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505A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한 게미날 이치환된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한 게미날 이치환된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505A
KR20050058505A KR1020057003141A KR20057003141A KR20050058505A KR 20050058505 A KR20050058505 A KR 20050058505A KR 1020057003141 A KR1020057003141 A KR 1020057003141A KR 20057003141 A KR20057003141 A KR 20057003141A KR 20050058505 A KR20050058505 A KR 2005005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arbon monoxide
polymer
monom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브히마뉴 오 패틸
니콜라스 브이 스미스
호세 지 산티스테반
알렌 디 고드윈
스티븐 피 루커
스티븐 쥬쉬마
Original Assignee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filed Critical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5005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th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을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여기서,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다)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에틸렌 공급물 및 단량체 X를 함유하는 공급물을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X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A GEMINALLY DISUBSTITUTED OLEFIN-CARBON MONOXIDE-ETHYLENE POLYMER USEFUL AS A POLYVINYL CHLORIDE PLASTICIZER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일산화탄소 및 에틸렌의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일산화탄소-X("E-CO-X")(여기서, X는 제 3의 단량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이다)의 삼원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일산화탄소("CO") 및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급물로부터 제조된다. 이들 중합체는 고온 및 고압에서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이들 중합체는 무작위이고, 일반적으로 유기금속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어렵다. 유리 라디칼 중합으로부터 형성된 E-CO-X 중합체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개질제 및 분해성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단량체, 예를 들면 아이소부틸렌은 유리 라디칼 중합 기작에 의해 쉽게 중합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신, 이런 이치환된 α-올레핀은 전형적으로 카보양이온의 형성을 개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루이스 산 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이온 또는 카보양이온 중합에 의해 중합 및 공중합된다.
PVC는 광범위한 용도를 위한 가장 경제적이고, 다재다능하고, 유용한 상용 중합체중 하나이다. 현재, PVC는 전세계적으로 약 3100만 톤의 용량으로서, 폴리올레핀 다음으로 제조되는 두 번째로 큰 열가소성 수지이다. PVC의 예외적인 다재다능함은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가소화제 및 첨가제와 함께 광범위한 백분율의 조성의 안정한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이의 능력에 기인한다.
가소화제를 플라스틱에 첨가하여 유동을 개선시키고, 따라서, 가공성 및 가요성을 개선시키고, 제품의 취성을 감소시킨다. 이는 유리 전이 온도(Tg)를 실온 미만으로 낮추고, 따라서, 성질을 딱딱하고, 깨지기 쉬운 유리와 같은 고형물에서 부드럽고, 유연하고, 질긴 물질로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현재 약 450가지의 서로 다른 가소화제가 전세계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이중에서 단 50가지만이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류된다. 이들 제품중 약 90%가 가소화되거나 가요성인 PVC의 제조에 이용된다.
이들 가소화제중 95% 이상은 매우 낮은 분자량(500 미만)을 갖는 단량체성 에스터이다. 저분자량 가소화제와 연관된 문제점중 하나는 가요성 PVC 제품의 제조에 있어 다양한 가공 단계동안에 이들이 휘발하는 경향이다. 최종 사용시 휘발 손실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가소화제는 휘발, 이동 및 추출에 의해 떠나간다. 가소화제는 다른 물질, 예를 들면 다른 PVC, 폴리스티렌, 아크릴 및 ABS, 또는 심지어는 일부 니트로셀룰로스계 페인트 피니쉬로 이동될 수 있다. 더 낮은 휘발성, 더 적은 이동 및 더 많은 추출 저항을 갖는 제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은 휘발성 문제를 감소시킨다.
