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04B1 -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 Google Patents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04B1
KR100986704B1 KR1020090126284A KR20090126284A KR100986704B1 KR 100986704 B1 KR100986704 B1 KR 100986704B1 KR 1020090126284 A KR1020090126284 A KR 1020090126284A KR 20090126284 A KR20090126284 A KR 20090126284A KR 100986704 B1 KR100986704 B1 KR 10098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ube
exterior
inner tub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엽
Original Assignee
부영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영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영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여 상기 이중 보온관에 리크가 발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이중 보완관 내부의 리크 발생여부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이중 보온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은, 유체가 흐르는 내관과 상기 내관을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지는 보온재로 이루어지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을 두께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 설치부; 상기 각 센서 설치부마다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 상기 센서 설치부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센서를 제어하고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며, 각 센서 설치부 별로 부여되는 고유 아이디를 보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보온관, 열배관, 센서, 제어부

Description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DUPLEX PIPE LINE HAVING SENSORS FOR INSPECTING STATE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보온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여 상기 이중 보온관에 리크가 발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이중 보완관 내부의 리크 발생여부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이중 보온관에 관한 것이다.
열배관 또는 송유관과 같은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 라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중 보온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라인(pipe line)을 사용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관과,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내관 및 외관 사이에 충진되는 절연재 또는 보온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그 내부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파이프의 훼손 및 노화 또는 그 밖의 원인들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누출될 경우에, 파이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면 누출지점 및 누출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보수가 비교적 빨리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가 지하에 매립되어 있어 외부와 시각적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파이프의 이상 발생을 인식하지 못하고 유체의 누출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 도달한 후에야 비로소 파이프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누출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없어 파이프를 보수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48328 등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 이중 보온관의 누출여부 및 누출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일 방법으로서, 이중 보온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절연영역에 매설된 감지선과 파이프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누수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이러한 종래의 이중보온관 감시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한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1)이 중앙 감시장치(2)에 연결되고,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1)에는 복수의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가 병렬로 연결되고,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1)에 직렬로 전원 공급장치(4) 및 신호 증폭장치(5)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가 한 대의 중앙 감시장치(2)에 종속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보온관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피복이 벗겨진 센서 와이어(31)와 절연재로 코팅된 리턴 와이어(32) 그리고 내관(40)에 접속되는 전선(33)이 연결되며, 2개의 전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한 보온재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누수 여부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와이어(31)와 리턴 와이어(32)의 일단은 서로 이어져 하나의 루프를 이루고, 상기 내관(40)은 주철관으로 이루어지므로 독자적인 선을 이룬다. 그리고 센서 와이어(31)와 리턴 와이어(32)의 일단 및 내관(40)에 연결된 전선(33)의 일단은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에 연결된다.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는 센서 와이어(31)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고,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와이어(31)와 리턴 와이어(32)의 저항에 따른 전압 강하가 일어난 상태의 동일한 전류값이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에 센싱된다. 그러나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는 센서 와이어(31)와 내관(40)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정상적인 전류값과 상이한 전류값이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에 센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가 이중 보온관의 누수여부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중보온관 보온재(60)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지중에 매설한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1)을 통해 중앙 감시장치(2)에 전송하고, 전원 공급장치(4)를 통해 데이터 전송과정에서의 전압강하를 보상하고, 신호 증폭장치(5)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과정에서의 신호전압 감쇄현상을 보상한다.
그리고, 중앙 감시장치(2)와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 간의 신호 전송은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의 순번에 따라 이중보온관 감시장치(3)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의 누수 여부 감시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 보온관 내부에는 센서 와이어(31)와 리턴 와이어(32)가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누수 현상에 의한 전기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간접적인 방식이므로 정확한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누수가 한개소 에만 발생한 경우라도 이중 보온관의 일부 영역에만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없고, 한개소 이상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없고, 특히 그 누수 현상이 외부에서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내부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리크가 발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중 보완관 내부의 리크 발생여부를 직접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다수 장소에서 동시에 발생한 내부 리크 발생 여부도 감지할 수 있으며, 발생한 리크가 외부 유래의 리크인지 내부 유래의 리크인지를 감별할 수 있는 상태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은, 유체가 흐르는 내관과 상기 내관을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지는 보온재로 이루어지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을 두께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 설치부; 상기 각 센서 설치부마다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 상기 센서 설치부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센서를 제어하고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며, 각 센서 설치부 별로 부여되는 고유 아이디를 보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설치부는,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설치부는,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 설치대;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공에 상기 외관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 설치대를 상기 설치공에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지그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관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측 센서 설치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측 센서 설치대에는 다수개의 센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고, 전기 저항을 측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센서 설치대에는 초음파 발질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초음파 발진부에서 발진된 초음파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에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 설치부를 연결하여 각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 제어부 사이의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선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웃한 제어부 및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며, 상기 센서 설치부에는 상기 제어부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소자 발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보온관은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리크가 발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중 보완관 내부의 리크 발생여부를 직접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상기 이중 보온관 외부에도 센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중 보온관을 제조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10), 외관(120), 보온재(130), 센서 설치부(140), 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관(110), 