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107B1 -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107B1
KR102142107B1 KR1020200041546A KR20200041546A KR102142107B1 KR 102142107 B1 KR102142107 B1 KR 102142107B1 KR 1020200041546 A KR1020200041546 A KR 1020200041546A KR 20200041546 A KR20200041546 A KR 20200041546A KR 102142107 B1 KR102142107 B1 KR 10214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rmeable
short
metal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현시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시스메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시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영하의 온도하에서도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상하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상기 상하수도관과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사이에 배치된 제1 열선;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 부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와 상기 상하수도관 사이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면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얼음이 얼지 않도록 자가누수진단테이프에 열선을 배치시켜 통공테이프에 접하는 물이 얼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영하의 온도하에서도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WATER LEAKS}
본 발명은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하의 온도하에서도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생활에 있어 물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며 이것을 생산하는 데 적지 않은 돈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하매설 상수도 관로의 누수측정은, 관로의 특성상 매우 장거리에 걸쳐 매설되어 있으며, 또한 많은 분기점에 연결된 소형 상수도 관로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상기 상수도 관로들이 지나가는 지상의 이상한 증후, 즉 물이 새어 공중으로 솟거나 땅이 함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보고 육안 또는 신고 등으로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수도관로가 소규모로 땅속에서 스며들어 버리는 현상일 경우에는 상수도 관로에 대한 누수현상 감지가 어렵다는 것은 물론, 이 누수된 물은 이리 저리 옮겨다니며 다른 오염물질과 만나 지하수의 오염원으로까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관로에 대한 누수여부의 측정방법으로는 초음파 발생 여부 또는 관로투입장치, 초단파 레이저에 의한 측정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누수여부에 대한 진단방법 등을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매설된 상수도 관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적용(GIS 구축 등)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경비 또한 엄청나다.
아울러 상기 누수여부에 대한 진단방법은 이미 누수가 발생된 이후에 측정이 가능하며, 누수와 동시에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운 점들이 있었다.
한편, 상수도관의 누수를 공급량과 소모량과의 차로 비교하거나 담당직원이 심야에 현장을 돌아다니며 가청음식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어느 지점에서 새고 있는지를 알 수 없어 새고 있다는 상황만을 감지할 뿐이다. 상수도관이 누수되는 곳을 찾으려면 예상되는 현장에 가서 이곳저곳 진단하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효과적이고 만족할 만한 작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에 따라 누수로 판단하거나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상수도 누수 현상 자가 진단 장치(특허등록 제10-2069616호)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등록특허의 경우, 겨울철과 같이 지중의 물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물이 얼게 되어 누수나 외부 습기가 발생되더라도 전기적 쇼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나 외부 습기 판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3380호(2014. 05. 27.)(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401482호(2003. 09. 30.)(지하매설 수로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101579호(2011. 12. 26.)(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069616호(2020. 01. 17)(상수도 누수 현상 자가 진단 장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하의 온도하에서도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상하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상기 상하수도관과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사이에 배치된 제1 열선;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 부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와 상기 상하수도관 사이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면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제1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열선,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열선을 커버하는 제2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 열선,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열선을 커버하는 제3 통공 투습필름, 및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선은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상하수도관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선은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열선은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쇼트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열선, 상기 제2 열선 및 상기 제3 열선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은, 제1 열선, 제1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열선,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열선을 커버하는 제2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 열선,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열선을 커버하는 제3 통공 투습필름 및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하수도관 이음새 주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인 상하수도관 이음새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제2 및 제3 열선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감지된 온도가 영상으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상하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단계;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체크되지 않으면 누수 없음으로 판단하는 단계;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체크되면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체크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얼음이 얼지 않도록 자가누수진단테이프에 열선을 배치시켜 통공테이프에 접하는 물이 얼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영하의 온도하에서도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열선과 상기 열선 위에 통공 투습필름들과 통공 금속필름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하수도관 이음새에 배치하고, 결빙될 온도하에서는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 부위에서 결빙을 방지하고, 상하수도관과 통공 금속필름 또는 통공 금속필름들 간에 연결된 쇼트감지센서들의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를 근거로 누수로 판단하거나 외부 습기로 판단하므로써, 상하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 전원공급부(120), 온도감지부(130), 쇼트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는 열선(112), 통공테이핑지(114), 금속박리지(116) 및 외부테이핑지(118)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열선(112)은 상하수도관과 통공테이핑지(114) 사이에 배치되고, 통공테이핑지(114)는 상하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선(112)은 통공데이핑지(114)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금속박리지(116)는 통공테이핑지(114)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외부테이핑지(118)는 금속박리지(116)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전원공급부(120)는 열선(1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20)는 열선(112)의 일단에 정극성과 같은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열산(112)의 타단에 부극성과 같은 제2 전원을 공급한다.
