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297A -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297A
KR20050061297A KR1020040097808A KR20040097808A KR20050061297A KR 20050061297 A KR20050061297 A KR 20050061297A KR 1020040097808 A KR1020040097808 A KR 1020040097808A KR 20040097808 A KR20040097808 A KR 20040097808A KR 20050061297 A KR20050061297 A KR 20050061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optical film
drawer
ca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기가즈유키
이토우미노루
아이자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필름의 이송에 있어서, 광학필름을 옮겨 싣는작업 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는, 광학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부 (10) 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래크부 (1) 와, 래크부 (1) 의 하측에 형성되고 캐스터 (17) 가 장착된 수레부 (2) 와, 래크부 (1) 에 씌워지는 커버를 구비하고, 래크부 (1) 와 수레부 (2) 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크부 (1) 의 하부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크부 (1) 에 수용된 광학필름을 보호하는 방진용의 내측 커버 (3) 와, 이 내측 커버 (3) 보다 더 외측에 씌워지고, 탈착이 가능한 외측 커버 (4)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CARRIAGE FOR TRANSFER OF AN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을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과 같은 광학필름은, 제조공장에서 반출되어 다음 가공공장으로 이송하기 위해 이송수단이 필요하다. 광학필름은, 그 크기에 따라 5∼30 장을 1 단위로 하여 전용의 수용자루에 수용하고, 이것을 골판지 상자나 수지제 상자에 넣고 포장하여 제조공장으로부터 트럭부에 의해 반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8424호 (특허청구의 범위, 실시예 등)). 다음 가공공장에 트럭부가 도착하면, 골판지 상자 등에 포장된 수용자루를 꺼내어 수레로 옮겨 실는다. 이 수레에 실은 상태에서 상기 다음 가공공장 안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수용자루를 상자에 포장하거나, 포장을 푸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레에 실어 이송하는 경우도, 공장 안과 공장 밖에서는 환경의 청결도가 다르기 때문에, 공장 밖에서 이동하는 데에 사용한 수레는 먼지나 티끌 등이 부착되어 있어 세척실 안으로 들여 보낼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공장 안과 공장 밖에서는 별도의 수레를 사용하여 광학필름을 옮겨 싣는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광학필름의 이송에 있어서 광학필름을 옮겨 싣는작업 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는,
광학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부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래크부와,
래크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캐스터가 장착된 수레부와,
래크부에 씌워지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래크부와 상기 수레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한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의 작용ㆍ효과는 다음과 같다. 이 이송용 수레는 래크부와 수레부를 구비하고 있고, 래크부에는 서랍부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서랍부에 광학필름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용자루에 수용한 상태로 서랍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랍식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래 실시되고 있던 포장하는 공정이나 포장을 푸는 공정을 없앨 수 있어 작업이 간소화된다. 또한, 공장 밖에서 공장 안 (또는, 공장 안의 세척실) 으로 이송하는 경우는, 수레부로부터 래크부를 분리시켜 공장 안의 전용 수레부로 옮겨 실을 수 있다. 이 때, 서랍부에서 광학필름을 끌어 낼 필요는 없고, 래크부 통째로 그대로 옮겨 실으면 된다. 따라서, 먼지나 티끌이 부착된 수레부를 공장 안으로 들이지 않아도 된다. 또, 래크부에는 커버가 씌워져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커버를 탈착할 수 있어, 래크부에 관해서도 외부에서 부착된 먼지나 티끌을 공장 안 (또는, 공장 안의 세척실) 으로 들이지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광학필름의 이송시에 있어서, 광학필름을 옮겨 싣는작업 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서, 래크부의 하부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래크부를 옮겨 실을 때에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옮겨 싣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커버는,
래크부에 수용된 광학필름의 청결도를 보호하는 방진용의 내측 커버와,
이 내측 커버 보다 더 외측에 씌워지고, 탈착이 자유로운 외측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장 밖에서 이송시킬 때에는,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양쪽 모두를 씌운 상태에서 이송시킨다. 공장 안에서 이송시킬 때에는, 외부에서 먼지나 티끌이 부착된 외측 커버를 떼어 낼 수 있다. 공장 안에서는 내측 커버를 장착한 상태로 이송시켜, 공장 안에서 광학필름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커버는 필요할 때에만 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크부는, 상기 서랍부가 형성된 서랍 형성부와, 이 서랍 형성부를 지지하는 서랍 지지부로 구성되고, 이 서랍 지지부를 서랍 형성부보다도 강도가 큰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한 많은 광학필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랍부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서랍부의 수가 늘어나면 중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그것을 지지하는 서랍 지지부도 강도가 요구된다. 그래서, 서랍 지지부에 대해서는, 서랍부보다도 강도가 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서랍부를 가능한 한 많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랍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서랍 지지부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 중에 서랍부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저지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송 중에 부주의하게 서랍부가 이동하여 광학필름 (광학필름을 수용한 자루) 이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저지 수단은, 래크부의 전방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저지 봉인 것이 바람직하다.
