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12A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12A
KR20050061312A KR1020040104171A KR20040104171A KR20050061312A KR 20050061312 A KR20050061312 A KR 20050061312A KR 1020040104171 A KR1020040104171 A KR 1020040104171A KR 20040104171 A KR20040104171 A KR 20040104171A KR 20050061312 A KR20050061312 A KR 2005006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light control
liquid crystal
control elemen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모토시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Abstract

조광소자를 촬상 소자의 전방에 설치한 촬상장치가 개시된다. 액정조광소자(16)는 촬상 소자(18)를 마주보는 후면(1616)을 가지고, 후면의 주위의 위치에 설치된 입력 단자(1612)를 가지고 있다. 촬상 소자(18)는 패키지(1802)와, 패키지(1802)에 수용되어 피사체의 이미지을 촬상하는 센서부(1804)를 갖추고 있다. 액정조광소자(16)를 마주보는 패키지(1802)의 위치에서, 액정조광소자(16)의 각 입력 단자(1612)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180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전압은 패키지(1802)의 출력 단자(1808)로부터 유지 부재의 도전부를 거쳐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이미지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소자에 인도되는 빛의 양을 제어하는 조광수단을 가지고 있다. 조광수단으로서, 구동 전압을 입력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광투과율이 변화하는 액정조광소자 등의 조광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번호 평 10-73864호 참조).
이 인용된 촬상 장치에서, 촬상 소자가 기판위에 설치되고, 조광소자는 촬상 소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홀더를 통하여 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촬상 소자의 측면에서 액정조광소자의 입력 단자와 기판의 사이에 도전 고무를 설치하여, 구동 전압이 기판으로부터 입력 단자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 소자의 측면에 배치되는 도전 고무에 의해서 촬상 소자 주위의 일부의 공간이 점유되고, 도전 고무를 유지하는 홀더에 의해서 촬상 소자 주위의 일부 공간이 점유된다. 이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조광소자 및 도전 고무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복잡하여 문제점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촬상장치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목적은 조광소자를 촬상 소자의 전방에 설치한 구성에서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장점을 갖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구성에 따르면,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이미지을 촬상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를 유지하는 패키지를 가지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전방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촬상 소자에 인도되는 빛의 광투과율이 조정되는 조광소자를 갖추고, 상기 조광소자는 상기 구동 전압을 받는 입력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촬상 소자의 패키지의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입력 단자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과 이익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다.
소형화 및 간소화된 구성을 제공하는 목적은, 촬상 소자의 패키지의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위치에 조광소자의 입력 단자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렌즈경통이 촬상 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렌즈경통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촬상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렌즈경통(10)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렌즈경통(10)의 단면도, 도 7은 액정조광소자(16) 및 촬상 소자(18)을 포함한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압력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유지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촬상 소자(18)의 사시도, 도 13은 액정조광소자(16)의 동작 설명도, 도 14는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광투과량의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광투과량의 특성을 나타내는 선도, 도 16은 액정조광소자(16)의 광투과량과 촬상면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촬상 장치(100)는 외부 케이스로서의 직사각형 판 형상의 케이스(102)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다. 본 명세서에서, "좌우"는, 촬상 장치(10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를 의미하고, 또한, 광학계의 광축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피사체 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촬상 소자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케이스(102)는 우측부에 조립된 렌즈경통(10)을 갖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렌즈경통(10)은, 광학계(14) 및 렌즈경통(1406)을 포함하는 전측 유니트(20)와 액정조광소자(16) 및 촬상 소자(18)을 포함한 후측 유니트(22)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계(14)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이미지는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되어 촬상 소자(18)에 인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학계(14)는, 전렌즈군(1402) 및 후렌즈군(1404)으로 구성되고, 이들 렌즈(1402, 1404)는 경통(1406)에 의해 유지된다.
전렌즈군(1402)은 케이스(102)의 전면에 설치된 렌즈창(104)을 통하여 케이스(102)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렌즈창(104)의 상부에,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보조광을 출사하는 플래시(106)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2)의 좌측 상면에, 셔터 버튼(108) 등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2)의 후면에, 정지화 및 동영상 등의 화상,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액정 표시기),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십자 스위치(112) 및 복수의 조작 버튼(114)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긴변 방향이 좌우방향과 일치하고, 짧은 변 방향이 상하방향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표시면(110)을 가지고 있고, 도 2에 나타내듯이,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표시면(110)의 짧은 변 방향이 촬상 장치(100)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게 되고, 긴변 방향이 촬상 장치(100)의 좌우 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케이스(12)의 좌측면에는, 정지화 혹은 동영상 등의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116)(기억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메모리 수용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는 촬상 신호로서 화상 처리부(120)에 출력되고, 화상 처리부(120)에서 이 촬상 신호에 근거해 정지화 혹은 동영상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메모리카드(116)에 기록된다. 또, 화상 데이터는 표시 처리부(122)에 의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는, 셔터 버튼(116), 십자 스위치(112), 조작 버튼(114)의 조작에 따라서 화상 처리부(120), 표시 처리부(122)를 제어하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전측 유니트(20)는 홀더(24)와 가동링(26)과 경통본체(28) 및 용수철 와셔(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통(1406)은 홀더(24) 및 경통본체(28)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24)는, 전렌즈군(1402)을 유지하는 원통벽 형태의 홀더 본체(2402)와 홀더 본체(2402)의 외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설치된 3개의 돌기(2404)를 갖고 있다.