발명의 요약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제공한다. 이들 중합체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에서 효과적인 가소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게르밀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여기서,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또는 단량체의 혼합물이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단량체 X는 C3 내지 C30 알파-올레핀, C3 내지 C30 내부 올레핀,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탄수소 3 내지 20의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 이런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의 에스터, 포화된 카복실산(여기서, 산 기는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의 비닐 에스터, 비닐 알킬 에테르(여기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 할로겐화된 에틸렌 유도체, 메틸 비닐 케톤, 1-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롤레인, 알릴 알콜,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단량체 X의 혼합물은 또한 라피네이트 I 또는 라피네이트 II일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을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본 발명은 유리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에틸렌 공급물 및 단량체 X를 함유하는 공급물을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여기서,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다) 중합체를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i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 또는 iii) 이의 혼합물중 하나에서 선택된 가소화제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이고, 여기서, 상기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고, 상기 중합체는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합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i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 또는 iii) 이의 혼합물중 하나를 PVC와 블렌딩함으로써 이런 PVC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수준의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첨가에 따른 PVC의 Tg 감소를 보여준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 분야의 숙련된 이들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단량체 공급원으로부터 형성되는 거대분자라는 넓은 의미를 갖고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은 본질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임의의 올레핀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CH2이고,
R2는 C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R2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본질적인 하이드로카빌 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선형, 분지 또는 환상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하이드로카빌기이고, 선택적으로 R3 및 R4는 연결되어 환상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용어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은 아이소부틸렌과 같은 단량체와 상기 화학식 1의 대표적인 구조를 갖는 마크로머 둘 모두를 포함한다. 비록 R3과 R4는 본질적으로 하이드로카빌이지만, 중합 반응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중 결합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는 비-하이드로카빌 원자(예를 들면 O, S, N, P, Si, 할로겐 등)의 혼입이 예상된다.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은 구체적으로 아이소부틸렌, 3-트라이메틸실릴-2-메틸-1-프로펜, 2-메틸-1-부텐, 2-메틸-1-펜텐, 2-에틸-1-펜텐, 2-메틸-1-헥센, 2-메틸-1-헵텐, 6-다이메틸아미노-2-메틸-1-헥센, α-메틸스티렌 등을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여기서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또는 단량체의 혼합물이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량체 X는 C3 내지 C30 알파-올레핀; C3 내지 C30 내부 올레핀;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 탄소수 3 내지 20의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이런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의 에스터, 예를 들면 n-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포화 카복실산의 비닐 에스터(여기서 산 기는 1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다),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기가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 비닐 알킬 에테르, 예를 들면 아이소부틸 비닐 에테르; 할로겐화된 에틸렌 유도체; 메틸 비닐 케톤; 1-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롤레인; 알릴 알콜;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내부 올레핀은 2-부텐, 2-펜텐 및 3-헥센이고, 이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2-부텐이다. 스티렌 유도체의 경우, 이는 스티렌 분자의 올레핀 또는 페닐 작용기중 하나상에 치환체를 갖는 스티렌을 포함하고자 한다. 할로겐화된 에틸렌 유도체 중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비닐 클로라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단량체 X가 단량체의 혼합물인 경우, 라피네이트 I 및 라피네이트 II가 바람직한 유형이고,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약 100 내지 약 1,000,000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는 약 200 내지 150,000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1 내지 40몰%의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3 내지 40몰%의 일산화탄소 및 5 내지 80몰%의 에틸렌을 포함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을 반응시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미날 이치환된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의 공급원에 대해 특별히 선호되는 바는 없으며, 본 발명은 순수하거나, 더럽고/더럽거나 희석된 공급물이 중합 반응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리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에틸렌 공급물 및 단량체 X를 함유하는 공급물을 반응시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여기서,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및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량체 X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급물중에서, 본 발명에 특히 응용가능한 2가지가 라피네이트 I(Raff-I) 및 라피네이트 II(Raff-I)이다. 