래크부의 전방측에 형성함으로써 확실하게 서랍부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광학필름을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용 수레의 구성 (개략적임)>
도 1(a) 는, 트럭으로 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장 부지 안에서 이송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고, (b) 는, 공장 안 또는 공장 안의 세척실 안에서 이송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고, (c) 는, 세척실 안에서 내측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며, (d) 는 서랍부를 끌어 낸 상태를 나타낸다.
이송용 수레는, 수레부 (2) 위에 래크부 (1) 가 탑재된 형태로 되어 있다. 래크부 (1) 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의 서랍부 (10) 가 형성되어 있고, 서랍부 (10) 에 광학필름을 수용할 수 있다. 수레부 (2) 에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2a) 와, 4 개의 캐스터 (2b) 와, 플레이트 (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2c) 위에 래크부 (2) 가 실리는데, 래크부 (1) 와 수레부 (2) 는 일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래크부 (1) 에는, 커버수단으로서의 내측 커버 (3) 와 외측 커버 (4) 가 형성된다. 도 1(a) 는, 내측 커버 (3) 위에 추가로 외측 커버 (4) 를 씌운 상태이고, 공장 안에서 이송시킬 때는 이 상태로 이송시킨다. 외측 커버 (4) 를 씌움으로써, 내측 커버 (3) 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장 내의 세척실으로 이동할 때에, 외측 커버 (4) 를 떼어내어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커버 (3) 가 노출된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세척실 안으로 먼지나 티끌이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레부 (2) 도 세척실 안으로 들어 갈 때에 별도의 수레부 (2) 로 옮겨 실는다. 수레부 (2) 에도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세척실 안으로 들이지 않도록 한다.
광학필름을 꺼낼 때에는, 내측 커버 (3) 를 떼어낸 상태로 한다. 내측 커버 (3) 는 전방측의 좌우 능선부에 지퍼 (3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퍼 (3a) 를 열면 내측 커버 (3) 중 전방 부분만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커버 (3) 전체를 래크부 (1) 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다. 물론, 내측 커버 (3) 를 전부 떼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래크부 (1) 의 전방에는 스토퍼 (11: 이동저지 수단, 이동저지 봉에 상당) 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광학필름을 꺼낼 때에는, 이 스토퍼 (11) 를 떼어낸 상태로 한 다음 서랍부 (10) 를 전방으로 끌어내면 된다.
<이송용 수레의 구성 (상세함)>
다음으로 이송용 수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는, 이송용 수레를 구성하는 래크 본체부 (1A: 서랍 본체부에 상당) 와 래크 지지부 (1B: 서랍 지지부에 상당) 와 수레부 (2) 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 3 은, 래크 본체부 (1A) 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4 는 래크 지지부 (1B) 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 는 수레부 (2) 의 구성을 나타낸다. 래크 본체부 (1A) 와 래크 지지부 (1B) 에 의해 래크부 (1) 가 형성된다.
래크 본체부 (1A) 는, 다수의 지지 기둥을 용접으로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지지 기둥은, 중량을 작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각기둥 파이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기둥은 네 모서리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키는 4 개의 지지 기둥 (12a) 과, 전방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2b) 과, 후방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2c) 과, 전후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지지 기둥 (12d) 과, 후방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2e) 과, 좌우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2f) 을 갖고 있다. 이들을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래크 본체부 (1A) 의 골격 (프레임) 이 형성된다.
