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784B1 - 배관 누수방지구 - Google Patents

배관 누수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784B1
KR101835784B1 KR1020170085244A KR20170085244A KR101835784B1 KR 101835784 B1 KR101835784 B1 KR 101835784B1 KR 1020170085244 A KR1020170085244 A KR 1020170085244A KR 20170085244 A KR20170085244 A KR 20170085244A KR 101835784 B1 KR101835784 B1 KR 10183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ried
deck
leakag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주)바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건설 filed Critical (주)바로건설
Priority to KR102017008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에 관통 설치된 배관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배관과 데크의 접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발생을 원천 차단하도록 한 배관 누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는 배관 외벽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연결된 데크 매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관 누수방지구{WATERPROOFING IMPLEMENT FOR ANTI-LEACKAGE}
본 발명은 배관 누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에 관통 설치된 배관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배관과 데크의 접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발생을 원천 차단하도록 한 배관 누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배관과 콘크리트 데크 사이의 접면에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먼저, 특허등록 제10-0432478호(등록일자 2004년05월11일)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콘크리트수조의 내측 벽면에 방수 기능을 갖도록 배관파이프를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콘크리트수조를 형성하고 있는 벽과 폴리에틸렌시트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가 폴리에틸렌시트에 외주면이 열융착되면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폴리에틸렌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설치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배관파이프가 방수기능을 갖도록 설치시 작업공정이 저감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219076호(등록일자 2012년12월31일)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옥상에서 유입된 우수(빗물)를 지하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우수 배수관 및 우수 배수구의 주변에 침투해 오랜 기간 동안 배수되지 않고 옥상의 바닥에 잔존하는 침투수 및 우수를 우수관을 통해 완전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옥상 바닥에는 완벽한 방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을 제공하며,
옥상 바닥 내부에 장시간 동안 잔존하는 침투수를 우수 배수관을 통해 완벽하게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누수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제거함은 물론, 잔존해 있던 침투수에 의해 발생 된 습기가 원인이 되어 마감 층이 갈라지거나, 마모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깔끔한 옥상 바닥의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을 관련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332570호(등록일자 2013년11월19일) [배관 유닛 및 그 배관 유닛을 이용하여 시공한 배관의 누수 차단 시공방법]에서는 배관 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굴착 없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그 누수의 차단이 가능한 배관 유닛 및 그 배관 유닛을 이용하여 시공한 배관의 누수 차단 시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바,
구체적으로 배관이 노후하여 연결부 쪽이 파손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개착작업 없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누수가 되는 부분을 보강하여 더 이상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670907호(등록일자 2016년10월25일)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가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직관부와 확관부를 가지는 상하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직관부의 단부에 제1확관부가 구비되고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제1상하수관을 제2직관부의 단부에 제2확관부가 구비되고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제2상하수관을 상기 제1직관부를 상기 제2확관부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이며, 상기 제1직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확관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용 링부재, 상기 제1직관부의 단부 측 일부분과 상기 제2확관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 커버튜브부재 및 상기 실링 커버튜브부재의 양단부 측을 각각 감싸는 튜브 고정밴드부재를 포함하여 땅속에 매설된 상하수관의 연결부분에 대한 실링을 견고히 유지하여 땅속에 매설된 상하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 발생으로 인해 지반 내 통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하수관이 매설된 주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지반에 발생되는 통공에 의한 대형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는 간편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은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에 관통 설치된 배관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배관과 데크의 접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발생을 원천 차단하도록, 배관 외벽 밀착부 및 데크 매립부로 구성된 배관 누수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밀착부를 탄성 신축소재로 구성하여 신속 작업에 일조하도록 하고, 밀착부 외측에 결속되는 고정밴드를 더 도입하여 배관 외주면에서의 누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도록 한 배관 누수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밀착부와 매립부를 일체형 구조로 하여 단가 경쟁력 확보 및 시공성을 확보하고, 밀착부 외측에 이격된 두텁부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호 이격된 주름부를 형성하여 표면이 불규칙한 배관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수밀성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한 배관 누수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밀착부를 다층 구조로 하고, 이 밀착부를 연결부로 이어 수밀성 극대화를 꾀하고, 매립부나 연결부에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한 통공 내지 침입공을 형성하여 누수방지구와 데크 소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배관 누수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는
배관 외벽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연결된 데크 매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에서