가동링(26)은 홀더(24)보다 큰 원통벽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 벽부(2602)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캠 홈(2604)이 설치되어 있다.
경통본체(28)는 후렌즈군(1404)을 유지하는 원통벽부(2802), 원통벽부(2802)의 후단에 접속되고 후측 유니트(22)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부착부(2806)를 갖는다. 원통벽부(2802)에, 원방향으로 120°의 간격으로 원통벽부(2802)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세로홈(2804)이 있다.
전측 유니트(2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있다.
홀더(24)는 원통벽부(2802)의 안쪽에 넣어지고 가동링(26)이 원통벽부(2802)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24)의 3개의 돌기(2404)가 원통벽부(2802)에 설치된 3개의 세로홈(2804)에 삽입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가동링(26)에 형성된 3개의 캠홈(2604)에 또한 삽입된다.
경통본체(28)의 원통벽부(2802)의 외주면에서, 원통벽부(2802)의 원주방향에 따르는 3개의 홈(미도시)이 절단되어 있고, 가동링(26)의 내주면에 상기 홈에 결합하는 3개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홈이 돌출부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가동링(26)은 이탈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경통본체(28)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수철 와셔(30)가 원통벽부(2802)의 외주에 고정되어 부착부(2806)의전면과 가동링(26)의 후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스프링은 가동링(26)의 돌출부가 경통본체(28)의 홈에 접하도록 하고, 그러므로 가동링(26)이 경통본체(28)에 대해 회전할 때에 적당한 저항감이 제공될 수 있다.
가동링(26)이 회전하면, 홀더(24)의 3개의 돌기(2404)가 3개의 캠 홈(2604) 및 세로홈(2804)을 따라 안내되므로, 이것에 의해 홀더(24)가 광학계(14)(전렌즈군(1402) 및 후렌즈군(1404))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홀더(24)의 이동에 의해, 전렌즈군(1402)과 후렌즈군(1404) 사이의 거리를 변화하므로, 광학계(14)의 촛점거리가 통상 촬영용의 촛점거리와 매크로 촬영용의 촛점거리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후측 유니트(22)는 액정조광소자(16) 및 촬상 소자(18) 외에, 유지 부재(32)와 압력부재(34)와 기판(36)을 갖는다.
액정조광소자(16)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고, 도 3에 나타내듯이, 광축을 따라 떨어져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투명 기판(1606)과, 투명기판(160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2개의 투명 전극(1608)과, 투명 전극(1608)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배향막(1610)과, 2개의 배향막(1610)의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1604)과, 액정층(1604)에 포함되는 막대 형상의 액정 분자(1602)를 포함하고 있다. 투명 기판(1606)은 예를 들면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진다.
액정조광소자(16)의 액정층(1604)은 호스트 재료와 게스트 재료를 포함하는 게스트-호스트형 셀로 형성되어 있다. 호스트 재료는 액정 분자(1602)로 형성되고, 게스트재료는 2색 염료 분자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액정조광소자(16)는 적층된 2층 구조의 액정조광소자(16)를 갖지만, 도면의 복잡화를 방지하기 위해 오직 1층 부분의 액정조광소자(16)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액정조광소자(16)는 피사체 측를 마주보는 전면(1614)과 촬상 소자(18)측를 마주보는 후면(1616)을 가지고 있다. 더 상세하게,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전면(1614)은 2개의 투명 기판(1606)중 광학계(14) 측에 위치하는 투명 기판(1606)의 전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면(1616)은 2개의 투명 기판 (1606)에서 광학계(14)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투명 기판(1606)의 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조광소자(16)는 투명하고 뒤측에서 비쳐 보이는 부재이지만,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도 9에서 액정조광소자(16)를 불투명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후면(1616)의 원주 위치에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면(1616)의 각 짧은 변을 향하는 위치에서, 2개의 각각의 입력 단자(1612)는 짧은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고, 즉, 합계 4의 입력 단자(16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입력 단자(1612)중 2개의 입력단자(1612)는 액정조광소자(16)의 하나의 투명 전극(1608)에 접속되고, 나머지 2개의 입력 단자(1612)는 액정조광소자(16)의 다른 투명 전극(1608)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1612)는 아래에 설명하는 것같은 방법으로 구동 전압이 공급되고, 이 구동 전압이 각 입력 단자(1612)를 통하여 각 투명 전극(1608)에 인가되고, 이 전압의 인가에 의해, 액정조광소자(16)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예에서, 전렌즈군(1402) 및 후렌즈군(1404)의 광축 방향의 길이를 줄이고, 경통(1406)의 외경 및 길이를 줄여서 광학계(14)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므로, 광학 설계상, 광학계(14)로부터 촬상 소자(18)로 인도되는 빛이 촬상 소자(18)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상기 광축으로부터 점차 떨어지도록 점점 기울어진다.
도 13은 액정층(1604)내의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의 경사와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된 광빔(L)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듯이, 액정 분자(1602)의 경사와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된 광빔(L)의 관계는,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의 래드(lath)와 이 래드 사이를 통과하는 빛의 관계와 유사한다.
