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079A - 절첩식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절첩식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079A
KR20050059079A KR1020057003185A KR20057003185A KR20050059079A KR 20050059079 A KR20050059079 A KR 20050059079A KR 1020057003185 A KR1020057003185 A KR 1020057003185A KR 20057003185 A KR20057003185 A KR 20057003185A KR 20050059079 A KR20050059079 A KR 2005005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ctronic device
casing portion
functional compon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시게 고오리
가쯔미 아다찌
시게히로 후지이
요시또 후까따
쥰지 와끼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와 같은 절첩식 전자 기기는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장착 공간을 확대하지 않으면서, 기기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와 같은 기능 부품이 구비된다. 회전 스위치(5)와 같은 기능 부품은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에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 기구(4)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기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기능 부품에 접근하여 기능 부품을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전자 기기 {FOLDING-TYP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절첩식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부(즉, 개폐 기구)를 갖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주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 케이싱부(즉, 주 케이싱부) 및 주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케이싱부(즉, 부 케이싱부)를 갖는다. 제1 케이싱 및 제2 케이싱은 힌지부에 연결되고, 힌지부 주위에서 개폐된다. 전화기의 사용에 이러한 구조가 편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대한 수요는 해마다 현저한 증가를 보인다.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기가 개방 상태인지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소정의 목적을 갖고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려는 요구도 있다.
종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전화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전화기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된 스위치와 같은 기능 부품을 갖는다. 따라서, 전화기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스위치가 요구된다. 전화기의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버튼 및 키가 전화기 내부에 장착된 계기판과 동일한 면에서 전화기를 조작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스위치와 같은 기능 부품이 전화기 내부에 배치된다. 전화기의 비사용 상태에서는, 전화기가 절첩되며, 전화기 내부에 배치된 동일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화기의 외부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의 구조 개선을 개시한 다음과 같은 종래 공개 문헌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고까이) 제2001-203786호에서는 절첩식 전자 기기의 착신(inbound) 연결 통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통화 시스템은, 사용 상태를 위해 설정된 각도를 초과하여 케이싱이 개방되는 범위까지 힌지부에 힘이 가해질 때 힌지부의 개방을 검출하는 제어기를 갖는다. 이러한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착신시에 통화를 개시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고까이) 평1-212052호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적어도 다이얼 키 섹션, 수화기, 통신 회로망 및 훅 스위치를 갖는 주 케이싱부와, 적어도 송화기를 갖고 주 케이싱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비 통화시에는 주 케이싱부에 절첩되고 통화시에는 주 케이싱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전개되는 프레임과, 주 케이싱부 상의 통신 회로망에 접속된 상태로 설치되고 통신 회로망에 대한 전기적 단절에 기초하여 송화기에 전기적 신호를 스위치 오프(switch off)하는 복수의 접점과, 프레임에 설치되고 프레임 전개 상태에서 접점에 접촉되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프레임이 주 케이싱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전개될 때에 전기적 신호가 송화기에 연결된다. 프레임이 전개될 때까지, 송화기로의 전기적 신호가 단절된다. 따라서, 프레임이 전개될 때, 송화기가 수화기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고까이) 평8-9005호에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송화기 및 수화기가 서로 개폐될 때 힌지부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이러한 회전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회전각의 변화에 기인하는 잡음 및 음량의 변화를 억제한다. 동시에,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회전각의 변화에 기인하는 에코(echo) 경로 변화에 기초하여 에코를 억제한다.