전형적인 Raff-I 및 Raff-II 조성 비율은 다음과 같고, 당 분야의 숙련된 이들은 이런 양이 공급물의 공급원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단량체 X를 위한 공급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혼합물은 유체화된 촉매 분해("FCC")에서 나온 가벼운 올레핀, 프로필렌/C4 올레핀, 예를 들면 n-부텐 및 아이소부틸렌, 및 메탄올-에서-올레핀("MTO") 공정에서 나온 C4 올레핀 스트림에서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과 또는 희석제의 증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는 표준 성형 기법, 예를 들면 냉간 프레스 또는 열간 프레스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중합체가 바람직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중합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박층에서 용액 중합한후 후속적으로 희석제를 제거하여 필름 형태의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유리 라디칼 중합 공정은 당 분야의 숙련된 이들에게 잘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한다. 대표적인 개시제는 유기 퍼옥사이드, 예를 들면 알킬 퍼옥사이드, 다이알킬 퍼옥사이드, 아로일 퍼옥사이드 및 퍼옥시 에스터, 및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알킬 하이드로퍼옥사이드는 3차-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3차-옥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고; 바람직한 다이알킬 퍼옥사이드는 다이3차-부틸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 및 다이-쿠밀 퍼옥사이드이고; 바람직한 아로일 퍼옥사이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포함하고; 바람직한 퍼옥시 에스터는 3차-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Trigonox) 21: 상표명) 및 3차-부틸-퍼벤조에이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한 아조 화합물은 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을 포함한다. 약 50℃ 내지 약 300℃의 범위의 반응 온도에서 적절한 반감기를 갖는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 21) 및 t-부틸 퍼옥사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공중합은 약 50 내지 약 30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20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다. 압력은 약 100 내지 약 30,000psig, 바람직하게는 약 500psig 내지 약 20,000psig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서 일어난다. 적합한 용매는 톨루엔, 아세톤, 알칸, 방향족 및 이의 유도체, 다이옥산, 프로필렌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산,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헥산이 가장 바람직한 알칸 용매이지만, 다른 바람직한 알칸은 펜탄 및 헵탄 및 이들 알칸 용매의 혼합물이다. 방향족 용매중에서는 벤젠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ii)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여기서, 상기 단량체 X는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다) 또는 iii) 이의 혼합물중 하나에서 선택된 가소화제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의된 가소화제에 추가하여, PVC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프탈레이트 에스터, 예를 들면 다이아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다이아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다이-2-에틸 헥실 프탈레이트 또는 다이아이소트라이데실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예를 들면 다이-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또는 다이-아이소노닐 아디페이트; 트라이멜리테이트 에스터, 예를 들면 트라이-2-에틸헥실 트라이멜리테이트 또는 트라이-아이소노닐 트라이멜리테이트; 또는 심지어는 벤조에이트 에스터, 예를 들면 다이- 또는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또는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 가소화제 대 다이알킬 프탈레이트의 비는 중량 기주으로 9:1 내지 1:9이고, 이들 가소화제의 혼합물은 PVC 수지 조성물의 약 0.01 내지 90중량%에 이를 것이다.
따라서, 이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 PVC 수지 조성물의 약 25 내지 99.99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PVC 조성물은 안정화제, 충진제 및/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잘 공지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는 칼슘, 바륨, 카드뮴, 아연, 납 및 이의 혼합물의 무기 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PVC의 배합에서 첨가제는 용어 'phr"에 따라 첨가되는데, 이는 수지 100당 1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약 0 내지 10phr을 구성할 것이다. 적합한 충진제는 탄산칼슘, 클레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충진제는 약 0 내지 80phr일 것이다.
가요성 PVC 제품을 위한 전형적인 배합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가소화제 및 PVC의 유형, 혼합 비율 등에 따라, 본 발명의 이점은 더 낮은 가소화제 휘발성 및 이와 동반되는 더 낮은 이동성; 개선된 가공성 및 상용성; 및 PVC 수지 유리 전이 온도의 효과적인 감소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PVC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PVC 수지 조성물은 필름 또는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당 분야에 숙련된 이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제품은 또한 PVC 수지 조성물로부터 압출, 주조 또는 캐스팅될 수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가소화제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블렌딩함을 포함하는 PVC 수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또한 다이알킬 프탈레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단량체 에스터를 블렌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안정화제 및/또는 충진제를 또한 블렌딩할 수 있다. 표준 PVC/가소화제 블렌딩 기법은 당 분야의 숙련된 이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런 블렌딩 기법의 전형적인 온도는 약 20 내지 300℃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약 50℃ 내지 230℃이다. 이들 블렌딩 기법을 위한 전형적인 압력은 넓게는 약 100 psi 내지 60,000psi로 광범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압력 범위는 약 100psi 내지 30,000psi의 범위이다. 가공 보조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이들 가공 보조제가 조성물에 혼입되거나 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하기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는 PVC와 함께 유기 용매에 용해된 후 캐스팅되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더욱 설명된다.