래크 본체부 (1A) 의 좌우 양측면의 내측에는, 서랍부 (10) 를 구성하기 위한 서랍 레일 (13) 이 다수 장착된다. 이 서랍 레일 (13) 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은, 사용되는 서랍 레일 (13) 의 일례를 나타낸다. 서랍 레일 (13) 은, 고정 레일부재 (13a) 와, 이 고정 레일부재 (13a) 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레일부재 (13b) 로 구성된다. 고정 레일부재 (13a) 가, 조금전에 설명한 수직 자세의 지지 기둥 (12f) 에 대하여 나사로 결합됨으로써 장착된다.
도 7 은, 한 쌍의 서랍 레일 (13) 사이에 장착되는 서랍 수용부 (14)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랍 수용부 (14) 는, 베이스 플레이트 (140) 와, 광학필름이 수용된 수용자루를 위에서 누르기 위해 1 개의 제 1 고정 지그 (141) 와 2 개의 제 2 고정 지그 (14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고정 지그 (141) 는, 가늘고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에 고정용 매직 테이프 (141b) 가 장착되어 있고, 그 내측에 고정 블록 (141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지그 (142) 도 동일한 구성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140) 에도 둘레 방향의 적절한 지점에 고정 블록 (140a) 이 형성되고, 또, 그 고정 블록 (140a) 의 상면에 고정용 매직 테이프 (140b) 가 장착되어 있다. 수용자루를 서랍 수용부 (14) 에 세팅하거나 꺼낼 때에는, 제 1ㆍ제 2 고정 지그 (141, 142) 를 베이스 플레이트 (140) 로부터 떼어내면 된다. 매직 테이프에 의한 탈착 기구이기 때문에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수용자루의 세팅ㆍ꺼내기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140) 의 주위는 보강을 위해 보강 프레임 (140c) 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140) 위에 광학필름이 수용된 수용자루가 실리고,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도록 인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에 의해 래크 지지부 (1B)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 모서리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4 개의 지지 기둥 (15a) 과, 둘레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5b) 과, 지지 기둥 (15b) 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안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5c) 과, 4 개의 지지 기둥 (15a) 의 바로 하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5d) 에 의해 구성된다. 지지 기둥 (15d) 은 다리 부재로서 기능하고, 굵기도 굵게 되어 있다. 래크 지지부 (1B) 를 구성하는 각 지지 기둥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로 만든 각기둥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된다. 즉, 래크 지지부 (1B) 는, 래크 본체부 (1A) 보다 강도가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 본체부 (1A) 에 보다 많은 서랍부 (10) 를 형성할 수 있다. 4 개의 지지 기둥 (15d) 을 형성함으로써, 래크부 (1) 의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다.
래크 본체부 (1A) 와 래크 지지부 (1B) 는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즉, 래크 본체부 (1A) 의 네 모서리의 지지 기둥 (12a) 과, 래크 지지부 (1B) 의 네 모서리의 지지 기둥 (15a) 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중공 파이프인 지지 기둥 (15a) 속에 지지 기둥 (12a) 의 하부 선단 (12x) 을 삽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자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에 의해 수레부 (2)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 (16a) 에 의해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프레임의 내부에 보강을 위해 지지 기둥 (16b) 을 배치한다. 수레부 (2) 를 구성하는 지지 기둥도 스테인레스로 만든 각기둥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된다. 