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152A -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152A
KR20050058152A KR1020030090407A KR20030090407A KR20050058152A KR 20050058152 A KR20050058152 A KR 20050058152A KR 1020030090407 A KR1020030090407 A KR 1020030090407A KR 20030090407 A KR20030090407 A KR 20030090407A KR 20050058152 A KR20050058152 A KR 2005005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ubcritical
supercritical fluid
carbon dioxide
supercri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221B1 (ko
Inventor
함종천
한갑수
우현철
이현
Original Assignee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22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임계 또는 초임계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함과 동시에 소정 시간동안 초음파에 노출시켜 상기 미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형태의 손실이 없고 흡수율이 증가하여 백미의 풍미와 부드러움을 보유한 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초음파의 작용을 통해 쌀겨층의 고분자물질의 결합을 끊음으로써 초임계 추출시 나쁜냄새를 제거하고 지방성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The Device & Method for Manufacturing Healthy Rice Using Subcritical/Supercritical Fluid and Supersonic Waves}
본 발명은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곡을 초임계 추출함과 동시에 초음파처리를 하여 미곡 본래의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형태의 손실이 없고 흡수성의 증가 및 냄새가 제거된 건강에 이로운 쌀을 제조할 수 있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인의 주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귀중한 곡식이다. 현대인들이 경험하는 많은 질병들이 섭취하는 음식과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주식인 쌀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벼는 중량무게 20%의 껍질(왕겨)과 중량무게 80%의 현미로 구성되어 있다. 현미는 쌀겨(미강), 쌀눈(배아) 및 백미(배유)로 나누어지며 쌀의 영양성분을 분석해보면 쌀겨부분에 29%, 쌀눈에 66%, 그리고 백미부분에 5%의 영양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비타민군이 2-16배, 미네랄 성분이 1.3-2배, 섬유소 3.3배, 단백질 1.3배에 이르는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최고의 건강식, 다이어트식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우리들이 섭취하는 쌀은 백미로서 현미의 쌀겨(미강)층과 쌀눈(배아)을 벗기어 낸 전분층(배유)을 의미하며, 현미에 포함된 많은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현미의 백미로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강은 연간 50만톤의 막대한 양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강의 일부는 식용유 원료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농산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강에 함유된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리그닌 등의 탄수화물,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팔미트산, 오리자놀, 옥타코사놀 등의 지방, 아미노산류 등의 단백질, 비타민 B군, 비타민 E, 피틴산 등의 인산화합물 등이 함유되고 있어 미강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개발,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및 농업 소재로의 개발 등 여러방면으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미를 주식으로 할 때 상기의 미강 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며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 사용되어 온 백미의 관습적인 사용과 그 백미의 부드러움에 익숙한 현대인들의 입맛에 현미로 백미를 대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현미를 발아시킨 기존의 발아현미 제조법을 개량한 벼를 발아시킨 후 왕겨를 제거하는 방법(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3-43495)은 비타민 등의 영양분과 외형의 손실없이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킨다고 하였으나 현미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현미에 물을 처리한 후 방치시킨 다음 증기처리를 하고 롤로 현미를 눌러 납작하게 가공하는 제조법(일특개소61-152251)이나 현미의 과피에 상처를 내는 제조법(일특개소63- 173548) 또한 냄새 제거나 부드럽게 씹는 느낌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미곡의 처리방법(일특개소59-78656)은 현미의 지방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탈지현미를 이용하는 것이나 지방성분 제거는 표층부 일부의 제거에 지나지 않고 현미의 흡수성 향상이 충분하지 않으며 밥을 지었을 때 불쾌한 냄새가 강하고 식감 및 보존성이 떨어진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또 다른 현미의 제조법(일특개소59-156259)은 현미의 5%중량의 물을 뿌린 후 초임계 추출을 시행한 다음 밸브 조작을 통하여 급격한 감압을 통한 가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앞선 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현미의 표면에 일정한 손상, 즉 일정부분의 도정을 더 실행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지방성분을 제거하여 가공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일특개평2-69149)은 기존의 방법보다 흡수율을 높이고 탈취율이 높았다고 하나 일정부분의 도정이 추가됨으로써 영양분의 손실이 수반되었으며, 종피가 있는 부분까지 도정이 되지 않는 다면 흡수율 향상에는 한계가 있으며, 종피를 도장해 내면 거의 백미와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혼합용액을 사용하는 제조방법도 제시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 시 혼합용액으로 프로판, n-부탄을 사용하여 지방과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일특개소64-56793)은 미곡 본래의 방향이나 풍미도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혼합 용매인 에탄을 비롯한 프로판, 부탄을 사용하여 미곡을 개선하는 방법(일특개평4-144655)은 현미의 지질함량을 2.8%에서 1.8-2.3%로 저하시켰다. 