실시예 1: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300m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엔지니어(Autoclave Engineers, 상표명) 반응기에 125ml의 순수한 n-헥산 및 9.96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48g의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순수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66℃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7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7.28g의 무색 점성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는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생성물의 13C NMR 분석은 32몰%의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음을 제안한다. 13C NMR에 근거한 생성물 조성은 에틸렌 60몰%, CO 32몰% 및 아이소부틸렌 8몰%이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46.8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원의 실시예 1 및 모든 다른 실시예에서, NMR 합계 분포에 의해 측정된 분지 함량은 프로필 및 더 긴 것, 에틸, 에틸 케톤 및 단리된 메틸에서 나온다. 이는 아이소부틸렌에서 나온 게미날 다이메틸로부터의 분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생성물의 GPC는 3280의 Mn 및 552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2: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1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400ml의 순수한 n-헥산을 부하하고,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000psig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170℃로 증가시켰다. 그런 다음, 33.56g의 아이소부틸렌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50ml의 순수한 헥산중의 0.524g의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 21, 상표명) 퍼옥사이드를 첨가하고, 압력을 3000psig로 증가시켰다. 압력을 3000psig에서 유지시키고, 온도를 170℃에서 24시간동안 유지시켰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하였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고 11.32g의 액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서 매우 강한 피크를 보였다. 이리하여,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분석은 14몰%의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음을 제안한다. 13C NMR에 근거한 생성물 조성은 에틸렌 77몰%, CO 14몰% 및 아이소부틸렌 9몰%이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104.8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3260의 Mn 및 340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3: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를 이용한 가소화 연구
가소화의 효과를 단순한 방식으로 입증하기 위해 중합체 필름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0g의 PVC 중합체(알드리치, 233,000)를 150ml의 THF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저장 용액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2.5ml의 PVC 용액을 적절한 농도의 가소화제(THF 용액으로서)와 혼합하여 10 내지 50%의 가소화제 함량을 생성하였다. 용매를 질소하에서 증발시켰다. 12시간 후에, 필름을 용기로부터 벗겨냈다. 이들을 50℃의 진공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켰다. 필름을 손가락 사이에서 앞뒤로 구부려서 필름 가요성을 비교하고, 당분야의 숙련된 이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이들의 Tg를 또한 평가하였다.
유리질에서 플라스틱 상태로의 PVC의 이완, 및 다양한 화학적 가소화제의 효과를 DSC를 이용하여 열량계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10℃/분의 제어 가열로 가열하였을 때, Tg를 열량의 단계별 변화, Cp(절반의 △Cp에서의 값을 보고한다)로부터 측정하였다. 분석된 모든 시료를 측정 전에 유사한 열적 히스토리에 노출시켰다. 상기 개시된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 및 PVC로부터 수득된 필름은 무색이고 투명하였다. 표 1은 다양한 수준의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를 첨가하였을 때의 PVC의 Tg 감소를 보여준다.
도 1은 다양한 수준의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 첨가시 PVC의 Tg 감소를 보여준다.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를 이용한 PVC 수지의 Tg 감소는 이들 조성물이 PVC 가소화제로서 활성임을 증명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PVC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상용성 CO-함유 가소화제를 제공함을 명확하게 입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PVC 수지는 감소된 Tg를 갖는다.
또한,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생성된 조성물은 상 분리 증거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적절한 상용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제안된다.
실시예 4: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300m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엔지니어 반응기에 125ml의 순수한 n-헥산 및 10.4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48g의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66℃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7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4.52g의 무색 점성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3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는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76몰%, 아이소부틸렌 7몰% 및 CO 17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96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1070의 Mn 및 197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5: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300m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엔지니어 반응기에 125ml의 순수한 n-헥산 및 21.0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48g의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66℃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7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4.73g의 점성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64몰%, 아이소부틸렌 11몰% 및 CO 25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42.7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1780의 Mn 및 366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6: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1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400ml의 순수한 n-헥산 및 36.8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1.97g의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66℃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7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12.27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64몰%, 아이소부틸렌 8몰% 및 CO 28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46.9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2080의 Mn 및 386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7: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1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400ml의 순수한 n-헥산 및 31.5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55g의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 21, 