프레임의 이면에는 4 개의 캐스터 (17) 가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는, 평면에서 보아 L 형의 래크위치 결정부재 (18) 가 장착되어 있다. 래크 지지부 (1B) 의 4 개의 다리 부재 (지지 기둥 (15d)) 가 이 래크위치 결정부재 (18) 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래크 지지부 (1B) 를 삽입하기 쉽게 위치 결정부재 (18) 의 선단 (18a) 을 조금 외측으로 벌리고 있다. 이와 같이, 래크부 (1) 는, 수레부 (2) 에 실기만 하면 되므로 래크부 (1) 와 수레부 (2) 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 지지 기둥 (16a) 중 하나에는, 조작부인 손잡이 (19) 가 형성된다. 지지 기둥 (16a) 에는, 2 개의 손잡이 장착부 (20) 가 장착된다. 손잡이 장착부 (20) 에 대하여 손잡이 (19) 를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퍼 (11) 의 구성에 대해서 도 8 에 의해 설명한다. 스토퍼 (11) 는, 이송 중에 부주의하게 서랍부 (10) 가 전방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눌러 두는 기능을 갖는다. 스토퍼 (11) 도 다른 지지 기둥과 마찬가지로 각기둥 파이프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스토퍼 (11) 의 상방 단부는, 래크 본체부 (1A) 의 지지 기둥 (12b) 에 장착된 제 1 스토퍼 지지부 (21) 에 삽입된다. 스토퍼 (11) 의 하방 단부는, 래크 지지부 (1B) 의 지지 기둥 (15b) 에 장착된 제 2 스토퍼 지지부 (22) 에 삽입된다. 스토퍼 (11) 는 다음과 같이 분리된다. 스토퍼 (11) 의 상측에는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11) 를 조금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스토퍼 (11) 의 하방 단부가 제 2 스토퍼 지지부 (22) 로부터 떨어지면, 하방 단부를 앞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토퍼 (11) 를 떼어 낼 수 있다. 스토퍼 (11) 의 설치는, 이 순서를 반대로 실시하면 된다.
<이송 순서>
다음으로 제조공장에서 가공공장으로 광학필름을 이송하는 경우의 순서를 도 9 에 의해 설명한다. 제조공장에서 제조된 광학필름은, 적당한 장수를 겹쳐 쌓은 상태에서 수용자루에 수용된다. 이 수용자루를 도 7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랍 수용부 (14) 에 수용한다. 조금 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ㆍ제 2 고정 지그 (141, 142) 에 의해 수용자루를 눌러 둘 수 있다.
제 1ㆍ제 2 고정 지그 (141, 142) 대신에 서랍 수용부 (14) 위에 유지 시트 (42) 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1 참조). 수용자루 (P) 를 수용할 때, 유지 시트 (42) 가 배치된 서랍 수용부 (14) 상에 수용자루 (P) 를 탑재하면, 수용자루 (P) 와 유지 시트 (42) 의 접촉면에 유지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수용자루 (P) 는 서랍 수용부 (14) 상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반송시의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수용자루 (P) 가 서랍 수용부 (14) 상에서 어긋나는 일이 없다. 수용자루 (P) 를 회수할 때에는, 유지 시트로부터 떼어내도록 수용자루 (P) 에 힘을 가한다. 수용자루 (P) 와 유지 시트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박리력이 약하기 때문에, 수용자루 (P) 는 용이하게 유지 시트로부터 박리되어 분리된다. 유지 시트 (42) 는 서랍 수용부 (14) 의 상면에 점착 등에 의해 배치할 수 있고, 그 장수에 대해서는 적절히 (예를 들어 2 장) 설정할 수 있다.
모든 수용이 완료된 후, 내측 커버 (3) 를 씌운다. 광학필름의 제조는 세척실에서 이루어지지만, 세척실 안에서 사용한 수레부 (2) 는 공장 외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트럭 위치로 운반할 때까지, 일단 스테이션 (32) 에 옮겨 실는다. 스테이션의 최종 공정에서 옥외용 수레부 (2) 로 옮겨 실는다. 옮겨 실을 때에 포크리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내측 커버 (3) 위에서 그 위에 외측 커버 (4) 를 씌운다. 이 상태에서 트럭에 실고, 가공공장까지 반송한다.
가공공장에 도착하면, 수레부 (2) 와 래크부 (1) 를 분리시켜 래크부 (1) 만을 스테이션 (33) 으로 옮겨 실는다. 분리된 수레부 (2) 는, 트럭에 실어 제조공장으로 돌려 보낸다. 스테이션의 최종 공정에서 별도의 수레부 (2) 에 래크부 (1) 를 탑재하고, 세척실의 입구까지 이송한다. 세척실의 입구에서 외측 커버 (4) 를 떼어 내고, 내측 커버 (3) 를 씌운 상태에서 에어 샤워시킨 후, 세척실 안으로 반입된다. 내측 커버 (3) 는, 래크부 (1) 로부터 광학필름을 꺼낼 때에만 열린다.
