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621A -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621A
KR20050060621A KR1020030092292A KR20030092292A KR20050060621A KR 20050060621 A KR20050060621 A KR 20050060621A KR 1020030092292 A KR1020030092292 A KR 1020030092292A KR 20030092292 A KR20030092292 A KR 20030092292A KR 20050060621 A KR20050060621 A KR 20050060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uede
fabr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128B1 (ko
Inventor
박성우
심승범
정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12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극세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 신축사의 인터레이스사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 신축사를 각각 경위사로 하여 제직하고 정련,산처리, 용출, 샌딩 및 기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신축성을 부여하는 폴리우레탄계 스판덱스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양방향 신축성, 염색성 및 표면효과가 우수하고 용출에 의한 강도저하가 없는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bidirectionaly shrinkable suidelike fabrics}
본 발명은 신축성을 부여하는 스판덱스사를 사용하지 않고 해도사, 분할사 및 직방사 등의 PET 멀티 극세사와 PET 개질 신축성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인터레이스(interlace)사를 경위사로 하여 제조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관이 우아하고 표면촉감이 뛰어난 스웨드 직물은 초기에는 동물의 외피를 이용한 것이었으나 최근 환경을 보호하고 동물을 보호하는 운동이 전개되면서 합성섬유를 이용한 인조 스웨드조 직물을 선호하게 되었다.
우수한 외관을 갖는 스웨드조 직물은 외의류(out-wear)용도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활동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착용감이 우수하고, 활동성이 우수하며, 신체의 바디 핏트성(body fit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신축성직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4 - 7028 호에서와 같이 주로 분할형 극세사를 이용한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는데 만족해야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신축성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계 스판덱스 섬유와 분할형 극세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스웨드조를 발현시키기 위해 알칼리 감량공정에 의한 섬유의 분할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때 폴리우레탄계 스판덱스 섬유는 고온에서 알칼리에 의해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웨드조 직물에서 함께 사용할 때 직물로서 적절한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축성을 양방향으로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이 균일하고, 착용감,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표면특성이 천연 스웨드와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 용출에 의한 강도저하가 없는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ET 멀티 극세사와 PET 개질 신축사의 인터레이스사와 상기 PET 개질 신축사를 각각 경위사로 하여 제직하고 정련, 산처리, 용출, 샌딩 및 기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되는 스웨드조 직물에 양방향의 신축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고신축성 소재인 PET 개질 신축사를 경위사 양방향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PET 개질 신축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인터레이스(interlace)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효과와 신축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여 신축성 스웨드조 직물 효과를 발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터레이스사의 제조조건은 도 1의 소재 원사인 PET 멀티 극세사를 크릴 파이프를 통해 사센서, 사커터를 통과시켜 투입롤러(FR1)를 거쳐 제 1 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냉각판을 거치면서 냉각하고 가연장치에 의해 가연을 하면서 PET 개질 신축사에 인터레이스하여 제 2 히터를 거쳐, 오일을 묻혀 권취장치로 권취한다.
상기 인터레이스사의 구성요소인 PET 멀티 극세사는 이용성 개질 PET를 용출성분으로 하고 일반 PET를 비용출성분으로 한 통상적인 PET 해도사, PET 분할사 및 직방형 극세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 개질 신축사는 고신축사 또는 잠재권축사를 사용할 수 있는데, 고신축사는 일반 미연신 PET사를 가연기에서 분자배향 제어기술과 고권축 사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비수 수축률 20∼25%, 신도가 18∼22%를 가진 소재로서 신축성이 발현되며 풍부한 볼륨감과 유연성을 나타내는 소모조 신축성 소재가 바람직하며, 잠재권축사는 방사 공정에서 이수축 혼섬에 의한 표면감을 극대화시킨 컨쥬게이트 방사에 의한 잠재 권축성 부여로 비수 수축률이 18∼22%, 신도가 14∼18%의 고신축성이 발현되는 필라멘트형 신축성 소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경위사로 사용할 수 있는 PET 개질 신축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스웨드와는 달리 폴리우레탄계 스판덱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축성을 발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 저하가 없으며 일반 PET 섬유와의 염착 평형을 이루어 균일한 염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준비한 인터레이스사 및 PET 개질 신축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조하게 되는데, 직물의 경사밀도는 신축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밀도 110본/인치 ∼ 130본/인치 사이가 바람직하다. 110본/인치 미만이면 직물에 직물이 엉성하고 슬립이 발생하며, 130본/인치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면서 촉감이 딱딱해 진다.
제직이 완료된 후에는 제직된 직물을 신축성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정련축소를 하고, 해도사 또는 분할사의 이용성 PET의 용이한 용출을 위하여 용출전에 산처리를 한다. 그 후 샌딩, 염색 및 최종 열고정 하여 본 발명의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경사로 사용된 원사는 PET 고신축사(XP 150/48, 휴비스산,비수 수축률 23.3%, 신도 19.25%)로 경사밀도 130본/인치로 준비하였고, 위사는 이용성 개질 PET를 용출 성분으로 하고 일반 PET를 비용출 성분으로 한 36분할 PET 미연신 해도사(RSDF POY 220/30, 코오롱산)를 고속 가연기(33H 216추, 일본 무라타산)로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연신 가연하면서 PET 고신축사(XP 150/72, 휴비스산,비수 수축률 22.05%, 신도 18.03%)에 공기압 3g/㎠로 인터레이스된 인터레이스사를 사용하여 레피어직기로 RPM 400의 조건에서 70본/인치로 사틴 조직으로 제직하였다. 상기 제직된 직물을 레피드 염색기에서 정련축소공정을 하였는데 정련제는 1g/ℓ, 가성소다는 3g/ℓ를 사용하여 90℃에서 30분처리한다. 해도사의 이용성 PET의 용이한 용출을 위하여 용출전에 산처리를 하는데, 산은 말레익산(Maleic acid) 1g/ℓ를 사용하여 125℃에서 40분간 처리하였으며, 용출공정에서는 가성소다 15g/ℓ를 투입하여 90℃에서 30분간 용출을 하였다. 샌딩은 5단 샌딩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125℃에서 60분 동안 염색후 170℃에서 30m/min의 속도로 최종 열고정하여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였다.
사속 연신비 제1히터온도 제2히터온도 가연비 밸트각도 밸트압력
400m/min 1.695 170℃ - 1.480 105° 0.16kg/㎠
* 연신비 : FR2 롤러속도/FR1 롤러속도
* 가연비 : 벨트속도/사속
[실시예 2]
상기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되는 사를 표 2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 고 경사 위 사
실시예 2 고신축사 150/48 잠재권축사 (Fisto 100/24, 휴비스산,비수 수축률 20.1%, 신도 16.13%)+ 해도사(130/30)
[비교예 1]
경사는 해도사를 사용하고, 위사에 일반 PET 가연사(DTY 150/48)를 스판덱스에 커버링하여 위사로 사용한 직물이며, 기타 제직 및 염색 가공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직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축성은 가와바다 시스템의 인장 특성을 사용하였고, 이중 신축률(EMT)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인장강도는 KS K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비 고 신축성(%) 인장 강도(N) 표면효과
경사 위사 경사 위사
실시예 1 18.72 21.15 1275 751 촉감양호
실시예 2 15.34 20.17 1202 743 촉감양호
비교예 1 5.72 22.49 1028 417 촉감양호
실시예 1 내지 2에 의해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한 결과, 비교예의 일방향 신축성부여 효과와는 달리 경사 및 위사 양방향에 대하여 높은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고,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지 않아 강도의 저하가 없고, 일반 PET 섬유와의 염착 평형을 이루어 균일한 염색을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스판덱스사를 사용한 제품에 비해 표면요철이 없고, 촉감이 양호하며, 같은 종류의 일반 PET 원사를 사용함으로써 염색시 동욕처리가 가능하고, 융출시 알칼리에 의해 스판덱스 취하에 의한 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경위사 양방향으로 10∼20% 신축성을 얻을 수 있는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되는 인터레이스사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다.

