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16B1 -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16B1
KR102069616B1 KR1020190152187A KR20190152187A KR102069616B1 KR 102069616 B1 KR102069616 B1 KR 102069616B1 KR 1020190152187 A KR1020190152187 A KR 1020190152187A KR 20190152187 A KR20190152187 A KR 20190152187A KR 102069616 B1 KR102069616 B1 KR 10206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detection sensor
short
short det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민
Original Assignee
(주)피디원(Pdon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디원(Pdone) filed Critical (주)피디원(Pdone)
Priority to KR102019015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3Arrangement for testing of watertightness of water supply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이 개시된다.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쇼트감지센서부 및 진단판단부를 포함한다.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제1 통공 투습필름과,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과,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과,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한다. 쇼트감지센서부는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진단판단부는 제1 쇼트감지센서,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제3 쇼트감지센서,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LF-DIAGOSIS DEVICE OF WATER LEAKAGE}
본 발명은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생활에 있어 물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며 이것을 생산하는 데 적지 않은 돈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하매설 상수도 관로의 누수측정은, 관로의 특성상 매우 장거리에 걸쳐 매설되어 있으며, 또한 많은 분기점에 연결된 소형 상수도 관로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상기 상수도 관로들이 지나가는 지상의 이상한 증후, 즉 물이 새어 공중으로 솟거나 땅이 함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보고 육안 또는 신고 등으로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수도관로가 소규모로 땅속에서 스며들어 버리는 현상일 경우에는 상수도 관로에 대한 누수현상 감지가 어렵다는 것은 물론, 이 누수된 물은 이리 저리 옮겨다니며 다른 오염물질과 만나 지하수의 오염원으로까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관로에 대한 누수여부의 측정방법으로는 초음파 발생 여부 또는 관로투입장치, 초단파 레이저에 의한 측정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누수여부에 대한 진단방법 등을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매설된 상수도 관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적용(GIS 구축 등)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경비 또한 엄청나다.
아울러 상기 누수여부에 대한 진단방법은 이미 누수가 발생된 이후에 측정이 가능하며, 누수와 동시에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운 점들이 있었다.
한편, 상수도관의 누수를 공급량과 소모량과의 차로 비교하거나 담당직원이 심야에 현장을 돌아다니며 가청음식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어느 지점에서 새고 있는지를 알 수 없어 새고 있다는 상황만을 감지할 뿐이다.
상수도관이 누수되는 곳을 찾으려면 예상되는 현장에 가서 이곳저곳 진단하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효과적이고 만족할 만한 작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1579호(2011. 12. 26.)(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3380호(2014. 05. 27.)(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401482호(2003. 09. 30.)(지하매설 수로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406239호(2003. 11. 06.)(누후수로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쇼트감지센서부 및 진단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제1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쇼트감지센서부는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판단부는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상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음새를 통해 누수되는 물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의 하부에 배치된 소수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은, 제1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수도관 이음새를 따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3 쇼트감지센서 각각을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에 의하면, 통공 투습필름들과 통공 금속필름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수도관 이음새에 배치하고, 상수도관과 통공 금속필름 또는 통공 금속필름들간에 연결된 쇼트감지센서들의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를 근거로 누수로 판단하거나 외부 습기로 판단함으로써,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가 상수도관 이음새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가 상수도관 이음새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 쇼트감지센서부(120) 및 진단판단부(130)를 포함한다.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는, 상수도관(90)의 외측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통공 투습필름(111), 소수성부재(112), 제1 통공 금속필름(113), 제2 통공 투습필름(114), 제2 통공 금속필름(115), 제3 통공 투습필름(116) 및 제3 통공 금속필름(117)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공 투습필름(111)은 상수도관(90)의 외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소수성부재(112)는 제1 통공 투습필름(111)의 하부에 상수도관(90) 이음새(즉, 서로 인접하는 상수도관들(92, 94)의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음새를 통해 누수되는 물의 경로를 가이드한다. 소수성부재(112)는 코팅 방식으로 코팅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테이프 방식으로 부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수성부재(112)가 배치되므로 이음새를 통해 누수된 물방울이 확산되지 않고 제1 통공 투습필름(111)에 제공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므로 누수 진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통공 금속필름(113)은 제1 통공 투습필름(111)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1 통공 금속필름(113)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1 통공 투습필름(111)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통공 투습필름(114)은 제1 통공 금속필름(113)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2 통공 투습필름(114)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1 통공 금속필름(113)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통공 금속필름(115)은 제2 통공 투습필름(114)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2 통공 금속필름(115)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2 통공 투습필름(114)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통공 투습필름(116)은 제2 통공 금속필름(115)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3 통공 투습필름(116)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2 통공 금속필름(115)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통공 금속필름(117)은 제3 통공 투습필름(116)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3 통공 금속필름(117)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3 통공 투습필름(116)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쇼트감지센서부(120)는 제1 쇼트감지센서(122),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3 쇼트감지센서(126)를 포함하고 쇼트 감지 신호를 진단판단부(13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쇼트감지센서(122)는 상수도관(90)의 외측면과 제1 통공 금속필름(113)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한다. 즉, 상수도관(90)의 이음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면 발생된 누수는 제1 통공 투습필름(111)에 침투하여 상수도관(90)의 외측면과 제1 통공 금속필름(113)은 전기적으로 쇼트된다.