<비교예의 구성>
비교예로서 상자식 이송수단을 도 10 에 나타낸다. 상자 본체 (40) 안에 도 7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수용부재 (42) 를 겹쳐 쌓아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재 (42) 에 수용자루를 수용한 후, 상자 본체 (40) 안에 겹쳐 쌓는다. 먼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뚜껑 (41) 을 덮는다. 이 상자는 수레에 실은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자에 겹쳐 쌓은 경우, 수용부재 (42) 의 강도를 생각하면 한번에 많이 수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서랍식으로 수용하는 것으로서, 직접 수용부재 (42) (서랍 수용부 (14)) 를 겹쳐 쌓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자식과 같은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용부가 형성된 수레로는 플립업 (flip-up) 식 수레가 알려져 있지만, 래크부와 수레부가 일체 구조로 되어 있어 옮겨 싣는작업이 번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수레는, 래크부와 수레부가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옮겨 싣는작업이 간소화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은, 특정한 필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투명 보호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을 들 수 있다.
도 11 에 있어서, 서랍 수용부 (14) 의 상면에 점착되는 유지 시트 (42) 는, 적당한 매수를 겹쳐 쌓은 상태로 광학필름을 수용한 수용자루 (P) 가 탑재되는 면에 흡착층을 구비하여 면 접촉된 수용자루 (P) 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용자루 (P) 를 훼손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분리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유지 시트 (42) 는 유지력은 높고, 박리력은 작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박리 후에도 면 접촉된 수용자루 (P) 를 유지하는 유지력이 약해지지 않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할 때에 수용자루 (P) 에 접착제 잔류물 등의 오물이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실제로 사용하는 유지 시트 (42) 의 구체적인 특성치는, 수직방향의 유지력이 8.53×10-2N/㎟, 수평방향의 유지력이 9.12×10-2, 박리력 (박리의 용이성) 0.0412N/25㎜ 이다. 이러한 유지 시트 (42) 로서, 예를 들어 후지코피안 주식회사가 제조한 「픽스필름 (FIXFILM)」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로서, 유지 시트 (42) 는, 서랍 수용부 (14) 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1 장을 점착하고, 또 이 중심부의 유지 시트에 평행해지도록 한쪽에만 점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시트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면서 수용자루 (P) 를 보다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유지 시트 (42) 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 수용부 (14) 의 중앙부로부터 편심한 위치에만 유지 시트 (42) 를 점착해도 된다. 또, 수용자루 (P) 가 탑재되는 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또는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유지 시트 (42) 를 배치해도 된다. 또는, 수용자루 (P) 의 모서리 부분에만 접촉하도록 유지 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작업이나 회수 작업이, 탑재 또는 박리 만의 1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노동력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ㆍ회수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고정 지그 (141, 142) 또는 점착 테이프 등의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또한 회수시에도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은 광학필름의 이송에 있어서 광학필름을 옮겨 싣는작업 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이송용 수레를 구성하는 유닛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래크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래크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수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서랍 레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서랍 수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스토퍼의 탈착 (脫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광학필름의 이송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비교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서랍 수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래크부
1A: 래크 본체부
1B: 래크 지지부
2: 수레부
10: 서랍부
11: 이동저지 봉
13: 서랍 레일
14: 서랍 수용부
17: 캐스터

Claims (6)

  1. 광학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부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래크부와,
    래크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캐스터가 장착된 수레부와,
    래크부에 씌워지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래크부와 상기 수레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2. 제 1 항에 있어서, 래크부의 하부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래크부에 수용된 광학필름의 청결도를 보호하는 방진용의 내측 커버와,