온도감지부(130)는 상하수도관 이음새 인근에 배치되어 상하수도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쇼트감지부(140)는 상하수도관과 금속박리지(116)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전원공급부(120)를 활성화시켜 열선(112)에 전원을 공급하고, 금속박리지(116)와 상하수도관 사이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면 누수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이 얼지 않도록 자가누수진단테이프에 열선을 배치시켜 통공테이프에 접하는 물이 얼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누수 현상을 스스로 진단하여 발견하고 이러한 누수정보를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려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열선(112), 통공테이핑지(114), 금속박리지(116) 및 외부테이핑지(118)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110)를 상하수도관 이음새를 따라 배치한다(단계 S100).
이어, 제어부(150)는 상하수도관 이음새 주변의 온도를 온도감지부(130)를 통해 감지한다(단계 S102).
제어부(150)는 단계 S102에서 감지된 온도가 영하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에서 감지된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열선(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를 비활성화한다(단계 S106).
단계 S104에서 감지된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20)를 비활성화시켜 열선(112)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108).
제어부(150)는 전기적 쇼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전기적 쇼트가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150)는 누수 발생으로 판단한 후(단계 S112) 단계 S102로 피드백한다.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150)는 누수 미발생으로 판단한 후(단계 S114) 단계 S102로 피드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 전원공급부(220), 온도감지부(230), 쇼트감지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는 제1 열선(211), 제1 열선(211)을 커버하는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213), 제1 통공 금속필름(213)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215), 제2 통공 금속필름(215)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216), 및 제3 통공 투습필름(216)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217)을 포함하고,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열선(211)은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와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사이에 배치되되,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제1 통공 투습필름(212)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 통공 투습필름(212)은 상하수도관(90)의 외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통공 투습필름(212)은 서로 인접하는 상하수도관들(92, 94)의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통공 금속필름(213)은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1 통공 금속필름(213)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1 통공 투습필름(212)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통공 투습필름(214)은 제1 통공 금속필름(213)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2 통공 금속필름(215)은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2 통공 금속필름(215)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2 통공 투습필름(214)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통공 투습필름(216)은 제2 통공 금속필름(215)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3 통공 금속필름(217)은 제3 통공 투습필름(216)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제3 통공 금속필름(217)에 형성된 통공들과 제3 통공 투습필름(216)에 형성된 통공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통공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누수에 따른 물방울이나 외부 습기에 따른 물방울은 통공들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20)는 제1 열선(21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온도감지부(230)는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 인근에 배치되어 상하수도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250)에 제공한다.
쇼트감지부(240)는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제1 통공 금속필름(213)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242)와, 제1 통공 금속필름(213)과 제2 통공 금속필름(215)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244)와, 제2 통공 금속필름(215)과 제3 통공 금속필름(217)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246)를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전원공급부(220)를 활성화시켜 열선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는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 인근에 배치되어 상하수도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250)에 제공하는 온도감지부(23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제1 쇼트감지센서(242), 제2 쇼트감지센서(244) 및 제3 쇼트감지센서(246)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제3 쇼트감지센서(246), 제2 쇼트감지센서(244) 및 제1 쇼트감지센서(242)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한다.
