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891A -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891A
KR20050057891A KR1020030090102A KR20030090102A KR20050057891A KR 20050057891 A KR20050057891 A KR 20050057891A KR 1020030090102 A KR1020030090102 A KR 1020030090102A KR 20030090102 A KR20030090102 A KR 20030090102A KR 20050057891 A KR20050057891 A KR 2005005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levator
data
pda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284B1 (ko
Inventor
정상국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3009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2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Personal Data Assistant)와 같은 휴대용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엘리베이터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현장 PDA와; 입력받은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여 현장 PDA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PDA와; 현장 PDA 및 원격 PDA간의 유/무선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서버를 포함한다.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은 현장 PDA가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원격 PDA가 입력받은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여 현장 PDA로 전송하는 단계와; 현장 PDA가 제 2 통신 메시지 내에 포함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REMOTE ELEVATOR DIAGNOSI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진단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와 같은 휴대용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엘리베이터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유지 및 보수는 빌딩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대한 점검요청 및 고장신고 접수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현장을 방문하여,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진단한 다음 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신고가 접수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는 직렬 통신 모듈(106), 디스플레이 모듈(108), 도움말 기능 모듈(110)을 포함한다. 직렬 통신 모듈(106)은 직렬 통신 방식(예컨데, RS232)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부(102)와 통신하여 고장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에러 테이블(error table)이나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cod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8)은 엘리베이터 제어부(1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신고를 접수하면(도 2의 단계(S202)),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도 1 참조)를 휴대하고,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장소를 방문한다. 그 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8)에 표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장 원인을 찾아내거나, 강제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면서 고장 원인을 찾는다(도 2의 단계(S204)). 또한,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의 도움말 기능 모듈(110)을 사용하여 현재의 엘리베이터 동작상태와 관련된 도움말을 참조하거나, 도움말 기능 모듈(110)의 고장추적기능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장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한다.
이러한 작업자의 고장 처리 작업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고장이 해결되지 않으면(도 2의 단계(S206)), 작업자는 고장난 엘리베이터에 대해 임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게 고장처리를 의뢰한다. 그러면,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는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하여 작업자가 수행했던 고장처리 과정부터 다시 반복하여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분석한 다음(도 2의 단계(S208)),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고장처리를 완료한다(도 2의 단계(S210)).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일상적인 점검이나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순한 고장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부(102) 내부의 연산 오류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보이지 않는 고장 등 작업자가 현장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고장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임시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게 고장처리를 의뢰하고, 그 후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작업자가 수행했던 고장처리과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처리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게 고장처리를 의뢰하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사양(specification)(예컨대,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나 가속도 등에 관한 데이터)이나 엘리베이터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빌딩내 엘리베이터 층수,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 부하, 이동 방향 등)를 조작해야만 하는 경우로서, 엘리베이터 제어부 내의 전자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현장에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없고 고장처리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고장처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불만이 커지고 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작 회사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고장처리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지의 상위 기술자나 시스템 개발자에 의해 분석되어 마련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에 근거하여, 신속하고 적은 비용으로 엘리베이터 고장처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PDA와 같은 휴대용 통신수단을 이용한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이 제공된다.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 1 휴대용 통신수단과;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휴대용 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통신수단간의 유/무선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원격 진단시스템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은 a)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통신 서버를 통해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를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 내의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300)은 원격 PDA(Personal Data Assistant)(302), 통신 서버(304), 엘리베이터 제어부(306), 현장 PDA(308)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장 PDA(308)와 원격 PDA(302)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부(306)가 각각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300)이 원격 PDA 및 현장 PDA에 대해 다수의 현장 PDA 및 원격 PDA 그리고 다수의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격 PDA 및 현장 PDA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원격 PDA 및 현장 PDA가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게 하거나 서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PDA의 적용(현장 또는 원격)에 관계없이 범용 기능을 수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되거나, 적용에 따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PDA"라는 것은 "현장 PDA"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원격지에 위치되어 통신 서버를 통해 "현장 PDA"와 통신하는 PDA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현장 PDA"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장소에 위치되어 통신 서버를 통해 "현장 PDA"와 통신하는 PDA를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즉, "현장 PDA"와 "원격 PDA"를 구분하는 기준은 엘리베이터(즉,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직접 연결되어 통신하는지의 유무에 따른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 PDA(3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으로써 고장처리를 완료한다. 현장 PDA(308)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통신 모듈을 통해 직렬 통신 방식(예컨대, RS232)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부(306)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표시한다. 또한, 현장 PDA(308)는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 서버(304)를 통해 원격 PDA(302)로 전송하고, 원격 PDA(3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채용된 현장 PDA(308)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의 기능인 로컬(local) 기능 및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로컬 기능은 현장에서 엘리베이터의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며 원격 기능은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의 도움을 얻어 엘리베이터의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다.