상기 밀착부는 탄성 신축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밀착부 외측에는 고정밴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매립부는 밀착부 하부에 이격된 형태로 펼쳐져 있고,
상기 밀착부와 매립부는 일체형이며,
상기 밀착부는 외측에 상호 이격된 두텁부를 갖고, 내측에 상호 이격된 주름부를 갖고,
이 밀착부는 복수개가 상호 연결부에 의하여 이어져 2~5 층의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매립부에는 세로방향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립부 단부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밀착부와 밀착부를 잇는 연결부에는 둘레에 복수의 침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에는 매립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는 배관 외벽 밀착부 및 데크 매립부로 구성되어 있어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에 관통 설치된 배관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배관과 데크의 접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고, 또 상기 밀착부를 탄성 신축소재로 구성하여 신속 작업에 일조하도록 하고, 밀착부 외측에 결속되는 고정밴드를 더 도입하여 배관 외주면에서의 누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밀착부와 매립부를 일체형 구조로 하여 단가 경쟁력 확보 및 시공성을 확보하고, 밀착부 외측에 이격된 두텁부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호 이격된 주름부를 형성하여 표면이 불규칙한 배관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수밀성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밀착부를 다층 구조로 하고, 이 밀착부를 연결부로 이어 수밀성 극대화를 꾀하고, 매립부나 연결부에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한 통공 내지 침입공을 형성하여 누수방지구와 데크 소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다양한 배관 누수방지구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W)는 배관(P) 외벽 밀착부(10)와, 이 밀착부와 연결된 데크(D) 매립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의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외면에서 크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에 관통 설치된 배관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배관과 데크의 접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발생을 원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누수방지구(W)는 철근을 시공하면서 배관(P)을 배치하는 경우 이 배관 외주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고 바이브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지는 최고 건축 공정시부터 적용되거나,
도 1과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을 거쳐 기본 골격이 건물의 데크 1층(D1)에 매립된 배관(P)에 누수방지구(W)를 결합한 상태에서 방수시공을 거쳐 방수 2층(D2)을 형성하여 데크(D)가 완성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의 후자 방식과 관련하여 원래의 정석적인 시공은 배관(P) 외주면의 데크 1층(D1)을 파내서 제거하고 방수액을 부어 배관(P)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지만 현장여건이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이 정석 시공이 시행되지 못하거나 완성도가 부족한 상황이 빈발하는 것이 현실인 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W)를 통하여 정석시공을 보완하거나 심지어 대체할 수 있어 작업 편리성 확보는 물론 누수방지 기능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관 누수방지구(W)는 의복의 치마와 같은 스커트 타입(도시 형태임)이거나 롤 타입일 수 있는바, 상기한 후자 방식의 시공시에는 롤타입의 제품을 사용하여 밀착부(10)를 배관(P) 외벽에 둘러싸서 1.2~5회, 바람지하기로는 2~3회 중첩되게 감아 누수방지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스커트 타입 또는 롤 타입 누수방지구, 특히 밀착부(10)는 탄성 신축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 편리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밀착부와 매립부는 일체형이어서 단가 경쟁력 확보 및 시공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소재는 소수성 소재 또는 소수성 코팅 도입 사양인 것이 좋다.
나아가 두 타입의 누수방지구 모두 밀착부 외측에 결속되는 고정밴드(30)를 더 도입하여 배관 외주면에서의 누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밴드는 기성 시장제품으로 다양한 방식의 조입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합성수지 타이밴드, 웜 밴드 등).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W)의 매립부(20)는 밀착부(10) 하부에서 배관(P)에서 이격된 형태로 펼쳐져 데크(D)에 매립되어 있어 밀착부에 의한 누수 방지와, 수분의 데크(D) 유도가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 및 도 2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W)는 상기 밀착부(10)는 외측에 상호 이격된 두텁부(11,1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양 두텁부 사이에 형성되는 리세스(15)에 고정밴드(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 [A]에서와 같이, 상기 매립부(20)에는 세로방향 요철(21)이 형성되어 있어(복수의 매립부인 경우 각 매립부마다 요철이 형성됨), 수분을 배관(P)에서 데크(D)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B]의 변형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매립부(20) 단부에는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한 복수의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 [C]의 다른 변형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누수방지구(W)의 밀착부(10) 내측에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주름부(17)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 및 고정력 강화를 위한 두텁부와 함께 표면이 불규칙한 배관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수밀성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 [D]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0m)는 복수개가 상호 연결부(L)에 의하여 이어져 2~5 층의 다층 구조를 갖는바, 이 연결부에 의하여 이어진 다층 구조의 밀착부를 갖는 누수방지구는 반복된 배관(P) 밀착 구조를 통해 수밀성 극대화에 유리하다.
또 도 2 [D]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추가 변형 구조와 같이, 밀착부와 밀착부를 잇는 각 연결부(L)에는 둘레에 복수의 침입공(L1)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이격 배열된 복수의 침입공이나 매립부(20) 단부의 이격 배열 통공(23)은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하게 되어 누수방지구와 데크 소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어 배관 주변 데크 상하의 추가 수밀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 [D]의 좌측 일점쇄선 원 내 추가 변형 구조와 같이, 다층 구조인 경우 연결부(L) 마다 구비된 매립부(20m)에는 상부 매립부(20m)에만 통공(23m)가 형성되거나, 상하 매립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통공을 가져 누수방지구와 데크 소재 간의 결합력 향상 및 수밀성의 추가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데크, 구체 배관 시공 방법, 방수방법, 누수방지구 소재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관 누수방지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누수방지구 P: 배관
D: 데크 10: 밀착부
11,13: 두텁부 20: 매립부
30: 고정밴드 L: 연결부