부가적으로,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는 제1 통공 금속필름(213)과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220)는 제2 열선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1 통공 금속필름(213)과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사이 등에서 결빙이 발생되어 누수 자가진단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는 제2 통공 금속필름(215)과 제3 통공 투습필름(216)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220)는 제3 열선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2 통공 금속필름(215)과 제3 통공 투습필름(216) 사이 등에서 결빙이 발생되어 누수 자가진단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3개의 통공 투습필름과 3개의 통공 금속필름을 구비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2개의 통공 투습필름과 2개의 통공 금속필름을 통해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통공 투습필름과 4개 이상의 통공 금속필름을 통해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가 상하수도관 여러 곳에 부착되는 경우 어느 상하수도관에서 누수에 의해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는지 또는 어느 상하수도관에서 외부 습도에 의해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상하수도관들이 배치된 지역의 상하수도 관리를 높은 신뢰성을 갖고서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열선(211),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제1 통공 투습필름(212)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213), 제1 통공 금속필름(213)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214)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215), 제2 통공 금속필름(215)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투습필름(216), 및 제3 통공 투습필름(216)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217)을 포함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210)를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를 따라 배치한다(단계 S200).
이어, 제어부(250)는 상하수도관(90)의 이음새 주변의 온도를 온도감지부(230)를 통해 감지한다(단계 S202).
제어부(250)는 단계 S202에서 감지된 감지 온도가 영하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204).
단계 S204에서 상기 감지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제1 열선(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를 비활성화시킨다(단계 S206).
단계 S204에서 상기 감지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제어부(250)는 전원공급부(220)를 활성화시켜 제1 열선(211)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208).
단계 S206에 이어 또는 단계 S208에 이어, 제어부(250)는 제1 쇼트감지센서(242), 제2 쇼트감지센서(244) 및 제3 쇼트감지센서(246)를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한다(단계 S210).
제어부(250)는 전기적 쇼트의 감지 타이밍, 즉, 감지 순서를 체크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12).
단계 S212에서 감지 순서가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누수 없으므로 판단한 후(단계 S214) 단계 S202로 피드백한다.
단계 S212에서 감지 순서가 제1 쇼트감지센서(242), 제2 쇼트감지센서(244) 및 제3 쇼트감지센서(246)의 순서로 체크되면 제어부(250)는 누수 발생으로 판단한 후(단계 S216) 단계 S202로 피드백한다.
단계 S212에서 감지 순서가 제3 쇼트감지센서(246), 제2 쇼트감지센서(244) 및 제1 쇼트감지센서(242)의 순서로 체크되면 제어부(250)는 외부 습기로 판단한 후(단계 S218) 단계 S202로 피드백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선, 통공 투습필름들과 통공 금속필름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하수도관 이음새에 배치하고, 결빙될 온도하에서는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 부위에서 결빙을 방지한다. 또한 상하수도관과 통공 금속필름 또는 통공 금속필름들간에 연결된 쇼트감지센서들의 전기적 쇼트의 감지순서를 근거로 누수로 판단하거나 외부 습기로 판단함으로써, 상하수도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 자가누수진단테이프 120, 220 : 전원공급부
130, 230 : 온도감지부 140, 240 : 쇼트감지부
150, 250 : 제어부 112 : 열선
114 : 통공테이핑지 116 : 금속박리지
118 : 외부테이핑지 211 : 제1 열선
212 : 제1 통공 투습필름 213 : 제1 통공 금속필름
214 : 제2 통공 투습필름 215 : 제2 통공 금속필름
216 : 제3 통공 투습필름 217 : 제3 통공 금속필름
242 : 제1 쇼트감지센서 244 : 제2 쇼트감지센서
246 : 제3 쇼트감지센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하수도관 이음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상기 상하수도관과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 사이에 배치된 제1 열선;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 부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와 상기 상하수도관 사이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면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는,
    제1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열선,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열선을 커버하는 제2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 열선,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열선을 커버하는 제3 통공 투습필름, 및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선은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상하수도관과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선은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열선은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에 형성된 통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쇼트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하수도관 이음새의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열선, 상기 제2 열선 및 상기 제3 열선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전기적 쇼트가 감지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열선, 제1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1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1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열선,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열선을 커버하는 제2 통공 투습필름, 상기 제2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2 통공 금속필름,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 열선,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열선을 커버하는 제3 통공 투습필름 및 상기 제3 통공 투습필름 위에 배치된 제3 통공 금속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자가누수진단테이프를 상하수도관 이음새 주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자가누수진단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인 상하수도관 이음새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온도가 영하로 체크되면 전원공급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제2 및 제3 열선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감지된 온도가 영상으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상하수도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1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1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2 쇼트감지센서와, 상기 제2 통공 금속필름과 상기 제3 통공 금속필름에 연결되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제3 쇼트감지센서를 통해 전기적 쇼트를 감지하는 단계;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체크되지 않으면 누수 없음으로 판단하는 단계;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체크되면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전기적 쇼트의 감지 순서가 상기 제3 쇼트감지센서, 상기 제2 쇼트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쇼트감지센서의 순서로 체크되면 외부 습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방법.