제2 쇼트감지센서(124)는 제1 통공 금속필름(113)과 제2 통공 금속필름(115)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한다. 즉, 상수도관(90)의 이음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면 발생된 누수는 제1 통공 투습필름(111)을 경유하여 제2 통공 투습필름(114)에 침투하여 제1 통공 금속필름(113)과 제2 통공 금속필름(115)은 전기적으로 쇼트된다.
제3 쇼트감지센서(126)는 제2 통공 금속필름(115)과 제3 통공 금속필름(117)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한다. 즉, 상수도관(90)의 이음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면 발생된 누수는 제1 통공 투습필름(111), 제2 통공 투습필름(114)을 경유하여 제3 통공 투습필름(116)에 침투하여 제2 통공 금속필름(115)과 제3 통공 금속필름(117)은 전기적으로 쇼트된다.
진단판단부(130)는 제1 쇼트감지센서(122),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3 쇼트감지센서(126)에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쇼트감지센서(126)들로부터 쇼트감지신호를 제공받아 누수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진단판단부(130)는 제1 쇼트감지센서(122),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3 쇼트감지센서(126)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제3 쇼트감지센서(126),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1 쇼트감지센서(122)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수성부재(112)를 제1 통공 투습필름(111)의 하부에 배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소수성부재(1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3개의 통공 투습필름과 3개의 통공 금속필름을 구비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2개의 통공 투습필름과 2개의 통공 금속필름을 통해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통공 투습필름과 4개 이상의 통공 금속필름을 통해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가 상수도관 여러 곳에 부착되는 경우 어느 상수도관에서 누수에 의해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는지 또는 어느 상수도관에서 외부 습도에 의해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상수도관들이 배치된 지역의 상수도 관리를 높은 신뢰성을 갖고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최하부에 배치된 소수성부재(112), 복수의 통공 투습필름들(111, 114, 116)과 복수의 통공 금속필름들(113, 115, 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상수도관(90)의 이음새를 따라 둘러싸도록 배치한다(단계 S110). 여기서,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공 투습필름(111)과, 제1 통공 투습필름(111)의 하부에 상수도관(90) 이음새(즉, 서로 인접하는 상수도관들(92, 94)의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소수성부재(112), 제1 통공 투습필름(111)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113)과, 제1 통공 금속필름(113)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114)과, 제2 통공 투습필름(114)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115)과, 제2 통공 금속필름(115)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116)과, 제3 통공 투습필름(116)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117)을 포함한다.
이어, 상수도관(90)의 외주면과 제1 통공 금속필름(113)에 연결된 제1 쇼트감지센서(122)와, 제1 통공 금속필름(113)과 제2 통공 금속필름(115)에 연결된 제2 쇼트감지센서(124)와, 제2 통공 금속필름(115)과 제3 통공 금속필름(117)에 연결된 제3 쇼트감지센서(126) 각각을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한다(단계 S120).
이어, 진단판단부(130)는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를 체크한다(단계 S130).
단계 S130에서 제1 쇼트감지센서(122),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3 쇼트감지센서(126)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진단판단부(130)는 상수도관(90)의 누수로 판단한다(단계 S140).