상표명)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170℃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30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13.56g의 액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75몰%, 아이소부틸렌 6몰% 및 CO 19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100.1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1590의 Mn 및 402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8: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1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400ml의 순수한 n-헥산 및 61.0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57g의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 21, 상표명)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170℃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및 일산화탄소(80:20)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30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10.54g의 액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는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79몰%, 아이소부틸렌 7몰% 및 CO 14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98.3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1060의 Mn 및 208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9: 아이소부틸렌-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
1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400ml의 순수한 n-헥산 및 33.5g의 아이소부틸렌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1.03g의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고녹스 21, 상표명) 퍼옥사이드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정제된 질소로 퍼징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기를 에틸렌, 일산화탄소 및 수소(70:15:15) 혼합물로 가압하였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170℃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 일산화탄소 및 수소(70:15:15) 혼합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 압력을 30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8.5g의 액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에틸렌 81몰%, 아이소부틸렌 5몰% 및 CO 14몰%을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118.8개의 분지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820의 Mn 및 150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실시예 10: C4 올레핀-CO-에틸렌 중합체의 합성에서 Raff-I의 용도
300m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 엔지니어 반응기에 125ml의 순수한 n-헥산 및 21.0g의 Raff-I 기체 혼합물(이는 31.0%의 아이소부틸렌, 42.94%의 1-부텐, 12.5%의 2-부텐, 12.5%의 트랜스-2-부텐 및 1.06%의 부타다이엔을 함유한다)을 충진시켰다. 25ml의 순수한 n-헥산중의 0.48g의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를 오토클레이브 유니트에 부착되어있는 첨가 깔때기에 부하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하고, 교반하면서 온도를 66℃로 증가시키고, 퍼옥사이드 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에틸렌/일산화탄소(80/20) 공급물을 이용하여 반응기를 700psig까지 가압하였다. 에틸렌/일산화탄소(80/20) 공급물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반응기를 700psig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시켰다.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1.84g의 무색 점성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은 카보닐 기로 인해 1712cm-1에 매우 강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CO가 생성물에 혼입되었다. 생성물의 13C NMR 스펙트럼은 중합체가 22몰%의 CO를 갖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NMR은 또한 1000개의 탄소 원자당 79.2개의 분지가 있고, 아이소부틸렌 및 2-부텐이 중합체에 혼입되었음을 제안하였다. 생성물의 GPC는 840의 Mn 및 1530의 Mw를 나타낸다(폴리스티렌 표준, THF 용매).
본 발명은 이렇게 개시되었지만, 이것이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를 벗어나지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명확할 것이다.

Claims (20)

  1.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약 200 내지 약 15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이 아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1 내지 40몰%의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3 내지 40몰%의 일산화탄소 및 5 내지 80몰%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단량체 X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단량체 X가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단량체 X가 C3 내지 C30 알파-올레핀, C3 내지 C30 내부 올레핀,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탄수소 3 내지 20의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 이런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의 에스터, 포화된 카복실산(여기서, 산 기는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의 비닐 에스터, 비닐 알킬 에테르(여기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 할로겐화된 에틸렌 유도체, 메틸 비닐 케톤, 1-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롤레인, 알릴 알콜,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단량체 X의 혼합물이 라피네이트 I 및 라피네이트 II중 하나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8.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을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 조건이 약 50℃ 내지 약 300℃의 범위의 온도 및 약 500psig 내지 약 30,000psig의 범위의 압력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이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이 유리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유리 라디칼 개시제가 유기 퍼옥사이드 및 아조 화합물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약 200 내지 약 15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이 아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1 내지 40몰%의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3 내지 40몰%의 일산화탄소 및 5 내지 80몰%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유리 라디칼 중합 조건 하에서 단량체 X를 함유하는 공급물을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 공급물, 일산화탄소 공급물 및 에틸렌 공급물과 반응시켜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X 중합체(여기서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및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단량체 X가 C3 내지 C30 알파-올레핀, C3 내지 C30 내부 올레핀,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탄수소 3 내지 20의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 이런 불포화된 모노- 및 다이카복실산의 에스터, 포화된 카복실산(여기서, 산 기는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의 비닐 에스터, 비닐 알킬 에테르(여기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다), 할로겐화된 에틸렌 유도체, 메틸 비닐 케톤, 1-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롤레인, 알릴 알콜,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단량체 X의 혼합물이 라피네이트 I 및 라피네이트 II중 하나에서 선택되는 방법.