통신 서버(304)는 현장 PDA(308)와 원격 PDA(302)간의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TCP/IP 통신 방식으로 유/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원격 PDA(302)는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휴대하고 있는 것으로,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서버(304)와 연결되어 있으며, 현장 PDA(308)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며 표시한다. 또한, 원격 PDA(3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 의해 마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 서버(304)를 통해 현장 PDA(308)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현장 PDA(308)의 로컬 기능이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104)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원격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한 현장 PDA(308)의 구성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PDA(308)는 디스플레이 모듈(402), 데이터처리 모듈(404), 직렬 통신 모듈(406), TCP/IP 통신 모듈(40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현장 PDA(308)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모듈(4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PDA 화면 윈도우(window)일 수 있다. 직렬 통신 모듈(406)은 엘리베이터 제어부(306)에 직접 연결되어 직렬 통신 방식(예컨대, RS232)으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처리 모듈(404)로 전달한다. TCP/IP 통신 모듈(408)은 통신 서버(304)와 TCP/IP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원격 PDA(302)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직렬 통신 모듈(406)을 통해 수신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TCP/IP 통신 모듈(408)을 통해 수신한 원격 PDA(302)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402)로 전달하며, 이들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PDA 화면을 정의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일시 저장을 위한 버퍼(buffer)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데이터처리 모듈(40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며, 데이터처리 모듈(404)에 의해 정의된 PDA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해결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 고장에 직면한 경우, 작업자는 휴대한 현장 PDA(308)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에 연결하고 현장 PDA(308)의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현장 PDA(308)는 통신모드에서 직렬 통신 모듈(406)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부(306)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며, TCP/IP 통신 모듈(408)을 통해 통신 서버(304)와 TCP/IP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통신모드에서, 현장 PDA(308) 상에 표시되는 기본화면의 일예가 도 5a에 나타나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장 PDA(308)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수신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기본화면을 표시한다. 도 5a에 나타낸 기본화면은 원격 PDA(302)에서도 동일하게 표시된다.
다음에, 작업자가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게 고장분석을 요청하는 경우, 현장 PDA(308)는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PDA(302)로 전송하기 위해 동작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현장 PDA(308)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라이언트 모드 화면을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모드 화면에서, 참조번호(502)는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이며, 참조번호(506)는 원격 PDA(302)와 통신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이고, 참조번호(504)는 원격 PDA(302)로부터 수신한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의 분석 데이터 중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 전송할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있는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PDA(302)는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 서버(304)와 통신한다. 이때, 원격 PDA(3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본화면을 표시한다. 원격 PDA(302)가 통신 서버(304)로부터 고장분석을 의뢰한 현장 PDA의 목록을 수신한 경우,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는 수신한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원격 PDA(302)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격 진단 초기화면을 표시한다.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현장 작업자로부터의 고장분석 의뢰를 열람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선택하면, 원격 PDA(302)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화면을 표시한다. 이어, 원격 PDA(302)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 서버(304)로 전송한다. 통신 서버(304)는 원격 PDA(30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현장 PDA(308)에 그대로 전달한다. 현장 PDA(308)는 원격 PDA(30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응답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통신 서버를 통해 원격 PDA(302)로 전송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306)와 현장 PDA(308)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통신 패킷을 통해 송수신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패킷은 길이(high) 영역, 길이(low) 영역, Op code 영역, Sub Op code 영역, Data 영역, LRC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영역에 대한 내용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300) 내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현장 PDA(308)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및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원격 PDA(302)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및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원격 PDA(302)는 통신 서버(304)에만 연결됨에 따라 직렬 통신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점만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한 현장 PDA(30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원격 PDA(302)는 현장 PDA(308)와 같이 사용자, 즉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며, 이 입력 수단은 원격 PDA(3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PDA 화면 윈도우일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현장 PDA(308)의 직렬 통신 모듈(406)은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이하,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로 지칭함)를 수신한다(단계 S1002). 직렬 통신 모듈(406)은 수신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현장 PDA(308)의 데이터처리 모듈(404)로 송신한다.