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075A -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075A
KR20050057075A KR1020057003557A KR20057003557A KR20050057075A KR 20050057075 A KR20050057075 A KR 20050057075A KR 1020057003557 A KR1020057003557 A KR 1020057003557A KR 20057003557 A KR20057003557 A KR 20057003557A KR 20050057075 A KR20050057075 A KR 2005005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obile station
base station
bt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하야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Abstract

주파수간 HO 동안에, HO 수신지 BTS (2) 는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들에서, HO 발신 주파수에서 HO 발신 BTS (1) 에 의해 MS (3) 로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O 수신지 주파수로 MS (3) 으로 송신한다. 또한, MS (3) 는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들에서 HO 발신 주파수에서 HO 수신지 주파수로 스위칭하여, MS (3) 는 HO 발신 주파수에서 BTS (2) 로 송신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BTS (1) 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TER-FREQUENCY HO METHOD, MOBILE STATION,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 DEVICE, AND PROGRAM}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이동 통신 시스템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HHO (하드 핸드 오버 (Hard Hand Over)) 에 대한 절차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주파수간 HHO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주파수간 HHO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W-CDMA 이동 통신 시스템은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서 논의된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통상적으로, 기지국 (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은,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며, 이들 주파수들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국과 통신한다. 그러나,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 (1) 의 통신 영역인 셀 (10) 에서의 주파수 fl에서 통신을 하고 있는 MS (3) 가, 단지 주파수 f2만 갖고 있는 BTS (2) 의 통신 영역인 셀 (20) 로 이동하는 경우, MS (3) 은 주파수 f1으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하여야만 한다. 이 동작을 "주파수간 HHO (상이한 주파수 HHO)" 이라 한다.
주파수 f1으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은 BTS (1) 의 통신 영역내에서 BTS (1) 의 주파수 f1으로부터 BTS (1) 의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 (도 1b 참조), 및 BTS (1) 의 통신영역과 BTS2의 통신영역이 서로 겹치는 영역에서 BTS (l) 의 주파수 f1으로부터 BTS (2) 의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 (도 1c 참조) 을 포함한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MS (3) 는 기껏해야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가지며, 따라서 MS (3) 는, HHO 발신 주파수 f1에서 통신을 하면서, HHO 수신지 주파수 f2에서 HHO 수신지 BTS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MS (3) 는 주파수간 HHO에서 "콤프레스트 모드 (compressed mode)" 로 지칭되는 간헐적인 통신을 구현하는 모드로 진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스트 모드는 주파수간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이한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고,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시간 인터발들인 갭들을 갖는 제한된 통신 모드이다.
따라서, 콤프레스트 모드는, BTS (1) 이 MS (3) 에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은 시간 인터발 (갭) 을 포함하는 간헐적 통신 모드이지만, BTS (1) 과 MS (3) 사이의 정상 통신동안에도, MS (3) 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시간 인터발에서 BTS (1) 로부터 MS (3) 로의 데이터 송신이 정지되는 간헐적 통신이 수행된다. 그러나 정상 통싱에서, BTS (1) 으로부터 MS (3) 로의 송신이 정지되는 인터발의 포지션 및 길이는 BTS (l) 에서 MS (3) 로의 송신 데이터의 거동에 의존하고, 이들 인터발의 포지션과 길이는 어떠한 규칙성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콤프레스트 모드에서, BTS (1) 으로부터 MS (3) 으로의 송신 데이터는, 송신되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패턴 (CM pattern) 에 따라 일정 규칙에 따라 정지된다. 즉, 콤프레스트 모드 동안에 발생하는 갭들의 길이 및 포지션은 규칙적이고 미리 정해진 패턴을 따른다.
