재 4: 차수시트 5: 보호사층 8: 차수시트 9: 진공쳄버 12: 이중망시트 13: 누설감지관 14: 압력게이지 15: 개폐밸브 20: 진공펌프

Claims (1)

  1. 폐기물 매립장내에 침출수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하여 시공되면서 그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수시트 구조에 있어서,
    차수시트(8)가 밀폐된 상태에서 이중망시트(12)를 내장하도록 구비되고 누설감지관(13)이 압력계(14)를 통해 상기 차수시트(8)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차수시트(8)내에 진공상태의 진공쳄버(9)를 형성한 후, 진공쳄버(9)의 압력변화를 누설감지관(13)의 압력계(14)로 검출하여 침출수의 누설 및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KR1020030093794A 2003-12-19 2003-12-19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KR10063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4A KR100635327B1 (ko) 2003-12-19 2003-12-19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4A KR100635327B1 (ko) 2003-12-19 2003-12-19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20A true KR20050062120A (ko) 2005-06-23
KR100635327B1 KR100635327B1 (ko) 2006-10-17

Family

ID=3725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794A KR100635327B1 (ko) 2003-12-19 2003-12-19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343A (zh) * 2022-06-06 2022-07-08 蒋庆峰 一种便于堵漏修复的室内防水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84B1 (ko) 2016-11-22 2017-03-09 지에스건설주식회사 해상 폐기물처리장의 차수시트를 활용한 침출수 누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343A (zh) * 2022-06-06 2022-07-08 蒋庆峰 一种便于堵漏修复的室内防水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327B1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3630B (zh) 用于检测建筑物排水和通风系统中密封缺陷的方法和设备
EP00579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a leak sensing device on a subterranean tank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200430020Y1 (ko)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CA2452465A1 (en) Leak site odorization for gas leak detection
KR20050062120A (ko) 누수검출이 용이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구조
WO2013095155A1 (en) Plug for use in connection with renewal / rehabilitation of water pipelines
KR20220159579A (ko) 누수위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069616B1 (ko)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04398B1 (ko)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NO20101154A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overvaking av lekkasjer
ES2059160T3 (es) Dispositivo para la vigilancia del hermetismo de tubos y tuberias y construcciones de plastico termoplastico, colocados al aire libre y en el terreno.
KR100633237B1 (ko) 폐기물 매립장의 누수보수방법
JP4403530B2 (ja) 高圧気体貯蔵施設の開放点検方法および高圧気体貯蔵施設
KR20120001147A (ko) 복수의 씰링을 구비한 누수 탐지관
JP2728614B2 (ja) 廃棄物処分場
JPS62182091A (ja) 地下タンクからの石油製品の漏洩を検出・抑制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2985596B2 (ja) 遮水シートの接合部の欠損箇所検知方法及び欠損箇所検知装置
CN206310244U (zh) 一种给排水管及其泄漏检测系统
KR200435127Y1 (ko) 벽체 매립형 배관 점검함
JP2001280594A (ja) 岩盤内貯蔵施設、その施工方法および漏洩検査方法
KR101919959B1 (ko) 지중매설물 보호 장치
JP4588151B2 (ja) 岩盤内貯蔵設備の排水,漏気検知方法
JP3033408B2 (ja) 遮水シートの欠損箇所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