그러나 이 또한 미곡의 본래 방향이나 풍미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조, 추출조, 및 초음파발생기를 구비하여 미곡의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형태의 손실이 없고 흡수성이 증가되며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미곡의 풍미와 부드러움을 보유한 건강쌀을 제조할 수 있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함과 동시에 초음파처리를 함으로써 미곡의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형태의 손실이 없고 흡수성이 증가되며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미곡의 풍미와 부드러움을 보유한 건강쌀을 제조할 수 있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은 아임계 또는 초임계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함과 동시에 소정 시간동안 초음파에 노출시켜 상기 미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임계 또는 초임계상태는 온도가 20-80℃이고, 압력이 50-800㎏/㎠이며, 아임계 또는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6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정 시간은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목표 온도 도달 후 상기 초임계 추출이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는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조와, 상기 이산화탄소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아임계 또는 초임계 상태로 유지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하는 추출조와, 상기 추출조의 상하단 및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조 내부의 미곡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는 상기 추출조와 연결되어 추출된 미곡유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조, 및 상기 분리조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조로 회수시키는 이산화탄소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조장치는 액체이산화탄소 저장조(5), 추출조(1), 초음파발생기(2), 분리조(3),응축기(4), 가열기(6), 및 고압펌프(7)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이산화탄소 저장조(5)에 저장되어 있던 이산화탄소는 고압펌프(7)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추출조(1)로 주입된다. 상기 추출조(1)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미곡이 투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는 아임계 또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온도와 압력이 조정되어 상기 추출조(1)에서 미곡의 초임계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초임계 추출과 동시에 상기 추출조(1)의 상하부 및 측면에 구비된 초음파발생기(2)가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초임계추출과 초음파처리가 끝난 후 나쁜 냄새와 미곡유를 함유한 이산화탄소는 상기 분리조(3)로 이송되며 상기 분리조(3)에서 미곡유와 이산화탄소는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4)를 포함한 이산화탄소 회수수단을 통해 상기 액체이산화탄소 저장조(5)로 회수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2)가 발생시키는 초음파는 진동수가 18,000㎐ - 20,000㎐ 이상의 음파로서 산업적으로 여러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초음파를 받은 물질은 매질 또는 물질내의 액체에 작은 기포가 발생되며, 이 기포가 터질 때의 압력 및 기포 내에서의 방전 때문에 초음파를 받은 물질은 기계적인 작용을 받거나 화학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박테리아나 적혈구는 초음파를 받으면 파괴되고, 고분자 등은 원자간의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초음파의 작용은 현미의 조직, 특히 쌀겨층의 고분자물질의 결합을 끊으므로 써 초임계 추출 시 쌀겨층내의 나쁜 냄새와 지방성분의 추출에 도움을 주며, 흡수성을 높여 밥을 지을 때 시간 단축과 더불어 백미의 부드러움과 풍미를 보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은 초임계추출과 동시에 초음파처리를 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아임계/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처리 조건은 압력 50-800㎏/㎠, 온도 20-80℃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초음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를 0.8이상으로 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곡은 탈곡한 벼, 현미, 발아현미, 일정부분 도정한 분도쌀, 정백미, 및 유색미 등을 모두 포함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초임계유체 밀도 0.7 에서의 초음파 및 초임계추출