콤프레스트 모드에 관한 세부 사항은 3GPP 표준 "TS25.212 v3.5.04.4:Compressed Mode" 및 "TS25.2l5 v3.5.06.1.1:Compressed Mode"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1-224053 호(4페이지, 도 1-2 참조) 에 기재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HHO 수신지 BTS (2) 는 모든 주파수들에서 CPICH (공통 파일럿 채널) 의 공통 파일롯 신호를 계속하여 송신하며, 이 공통 파일럿 신호는 기준신호이다. 주파수간 HHO 의 시간에서, MS (3) 는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으로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스위칭하여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신호을 수신한다. HHO 수신지 BTS으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MS (3) 는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시프팅하더라도, 시프팅전과 같은 수신품질이 획득되는 것, 즉 이 수신품질을 획득할 수 있는 전력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하며, 또한 HHO 수신지 주파수 f2의 다운링크 신호의 타이밍을 확인한다. 도 2에서, HHO 발신 BTS는 BTS (1) 이고 HHO 수신지 BTS는 BTS (2) 이지만,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는 또한 동일의 BTS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MS (3)는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을 이용하여,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신호의 일부를 수신한다. 따라서, 다운링크에 관계없이, MS (3) 는 주파수간 HHO 종료 이후, BTS (2) 로부터의 적당한 수신품질의 신호를 즉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에 관해서, HHO 수신지 BTS (2) 는 주파수간 HHO의 시간에서 MS 로부터의 HHO 수신지 주파수 f2를 모니터링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지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주파수간 HHO를 종료한 이후에 초기의 업링크 송신 전력은 적당한 수신 품질을 보장하지 않으며, 또한 BTS (2) 는 MS (3) 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획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파수간 HHO의 종료로부터 인터발 동안, BTS (2) 가 MS (3) 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수신타이밍을 검출하기까지 BTS (2) 는 MS (3) 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도 2 에서의 인터발 T 참조). 또한, 인터발 T에서, MS (3) 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가 BTS (2) 에 의해 수신되지 않고 따라서, BTS (2) 와 MS (3) 사이의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가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아, 수신특성의 열화나 간섭의 증가가 발생할 잠재성이 있다.
또한, 도 l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HHO 발신 BTS (1) 의 통신 영역과 HHO 수신지 BTS (2) 의 통신영역이 겹치는 영역에서 MS (3) 가 주파수간 HHO를 수행하는 경우, MS3는 이들 BTS (1) 및 BTS (2) 의 최대 거리에 있어, 따라서 MS (3) 의 스탠드 포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수신감도는 불량하다. 수신감도에서의 이러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각각의 BTS 는 MS (3) 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야만 하지만, 그러나 이 다운링크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는 다른 MS 에 대한 다운링크 간섭을 증가시킨다.
동일한 주파수의 BTS 사이 핸드 오버 (DHO : Diversity HO) 또는 섹터들 사이의 핸드 오버 (Softer HO) 와 같이,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HO 발신 BTS에서 로부터 HO 수신지 BTS로의 시프팅하는 경우, 이들 BTS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MS 는 다이버시티 이득 및 히트없이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간 HHO에서는, MS (3) 는 HO 발신 BTS (1) 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와 HO 수신지 BTS (2)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할 수 없으며, 또한, 히트 없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간 HO를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또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과 이 이동국이 무선으로 접속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통신이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으로 수행되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그 갭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그 갭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간 HO 방법은, 이동국과 이 이동국이 무선으로 접속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통신이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으로 수행되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주파수간 HO 방법은, 그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갭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HO 수신지 주파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주파수간 HO 방법은, 이동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이동국이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그 갭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은,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 있어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고, 이동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그 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가지는 이동국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이동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갭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소로써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기지국이고, 이 기지국은,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HO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O 수신지 주파소로써 이동국으로 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통신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그 프로그램은 HO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갭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통신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서, 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HO 발신 주파수로써 HO 발신 기지국을 통해, 그리고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갭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와 상호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적 합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을 가지는 간헐적 통신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그 프로그램은, HO 발신 주파수로써 HO 발신 기지국을 통해, 그리고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갭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와 상호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적 합성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을 주파수간 HO 동안에 이용함으로써, 이동국과 HO 발신 주파수를 이용한 HO 발신 기지국 사이의 통신과 이동국과 HO 수신지 주파수를 이용한 HO 수신지 기지국사이의 통신 