상기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기기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를 검출하거나, 개폐 각도를 검출하며,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전화기에 임의의 특정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불편했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며, 도1a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b 및 도1c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를 약 180°만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를 약 180°만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한 상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선 A-A를 따라 절취된 절첩식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선 B-B를 따라 절취된 절첩식 전자 기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9는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스토퍼(stopper)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스위치의 회전 조작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전기 부품이 장착된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기능 부품을 갖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와 같은 절첩식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장착 공간을 확대시키지 않으면서, 전화기의 내부 및 외부에서도 조작될 수 있는 스위치와 같은 기능 부품을 갖는 절첩식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힌지부(즉, 개폐 기구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절첩식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힌지부에 주목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절첩식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능 부품에 장착된 힌지부에 의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를 갖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절첩식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전자 기기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관계없이 기능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기능 부품을 힌지부에 장착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관계없이 기능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의 수를 증가하지 않으면서, 장착 공간을 확장하거나 또는 힌지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 부품은 힌지부에 장착됨으로써 힌지축과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힌지부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를 갖고, 한 쌍의 베어링 기구는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하나에 두 베어링 기구 사이에 간격을 두면서 동축으로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과, 주 케이싱 및 부 케이싱의 다른 하나에 상호 간격을 두면서 동축으로 구비되고 베어링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축 부재를 포함한다. 기능 부품은 한 쌍의 베어링 부재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
기능 부품은 한 쌍의 베어링 기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하나에 간격을 두고 구비된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 및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 또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능 부품은 적어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 스위치이다.
기능 부품은 회전 스위치와 같은 전기 요소일 수 있고, (적외선 데이터 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표준에 기초한) 적외선 데이타 통신 등을 위한 통신 유닛, 또는 카메라, 또는 착신(terminating)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학 요소, 또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1)는 다양한 종류의 버튼이 있는 입력 계기판 및 송화구가 장착된 제1 케이싱부(즉, 주 케이싱부)(2)와, 액정 표시부 및 수화기를 수납하는 제2 케이싱부(즉, 부 케이싱부)(3)를 갖는다. 제1 케이싱부(2) 및 제2 케이싱부(3)는 힌지부에 결합되어서 이들 케이싱부는 힌지부(4) 주위에서 개폐될 수 있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1)의 사용 시에,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는 개방된 상태에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통화를 수행한다. 전화기(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는 정상의 개방각으로서 약 165°로 일단 고정되도록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의 개방도를 규제한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1)의 비사용 시에, 전화기(1)는 도1b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를 수납하기에 편리한 폐쇄 상태에 있다. 전화기(1)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의 개방각은 약 0°가 된다. 주 케이싱부(2)는 정면 및 배면 모두에 표시부를 갖고, 사용자는 전화기(1)의 개폐 상태에 따라 볼 수 있는 정면 표시부 또는 배면 표시부를 선택할 수 있다.
힌지부(1)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로 구성된다. 즉, 힌지부(1)는, 부 케이싱부(3) 측의 주 케이싱부(2)의 일단에 간격을 두고 동축으로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과, 주 케이싱부(2) 측의 부 케이싱부(3)의 일단에 간격을 두고 동축으로 그리고 대칭적으로 구비된 한 쌍의 축 부재를 포함한다. 한 쌍의 축 부재는 한 쌍의 베어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힌지부(4)에는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 기구가 구비된다. 스토퍼 기구는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가 소정의 각으로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와는 반대로, 힌지부(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는, 베어링이 부 케이싱부(3) 측에 구비되고 이들 베어링에 결합되는 축 부재가 주 케이싱부(2) 측에 구비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공간은 힌지부(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 사이에 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 공간에는 회전 스위치(5)가 힌지축과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베어링 기구(4) 사이의 공간에는 회전 스위치(5)가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 부재(6)에 의해 적어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스위치(5)는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4)에 힌지축과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회전 스위치(5)는 개방된 전화기(1) 내부에서 힌지부(4)와 같이 노출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전화기(2)의 주 케이싱부(2) 내부에 버튼 및 키가 구비된 계기부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화기(1)의 내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를 폐쇄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회전 스위치(5)는 힌지부(4)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전화기(1)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전화기(1)의 외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전화기(1)의 내부 및 외부 모두에서 동일한 회전 스위치(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힌지부가 약 180°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와 동일한 상태로 개방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이고, 도4는 힌지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이러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이다.