원료로서 충남 논산에서 구입한 현미 1kg을 내부용적 1.5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밀봉 후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113㎏/㎠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1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초임계유체 밀도 0.8 에서의 초음파 및 초임계추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169㎏/㎠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8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1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초임계유체 밀도 0.9 에서의 초음파 및 초임계추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281㎏/㎠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9가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1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4』 초임계유체 밀도 1.0 에서의 초음파 및 초임계추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540㎏/㎠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1.0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1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초임계유체 밀도 0.7 에서의 초임계추출
원료로서 충남 논산에서 구입한 현미(지질함량 2.9%, 수분함량 14.6%) 1㎏을 내부용적 1.5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밀봉 후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113㎏/㎠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음파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초임계유체 밀도 0.8 에서의 초임계추출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169㎏/㎠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음파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3』 초임계유체 밀도 0.9 에서의 초임계추출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281㎏/㎠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음파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4』 초임계유체 밀도 1.0 에서의 초임계추출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540㎏/㎠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음파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5』 초임계유체 밀도 0.9 에서의 초음파 2시간 및 초임계추출 3시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540㎏/㎠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1.0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2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6』 초임계유체 밀도 0.9 에서의 초음파 3시간 및 초임계추출 3시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540㎏/㎠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1.0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압력이 맞추어진 이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후 3시간까지 작동하였다. 그 결과 지질, 수분함량 및 흡수율의 변화는 표 2와 같다.
『흡수율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가공 현미 100g을 정확하게 측량한 다음 18℃의 물에 30분간 침지한 후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가공 현미를 갈아 가루로 만든다음 10g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105℃ 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 3반복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였다.
구분 지질 함량(%) 수분 함량(%) 흡수율(%)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실시예 1 2.9 2.4 15.6 15.7 8.7 12
실시예 2 2.9 2.1 15.6 15.7 8.7 19
실시예 3 2.9 1.8 15.6 15.8 8.7 25
실시예 4 2.9 1.6 15.6 15.8 8.7 30
비교예 1 2.9 2.6 15.6 15.6 8.7 10
비교예 2 2.9 2.3 15.6 15.7 8.7 16
비교예 3 2.9 2.0 15.6 15.7 8.7 21
비교예 4 2.9 1.8 15.6 15.8 8.7 26
* 참고 : 백미의 흡수율 25%
구분 지질함량(%) 수분함량(%) 흡수율(%)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실시예3 2.9 1.8 15.6 15.8 8.7 25
실시예5 2.9 1.7 15.6 15.8 8.7 26
실시예6 2.9 1.6 15.6 15.8 8.7 27
표 1을 참조하면, 모든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 종래의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제조법(비교예)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곡의 지질함량의 감소, 수분함량의 증가 및 흡수율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지질함량이 감소하고 흡수율이 증가되어 보다 제조되는 쌀의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형태의 손실이 없고 흡수율이 증가하여 백미의 풍미와 부드러움을 보유한 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초음파의 작용을 통해 쌀겨층의 고분자물질의 결합을 끊음으로써 초임계 추출시 나쁜냄새를 제거하고 지방성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초임계추출과 초음파처리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보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환경친화적이며 효율적인 건강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추출기 2 : 초음파발생기
3 : 분리조 4 : 응축기
5 : 액체이산화탄소 저장조 6 : 가열기
7 : 고압펌프

Claims (5)

  1. 아임계 또는 초임계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함과 동시에 소정 시간동안 초음파에 노출시켜 상기 미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임계 또는 초임계상태는 온도가 20-80℃이고, 압력이 50-800㎏/㎠이며, 아임계 또는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6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목표 온도 도달 후 상기 초임계 추출이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방법.