모두를 교대로 수행하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되는 데이터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해 획득된 효과는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를 스무스하고 안정되게 수행하는 능력이다. HO 수신지 기지국이, 갭에서, HO 발신 기지국이 HO 발신 주파수로써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또한, 이동국이, 갭에서, HO 발신 주파수로부터 HO 수신지 주파수로 주파수를 스위칭하여, 이동국이, HO 발신 기지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O 수신지 기지국으로 갭에서 송신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 내지 도 1c 는 주파수간 HHO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주파수간 HHO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서의 BT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에서의 MS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에서의 RNC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 은 함수 f[x] 의 특성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 은 도 13 내지 도 15 에 도시된 흐름도들에 따른 타겟 SIR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 의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바람직한 모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 2), 이동국 (MS ; Mobile Station) (3),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 Radio Network Contro1ler) (4) 로 구성되어 있고, RNC (4) 는 코어 네트워크 (CN ; Core Network) 에 접속되어 있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BTS (l)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 (1) 는, 수신기 (11), 검색/디코딩 유닛 (12), 업링크 신호 모니터 유닛 (13), HHO 제어기 (14), 국부 발진기 (15), 및 송신기 (16) 으로 구성된다. BTS (2) 의 구성은 도 4 에 도시된 BTS (1) 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MS (3) 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 (3) 은 수신기 (21), 검색/디코딩 유닛 (22), 다운링크 신호 모니터 유닛 (23), HHO 제어기 (24), LO (25), 및 송신기 (26) 로 구성된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RNC (4) 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 (4) 는 선택 합성 유닛 (31), 제어기 (32), 및 I/F (인터페이스) (33, 34) 로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10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 에서, 주파수간 HHO (하드 핸드 오버) 의 시간에서, MS (3) 는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에서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주파수를 스위칭하고,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 송신된 공통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모니터링을 이미 도 2 를 통해 설명하였고, 따라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종료하는 경우, MS (3) 는 HHO 발신 주파수 f1 을 이용하여 HHO 발신 BTS (1) 를 통해 RNC (4) 로 이 종료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응답하여, RNC (4) 는 BTS (1), BTS (2) 및 MS (3) 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을 통지한다. MS (3) 는 RNC (4) 로부터의 이 새로운 패턴을 HHO 발신 BTS (1) 를 통해 수신한다.
그 후, MS (3) 및 HHO 수신지 BTS (2) 는 HHO 수신지 주파수 f2 를 사용하여 통지된 패턴의 갭 인터발에서 MS (3) 와 HHO 수신지 BTS (2)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MS (3) 와 HHO 발신 주파수 f1 을 사용하는 HHO 발신 BTS (1) 간의 통신, 및 MS (3) 와 HHO 수신지 주파수 f2 를 사용하는 HHO 수신지 BTS (2) 간의 통신은 이들 갭들을 교대로 사용하여 실행되고 이들 주파수 f1 및 f2 를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되는 데이터는 동일하다.
즉, 통지된 패턴의 갭으로, HHO 수신지 BTS (2) 는, HHO 발신 BTS (1) 가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써 HHO 발신 BTS (1) 으로부터 MS (3) 로 송신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써 MS (3) 에 송신한다. 또한, 통지된 패턴의 갭으로, MS (3) 는 HHO 발신 주파수 f1 으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주파수를 스위칭하고, MS (3) 는, MS (3) 로부터 HHO 발신 BTS (l) 으로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써 송신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HHO 수신지 BTS (2) 로 송신한다.
통지된 패턴의 갭으로, HHO 수신지 BTS (2) 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 데이터의 송신에 부가하여, MS (3) 는 파일럿신호도 HHO 수신지 BTS (2) 에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이 데이터는 DPCH (전용 물리 채널 ; Dedicated Physical Channel) 의 DPDCH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 ;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파일럿 신호는 DPCH의 DPCCH (전용 물리 제어 채널 ; Dedicated Physical Contro1 Channel) 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HHO 수신지 BTS (2) 는 갭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 모니터 유닛 (13) 을 통해 MS (3) 로부터의 파일롯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MS (3) 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모니터링에 유사하게, MS (3) 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모니터링은HHO 수신지 BTS (2) 가 MS (3) 으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 의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이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며, HHO 수신지 BTS (2) 가 MS (3) 로부터의 HHO 수신지 주파수 f2의 수신 타이밍을 체크하도록 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HHO 발신 BTS는 BTS (1) 이고, HHO 수신지 BTS는 BTS (2)이지만, 그러나 또한,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는 동일한 BTS일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 는 MS (3) 와 HHO 발신 BTS 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MS (3) 와 HHO 수신지 BTS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송수신은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에서의 갭의 포지션에서 MS (3) 가 주파수를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HHO 수신지 BTS로부터 파일롯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뒤이어지는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에서, 각 프레임의 약 절반 정도가 갭 인터발로서 확보된다.
도 7 은 다운링크 수신 동작을 나타낸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HHO 발신 BTS 주파수 f1 과 HH0 수신지 주파수 f2 사이의 스위칭에 의해, MS (3) 는,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 (CM 패턴) 에 따라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써 HHO 발신 BTS (1) 으로부터 MS (3) 로 송신되는 데이터 Dl 내지 D6 및,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써 HHO 수신지 BTS (2) 로부터 MS (3) 로 송신되는 데이터 Dl' 내지 D6' 를 수신한다. 그 후, MS (3) 는 수신된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한다.