KR1020200041546A 2020-04-06 2020-04-06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2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46A KR102142107B1 (ko) 2020-04-06 2020-04-06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46A KR102142107B1 (ko) 2020-04-06 2020-04-06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07B1 true KR102142107B1 (ko) 2020-08-06

Family

ID=7204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546A KR102142107B1 (ko) 2020-04-06 2020-04-06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1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485Y1 (ko) * 2002-05-04 2002-08-13 전제락 수도관 동파방지 밴드
KR100401482B1 (ko) 2000-11-21 2003-10-11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20110059000A (ko) * 2009-11-27 2011-06-02 (주)유민에쓰티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101101579B1 (ko) 2009-06-10 2012-01-02 황채익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40063380A (ko) 2013-05-27 2014-05-27 주식회사 한국빅텍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20160003431A (ko) * 2014-07-01 2016-01-11 (주)유민에쓰티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102069616B1 (ko) 2019-11-25 2020-01-23 (주)피디원(Pdone)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482B1 (ko) 2000-11-21 2003-10-11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200285485Y1 (ko) * 2002-05-04 2002-08-13 전제락 수도관 동파방지 밴드
KR101101579B1 (ko) 2009-06-10 2012-01-02 황채익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10059000A (ko) * 2009-11-27 2011-06-02 (주)유민에쓰티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20140063380A (ko) 2013-05-27 2014-05-27 주식회사 한국빅텍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20160003431A (ko) * 2014-07-01 2016-01-11 (주)유민에쓰티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102069616B1 (ko) 2019-11-25 2020-01-23 (주)피디원(Pdone)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3924A (en) Methods and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isture adjacent insulated pipes
US9212965B2 (en)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JP5777013B2 (ja) 漏油感知装置
JP2005062180A (ja) 液体を案内する構成部材における漏れを確認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01119823B1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US201602989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ubmarine cable
KR20110053883A (ko) 히팅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CN209945608U (zh) 过程变送器
KR100909241B1 (ko) 물성감지 리크 센싱 테이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069616B1 (ko) 상수도 누수현상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CN105829854A (zh) 空间封闭物体及其间的接合区的泄漏监测系统和对应方法
KR102142107B1 (ko)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RU2289753C1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ив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KR20140113005A (ko)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US6354140B1 (en) Fluid leakage detector for vacuum applications
JP4405066B2 (ja) 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KR100401482B1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NL2007437C2 (en) System for detecting leaks in a fluid conduit wall, fluid conduit including the same, method and use.
KR100986704B1 (ko)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JPS58221143A (ja) 断熱管路の漏洩検知装置
KR20240029318A (ko) 배관 진단 기능을 구비한 배관 이음용 스마트 가스켓
CN206310244U (zh) 一种给排水管及其泄漏检测系统
CN110530588A (zh) 一种分区定位漏液检测系统和方法
CN1987394A (zh) 集成电路制造净室机构中的液体泄漏传感器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