  19. 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i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여기서, 상기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다) 또는 iii)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가소화제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
  20. 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ii) 게미날 이치환된 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X 중합체(여기서, 상기 단량체 X는 유리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이다) 또는 iii)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가소화제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PVC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057003141A 2002-08-27 2003-07-18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한 게미날 이치환된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50058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28,755 US6777514B2 (en) 2002-08-27 2002-08-27 Geminally disubstituted olefin-carbon monoxide-ethylene polymer useful as a polyvinyl chloride plasticizer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10/228,755 2002-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05A true KR20050058505A (ko) 2005-06-16

Family

ID=3197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141A KR20050058505A (ko) 2002-08-27 2003-07-18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제로서 유용한 게미날 이치환된올레핀-일산화탄소-에틸렌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777514B2 (ko)
EP (1) EP1543062A1 (ko)
JP (1) JP2005537360A (ko)
KR (1) KR20050058505A (ko)
AR (1) AR040718A1 (ko)
AU (1) AU2003259149A1 (ko)
BR (1) BR0313567A (ko)
CA (1) CA2496407A1 (ko)
TW (1) TW200415159A (ko)
WO (1) WO2004020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7708B2 (en) 2017-12-12 2024-04-23 Btr New Material Group Co., Ltd.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3487B1 (en) * 2003-01-14 2016-11-02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Branched vessel endoluminal device
US9125733B2 (en) * 2003-01-14 2015-09-08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Branched vessel endoluminal device
US20050149166A1 (en) * 2003-11-08 2005-07-07 Schaeffer Darin G. Branch vessel prosthesis with anchoring device and method
AU2007240703C1 (en) * 2006-04-19 2012-06-14 Cleveland Clinic Foundation Twin bifurcated stent graft
WO2008121847A1 (en) 2007-03-30 2008-10-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ketone plasticizers
CN101981106B (zh) 2008-03-28 2012-12-1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多元醇酯增塑剂以及其制备方法
CN102105431B (zh) * 2008-09-03 2013-09-04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具有低平均支化水平的甘油三酯增塑剂及其制备方法
CN102159397A (zh) * 2008-09-05 2011-08-17 加州大学评议会 凝胶处理的聚烯烃组合物
EP2358801A1 (en) 2008-12-18 2011-08-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terephthalates
US8299281B2 (en) * 2009-03-27 2012-10-3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making triglyceride plasticizer from crude glycerol
US8329795B2 (en) * 2009-07-07 2012-12-1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il based polyols or diacids esterified with oxo-acids or oxo-alcohols for producing plasticizers
US9561996B2 (en) 2009-07-21 2017-02-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Keto acid esters as PVC plasticizers
US20110184105A1 (en) * 2009-09-29 2011-07-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henylene Oxo-Diester Plasticizers and Methods of Making
DE102009044184A1 (de) * 2009-10-06 2011-04-07 Benecke-Kaliko Ag Mehrschichtige Foli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568846B2 (en) * 2009-12-24 2013-10-2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making polyol neoalkylester plasticizers from neo acids
US8604114B2 (en) 2009-12-24 2013-12-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romatic acylation with cyclic anhydride for plasticizer production
US9771466B2 (en) 2010-12-14 2017-09-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Glycol ether-based cyclohexanoate ester plasticizers and blends therefrom
US8604110B2 (en) 2011-08-05 2013-12-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lkyl aromatic plasticizers and methods of making
US9534104B2 (en) 2013-01-28 2017-01-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r blends and use thereof
US8829093B2 (en) 2013-01-28 2014-09-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lkyl aromatic hydroalkylation for the production of plastisizers
US9085669B2 (en) 2013-01-28 2015-07-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lkyl aromatic hydroalkylation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izers
CN105026345A (zh) 2013-03-14 2015-11-04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甲基环己基)甲苯异构体混合物,它们的制备和它们在制造增塑剂中的用途
WO2014159106A1 (en) 2013-03-14 2014-10-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yl-substituted biphenyl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izers
BR112015020958A2 (pt) 2013-03-14 2017-07-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mpostos de bifenil com metil subtituído, sua produção e utlização na fabricação de plastificantes
US9725377B2 (en) 2013-03-14 2017-08-0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ydroalkylation catalyst and process for use thereof