데이터 Dl과 데이터 Dl'가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2와 데이터 D2'가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3와 데이터 D3'가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4와 데이터 D4'가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5와 데이터 D5'가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6과 데이터 D6' 가 서로 동일한 데이터이다.
도 7 에서는, HHO 발신 BTS 는 BTS (l) 이고 HHO 수신지 BTS는 BTS (2) 이지만,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8 은 BTS (1) 이 HHO 발신 BTS 이고 또한 HHO 수신지 BTS 이기도 하는 경우의 BTS (1) 의 업링크 수신동작을 도시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 (1) 는,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트 패턴에 따라, MS (3) 으로부터 HHO 발신 주파수 f1로써 송신되는 데이터 D11 내지 Dl6 및,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패턴에 따라 MS (3) 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써 송신되는 데이터 D11' 내지 D16'를 수신한다. 그 후, BTS (1) 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한다.
또, 데이터 Dl1과 데이터 Dl1'은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12와 데이터 D12'는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l3과 데이터 D13' 는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14와 데이터 Dl4'는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15와 데이터 D15'가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16과 데이터 D16'가 서로 동일의 데이터이다.
도 7 및 도 8 에서, MS (3) 가 BTS (1) 로부터의 데이터 D1을 수신하는 경우, MS (3) 의 주파수는 주파수 fl이고, 이 때에 MS (3) 는 BTS (1) 으로 데이터 Dl1을 송신한다. 데이터 D1은 데이터 Dl1과 동일하지 않다. 또한, MS (3) 가 HHO 수신지 BTS로부터 데이터 Dl을 수신하는 경우, MS (3) 의 주파수는 주파수 f2이고, 이 때에 MS (3) 는 HHO 수신지 BTS로 데이터 Dl1'를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Dl'는 데이터 Dl1'와 서로 동일하지 않다.
도 9 는 HHO 발신 BTS가 BTS (1) 이고 HHO 수신지 BTS가 BTS (2) 인 경우의 각각의 BTS의 업링크 동작을 나타낸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 (1) S,S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MS (3) 로부터 HHO 발신 주파수 f1으로써 송신되는 데이터 D21 내지 D26을 수신하고, BTS (2) 는,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MS (3) 으로부터 HHO 수신지 주파수 f2로써 송신되는 데이터 D21' 내지 D26'를 수신한다. 그후, BTS (l) 과 BTS (2) 는 수신된 데이터를 RNC (4) 로 송신한다. RNC (4) 는, BTS (1) 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와 BTS (2) 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합성한다.
데이터 D21과 데이터 D2l'는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22와 데이터 D22'는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23과 데이터 D23'는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24와 데이터 D24'는 서로 동일하며, 데이터 D25와 데이터 D25'는 서로 동일하고, 데이터 D26과 데이터 D26'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이다.
도 7 및 도 9 에서, MS (3) 가 BTS (1) 으로부터 데이터 D1을 수신하는 경우, MS (3) 의 주파수는 주파수 f1이고, 이 때에 MS (3) 는 BTS (1) 로 데이터 D 21 을 송신한다. 데이터 D1과 데이터 D21는 서로 동일하지 않다. 또한, MS (3) 가 BTS (2 으로부터 데이터 D1'를 수신하는 경우, MS (3) 의 주파수는 주파수 f2이고, 이 때에 MS (3) 는 BTS (2) 로 데이터 D21'를 송신한다. 데이터 D1'와 데이터 D21'는 서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주파수간 HHO 의 시간에서, MS (3) 는, MS (3) 로부터 HHO 발신 BTS에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의 데이터를 갭을 이용하여 HHO 수신지 BTS로 전송하고, HHO 수신지 BTS 는 HHO 발신 BTS로부터 MS (3) 로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갭을 이용하여 MS (3) 로 송신한다. 따라서, 주파수간 HHO 는 동일-주파수의 BTS 사이의 HO (DHO : Diversity HO) 또는 인터-섹터 HO (소프터 HO) 와 같이, 히트 없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절차들에 기초하여, MS (3) 와 HHO 발신 BTS 사이의 다운링크 및 MS (3) 과 HHO 수신지 BTS 사이의 다운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TPC) 에 사용되는 타겟 SIR (신호 대 간섭비) 와, MS (3) 와 HHO 발신 BTS 사이의 업링크 및 MS (3) 과 HHO 수신지 BTS 사이의 업링크의 TPC에 사용되는 타겟 SIR이 가변적으로 제어된다.