    이 내측 커버 보다 더 외측에 씌워지고, 탈착이 자유로운 외측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크부는, 상기 서랍부가 형성된 서랍 형성부와, 이 서랍 형성부를 지지하는 서랍 지지부로 구성되고, 이 서랍 지지부를 서랍 형성부보다도 강도가 큰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중에 서랍부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저지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저지 수단은, 래크부의 전방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저지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KR1020040097808A 2003-12-16 2004-11-26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KR20050061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8267 2003-12-16
JP2003418267A JP4290542B2 (ja) 2003-12-16 2003-12-16 光学フィルム移送用台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97A true KR20050061297A (ko) 2005-06-22

Family

ID=3478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808A KR20050061297A (ko) 2003-12-16 2004-11-26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0542B2 (ko)
KR (1) KR20050061297A (ko)
CN (1) CN1629059A (ko)
TW (1) TW2005264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888A (ko) * 2015-07-13 2017-01-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접이식이동카트를 설치한 운송컨테이너
CN112498443A (zh) * 2020-12-08 2021-03-16 李恩林 一种可调节的汽车零部件存放转运装置
CN113264096A (zh) * 2021-05-26 2021-08-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板材运输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3243B (en) * 2005-11-29 2010-03-24 Linpac Materials Handling Ltd Distribution system
CN102633077B (zh) * 2012-04-15 2014-06-25 昆明新高原电子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自动搬运小车的可搬运式货架仓储系统
KR101525935B1 (ko) * 2014-02-26 2015-06-04 (주)루맷 디스플레이용 필름 및 시트류 수납케이스 이송용 대차
US11555576B2 (en) 2014-12-24 2023-01-17 Veltek Associates, Inc. Stationary transfer platform and cleaning device for supply transport device
USD809730S1 (en) 2015-12-22 2018-02-06 Veltek Associates, Inc. Cart
KR102247390B1 (ko) * 2016-06-23 2021-04-30 밸테크 어소시에이츠, 인크. 탈착 가능 휠 베이스를 구비한 카트
JP6490864B1 (ja) * 2018-10-01 2019-03-27 五郎 寺尾 荷役補助装置、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持ち上げ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888A (ko) * 2015-07-13 2017-01-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접이식이동카트를 설치한 운송컨테이너
CN112498443A (zh) * 2020-12-08 2021-03-16 李恩林 一种可调节的汽车零部件存放转运装置
CN113264096A (zh) * 2021-05-26 2021-08-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板材运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78432A (ja) 2005-07-07
JP4290542B2 (ja) 2009-07-08
CN1629059A (zh) 2005-06-22
TW200526488A (en) 200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1297A (ko) 광학필름 이송용 수레
JP2007153353A (ja) 板状物品収容ケース及び板状物品移送用台車及びこれらを用いた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7153355A (ja) 板状物品移送用台車
TWI296602B (ko)
JP4775755B2 (ja) ガラス板梱包箱とガラス板梱包方法及びガラス板開梱方法並びにガラス板開梱装置
JP2004067248A (ja) 板状物の梱包体及びその梱包方法
JP2004217094A (ja) リール収納・搬送台車
JP4312611B2 (ja) ラック台車
JP2007326584A (ja) 梱包用具、梱包容器、梱包体、ガラス基板の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の開梱方法
JP2004067249A (ja) 大型ガラス板の搬送方法及び搬送用トレイ
JP2007145398A (ja) 基板収納容器、マスクブランク収納体、および転写マスク収納体
US2021021413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reusable wrapping device on palletized materials
KR20060123259A (ko) 유리판 포장 상자와 유리판 포장 방법 및 유리판 개봉방법과 유리판 개봉 장치
JP2018530487A (ja) ガラス基板輸送構造物および方法
JP5498194B2 (ja) 搬送台車および搬送方法
JP3014271U (ja) 台 車
CN215623673U (zh) 一种卷盘和盖带的放置架
JP3995047B2 (ja) 積層ガラス体の収納ケース
JP2008094402A (ja) 梱包箱体、梱包体、ガラス基板の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の開梱方法
JP4005289B2 (ja) 物流運搬保管装置
JPH07116055A (ja) 祭 壇
JP5708195B2 (ja) インナーパレット
JP5348471B2 (ja) ガラス板梱包箱
KR20170059431A (ko) 자석 방식의 개폐 도어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387040A (zh) 一种卷盘和盖带的放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