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820A -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820A
KR20050059820A KR1020030091536A KR20030091536A KR20050059820A KR 20050059820 A KR20050059820 A KR 20050059820A KR 1020030091536 A KR1020030091536 A KR 1020030091536A KR 20030091536 A KR20030091536 A KR 20030091536A KR 20050059820 A KR20050059820 A KR 2005005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hotopolymer
photoresist film
photoresis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9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9820A/ko
Publication of KR2005005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해 개시한 것으로서,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코팅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의 제 1감광막 위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절연막 위에 제 2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노광된 제 1감광막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상기 코팅처리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결과물에 HF증기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감광막에서 광촉진제가 생성된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절연막 및 제 1감광막을 제거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MINUTE PATTERN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턴의 해상도를 높이고 감광막 식각선택비 마진을 증가시켜 단차진 지역에 미세한 크기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공정에 있어서, DFVP(Development Free Vapor Photolithography)공정을 적용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DFVP를 이용한 경우 감광막 두께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후 하지층 식각 시 감광막 식각선택비가 부족하게 되어 패턴의 탑부위가 손실되고, 또한 단차로 인해 패턴이 브릿지(bridge)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강막의 두께를 두껍게 상태에서 DFVP를 적용하게 되면 노광 시 패턴 해상도가 좋지 않게되어 프로파일(profile) 및 CD(Critical Dimension)제어가 어렵게 되며, 패턴밀도에 따른 근접효과(proximy effect)도 발생하게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광폴리머가 도포된 감광막을 2회로 나눠 도포하고, 각각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진행한 다음, 상기 감광막에 DFVP를 적용시켜 미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패턴의 해상도를 높이고 감광막 식각선택비 마진을 증가시켜 단차진 지역에도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코팅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의 제 1감광막 위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절연막 위에 제 2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노광된 제 1감광막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상기 코팅처리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결과물에 HF증기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감광막에서 광촉진제가 생성된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절연막 및 제 1감광막을 제거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및 제 2광폴리머는 5-니트로아세나프탈렌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 및 PE-옥사이드막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F증기 현상공정은 상기 HF를 1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코팅된 제 1감광막 전면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의 제 1감광막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 위에 제 2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코팅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결과물에 HF증기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감광막에서 상기 현상촉진제가 생성된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제 1감광막 및 절연막을 식각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제 1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도체기판(1) 상에 평탄도를 위해 1∼1.5㎛두께로 제 1감광막(2)을 도포하고 나서, 5-니트로아세나프탈렌(5-nitroacenaphtalene)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cinnamate)타입의 광폴리머(photopolymer)를 코팅한다. 이어, 상기 코팅처리된 제 1감광막(2) 전면에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노광공정이 실시된 제 1감광막 전면에서 광폴리머는 크로스링킹(corsslinked)된 상태며, 현상촉진제(accelerator)가 생성된다. 여기서, 현상촉진제는 이후의 HF 증기현상 공정에서 100℃ 이상의 HF증기를 흡수하고 이온화시킬 수 있는 극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합성물을 의미한다.
그런다음, 상기 결과의 전면에 절연막(3)을 증착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3)으로는 질화막 또는 PE-옥사이드막(Plasma Enhanced-oxide)을 이용한다. 이후, 상기 절연막(3) 위에 제 2감광막(4)을 도포하고 나서, 5-니트로아세나프탈렌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타입의 광폴리머를 코팅한다.
이어, 상기 코팅처리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4a)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노광공정이 실시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서 광폴리머는 크로스링킹된 상태이며 현상촉진제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킹공정은 100℃이상의 온도에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 2감광막의 노광 공정 시, 제 1감광막은 이전의 노광공정에 의해 경화 및 크로스링킹된 상태이기 때문에 난반사를 줄일 수 있으며, 패턴 해상도도 우수하다.
그런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에 HF 증기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현상촉진제가 생성된 제 2감광막의 노광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제 1감광막 및 절연막을 제거함으로써,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HF 증기 현상공정은 HF가스를 100℃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HF 증기현상공정에서 노광된 부분과 노광되지 않는 부분은 현상촉진제 농도차이로 인해 진행된다. 즉, 제 1감광막은 현상촉진제가 전면에 존재하지만 제 2감광막이 베리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 2감광막의 오픈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분만 현상된다. 따라서, 노광공정이 실시되지 않은 제 2감광막 부분은 고온에서 현상촉진제가 빠르게 밖으로 나가버리기 때문에 HF 증기현상이 진행되지 않게 되며, 제 1감광막의 현상공정 시 베리어 역할을 한다.
현상촉진제가 생성된 제 1감광막의 노광부위가 HF 증기현상공정을 거치면서 제거되는 반응메카니즘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감광막의 하지층(1)에 단차가 발생된 경우에도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을 적용시켜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도체기판(10) 상에 절연막(11)을 증착한다. 이어, 상기 절연막(11) 위에 1∼1.5㎛두께로 제1감광막(12)을 도포하고 나서, 상기 제 1감광막(12) 위에 5-니트로아세나프탈렌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타입의 광폴리머(photopolymer)를 코팅한다. 그런다음, 상기 코팅처리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12a)에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노광공정이 실시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에서, 광폴리머는 크로스링킹된 상태이며 현상촉진제가 존재하게 된다.
그런다음, 상기 코팅처리된 제 1감광막(12) 위에 제 2감광막(13)을 도포하고 나서, 제 2감광막(13) 위에 5-니트로아세나프탈렌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타입의 광폴리머를 코팅한다.
이어, 적어도 노광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12a)를 포함하도록 상기 코팅처리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13a)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 2감광막의 노광된 부위에서 광폴리머는 크로스링킹된 상태이며 현상촉진제가 존재하게 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에 HF 증기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제 2감광막의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고 그 하부의 제 1감광막 및 절연막이 제거됨으로써, 다마신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HF 증기 현상공정은 HF가스를 100℃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실제 현상공정이 완료된 미세 패턴은 약간의 포지티브한 슬로프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증기로 식각이 실시되기 때문에 건식식각 시 발생되는 마이크로트렌치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광폴리머가 코팅된 감광막을 2회로 나눠 도포하고, 상기 감광막을 각각 노광시켜 노광된 부위의 광폴리머에는 현상촉진제가 생성되도록 한 다음, HF증기현상 공정을 실시하여 현상촉진제 농도차이로 인해 노광된 부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미세패턴을 형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패턴 형성과정에 있어서, HF증기현상공정을 이용하여 패턴 해상도를 높이고 감광막 식각선택비 마진을 증가시켜 단차진 지역에도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턴의 바닥 에지(edge)에 발생하는 마이크로트렌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Claims (5)