주 케이싱부(2)는 외부에 키 측 케이스(2a)를 갖고, 이러한 키 측 케이스(2a) 내부에 키 측 마그네슘 샤시(2b)를 가지며, 키 측 프린트 기판(2c)을 포함한다. 부 케이싱부(3)는 외부에 액정 표시부(LCD) 측 케이스(3a)를 갖고, 이러한 LCD 측 케이스(3a)의 내부에 LCD 측 마그네슘 샤시(3b)를 가지며, 액정 표시부(LCD)(3c)를 포함한다. LCD 측 프린트 기판(3d)은 LCD(3c)의 하측에, 즉 LCD(3c) 와 LCD 측 마그네슘 샤시(3b)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는 힌지부(4)를 가로질러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f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60)으로 서로 연결된다. FPC(60)의 일단은 주 케이싱부(2)의 키 측 프린트 기판(2c)에 연결되고, FPC(60)의 다른 일단은 부 케이싱부(3)의 프린트 기판(3d)에 연결된다. 따라서, FPC(60)는 전화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주 케이싱부와 부 케이싱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4)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로 구성되며, 두 개의 베어링 기구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공간에, 회전 스위치(5)는 힌지축과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스위치(5)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4) 사이의 공간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6)에 적어도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다. 주 케이싱부(2)의 케이스(2a) 또는 부 케이싱부(3)의 케이스(3a)에 이들 베어링(6)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 스위치(5)는 ON/OFF 스위치, 아날로그 스위치 등과 같은 임의의 형식의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스위치 기구는 고정된 측면 마이크로 스위치가 회전 유닛의 회전에 기초하여 물리적으로 ON 또는 OFF 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구는 회전 유닛의 회전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전화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위치(5)의 외주연부의 약 절반은 전화기의 내부에 노출되고, 외주연부의 나머지 절반은 케이싱의 구조 유닛에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화기의 내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화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 스위치(5)의 외주연부의 약 절반이 전화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화기의 외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5는 개방 상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선 A-A를 따라 절취된 절첩식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선 B-B를 따라 절취된 절첩식 전자 기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주 케이싱부(키 측 케이싱부)(2)는 키 측 샤시(21), 키 측 배면 케이스(32), 키 측 정면 케이스(23), 키 측 힌지 커버(24) 등으로 구성된다. 주 케이싱부 내부의 키 측 프린트 회로 기판(도3의 2c)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부 케이싱부(LCD 측 케이싱부)(3)는 액정 표시부(LCD) 측 샤시(31), LCD 측 배면 케이스(32), LCD 측 정면 케이스(33), LCD 측 힌지 커버(34), 액정 표시부(LCD) 패널(35) 등으로 구성된다. 부 케이싱부 내부의 LCD 측 프린트 기판(도3의 3d)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9는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키 측 샤시(21)는 마그네슘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다이(die) 주조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LCD 측의 샤시(21) 단부의 양단 부근에는, 한 쌍의 힌지 핀(41 및 41)이 삽입되는 한 쌍의 원통부(42 및 42)가 두 개의 원통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축 방향에 동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각 힌지 핀(41)은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 축 부분(41a)과 큰 외부 직경을 갖는 축 부분(41b)의 동축 결합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각 힌지 핀(41)은 도9에 도시된 화살표(C)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키 측 샤시(21)의 각 원통부(42) 내부로 작은 직경 축 부분(41a)을 내부로 하여 삽입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대 직경 축 부분(41b)은 원통부(42)의 내부에 맞물림된다. 한편, 작은 직경 축 부분(41a)은 LCD 측 샤시(31)의 베어링(43)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림된다. 따라서, 키 측 샤시(21) 및 LCD 측 샤시는 힌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키 측 샤시(21)의 주요부는 평탄부를 형성한다. 키 측 샤시(21) 아래로 외벽을 구성하는 키 측 배면 케이스(22)는 이러한 샤시(21)에 고정된다. 키 측 정면 케이스(23)은 상부 외벽을 구성한다. 