WO2014159094A1 (en) 2013-03-14 2014-10-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yl-substituted biphenyl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izers
US9328053B2 (en) 2013-03-14 2016-05-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yl-substituted biphenyl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izers
US9556103B2 (en) 2014-06-13 2017-01-3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iphenyl ester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izers
US9896393B2 (en) 2014-06-13 2018-02-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eparing dialkylbiphenyl isomer mixtures
US9758447B2 (en) 2014-10-24 2017-09-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ctivation of dehydrogenation catalysts
US9856186B2 (en) 2014-12-19 2018-01-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and use of dialkylbiphenyl isomer mixtures
US9896570B2 (en) 2015-03-25 2018-02-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Indane and/or tetralin ester plasticizers, and blends therefrom
US20180118917A1 (en) 2016-11-03 2018-05-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Naphthoic acid ester plasticizers and method of making
CN110643123A (zh) * 2019-08-29 2020-01-03 中京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pvc建筑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5286A (en) 1949-06-08 1950-01-24 Du Pont Inter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3780140A (en) 1971-08-06 1973-12-18 Du Pont Ethylene/carbon monoxide polymer compositions
US3929700A (en) * 1974-04-29 1975-12-30 Hooker Chemicals Plastics Corp Polyvinyl chloride composition
CA1316288C (en) * 1986-10-16 1993-04-13 Eit Drent Catalytic preparation of carbon monoxide/ethylene/secondary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terpolymer
AU5645090A (en) 1989-05-04 1990-11-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plasticizers for polyvinyl chloride
TW291486B (ko) * 1992-12-17 1996-11-21 Exxon Chemical Patents Inc
US5763556A (en) 1996-05-21 1998-06-09 Exxon Chemical Patents Inc. Copolymers of ethylene and geminally disubstituted olefins
US6541586B2 (en) 1999-01-19 2003-04-0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lymerization processes for using dilute multicomponent feeds (LAW624)
US20020042475A1 (en) 2000-07-18 2002-04-11 Patil Abhimanyu Onkar Novel polyvinyl chloride resins
US6573226B2 (en) 2000-07-18 2003-06-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Use of carbon monoxide containing polymers as, adhesive additives, and fluids
WO2002006379A1 (en) 2000-07-18 2002-01-2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lefin-carbon monoxide copolymers derived from synthesis gas
US6262225B1 (en) 2000-07-18 2001-07-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Carbon monoxide containing polymers derived from synthesis gas (KWP-00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7708B2 (en) 2017-12-12 2024-04-23 Btr New Material Group Co., Ltd.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3062A1 (en) 2005-06-22
US20040167306A1 (en) 2004-08-26
WO2004020500A1 (en) 2004-03-11
TW200415159A (en) 2004-08-16
JP2005537360A (ja) 2005-12-08
AU2003259149A1 (en) 2004-03-19
US6881806B2 (en) 2005-04-19
AR040718A1 (es) 2005-04-20
US6864319B2 (en) 2005-03-08
US20040044159A1 (en) 2004-03-04
BR0313567A (pt) 2005-06-21
CA2496407A1 (en) 2004-03-11
US20040167307A1 (en) 2004-08-26
US6777514B2 (en) 200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1806B2 (en) Geminally disubstituted olefin-carbon monoxide-ethylene polymer useful as a polyvinyl chloride plasticizer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20020042475A1 (en) Novel polyvinyl chloride resins
US4184993A (en) Plasticizer, plasticized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5306437A (en) Copolymers and their use as lubricants and release agents for processing thermoplastics
US6977277B2 (en) Polyvinyl chloride resins
US5162432A (en) Polyketone polymer blends
JPS6197248A (ja) 新規のピロメリト酸エステル可塑剤および塩化ビニル組成物
US3278478A (en) Vinyl resins plasticized with trisubstituted nitrilotripropionates
US4129714A (en) Ethylene copolymers and terpolymers containing vinyl esters of tertiary acids
US2554259A (en) Oxidized polypropylene and its use as plasticizer
US4143096A (en) Ethylene carbon monoxide graft copolymers
CA2006395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new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and their use
US4205144A (en)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s
US3173888A (en) Diesters of diglycolic acid and vinyl chloride polymers plasticized therewith
KR20030022290A (ko) 합성 기체에서 유래된 일산화탄소 함유 중합체
GB2311531A (en) Process for producing styrene based polymer and molded articles comprising the polymer
US3262994A (en) Graft copolymers of 2, 2-dimethylalkyl acrylates and styrene with butadiene-styrene polymers
KR102002061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품
JPH0678323B2 (ja) ベンゾトリアゾ−ル化合物
US3907872A (en) Alternating copolymers of trichloroethylene in vinyl acetate
KR20190124179A (ko) 내이행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CN1539877A (zh) 新型聚氯乙烯树脂
EP0515344A2 (en) Polyblends containing polyurethane, polymer and siloxane crosslinker
JPH02240151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