외관(120) 및 보온재(130)는 일반적인 이중 보온관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센서 설치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120)과 내관(110) 사이의 공간을 두께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이 센서 설치부(140)에는 다수개의 센서(1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센서 설치부(140)는 구체적으로 센서 설치대(142)와 고정지그(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센서 설치대(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120)과 내관(110) 사이에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이 센서 설치대(142)는 일단이 상기 외관(120)의 내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내관(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막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간 중간에 센서(150) 및 제어부(16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지그(144)는 상기 외관(1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공에 상기 외관(12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 설치대(142)를 상기 설치공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설치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암나사구조가 내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그(144)도 상기 설치공의 단차 구조에 대응되는 단차구조를 가지며, 상기 설치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숫나사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그(144)와 설치공 사이에는 상기 외관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밀 유지 부재(도면에 미도시)가 개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센서 설치부(140)가 고정 지그(144) 및 센서 설치대(14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면, 상기 센서 설치부(140)를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부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센서(150) 및 센서 설치부(140)에 사용 중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이중보온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연결선(190)을 상기 이중보온관의 외부에 설치하여 제조 공정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렇게 상기 센서 설치부(140)를 센서 설치대(142)와 고정 지그(144)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센서 설치대(170)와 외측 센서(1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이중 보온관과 같이 특수 배관은 리크가 발생하는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리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 보온관 내부 뿐만아니라,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 보온관 의 외부에 대한 감시도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부에 대하여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감시하고 모니터링하는 실정인데, 이를 위하여 지상에서 별도로 센서를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이중 보온관까지 설치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에서는 상기 고정 지그(144)의 외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센서 설치대(170)를 더 구비하고, 이 외측 센서 설치대(170)의 임의의 위치에 다수개의 외측 센서(180)를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이중 보온관으로부터 다양한 위치별로 온도 등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외측 센서(180)가 더 설치되더라도 상기 이중 보온관 내부의 센서(150)를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부(160)를 이용하여 외측 센서(180)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이중 보온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하나의 통신 수단에 의하여 이중 보온관의 내부 및 외부를 모두 감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설치부(14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 보온관 내부에는 센서선과 리턴선 등의 전선이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이러한 센서선과 리턴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210, 220, 23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브라켓의 다수개의 다리(210) 중 하나의 다리를 센서 설치부(142)로 이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중 보온관 제조 과정에서 이미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에 설치되던 브라켓을 센서 설치부로 이용하면 별도로 이중 보온관의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거나 변경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브라켓의 다수개의 다리(210) 중에서 하나의 다리만 센서 설치부(142)로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다수개의 다리(210) 모두를 센서 설치부(142)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브라켓 다리(210)을 센서 설치부(142)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 설치부 및 연결선(190) 등을 모두 상기 이중 보온관 내부 즉,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센서(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센서 설치부(140)마다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 센서(150)는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에서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여,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의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온도 측정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관(110)으로부터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센서 설치부(140)에 설치되어 각각 설치된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내관(110) 내부에서 이동되는 열매체가 누출되어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50)는 이웃한 센서 설치부(14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센서와의 사이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전기 저항이 달라지므로 주기적으로 측정한 전기 저항의 값에 변화가 생기는지 여부를 통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간격 별로 이격되어 실치되는 각 센서 설치부(140)에 그 위치를 기억하는 제어부(160)가 설치되고, 각 센서(150)에서 측정한 전기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멀티 포인트 감시가 가능하며, 어느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설치대(142)에는 초음파 발진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센서(150)는 상기 초음파 발진부에서 발진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초음파는 매질을 타고 이동하는데, 매질의 종류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에 누수가 발생한 상태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초음파 전달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150)를 초음파 감지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웃한 센서 설치부(140)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초음파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초음파를 다른 센서 설치부(14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50)에서 감지하거나,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센서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초음파 발진부에서 발진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누수현상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 설치부(140)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센서(150)를 제어하고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며, 각 센서 설치부(140) 별로 부여되는 고유 아이디를 보유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통신 모듈 및 고유아이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어 모듈은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센서(150) 또는 외부 센서(18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센서(150)를 일정한 주기별로 예를 들어 시간별로 구동시키고 구동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열전소자 발전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저장모듈은 상기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150)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저장모듈은 일반적인 저장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은 상기 중앙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통신 모듈은 후술하는 연결선(190) 또는 무선 통신 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중앙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정보 및 새로이 센서(150)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통신 모듈이 유선 통신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선(190)이 구비된다. 이 연결선(190)은 각 센서 설치부(140)를 연결하여 각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각 제어부(160) 사이의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결선(190)은 중앙 서버에 연결되어 각 제어부(16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하게 된다.
이때 이 연결선(190)은 상기 센서 설치부(1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44) 및 센서 설치대(14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관(120)의 외부 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설치부(14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선(190)이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에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연결선이 설치되지 않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150)와 제어부(16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열전소자 발전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전소자 발전부는 상기 내관(110)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110) 표면과 외측과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며, 생성된 전기를 축전하여 상기 센서(150) 및 제어부(160)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 발전부는 상기 내관(110) 표면에 부착되어 발전소자와, 상기 발전소자와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소자로 구성된다.