힌지부를 덮고 있는 키 측 힌지 커버(24)는 키 측 배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키 측 힌지 커버(24)는 정면 케이스 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LCD 측 샤시(31)의 주요부 역시 평탄부를 형성한다. LCD 측 샤시(31) 아래로 외벽을 구성하는 LCD 측 배면 케이스(32)는 이러한 샤시(31)에 고정된다. LCD 측 정면 케이스(33)는 상부 외벽을 구성한다. 힌지부를 덮고 있는 LCD 측 힌지 커버(34)는 LCD 측 힌지 배면 케이스(32)에 고정된다. (LCD 측 힌지 커버(34)는 정면 케이스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10은 도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스토퍼 구조의 사시도이다. 한 쌍의 스토퍼(36 및 36)는 키 측 배면 케이스(32)의 LCD 측 단부의 양측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이들 스토퍼는 LCD측에 돌출한다. 전화기가 힌지부(4) 주위에서 개방될 때, 스토퍼(36 및 36)는 LCD 측 배면 케이스(22)의 키 측 단부에 접촉하며, 일정한 개방 상태로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의 각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스토퍼(36)는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의 내부 각도가 예를 들어 165°로 유지되도록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스토퍼(36 및 36)가 키 측 배면 케이스(32) 상에 구비되지만, 이와는 반대로, 한 쌍의 스토퍼를 LCD 측 배면 케이스(22) 상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화기가 개방될 때, 스토퍼는 키 측 배면 케이스(32)의 키 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스토퍼가 구비되었지만, LCD 측 배면 케이스(32) 또는 키 측 배면 케이스(22)의 단부의 중심부에 한 개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기초하여, 개방 상태의 전화기의 각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1은 회전 스위치의 회전 조작 기구를 도시한다. 전화기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42 및 42) 사이에, 즉 LCD 측 샤시(31)의 한 쌍의 베어링(43 및 43)(도9) 사이에 공간이 규정된다. 이러한 공간에, 회전 유닛(5)은 힌지축에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 유닛(5)은 중심부에 큰 외부 직경을 갖는 부분(51)과 양 단부에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 부분(52 및 52)을 갖는다. 양 단부의 작은 직경 부분(52 및 52)은 베어링(6 및 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회전 검출 센서(7)는 회전체(5)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키 측 샤시(22)의 힌지 측 단부의 중심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센서(7)는 회전 유닛(5)의 회전을 검출하며, 스위치 조작을 수행한다.
도8의 화살표(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5)은 베어링(6 및 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면, 회전 유닛(5)은 도8에서 축 방향 우측으로 이동하며, 회전 유닛(5)의 우측 단부가 스위치(8)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를 ON 또는 OFF시킨다. 스위치(8)는, 회전 유닛이 스위치에 접촉하게 될 때 ON 및 OFF를 물리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접촉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일 수 있다.
키 측 정면 케이스(23)는 키 측 샤시(21)에 고정되고, 한 쌍의 힌지 핀(41)이 삽입되는 한 쌍의 원통부(42)의 주위를 덮는다. 한편, LCD 측 힌지 커버(34)는 LCD 측 샤시(31)에 고정되고, 한 쌍의 베어링(43)의 주위를 덮는다. 정면 케이스(23)와 힌지 커버(34)는 힌지 축 방향으로 상호 평활하게 연속된다. LCD 측 힌지 커버(34)는 한 쌍의 베어링(43)의 주위를 덮는 동시에, 한 쌍의 베어링(6 및 6)과 스위치(8)를 유지한다. 즉, 한 쌍의 베어링(6 및 6)은 끼워지거나 압입되거나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LCD 힌지 커버(34)의 내부에 고정 유지된다. 스위치(8)는 도8의 우측 베어링(6)에 인접한 LCD 측 힌지 커버(34)와 LCD 측 정면 케이스(33)의 내부에 마찬가지로 고정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유닛(5)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 유닛이다. 스위치 유닛(5)은 회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지만 소정의 범위 내에서 축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축 방향으로의 스위치 본체의 이동에 기초하여 스위치 기능을 달성하도록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측 정면 케이스(23), 키 측 힌지 커버(24), LCD 측 정면 케이스(33) 및 LCD 측 힌지 커버(34)가 힌지부를 덮는 부분에서, 이러한 부분의 외관은 평활하고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부분은 회전 유닛(5)에 동축이고, 회전 유닛(5)과 대략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 축 방향으로 회전 유닛(5)의 이동 범위는 LCD 측 정면 케이스(33) 및 LCD 측 힌지 커버(34)에 대한 회전 유닛(5)자체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한된다.