  4.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조;
    상기 이산화탄소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아임계 또는 초임계 상태로 유지하여 미곡을 초임계 추출하는 추출조;
    상기 추출조의 상하단 및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조 내부의 미곡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와 연결되어 추출된 미곡유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조; 및
    상기 분리조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조로 회수시키는 이산화탄소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 제조장치.
KR1020030090407A 2003-12-11 2003-12-11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2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07A KR100626221B1 (ko) 2003-12-11 2003-12-11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07A KR100626221B1 (ko) 2003-12-11 2003-12-11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152A true KR20050058152A (ko) 2005-06-16
KR100626221B1 KR100626221B1 (ko) 2006-09-21

Family

ID=3725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407A KR100626221B1 (ko) 2003-12-11 2003-12-11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2799A (zh) * 2011-03-03 2011-07-27 江苏瑞晟生物科技有限公司 脱除稻米中残余重金属的方法
CN101554211B (zh) * 2009-01-05 2013-01-23 王艺瑾 超临界多元流体精制稻米工艺及工业装置
KR101426404B1 (ko) * 2012-08-21 2014-08-08 (주)바이오벤 현미 미강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8082B (zh) * 2010-11-22 2012-10-03 晨光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花椒有效成分的高效提取分离工艺
CN104232295B (zh) * 2014-09-26 2016-06-08 吉林省酒精研究院有限公司 玉米胚芽超临界萃取油脂系统及方法
KR102154122B1 (ko) * 2018-11-28 2020-09-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이취가 제거된 고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4211B (zh) * 2009-01-05 2013-01-23 王艺瑾 超临界多元流体精制稻米工艺及工业装置
CN102132799A (zh) * 2011-03-03 2011-07-27 江苏瑞晟生物科技有限公司 脱除稻米中残余重金属的方法
CN102132799B (zh) * 2011-03-03 2012-12-19 江苏瑞晟生物科技有限公司 脱除稻米中残余重金属的方法
KR101426404B1 (ko) * 2012-08-21 2014-08-08 (주)바이오벤 현미 미강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221B1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52903A1 (en) High-fiber soybean produc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1278748B (zh) 一种食用核桃油及脱脂核桃蛋白乳的生产方法
RU2768395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использующие технологию физ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емолочной белковой основы и утилизации поб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с добавлением стоимости
CN111218495A (zh) 鱼鳞胶原蛋白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富含鱼鳞胶原蛋白的冰淇淋及其制备方法
US5503832A (en) Method for extracting the soluble material from oil-bearing beans or seeds
CN102524411B (zh) 一种大豆核桃乳及其制备方法
CN103271162A (zh) 一种活性豆浆的生产方法
CN103351943A (zh) 一种烹调芝麻油制备工艺
CN110074373A (zh) 一种浓香型牛骨白汤的制备方法
CN109042898A (zh) 一种全豆豆腐的生产工艺
JP5114634B2 (ja) 加工豆類・穀類・種実類・野菜類・果実類の植物組織の製造方法、加工豆類・穀類・種実類・野菜類・果実類の植物組織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工食品
KR100626221B1 (ko) 아임계/초임계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한 건강쌀의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920927B (zh) 一种柠檬果酱的制备方法
CN106892998A (zh) 一种糙米多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94805A (zh) 一种清肝明目茉莉花茶
KR20130011232A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89711A (zh) 一种含肽银杏粉的制备方法及银杏浆液、银杏浓浆、银杏粉
KR20090006892A (ko) 초임계 유체 처리 후 도정한 곡물을 이용한 임산부용 밥
JPH02124069A (ja) 飲料用食物繊維素材の製造法
CN103183721A (zh) 一种东北山核桃楸种仁蛋白质提取的工艺条件
RU26834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всяного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напитка
CN107980912A (zh) 豆奶粉的加工方法
RU281455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а на растительной основе из льняного сырья (варианты)
CN109043028A (zh) 美藤果果壳制的速溶茶及其制备方法
KR100858557B1 (ko)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초임계 유체 기술을 이용한 벼의수확후 관리기술 및 이로부터 생산된 곡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