도 13(A1)은 액정조광소자(16)를 그 전방에서 본 도면, 도 13(A2)는 (A1)을 액정분자(1602)의 배향 방향인 Y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A3)는 (A1)을 상기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X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액정조광소자(16)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3에 나타내듯이,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촬상 소자(18)의 촬상면(1805)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한 각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는 0°이다. 그러므로,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과 평행한 광(L)이 입사할 때, 액정조광소자(16)의 광투과량은 액정 분자(1602)의 주축방향에 대한 광(L)의 경사각 0°에 대응해 최대치가 된다.
도 13(B1), (B2) 및 (B3)는 각각 도 13(A1), (A2), (A3)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도 13(B1), (B2) 및 (B3)는 액정조광소자(16)에 중간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각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각은 예를 들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45°가 된다. 그러므로,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과 평행한 광(L)이 입사 하면,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광투과량은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에 대하여 광(L)의 경사각 45°에 대응하는 중간치가 된다.
도 13(C1), (C2) 및 (C3)는 도 13(A1), (A2), (A3)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액정조광소자(16)에 최대의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각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각은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90°가 된다. 그러므로,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과 평행한 광(L)이 입사할 때,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광투과량은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에 대하여 광(L)의 경사각 90°에 대응하는 최소치가 된다.
여기서, 광(L)의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있고, 각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의 경사각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0°, 45°, 9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3에 표기한 것처럼 배향 방향을 나타내는 Y방향의 한편을 위, 한편을 아래로서 설명한다.
광(L)의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위로 각도α 경사지고 있는 경우를 도 13(A4), 도 13(A5), 도 13(B4), 도 13(B5), 도 13(C4), 도 13(C5)에 나타낸다.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각에 대해서는, 도 13(A4), (A5)는 도 13(A1), (A3)와 같고, 도 13(B4), (B5)는 도 13(B1), (B3)와 같고, 도 13(C4), (C5)는 도 13(C1), (C3)와 같다.
한편, 광(L)의 진행 방향이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아래로 각도 α 경사지고 있는 경우를 도 13(A6), (A7), 도 13(B6), (B7) 및 도 13(C6), (C7)에 나타낸다.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각에 대해서는, 도 13(A6), (A7)는 도 13(A1), (A3)와 같고, 도 13(B6), (B7)은 도 13(B1), (B3)와 같고, 도 13(C6), (C7)는 도 13(C1), (C3)와 같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한 광(L)의 진행 방향이 변화하면,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에 대하여 광(L)의 진행 방향은 또한 변화하고,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의 경사각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광학계(14)로부터 방사되는 광(L)은, 광(L)이 촬상 소자(18)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광축으로부터 점차 벗어난다. 그러므로, 액정조광소자(16)상의 위치에 따라서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진행광(L)의 경사각이 변화한다. 따라서,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투과된 광(L)의 양도 위치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이것을 이하 더 설명한다.
도 14(A)~(E)는 액정층(160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액정분자(1602)의 경사각이 0°~90°의 범위에서 점점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 액정조광소자(16)상의 배향 방향(Y방향)에 따른 위치를 수평축을 따라서 취하고,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투과된 광(L)의 양을 수직축을 따라서 취하고, 도 13(A)~(E)의 수치는 도 14A~E에 대응한다.
도 15 A~E는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한 투과된 광량이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Y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도 15 B~E에서, 액정 분자(1602)의 주축의 경사가 0°인 경우를 제외하고,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된 광량이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Y방향)의 위치에 따라 단조(무단계적 방법으로 또는 연속적으로)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액정조광소자(16)의 액정 분자(1602)의 주축 방향의 경사각이 도 14(B)~(E)에 나타낸 것같이 변화하는 상태에서,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촬상되고, 광학계(14)로부터 균일한 밝기의 광이 액정조광소자(16)에 입사된 것을 고려한다.
도 16은 촬상면(1805)과 액정조광소자(160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6(A)는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촬상면(1805)의 짧은 변 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B)는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촬상면(1805)의 긴변 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 및 B를 참조하면, 해칭의 농도는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된 광량의 레벨을 나타낸다. 더 상세하게, 해칭이 얇을 수록, 투과된 광량이 많고, 해칭이 진할 수록, 투과된 광량이 적다. 또, 광투과량들 사이에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지만 도 16에 도시된 경계선은 설명의 형편상, 다른 농담을 나타내는 해칭사이의 경계선이다.
도 16A 또는 도 16B의 어느 쪽의 경우에서, 촬상면(180)5의 짧은 변 방향 혹은 긴변 방향에 따라서 광투과량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광투과량의 변화는 촬상된 화상의 밝기에 영향을 주어 화상의 밝기를 부자연스럽게 한다.