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수신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 내에 통신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004), 에러가 없는 경우 수신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단계 S1006) TCP/IP 통신 방식으로 원격 PDA(302)에 전송할 통신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1008). 만일, 통신 에러가 있는 경우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다시 수신한다.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작성한 통신 메시지를 TCP/IP 통신 모듈(408)로 출력한다(단계 S1010). 그러면, TCP/IP 통신 모듈(408)은 데이터처리 모듈(404)로부터 수신한 통신 메시지를 통신 서버(304)로 출력하고(단계 S1012), 통신 서버(304)는 수신한 통신 메시지를 원격 PDA(302)의 TCP/IP 통신 모듈(908)로 출력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는 현장 PDA(308)에 의해 메시지로 변환된 다음 통신 서버(304)를 거쳐 원격 PDA(302)로 전달된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PDA(302)의 TCP/IP 통신 모듈(908)은 통신 서버(304)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처리 모듈(906)로 전달한다(단계 S1202). 데이터처리 모듈(906)은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모듈(904)을 통해 표시할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204). 데이터처리 모듈(906)은 추출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자체에 마련된 버퍼 내에 저장한 다음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904)로 출력한다(단계 S1206). 디스플레이 모듈(904)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 상에 수신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화면을 갱신한다(단계 S1208). 그러면, 원격 PDA(302)를 휴대하고 있는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는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 고장을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단계 S1210). 원격 PDA(302)는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 의해 마련된 고장처리방안을 현장 PDA(308)로 출력한다(단계 S1212). 또한, 원격 PDA(302)는 또다른 현장 PDA(308)로부터 수신된 고장처리 의뢰를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작업(예컨대, 대기중인 현장 PDA 목록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격 PDA(302)가 현장 PDA(308)로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에 의해 마련된 고장처리방안을 송신하기 위한 과정(도 12의 단계(S1212))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원격 PDA(302)의 입력 수단은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입력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데이터처리 모듈(906)로 출력한다(단계 S1302). 원격 PDA(302)의 데이터처리 모듈(906)은 입력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분석하여(단계 S1304) 현장 PDA(308)로 출력할 통신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1306). 여기서, 통신 메시지는 통신시 필요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데이터처리 모듈(906)은 작성한 통신 메시지를 자체에 마련된 버퍼 상에 저장하고(단계 S1308) 버퍼 상에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1310). 이 단계에서 원격 PDA(302)가 버퍼 상에 저장된 통신 메시지의 유무를 검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격 PDA(302)는 현장 PDA(308)와 주기적으로(예컨대, 500ms) 통신하여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원격 PDA(302)는 전송할 통신 메시지가 있으면 이를 현장 PDA(308)로 전송하고, 통신 메시지가 없으면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현장 PDA(308)에게 요청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상승 중이면 원격 PDA(302)는 엘리베이터의 현재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현장 PDA(308)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격 PDA(302)의 자체에 마련된 타이머(timer)(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새로운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현장 PDA(308)에게 요구하여 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전의 데이터는 수신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로 갱신된다. 따라서, 원격 PDA(302)는 이전에 작성된 통신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갱신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새롭게 작성된 통신메세지를 현장 PDA(308)로 전송하기 위해, 버퍼 내에 통신 메시지가 남아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다.
데이터처리 모듈(906)은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없는 경우 리턴하여 통신 메시지 존재유무를 반복하여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있는 경우, 이를 TCP/IP 통신 모듈(908)로 출력한다(단계 S1312). TCP/IP 통신 모듈(908)은 수신한 통신 메시지를 통신 서버(304)로 출력한다(단계 S1314). 그러면, 통신 서버(304)는 통신 메시지를 TCP/IP 통신 방식으로 현장 PDA(308)의 TCP/IP 통신 모듈(408)로 전송한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PDA(308)의 TCP/IP 통신 모듈(408)은 통신 서버(304)로부터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처리 모듈(404)로 출력한다(단계 S1102). 현장 PDA(308)의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수신한 통신 메시지에 포함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단계 S1104), 이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 전송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패킷 구조를 갖는 통신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1106).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작성한 통신 메시지를 자체에 마련된 버퍼에 저장하고(단계 S1108), 버퍼에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1110). 현장 PDA(308)가 버퍼에 저장된 통신 메시지의 유무를 검사하는 이유는 원격 PDA(302)로부터 새롭게 수신한 통신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통신 메시지가 있는 경우 이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데이터처리 모듈(404)은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없는 경우 리턴하여 통신 메시지 존재유무를 반복하여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저장된 통신 메시지가 있는 경우 직렬 통신 모듈(406)로 출력한다(단계 S1112). 직렬 통신 모듈(406)은 수신한 통신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 출력하고(단계 S1114), "Send Event"를 발생시켜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단계 S1116). 추후, 엘리베이터 제어부(306)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전술한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원격 PDA를 이용하여 현장 PDA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다시 현장 PDA로 전송함으로써, 상위 기술자나 개발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복잡한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직접 현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고장처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고 예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현장 PDA(Personal Data Assistant)의 구성도.