Claims (4)

  1. 배관 외벽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연결된 데크 매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 외측에는 고정밴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매립부는 밀착부 하부에 이격된 형태로 펼쳐져 있고,
    상기 밀착부와 매립부는 일체형이고,
    상기 밀착부는 외측에 상호 이격된 두텁부를 갖고, 내측에 상호 이격된 주름부를 갖고,
    이 밀착부는 복수개가 상호 연결부에 의하여 이어져 2~5 층의 다층 구조를 갖고,
    밀착부와 밀착부를 잇는 각 연결부에는 둘레에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한 복수의 침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부에는 매립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각 매립부 단부에는 콘크리트 몰타르 침투가 가능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매립부의 통공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탄성 신축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방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및 매립부는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거나 소수성 코팅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방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립부에는 세로방향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수분을 배관에서 데크로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방지구.
KR1020170085244A 2017-07-05 2017-07-05 배관 누수방지구 KR10183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44A KR101835784B1 (ko) 2017-07-05 2017-07-05 배관 누수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44A KR101835784B1 (ko) 2017-07-05 2017-07-05 배관 누수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784B1 true KR101835784B1 (ko) 2018-03-08

Family

ID=6172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44A KR101835784B1 (ko) 2017-07-05 2017-07-05 배관 누수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7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45A (ja) * 2001-11-28 2003-06-06 Teihyu Corp マンホール用可撓性継手
JP2013147840A (ja) * 2012-01-19 2013-08-01 Sumitomo Forestry Co Ltd 配管・配線の貫通部の耐火処理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45A (ja) * 2001-11-28 2003-06-06 Teihyu Corp マンホール用可撓性継手
JP2013147840A (ja) * 2012-01-19 2013-08-01 Sumitomo Forestry Co Ltd 配管・配線の貫通部の耐火処理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806A (en) Sealing system for sewer and water applications
CN105297743B (zh) 一种地连墙缺陷渗漏止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878700B (zh) 一种隧道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0516385C (zh) 赤泥堆场水平防渗层与排水竖井的连接方法及构造
CN201731178U (zh) 刚性防水套管
US5531485A (en) Method for sealing a pipe juncture
US7223051B1 (en) Removable maintenance port with method for rehabilitating manhole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KR101835784B1 (ko) 배관 누수방지구
CN211231881U (zh) 一种地下室外墙后开洞穿墙管防水结构
US5908211A (en) Flexible pipe joint seal
CN204059872U (zh) 建筑物防水型管道井
CN205205831U (zh) 一种地连墙缺陷渗漏止排水结构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CN106836462A (zh) 地下室外扩结构施工缝的处理方法及防水结构
KR20170139377A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CN217030854U (zh) 地下水污染防治工程污水地管检查与监测复合结构
KR20050082143A (ko) 수밀형 맨홀
CN201512836U (zh) 积水排水装置
KR100706160B1 (ko) 상수도 맨홀누수 방지 시설구조
CN110397088A (zh) 一种河滩工况地下室超前止水后浇带结构及施工方法
JP2728614B2 (ja) 廃棄物処分場
CN218970182U (zh) 井、池渗漏的组合式内衬修复结构
CN214574446U (zh) 装配式防渗漏排水结构
KR200358863Y1 (ko) 습지지역 누수방지용 맨홀 구조물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