여기서, 도 16A를 도 16B와 비교해 보면, 광투과량이 짧은 변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도 16A에서 광투과량의 변동은, 광투과량이 긴변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도 16B에서 광투과량의 변화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촬상면(1805)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광학계(14)의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한 설계때문에, 광빔이 촬상 소자(18)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광학계(14)로부터 방사된 광(L)이 광축으로부터 점점 떨어지게 되어도,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촬상면(1805)의 긴변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보다 액정조광소자(16)에 의해 투과된 광량의 변화가 적게 된다. 그래서, 광투과량의 변화가 화상의 밝기에 주는 영향이 감소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촬상된 화상이 도 2에 나타낸 것같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때, 표시된 화상의 부자연스러운 명암차이를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이익이 얻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촬상 소자(18)의 촬상면(1805)의 짧은 변 방향과 디스플레이(110)의 표시면(110)의 짧은 변 방향과는 서로 대응하기 때문에,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되어 디스플레이(110)의 표시면(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명암차이는, 디스플레이(110)의 표시면(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명암차이가 표시면(110)의 긴변 방향으로 생기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면(110)의 짧은 변 방향으로 생기게 된다.
또한, 화상의 명암차이를 저감 하는 효과는 더 크게 되고, 촬상면(1805)의 긴변 및 짧은 변 사이의 비가 커지게 된다.
촬상된 화상의 부자연스러운 명암차이를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로 인해, 광학계(14)는 크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고, 렌즈경통(10)을 가지는 촬상장치 및 렌즈경통(10)을 조립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를 더 소형화할 수 있고, 매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촬상된 화상이 직사각형의 영역에 인쇄 출력되는 경우, 화상의 부자연스러운 명암차이를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가 유리하다고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110)에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같다.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하면, 화상의 밝기가 정상에서 바닥으로 밝기가 어둡게 변화하는 경우에서, 그 반대로 화상의 정상에서 바닥으로 서서히 밝게 변화하는 경우보다 시각적 부자연스러움이 적은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정상에서 바닥의 방향(수직방향)이 촬상 소자(18)의 촬상면(1805)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인 경우에는, 액정조광소자(16)의 광투과량이 단조(무단계적 방법 또는 연속적)로 촬상된 화상의 수직 방향의 정상에서 바닥으로 저하하도록 액정조광소자(16)의 배향 방향이 설정되면, 화상의 밝기가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수직 방향의 정상에서 바닥으로 점점 저하하게 된다. 촬상 소자(16)로 촬상된 화상의 부자연스러운 명암차이를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하는데 있어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유지부재(32)는, 액정조광소자(16)의 4개의 단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4개의 측벽(3202)과 측벽(3202)의 후단에 접속되어 액정조광소자(16)의 4개의 입력 단자(1612)를 마주보도록 형성된 2개의 후벽(3204)을 포함하고, 2개의 후벽(3204)의 사이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3206)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3202)의 안쪽에, 복수의 리브(320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3208)가 액정조광소자(16)의 4개의 단면에 당접하게 함으로써, 액정조광소자(16)의 유지부재(32)내에서 위치 결정 및 유지가 이루어진다.
유지 부재(32)를 일부 파단한 상태를 도 11에 나타내듯이, 각 입력단자(1612)에 대응하는 후벽(3204)의 위치에 4개의 도전부(3210)가 후벽(3204)의 두께를 관통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전부(3210)는 광학계(14)의 광축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전부(3210)는, 액정 소자의 전극의 접속용으로 종래 이용되고 있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도전성 재료, 이른바 "dot connector" 혹은 "Zebra rubber"는 고무 등의 절연 재료에 분산된 도전성을 가지는 분말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재료로서, 이방성 도전재료(ACM: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가 도전부(3208)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경우, 도전부(3208)는 그 연장 방향(접속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이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게 구성된다.
측벽(3202) 및 후벽(3204)은 점착성 및 탄력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벽(3204) 전체를 도전부재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전부재는 후벽(3204)의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이방성 도전재료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압력부재(34)는, 유지 부재(32)의 외형보다 큰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부(3402)와 판부(3402)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3404)를 갖추고 있다.
판부(3402)의 2개의 짧은 변으로부터 후방에 2개의 계지편(3406)이 돌출되어 있다. 판부(3402)의 후면의 2개의 짧은 변에 가까운 위치에,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3408)가 각각 팽창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6,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촬상 소자(18)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패키지(1802)와, 패키지(1802)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직사각형 오목부에 수용되고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센서부(1804)와, 패키지(1802)의 전면에 부착되어 직사각형 오목부에 유지된 센서부(1804)를 밀폐하는 커버 유리(1806)를 포함한다. 패키지(1802)는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다.
센서부(1804)는 예를 들면 CCD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칩으로 형성되고, 도 8에 나타내듯이 전면이 직사각형장의 촬상면(1805)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촬상면(1805)의 긴변 및 짧은 변은 패키지(1802)의 긴변 및 짧은 변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패키지(1802)의 2개의 짧은 변측의 단면에 압력부재(34)의 각 계지편(3406)으로 결합 및 이탈하는 결합부(1810)가 설치되어 있다.
패키지(1802)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센서부(1804)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부(1814)을 가지고, 프레임부(1814)은 액정조광소자(16)를 마주보는 틀 형상의 전면(1803)을 가지고 있다.