도 5a는 현장 PDA 및 원격 PDA 기본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현장 PDA의 클라이언트 모드(client mode)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3에 도시한 원격 PDA의 원격 진단 초기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원격 PDA의 동작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내에서 현장 PDA와 엘리베이터 제어부간의 통신시 사용되는 통신 패킷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통신 패킷의 각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0은 현장 PDA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 PDA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현장 PDA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원격 PDA가 현장 PD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원격 PDA가 현장 PD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 원격 PDA
304 : 통신 서버
306 : 엘리베이터 제어부
308 : 현장 PDA
402, 904 : 디스플레이 모듈
404, 906 : 데이터 처리 모듈
408, 908 : TCP/IP 통신 모듈
406 : 직렬 통신 모듈

Claims (14)

  1. 원격지에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하기 위한 제 1 휴대용 통신수단과,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휴대용 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통신수단간의 유/무선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은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출력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직렬 통신 모듈과,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모듈과,
    상기 통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TCP/IP 통신 모듈과,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은,
    상기 통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TCP/IP 통신 모듈과,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모듈과,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메시지, 상기 동작관련 데이터,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모듈은 직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통신하며, 상기 TCP/IP 통신 모듈은 상기 통신 서버와 유/무선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은 사용자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인스트럭션을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직렬 통신 모듈 및 상기 TCP/IP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은 사용자의 인스트럭션 및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TCP/IP 통신 모듈은 상기 통신 서버와 유/무선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인스트럭션 및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로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TCP/IP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은 PDA(Personal Data Assistant)를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8. 청구항 1에 기재된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여 고장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통신 서버를 통해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1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엘리베이에 대한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를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2 통신 메시지 내의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는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 내에 통신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상태 관련 데이터는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메시지는 동일한 형식의 메시지이며,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2) 새로운 통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새로운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3 통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e)는 상기 제 3 통신 메시지를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f2) 상기 제 3 통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휴대용 통신수단이 상기 제 3 통신 메시지 내의 상기 새로운 고장처리방안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통신수단 각각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구비하되,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통신수단의 기능(function)을 동일하게 정의하거나 상이하게 정의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KR1020030090102A 2003-12-11 2003-12-11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KR10056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02A KR100567284B1 (ko) 2003-12-11 2003-12-11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02A KR100567284B1 (ko) 2003-12-11 2003-12-11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891A true KR20050057891A (ko) 2005-06-16
KR100567284B1 KR100567284B1 (ko) 2006-04-05

Family

ID=3725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102A KR100567284B1 (ko) 2003-12-11 2003-12-11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346A1 (en) * 2011-10-14 2013-04-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JPWO2020039468A1 (ja) * 2018-08-20 2020-08-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電子マニュアルの作成装置および閲覧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03B1 (ko) 2015-03-16 2016-06-23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승강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원격 화상지원 시스템
KR20230161050A (ko)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리포미스트 화상 원격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346A1 (en) * 2011-10-14 2013-04-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CN103874647A (zh) * 2011-10-14 2014-06-18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用于自动化维护的消息传送的升降机系统
US9580276B2 (en) 2011-10-14 2017-02-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JPWO2020039468A1 (ja) * 2018-08-20 2020-08-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電子マニュアルの作成装置および閲覧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284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4230B2 (en) Passenger conveyor performance rating system
KR101335929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EP2336070B1 (de) Verfahren zur Ferndiagnose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005328B2 (ja)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KR100948360B1 (ko)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JPH08265424A (ja) 技術者のポータブル試験及び通信装置に備わっているターミナルエミュレーション駆動オペレーションサポートシステムトランスレーション機構と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JP2001324200A (ja) 空気調和機の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監視センタ用サーバシステム
JPH08329375A (ja) 保守作業等支援装置
JP2002060152A (ja) エレベータの遠隔操作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エレベータの遠隔操作方法
WO2001081836A1 (fr) Systeme de surveillance de climatiseur
WO2006016405A1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KR10056728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진단시스템 및 방법
JP5334013B2 (ja) 現地エレベータの物件データ確認システム
JP7412316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2003010137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ause of a fault in a medical device, and a medical device
JP3818017B2 (ja) 空気調和装置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
CN110255316B (zh) 管理服务器以及管理系统
JP6482734B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H0795305A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守用コンソール
KR102506224B1 (ko)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근로자 주도 서비스 시스템
JP4617535B2 (ja) 空気調和装置の情報表示システム、表示データ送信装置及び情報表示装置
JP2005225634A (ja)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システム
KR100572704B1 (ko) Pdp 화면 분할을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60077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969786B1 (ko)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