도12는 전기 부품(50)이 회전 스위치(5)의 제 위치에 장착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다. 본 변형은 회전 유닛(5), 회전 검출 센서(7)와 회전 유닛(5)의 회전 및 슬라이드 조작 기구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전기 부품(50)을 위해,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표준에 기초한) 적외선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통신 유닛의 기능을 달성하는 부품, 또는 카메라, 또는 착신(terminating)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발광 또는 수광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하는 광학 부품, 또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기능을 달성하는 부품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에서, 참조 부호 52는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FPC)을 표시한다. 참조 부호 54는, 주 케이싱부(2) 및 부 케이싱부(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전기 부품(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FPC)을 표시한다. FPC(54) 상에 전기 부품(5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및 변형 모두에 있어서,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은 전화기의 회전 중심부인 힌지부에 장착된다. 전화기가 통상의 사용 상태로 개방되어 있을 때, 통화 중과 같이 전화기의 사용 중에는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이 버튼 및 키가 장착된 계기판과 동일한 면의 전화기 내부의 힌지부 상에 노출된다. 따라서, 버튼 및 키를 조작하는 감각과 유사한 감각으로 전화기의 내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을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화기가 통상의 비사용 상태로 폐쇄되어 있을 때, 힌지부 상에 구비된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은 전화기의 외부에서 힌지부 상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통상의 비사용 상태이더라도, 전화기의 외부로부터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만을 직접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화기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회전 스위치(5) 또는 전기 부품(50)과 같은 기능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성 및 기능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시예의 변형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설명이 개시된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며,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힌지부에 장착된 기능 부품을 갖는다. 이에 기초하여, 전화기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전화기의 조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화기를 이용하는 상황에 따라 전화기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전자 메일을 확인 할 것인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부품 수의 증가 없이 장착 공간의 확대가 가능하며, 힌지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기능 및 고밀도을 갖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실현이 가능하다.

Claims (15)

  1. 힌지부를 통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를 갖는 절첩식 전자 기기이며,
    힌지부에는 기능 부품이 장착되고, 전자 기기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기능 부품에 접근하여 기능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식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힌지부와 동축으로 힌지부 상에 장착되는 절첩식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힌지부는 한 쌍의 베어링 기구를 갖고, 한 쌍의 베어링 기구는,
    두 베어링 기구 사이에 간격을 두고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에 동축으로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과,
    상호 간격을 두면서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다른 하나에 동축으로 구비되고 베어링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축 부재를 포함하며,
    기능 부품은 한 쌍의 베어링 기구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절첩식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은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의 샤시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축 부재는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다른 하나의 샤시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 핀을 포함하고,
    각 힌지 핀은 축 방향으로 일체 구조인 대 직경부 및 소 직경부를 가지며,
    대 직경부는 원통부에 각각 고정되고, 소 직경부는 한 쌍의 제2 베어링과 각각 맞물림되는 절첩식 전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베어링 기구 사이에 배치되고,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에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된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절첩식 전자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베어링 기구 사이에 배치되고,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에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된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절첩식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구조 유닛이며, 구조 유닛은 구조 유닛의 중심부에서 축 방향으로 대 직경부를 갖고, 구조 유닛의 양단에서 소 직경부를 갖고,
    소 직경부는 양단에서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각각 맞물림되는 절첩식 전자 기기.