액정조광소자(16)를 마주보는 패키지(1802)의 위치, 즉 전면(1803)의 2개의 짧은 변을 향하는 위치에서,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4개의 입력 단자(1612)에 대응하는 4개의 출력 단자(1808)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 단자(1808)가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위치는 입력 단자(1612)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패키지(1802)의 긴변측의 2개의 단면에 센서부(1804)에 대한 촬상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1812)가 설치되어 있다. 패키지(1802)의 4개의 코너에는, 4개의 출력 단자(1808)와 패키지(1802)의 내부에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4개의 구동 신호용 접속 단자(181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1812), 구동 신호 접속 단자(1813)는 예를 들면 패키지(1802)의 표면에 절단된 홈의 표면에 형성된 금 등의 판층에 의해서 설치된다.
기판(36)은 촬상 소자(18)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잇다. 기판(36)의 전면은 촬상소자(18)의 후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어 있고, 촬상소자(18)의 단자(1812) 및 입력용 접속단자(1813)와 기판(36)의 전면에 설치된 비도시의 단자가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기판(36)의 후면에서, 센서부(1804)로/부터 촬상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여 촬상 신호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와 액정조광소자(16)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36)의 후면에 플렉서블 기판(37)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서블 기판(37)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 회로와 기판(36) 사이의 각종 전기 신호의 전달이 행해진다. 또, 기판(36)에 배치된 회로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37)위에 설치될 수 있다.
후측 유니트(22)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기판(36)상에 납땜으로 부착된 촬상 소자(18)의 전면에 유지 부재(32)가 설치되고, 액정조광소자(16)가 설치된 유지 부재(32)의 4개의 측벽(3202)의 안쪽에 놓쳐지고, 압력부재(34)가 놓여지고, 2개의 결합편(3406)이 촬상 소자(18)의 결합부(1810)에 결합된다.
압력부재(34)가 촬상 소자(18)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압력부재(34)의 판부(3402)와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의 사이에 액정조광소자(16) 및 유지 부재(32)가 사이에 있고 유지된다. 더 상세하게, 액정조광소자(16)는 그 후면(1616)의 주위가 유지부재(32)에 의해 유지되어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에 부착되게 된다.
이 때,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과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사이에 유지 부재(32)의 후벽(3204)이 그 사이에 끼워지므로 개구(3206)를 마주보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공간은 유지 부재(32)의 측벽(3202) 및 후벽(3204)에 의해 덮혀진다.
이것에 의해 패키지(1802)의 출력 단자(1808)에 대해서 유지 부재(32)의 도전부(3208)의 후면측 부분이 가압되고, 유지 부재(32)의 도전부(3208)의 전면의 부분이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에 가압된다.
즉, 도전부(3208)는 유지 부재(32)가 입력 단자(1612)에 접촉하는 제 1부분과, 유지 부재(32)가 후술하는 촬상 소자(18)의 출력 단자(1808)에 접촉하는 제 2부분 및 제 1부분 및 제 2부분을 연결하는 유지 부재(32)의 제 3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내듯이, 압력부재(34)의 돌기(3408)가 입력단자(1612)에 대응하는 액정조광소자(16)의 부분에서 가압되는 것으로써, 도전부(3208)와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의 가압하의 접합 및 도전부(3208)와 패키지(1802)의 출력 단자(1808)의 가압하의 접합이 확실해진다.
전측 유니트(20)를 후측 유니트(22)에 고정하는 것은, 경통본체(28)의 부착부(2806)가 압접부재(34)의 판부(3402)의 전면에 당접되면서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다음에 제 1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조광소자(16)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전압이 기판(36)의 회로에 의해서 생성되면, 구동 전압은, 기판(36)의 단자로부터 패키지(1802)의 구동 신호용 접속 단자(1813)를 통하여 패키지(1802)의 출력 단자(1808)에 공급된다. 이 구동 전압은 유지 부재(32)의 도전부(3208)를 통해 출력 단자(1808)로부터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단자(1612)에 공급됨으로써, 이것에 의해 구동 전압이 액정조광소자(16)의 각 투명 전극(1608)에 인가된다.
액정조광소자(16)에서, 인가된 구동 전압에 따라 광투과량(광투과율)이 조정된다.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1808)가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액정조광소자(16)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를 접속하기 위해서,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주위, 특히 측면에 공간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장치의 소형화에 이익을 준다.
또, 제 1실시예에서, 액정조광소자(16)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32)에 설치한 도전부(3208)를 통해 구동 전압이 출력 단자(1808)로부터 입력 단자(1612)에 공급되므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갯수를 줄일수 있어 구성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데 이익을 준다.
또, 액정조광소자(16)가 유지 부재(32)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100)에 충격이 더해졌을 때에, 액정조광소자(16)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액정조광소자(16)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이익을 제공한다.
또,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과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유지 부재(32)의 측벽(3202) 및 후벽(3204)에 의해 덮혀지므로, 공간에 먼지가 침입해 촬상 소자(18)에 인도되는 빛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익을 제공한다.
제 2실시예
다음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실시예는 유지 부재(32)와 압력부재(34)를 생략하고, 액정조광소자(16)을 촬상 소자(18)에 직접 부착한 점이 제 1실시예과 다르다.