Claims (5)

  1.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극세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 신축사의 인터레이스사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 신축사를 각각 경위사로 하여 제직하고 정련, 산처리, 용출, 샌딩 및 기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스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극세사를 제 1 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냉각판을 거치면서 냉각하고, 가연장치에 의해 가연을 하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사와 인터레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드직물을 제직할 때 경사밀도 110본/인치∼130본/인치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극세사는 이용성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출성분으로 하고 일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비용출성분으로 한 해도사, 분할사 및 직방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개질 신축사는 비수 수축률이 20∼25%, 신도가 18∼22%인 고신축사 또는 비수 수축률이 18∼22%, 신도가 14∼18%인 잠재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3-0092292A 2003-12-17 2003-12-17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051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92A KR100519128B1 (ko) 2003-12-17 2003-12-17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92A KR100519128B1 (ko) 2003-12-17 2003-12-17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621A true KR20050060621A (ko) 2005-06-22
KR100519128B1 KR100519128B1 (ko) 2005-10-04

Family

ID=3725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292A KR100519128B1 (ko) 2003-12-17 2003-12-17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471B1 (ko) * 2008-03-17 2008-08-21 주식회사 넥스텍 인공피혁 제조용 스웨드 직물
KR101368412B1 (ko) * 2013-03-06 2014-03-03 (주)에스티원창 강도가 우수한 초고밀도 나노필라멘트직물의 제조방법
KR101857209B1 (ko) * 2016-09-07 2018-06-2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961B1 (ko) * 2016-10-06 2018-03-28 안병훈 흡한속건성과 보수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복합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471B1 (ko) * 2008-03-17 2008-08-21 주식회사 넥스텍 인공피혁 제조용 스웨드 직물
KR101368412B1 (ko) * 2013-03-06 2014-03-03 (주)에스티원창 강도가 우수한 초고밀도 나노필라멘트직물의 제조방법
KR101857209B1 (ko) * 2016-09-07 2018-06-2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128B1 (ko) 200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057B1 (ko) 복수의 탄성 얀을 갖는 신축성 얀 및 패브릭
KR20080050949A (ko) 폴리에스테르 이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신장성 제직물
KR100668213B1 (ko) 나일론 66 스트레치사, 그 제조방법 및 신축성이 우수한직물의 제조방법
KR101594290B1 (ko)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 단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스트레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9128B1 (ko)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2015086493A (ja) 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JP5224249B2 (ja) 伸縮性布帛の製造方法
KR101223955B1 (ko) 폴리유산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원사,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048862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514170A (ja) 縦糸伸縮性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5542B1 (ko) 이수축혼섬사및그직물의제조방법
JP2006291402A (ja) 感温性合成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534932A (zh) 一种立体提花面料织造工艺
KR100675647B1 (ko)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CN108823740B (zh) 含ptt纤维的中高回弹舒适型面料及其制备方法
KR101175493B1 (ko) 루프형태의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테리어용 쟈카드직물의 제조방법
JPH03180572A (ja) 高弾性織物の製造法
KR100462501B1 (ko)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KR20150069463A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20147865A (ja) 混繊追撚糸及び織編物
KR100646649B1 (ko) 소프트니스가 우수한 이수축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0623B1 (ko) 신축성 직, 편물의 제조방법
JP2004183193A (ja) 織物
KR19990024802A (ko)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2238626B1 (ko) 통기성 및 제전성이 우수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