이렇게 열전소자 발전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하여 상기 센서(150) 및 제어부(160) 자체의 구동에 최소한의 전력이 사용되도록 주기적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유 아이디 저장부는 각 센서 설치대(142) 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아이디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고유 아이디에 의하여 중앙 서버에서는 그 센서 설치부(140)의 설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고유 아이디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PS 기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GPS 모듈로 구 성될 수 있다.
도 1은 이중보온관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중보온관 감시장치의 핀 커넥터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이중 보온관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Claims (9)

  1. 유체가 흐르는 내관과 상기 내관을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지는 보온재로 이루어지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을 두께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 설치부;
    상기 각 센서 설치부마다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의 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센서;
    상기 센서 설치부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센서를 제어하고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며, 각 센서 설치부 별로 부여되는 고유 아이디를 보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설치부는,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또는,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 설치대;와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공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설치대를 상기 설치공에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관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측 센서 설치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측 센서 설치대에는 상기 외관 외부 공간의 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센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설치대에는 초음파 발질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초음파 발진부에서 발진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센서 설치부를 연결하여 각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 제어부 사이의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웃한 제어부 및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며,
    상기 센서 설치부에는 상기 제어부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소자 발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KR1020090126284A 2009-12-17 2009-12-17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KR10098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84A KR100986704B1 (ko) 2009-12-17 2009-12-17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84A KR100986704B1 (ko) 2009-12-17 2009-12-17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704B1 true KR100986704B1 (ko) 2010-10-08

Family

ID=4313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284A KR100986704B1 (ko) 2009-12-17 2009-12-17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7134A (zh) * 2014-05-23 2014-08-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热介质输送管道及其敷设环境的温度测量系统
CN108061610A (zh) * 2017-10-30 2018-05-22 绵阳市锐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环网柜电缆头导体温度的rfid无源传感装置
WO2023138896A1 (de) * 2022-01-20 2023-07-27 Linde Gmbh Kryogenversorg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866A (ja) 1998-04-03 1999-10-19 Kubota Corp 埋設物管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無線タグ
KR100327167B1 (ko) * 1996-11-23 2002-08-22 한상만 이중보온관시공및관리시스템과그누수감지장치
KR20080113756A (ko) * 2007-06-26 2008-12-31 (주)테키스트 누설감지기능을 구비한 단위 이중관
JP2009008192A (ja) * 2007-06-28 2009-01-15 Nichias Corp 保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67B1 (ko) * 1996-11-23 2002-08-22 한상만 이중보온관시공및관리시스템과그누수감지장치
JPH11287866A (ja) 1998-04-03 1999-10-19 Kubota Corp 埋設物管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無線タグ
KR20080113756A (ko) * 2007-06-26 2008-12-31 (주)테키스트 누설감지기능을 구비한 단위 이중관
JP2009008192A (ja) * 2007-06-28 2009-01-15 Nichias Corp 保温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7134A (zh) * 2014-05-23 2014-08-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热介质输送管道及其敷设环境的温度测量系统
CN108061610A (zh) * 2017-10-30 2018-05-22 绵阳市锐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环网柜电缆头导体温度的rfid无源传感装置
CN108061610B (zh) * 2017-10-30 2020-01-10 绵阳市锐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环网柜电缆头导体温度的rfid无源传感装置
WO2023138896A1 (de) * 2022-01-20 2023-07-27 Linde Gmbh Kryogenversorgungs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2736A1 (en) Fuel leakag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in pipe line
US7610960B2 (en) Depth correlation device for fiber optic line
US6112580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s in pipelines
EP3063519B1 (en) Pipeline apparatus and method
KR101098528B1 (ko) 관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754280B1 (ko) 전력 케이블 접속부 열화 검출 시스템 및 열화 검출 방법
KR101318916B1 (ko) 이중보온관 및 이중보온관 감시장치
CN106123109B (zh) 一种管道监测系统
EP2665993B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fficacy and reliability of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systems
KR20150064173A (ko) 매립된 장치 주변의 토양 부식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계장화된 장치 및 시스템
BR102013020747A2 (pt) Aparelho de detecção e método
US20100277188A1 (en) In-pipe coating integrity monitor for very long pipes
US9574949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fficacy and reliability of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systems
CN104183334A (zh) 一种新型复合传感光缆
KR100986704B1 (ko)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KR101454773B1 (ko)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KR20140049759A (ko) 동파방지 발열선 제어장치
EP3814675A1 (en) A method for monitoring a continuous pipeline, monitoring device and assembly comprising said device
Myles Permanent leak detection on pipes using a fibre optic based continuous sensor technology
KR101008887B1 (ko) 광센서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시스템
KR101104754B1 (ko) 관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28190B1 (ko) 누수 감지용 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누수 감지용 파이프 설비
CN109027442B (zh) 基于在线温度测量的埋地蒸汽管道保温性能监控装置及方法
JP2008107327A (ja) 配管肉厚測定装置及び方法
KR20220061558A (ko) 상하수도관의 소리감지장치, 누수감시서버,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누수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