도 17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제 1실시예와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액정조광소자(16)은 투명하고 후방의 것이 비쳐 보이지만,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도 17에서는 액정조광소자(16)을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촬상 소자(18)의 출력 단자(1808)는,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주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액정조광소자(16)의 4개의 입력 단자(1612)는, 4개의 출력 단자(1808)에 대응하는 후면(1616)의 주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출력 단자(1808) 및 입력 단자(1612)의 위치가,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1808)와 입력 단자(1612)의 위치에서 광학계(14)의 광축 주위를 90° 회전되어 표시되고 있지만, 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것은 없다.
후측 유니트(22)의 조립은,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를 그 대응하는 촬상소자(18)의 출력 단자(1808)와 도전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액정조광소자(16)를 촬상 소자(18)에 부착하여 얻어진다.
도전성의 접착제로서, 이방도전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방도전 접착제는,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의 사이의 거리의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거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가 도전성의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전압은 출력 단자(1808)로부터 도전성의 접착제를 거쳐 입력 단자(1612)에 공급된다.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와 같게,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를 접속하기 위해,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주위, 특히 측면에 공간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이익을 준다.
또,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서 사용된 유지 부재(32), 도전부(3208), 압력부재(34)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갯수를 한층 더 삭감할 수 있어 구성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감화에 상당한 이익을 얻을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를 그 대응하는 촬상소자(18)의 출력 단자(1808)와 연결하는 도전성의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바인더를 이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전성의 접착제로서, 전술한 이방성 도전재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이방성 도전재료(ACM: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를 이용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다음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실시예는 유지 부재(32)의 사용을 생략하고, 대신에 출력 단자와 입력 단자를 접속하기 위해 도전성 부재(38)를 사용한 점이 제 1실시예과 다른 것이다.
도 19는 제 3실시예에서의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후측 유니트(22)는, 촬상 소자(18), 액정조광소자(16), 압력부재(34), 2개의 도전성 부재(38)를 포함한다.
촬상 소자(18)의 4개의 출력 단자(1808)는,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주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는, 후면(1616)의 4개의 출력단자(1808)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전성 부재(38)는,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과 직교 하는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압력부재(34)는, 제 1실시예의 판부(3402)에 더하여 판부(3402)의 후방에 설치되고, 판부(3402)와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판부(3408)를 가진다. 이들 판부(3402)와 판부(3408)의 사이에, 액정조광소자(16)가 두께 방향으로 판부에 직각으로 끼워진다.
또, 판부(3408)의 2개의 짧은 변방향의 위치에 도전성 부재(38)를 유지하는 길고 좁은 개구(3410)가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재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측 유니트(22)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압력부재(34)의 판부(3408)와 판부(3402)의 사이에 액정조광소자(16)가 삽입되고,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가 개구(3410)를 대향하게 된다.
도전성 부재(38)가 각 개구(3410)에서 각각 유지되고, 도전성 부재(38)가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에서 출력단자(1808)를 포함하는 위치와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에서 입력 단자(1612)를 포함하는 위치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촬상 소자(18) 위에 압력부재(34)가 배치됨으로써, 2개의 결합편(3406)이 촬상 소자(18)의 결합부(1810)에 결합된다.
그래서, 액정조광소자(16)가 촬상 소자(18)에 의해 유지되고, 도전성 부재(38)는,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에서 입력 단자(1808)를 포함하는 위치와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에서 출력 단자(1612)를 포함하는 위치의 사이에,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의 짧은 변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된 길이방향과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과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에 직교하게 배향된 두께 방향으로 개재된다.
그래서, 도전성 부재(38)의 후면는 패키지(1802)의 출력 단자(1808)에 대해서 가압되고, 도전성 부재(38)의 전면 위치가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에 대해 가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는 도전성 부재(38)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전압이 출력 단자(1808)로부터 도전성 부재(38)을 거쳐 입력 단자(1612)에 공급된다.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을 접속 하기 위해서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주위, 특히 측면에 공간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장치의 소형화에 이익을 준다.
또, 제 3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에서 사용된 유지 부재(32)의 사용이 생략되고, 도전성 부재(38)가 이용되므로, 부품 갯수를 저감하고, 비용을 저감하는데 상당한 이익을 얻을수 있다.
제 4실시예
다음 제 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4실시예는 유지 부재(32)와 압력부재(34)가 생략되고, 액정조광소자(16)가 촬상 소자(18)에 도전 부재(40)에 의해 부착된 것이 제 1실시예과 다른 점이다.
도 21은 제 4실시예에 있어서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 도 23은 도전 부재(40)의 사시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는 센서부(1804)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부(1814)를 가지고, 프레임부(1814)는 액정조광소자(16)를 대향하고 액정조광소자(16)보다 큰 윤곽을 갖는 틀 형상의 전면(1803)을 가지고 있다.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는 액정조광소자(16)의 전면(1614)의 주위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8)의 출력 단자(1808)는, 입력 단자(1612)에 대응하는 패키지(1802)의 전면(1803)의 주위의 위치에 설치되고, 출력단자(1808)이 액정조광소자(16)의 윤곽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내듯이, 도전 부재(40)는 예를 들면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 부재(40)는 직선 형상으로 연재 형성된 중간부(4002)와, 중간부(4002)의 양단으로부터 중간부(4002)의 두께 방향의 한편으로 굴곡된 2개의 굴곡부(4004)와, 굴곡부(4004)의 끝으로부터 중간부(4002)와 평행하게 중간부(4002)의 연장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굴곡된 접속부(4006)을 가지고 있다.