  8. 제4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제2 베어링 부재에 의해 적어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스위치인 절첩식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적어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유닛과, 회전 유닛에 인접하여 주 케이싱부 및 부 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회전 검출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절첩식 전자 기기.
  10. 제4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기능 부품이 회전 가능하지 않지만 소정 범위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첩식 전자 기기.
  11. 제4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한 쌍의 제2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기능 부품이 적어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소정 범위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첩식 전자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스위치와 같은 전기 요소인 절첩식 전자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통신 요소인 절첩식 전자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광학 요소인 절첩식 전자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부품은 음향 요소인 절첩식 전자 기기.
KR1020057003185A 2002-08-30 2003-08-25 절첩식 전자 기기 KR200500590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5181 2002-08-30
JP2002255181 2002-08-30
JPJP-P-2003-00007022 2003-01-15
JP2003007022A JP2004147279A (ja) 2002-08-30 2003-01-15 折り畳み式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079A true KR20050059079A (ko) 2005-06-17

Family

ID=3198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185A KR20050059079A (ko) 2002-08-30 2003-08-25 절첩식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00003A1 (ko)
EP (1) EP1540926A1 (ko)
JP (1) JP2004147279A (ko)
KR (1) KR20050059079A (ko)
CN (1) CN1679307A (ko)
WO (1) WO2004021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028B (en) * 2004-04-08 2006-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 function hinge mechanism
EP2117203A4 (en) * 2007-02-28 2011-04-27 Ne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11971B2 (en) 2008-01-18 2013-12-17 Blackberry Limited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8489157B2 (en) 2008-01-18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extended dual-hinged interconnector
EP2081366A1 (en) * 2008-01-18 2009-07-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8843948B2 (en) 2008-09-19 2014-09-2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carrying of a portable audience measurement device
US8508480B2 (en) 2009-01-09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non-flush general navigation buttons for a clamshell handheld device
US8681131B2 (en) * 2009-06-29 2014-03-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assembly
JP5543225B2 (ja) * 2010-01-11 2014-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11653460B2 (en) 2017-09-20 2023-05-16 East West Manufacturing, Llc Hinge
US10669762B2 (en) 2017-09-20 2020-06-02 Nexus Technologies, Inc. Hinge
US10921862B2 (en) * 2018-05-22 2021-02-16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2630224B2 (ja) * 1993-09-30 1997-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CA2159138A1 (en) * 1994-11-28 1996-05-29 Sonia Mercedes Estevez-Alcolado De Holl Roller bar menu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telephones
US5966671A (en) * 1996-01-03 1999-10-12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n auxiliary actu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radiotelephone
AU6394299A (en) * 1998-09-25 2000-04-17 Ericsson Inc. Mobile telephone having a folding antenna
KR100825245B1 (ko) * 1999-05-06 2008-04-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2001197462A (ja) * 2000-01-17 2001-07-19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テレビ電話システム
JP2001237932A (ja) * 2000-02-21 2001-08-31 Nec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1355371A (ja) * 2000-06-14 2001-12-26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小型ヒンジ装置
US6992699B1 (en) * 2000-08-02 2006-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mera device with selectable image paths
JP4356911B2 (ja) * 2000-11-07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1685A1 (en) 2004-03-11
EP1540926A1 (en) 2005-06-15
JP2004147279A (ja) 2004-05-20
CN1679307A (zh) 2005-10-05
US20060100003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EP1051012B1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lid
EP1665736B1 (en) Movable functional ele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1641B1 (ko) 이중 운동을 위한 힌지를 지니는 접이식 이동 단말기
EP1076281B1 (en)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EP1528757B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KR20050059079A (ko) 절첩식 전자 기기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KR2003008172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3229941A (ja) 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及びヒンジ構造
US200701671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578717B2 (ja) 携帯端末装置
US6819947B2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52347A (ja) 携帯端末装置
JP507343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0090B1 (ko)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
EP1480417B1 (en)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KR20080025881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인식 장치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200330186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보호구조
JPH09181805A (ja) 携帯通信装置の折り畳み式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