단계 S130에서 제3 쇼트감지센서(126), 제2 쇼트감지센서(124) 및 제1 쇼트감지센서(122)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진단판단부(130)는 상수도관(90)의 누수가 아닌 외부 습기로 판단한다(단계 S150).
단계 S130에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진단판단부(130)는 상수도관 누수도 없고 외부 습기도 없음으로 판단한다(단계 S160).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공 투습필름들과 통공 금속필름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수도관 이음새에 배치하고, 상수도관과 통공 금속필름 또는 통공 금속필름들간에 연결된 쇼트감지센서들의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를 근거로 누수로 판단하거나 외부 습기로 판단함으로써,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0 : 상수도관 110 : 자가누수진단테이프
111 : 제1 통공 투습필름 112 : 소수성부재
113 : 제1 통공 금속필름 114 : 제2 통공 투습필름
115 : 제2 통공 금속필름 116 : 제3 통공 투습필름
117 : 제3 통공 금속필름 120 : 쇼트감지센서부
122 : 제1 쇼트감지센서 124 : 제2 쇼트감지센서
126 : 제3 쇼트감지센서 130 : 진단판단부

Claims (3)

  1. 제1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쇼트감지센서부;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진단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상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음새를 통해 누수되는 물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의 하부에 배치된 소수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3. 제1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과,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되고 통공들이 형성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수도관 이음새를 따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된 제3 쇼트감지센서 각각을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방법.
KR1020190152187A 2019-11-25 2019-11-25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06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87A KR102069616B1 (ko) 2019-11-25 2019-11-25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87A KR102069616B1 (ko) 2019-11-25 2019-11-25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16B1 true KR102069616B1 (ko) 2020-01-23

Family

ID=6936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187A KR102069616B1 (ko) 2019-11-25 2019-11-25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7B1 (ko) 2020-04-06 2020-08-06 현시스메틱 주식회사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82780A (ko) 2021-12-02 2023-06-09 한국토지주택공사 상수도 누수 감지 장치 및 이를 활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482B1 (ko) 2000-11-21 2003-10-11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100406239B1 (ko) 2000-12-11 2003-11-20 주식회사 셈즈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1101579B1 (ko) 2009-06-10 2012-01-02 황채익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40063380A (ko) 2013-05-27 2014-05-27 주식회사 한국빅텍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482B1 (ko) 2000-11-21 2003-10-11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100406239B1 (ko) 2000-12-11 2003-11-20 주식회사 셈즈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1101579B1 (ko) 2009-06-10 2012-01-02 황채익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40063380A (ko) 2013-05-27 2014-05-27 주식회사 한국빅텍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7B1 (ko) 2020-04-06 2020-08-06 현시스메틱 주식회사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82780A (ko) 2021-12-02 2023-06-09 한국토지주택공사 상수도 누수 감지 장치 및 이를 활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616B1 (ko)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JP2020091269A (ja) 配送管の漏出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US10663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within a flexible pipe
KR102293302B1 (ko) 누수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077744B1 (ko) 파이프 누설 검사장치
BR122022005676B1 (pt) Método de detecção de defeitos
US7095222B2 (en) Leak detection method and system in nonmetallic underground pipes
CA2206224A1 (en) Detection of potential for corrosion of steel reinforced composite pipe
KR20200073563A (ko)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6105069A (ja) 二重配管構造
Vrålstad et al. Comparison of leak-detection technologie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subsea-production templates
KR102077658B1 (ko) Tdr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진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진단시스템
KR20160144302A (ko) 이중 배관 구조
JP2018044862A (ja) 水道配管における漏水位置検知装置
KR100462269B1 (ko) 누수탐지가 용이한 액체관
KR102142107B1 (ko)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6801B1 (ko) 지중 시설물의 누출에 의한 토양 오염 감지 방법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SK9517Y1 (sk) Zariadenie na kontrolu tesnosti plastového potrubia
CN215449541U (zh) 钢质管道防腐层检测装置
CZ35524U1 (cs) Zařízení na kontrolu těsnosti plastového potrubí
Torbjørn Vrålstad et al. Leak Detection Technologie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Subsea Production Templates
Huseynli et al. Integrated method of determining the size of clear opening area for through-thickness damages in underwater pipeline with encasement
Vrålstad et al. Leak Detection Technologie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Subsea Production Templates
JP3199105U (ja)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