중간부(4002)의 연재 방향의 치수는 액정조광소자(16)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와 거의 같게 만들어지고, 굴곡부(4004)의 연장 방향의 치수는 액정조광소자(16)의 두께 방향의 치수와 같은 치수로 만들어진다.
후면, 즉, 중간부(4002) 및 2개의 접속부(4006)의 두께 방향의 한편에, 중간부(4002)의 위치로부터 양 단을 향하고, 굴곡부(4004)를 통하여 접속부(4006)에 연장하는 중간부(4002)의 중간 위치에서 각각 분리된 2개의 도전막(4008)이 형성되어 있다.
후측 유니트(22)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출력 단자(1808)가 액정조광소자(16)의 외측을 마주보도록 액정조광소자(16)의 후면(1616)이 촬상 소자(18)의 전면(1803)과 맞추어진다.
그러면, 각 도전 부재(40)는 액정조광소자(16)의 각 짧은 변을 향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중간부(4002)의 도전막(4008)을 포함하는 후면이 액정조광소자(16)의 입력 단자(1612)에 이방도전 접착제로 부착되고, 동시에, 각 접속부(4006)의 도전막(4008)을 포함하는 후면이 촬상 소자(18)의 각 출력 단자(1808)에 이방도전 접착제로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액정조광소자(16)는 촬상 소자(18)에 고정된다.
또한, 이방도전 접착제는, 도전층(4008)과 입력 단자(1612) 및 출력 단자(1808)의 간격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간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가 접착 도전 부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 단자(1808)로부터 구동전압이 이방도전 접착제 및 도전 부재(40)을 거쳐 입력 단자(1612)에 공급된다.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과 같게, 입력 단자(1612)와 출력 단자(1808)을 접속하기 위해 촬상 소자(18)의 패키지(1802)의 주위, 특히 측면에 공간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에 이익을 준다.
또, 제 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지 부재(32)와 압력부재(34)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갯수가 더 삭감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감화에 상당한 이익이 얻어진다.
제 4실시예에서 4개의 입력 단자(1612)와 4개의 출력 단자(1808)가 2개의 도전부재(40)에 의해 접속되었지만, 전체 4개의 도전 부재(40)가 이용되고, 한 벌의 입력 단자(1612) 및 출력 단자(1808)가 각각 한개의 도전부재(40)로 접속되는 방법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전 부재(40)로서 도전성을 어떠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전 부재(40)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주지의 배선 재료, 혹은,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는 동판 등의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접착제로서 이방도전 접착제가 사용되었지만, 도전성이 방향으로 변하지 않는 이방 도전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도전성 접착제가 이용될 때, 복수의 입력 단자(1612) 및 복수의 출력 단자(1808) 사이의 합선이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조광소자로서 액정조광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조광소자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기 EL(Electronic Luminescent) 장치 등의 빛의 투과량을 변화시킬수 있는 소자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조광소자의 입력 단자가 도전성을 가지는 접착제에 의해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와 접합되었지만, 납땜 등에 의해서 입력 단자와 출력단자가 물론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촬상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 및 텔레비젼 카메라용 촬상 장치뿐만 아니라 렌즈경통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등의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물론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많은 여러 가지 변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본 기술에서 숙련된 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단자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가 촬상 소자의 패키지의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촬상 소자의 패키지의 주위에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접속하는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부품의 점유 공간를 절약될 수 있어 소형화한 장치를 얻는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접속하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 감소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경통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촬상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렌즈경통(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렌즈경통(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액정조광소자(16) 및 촬상 소자(18)을 포함한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압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유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촬상 소자(18)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액정조광소자(16)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액정조광소자(16)의 광투과량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광투과량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액정조광소자(16)의 광투과량과 촬상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19는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21은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측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23은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전 부재(40)의 사시도이다.