  1.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된 제 1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의 제 1감광막 위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위에 제 2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노광된 제 1감광막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상기 코팅처리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일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에 HF증기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감광막에서 광촉진제가 생성된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절연막 및 제 1감광막을 제거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광폴리머는 5-니트로아세나프탈렌을 포함하는 시나메이트타입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 및 PE-옥사이드막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F증기 현상공정은 상기 HF를 1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5.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된 제 1감광막 전면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의 제 1감광막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위에 제 2감광막을 도포하고 광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된 제 2감광막의 일부위에 노광 및 베이킹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노광된 부위의 광폴리머에 현상촉진제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에 HF증기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감광막에서 상기 현상촉진제가 생성된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고 상기 잔류된 제 2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제 1감광막 및 절연막을 식각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20030091536A 2003-12-15 2003-12-15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50059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36A KR20050059820A (ko) 2003-12-15 2003-12-15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36A KR20050059820A (ko) 2003-12-15 2003-12-15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20A true KR20050059820A (ko) 2005-06-21

Family

ID=3725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536A KR20050059820A (ko) 2003-12-15 2003-12-15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9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17B1 (ko) * 2006-04-25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17B1 (ko) * 2006-04-25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23669A (zh) 使用極紫外光微影技術之基板圖案化方法
JPH0210362A (ja) 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
US5064748A (en) Method for anisotropically hardening a protective coating for integrated circuit manufacture
KR100907887B1 (ko) 하프톤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의 제조방법
JPH0822787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34327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59820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JPH0458167B2 (ko)
JPH06244156A (ja) パタ―ン形成法
KR100972674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KR100350762B1 (ko) 미세 패턴 형성 방법
JP200813564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79339B1 (ko)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KR97000442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960008095B1 (ko) 오르가닉 아크층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US20080081297A1 (en) Method of forming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278742B1 (ko) 고반사 물질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JPS647492B2 (ko)
JP2006100289A (ja) 段差付き凹部の形成方法
KR100596860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 방법
JP2713061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0225251B2 (ko)
KR20060131131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30032179A (ko)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방법
JPH01157555A (ja) 層間絶縁膜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