Claims (8)

  1.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를 유지하는 패키지를 가지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전방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상기 촬상 소자에 인도되는 빛의 광투과율이 조정되는 조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광소자는 구동 전압을 받는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가 상기 촬상 소자의 패키지의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틀 모양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틀 형상의 전면을 가지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틀 형상의 전면을 가지고, 상기 입력 단자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전면의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소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를 마주보는 후면을 가지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전면을 가지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액정 조광소자의 후면의 주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패키지의 전면의 주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광소자는 유지부재에 의해 그 주위에서 유지되고, 촬상소자의 전면에 고정되어, 유지부재는 도전 재료로 만들어지고, 입력단자와 접촉하여 배치된 제 1부와, 도전 재료로 만들어지고, 출력단자와 접촉하여 배치된 제 2부와, 도전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 1부와 제 2부를 연결하는 제 3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부 내지 제 3부는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공급하는 도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을 상기 촬상 소자에 인도하는 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패키지의 전면의 위치는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부이며, 상기 도전부는 상기 광학계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소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측를 마주보는 후면을 가지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전면을 가지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조광소자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패키지의 전면의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조광소자는 상기 입력단자를 상기 출력 단자에 도전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에 부착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접착제를 거쳐 상기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소자는 판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촬상 소자 측를 마주보는 후면을 가지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보는 전면을 가지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조광소자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패키지의 전면의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조광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소자의 전면의 위치와, 상기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조광소자의 후면의 위치의 사이에 개재된 도전성 부재로 서로 고정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도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조광소자를 마주 보고, 조광소자보다 큰 윤곽의 틀 형상의 전면을 가지고, 상기 조광소자는 판 형상이고, 상기 피사체를 마주보는 전면과 상기 촬상 소자를 마주보는 후면을 가지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조광소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패키지의 전면의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조광소자의 윤곽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조광소자의 외측을 마주보도록 상기 조광소자의 후면이 상기 촬상 소자의 전면에 합쳐지고,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부착된 도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도전 부재를 거쳐 상기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40104171A 2003-12-18 2004-12-10 촬상장치 KR20050061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1137 2003-12-18
JP2003421137A JP3841174B2 (ja) 2003-12-18 2003-12-18 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12A true KR20050061312A (ko) 2005-06-22

Family

ID=3467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171A KR20050061312A (ko) 2003-12-18 2004-12-10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9294B2 (ko)
JP (1) JP3841174B2 (ko)
KR (1) KR20050061312A (ko)
CN (1) CN100465761C (ko)
TW (1) TWI2631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938B1 (ko) * 2005-11-07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광량 조절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2315A1 (en) * 2006-08-16 2008-03-20 Secure Computing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ecurity device that includes a housing with an integrated magnifying lens
CN101393922B (zh) * 2008-10-30 2011-06-15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制作方法
ES2726775T3 (es) 2010-09-09 2019-10-09 Red Com Llc Aparato y método para reducir o evitar el aliasing temporal en cámaras cinematográficas
US8797453B2 (en) * 2011-02-24 2014-08-05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focus-zoom camera module integrating liquid crystal device as high speed shutter
CN103095972A (zh) * 2011-11-08 2013-05-08 闳乔光学股份有限公司 具有液晶组件的摄像单元及其制作方法
US8921759B2 (en) * 2012-07-26 2014-12-30 Optiz, Inc. Integrated image sensor package with liquid crystal lens
ES2700733T3 (es) 2013-04-05 2019-02-19 Red Com Llc Filtración óptica para cámaras
TWI584101B (zh) * 2013-04-19 2017-05-2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遮蔽組件及具有該遮蔽組件之電子裝置
US9241097B1 (en) 2013-09-27 2016-01-19 Amazon Technologies, Inc. Camera module including image sensor die in molded cavity substrate
US9369170B2 (en) * 2014-03-04 2016-06-14 Michael Sorrentino Mobile device case with movable camera cover
US10925160B1 (en) * 2016-06-28 2021-02-16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assembly and silicon circuit board substrate
CN110596909A (zh) * 2018-06-13 2019-12-20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光学投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3514A (ja) * 1992-03-25 1993-10-22 Sony Corp カメラ用光学フィルター装置
US5760834A (en) * 1992-09-30 1998-06-02 Lsi Logic Electronic camera with binary lens element array
JP3168440B2 (ja) 1992-11-25 2001-05-21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
JPH1073864A (ja) 1996-08-30 1998-03-17 Rhythm Watch Co Ltd Ccdカメラのフィルタホルダ
JPH1132342A (ja) * 1997-07-09 1999-02-02 Sony Corp 光制御装置
JPH11305289A (ja) * 1998-04-24 1999-11-0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H11305317A (ja) * 1998-04-24 1999-11-0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US20040212724A1 (en) * 1999-07-30 2004-10-28 Bawolek Edward J. Imaging device with liquid crystal shutter
JP2002124654A (ja) * 2000-10-13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撮像装置
KR100718421B1 (ko) * 2002-06-28 2007-05-1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듈 카메라,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및 촬상 소자의 패키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938B1 (ko) * 2005-11-07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광량 조절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9294B2 (en) 2009-12-29
CN100465761C (zh) 2009-03-04
TW200532347A (en) 2005-10-01
US20050134721A1 (en) 2005-06-23
JP3841174B2 (ja) 2006-11-01
JP2005184357A (ja) 2005-07-07
TWI263106B (en) 2006-10-01
CN1629712A (zh)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56047B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564718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nit
US810700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age sensor module
JP727515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020065102A1 (en) Portable telephone provided with image pickup device
US20080142917A1 (en) Image sensor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050061312A (ko) 촬상장치
KR101805128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및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JP3856141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1128567B1 (ko) 액정 조광 소자,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US20030203532A1 (en)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ing device
CN111614879A (zh) 一种摄像头及电子设备
JP2006217473A (ja) 固体撮像素子の取付構造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CN103081105B (zh) 图像拾取装置、图像拾取模块和照相机
JP7069185B2 (ja)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10076972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7274490B2 (ja) 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レンズアセンブリー及びこのアセンブリー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JP2020506427A (ja) 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280990B2 (ja) 撮像装置
US7483116B2 (en) Electrical light control element,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3698429B2 (ja) 画像表示応用機器及び画像表示応用機器本体
JP4452990B2 (ja) 撮像素子ユニット
US20080317459A1 (en) Electrical Aperture and Shutter Device having a transparence Switching Element
JPH11167151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を備えるカメラ
KR2012001724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