[1]다음의 변수들은 MS (3) 와 HHO 발신 BTS (1) 사이의 다운링크 및 MS (3) 와 HHO 수신지 BTS (2) 사이의 다운링크의 TPC에 사용되는 타겟 SIR의 가변 제어를 위해 정의된다 (모든 값들은 진실값이고 dB 가 아니다).
●SIR (ms) : RNC (4) 로부터 지정되는 MS (3) 의 타겟 SIR.
●SIR(dv_ms) : MS (3) 에서의 1 프레임분의 합성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신 SIR.
●Gain (ms) : MS (3) 의 다이버시티 이득.
●SIR(hho_ms) : 다이버시티 이득을 고려한 MS (3) 의 타겟 SIR.
주파수간 HHO 에서의 다운링크 TPC는, SIR (hho_ms) 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SIR (hho_ms) 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0) SIR (hho_ms) 의 초기값으로서, SIR (hho_ms) 의 값은 SIR (ms) 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1) MS (3) 와 BTS (2) 사이에 의 다운링크의 동기화가 확립할 때까지는, 즉, BTS (2) 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MS (3) 에 있어서 CRC (주기적인 잉여 체크 : Cyclic Redundancy Check) 결정이 가능해질때까지는, SIR (hho_ms) 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다운링크 동기화가 확립된 이후, SIR (hho_ms) 는 (2) 를 통해 절차의 개시에 따라 변화된다.
(2) 각 타임 슬롯에 대한 SIR (hho_ms) 에 따라, MS (3) 와 BTS (1) 사이의 다운링크 및 MS (3) 와 BTS (2) 사이의 다운링크의 TPC가 실시된다.
(3) BTS (1) 및 BTS (2) 의 각각으로부터 1프레임분의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각각의 동일 데이터는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으로 합성되고, 1프레임분의 합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수신 SIR (= SIR (dv_ms)) 가 산출된다 (도 7 참조).
(4) Gain(ms)= SIR(dv_ms) - SIR(ms).
(5) SIR(hho_ms)= SIR(ms) - Gain (ms)/2.
(6) 뒤이어서,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각 프레임에 대해 (2) 내지 (5)의 절차가 반복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HHO 발신 BTS는 BTS (1) 이었고 HHO 수신지 BTS는 BTS (2) 이었지만,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는 동일의 BTS일 수도 있다.
[2] MS (3) 와 HHO 발신 BTS 사이의 업링크 및 MS (3) 와 HHO 수신지 BTS 사이의 업링크의 TPC에 사용되는 타겟 SIR이 가변되는 경우, 이 타겟 SIR의 가변제어를 구현하는 방법은,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가 같은 경우와,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가 다른 경우에서 서로 다르다.
[2-1] BTS (1) 가 HHO 발신 BTS 이고 HHO 수신지 BTS 이기도 하는 경우 (이 경우, "MS (3) 와 HHO 발신 BTS 사이의 업링크"는 MS (3) 로부터 BTS (1) 로 HO 발신 주파수 f1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경로를 위한 링크이고, "MS (3) 와 HHO 수신지 BTS 사이의 업링크"는 MS (3) 로부터 BTS (1) 로 HHO 수신지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이 경로를 위한 링크이다) 에 대해 다음의 변수들이 정의된다 (모든 값들은 진실된 값이고, dB가 아니다).
●SIR (bts) : RNC (4) 로부터 지정되는 BTS (1) 의 타겟 SIR.
●SIR(dv_bts) : BTS (l) 에서의 1 프레임분의 합성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출되는 수신 SIR.
● Gain (bts) : BTS (1) 의 다이버시티 이득.
● SIR (hho_bts) : 다이버시티 이득을 고려한 BTS (l) 의 타겟 SIR.
주파수간 HHO 에서의 업링크 TPC는, SIR (hho_bts) 를 사용하여 실시되고, SIR (hho_bts)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0) SIR (hho_bts) 의 초기값으로서, SIR (hho_bts) 의 값은 SIR (bts) 와 같은 값으로 설정된다.
(1) MS (3) 와 HHO 수신지 BTS 사이에서 다운링크의 동기화가 확립될 때까지는, 즉, MS (3) 으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BTS (1) 에 있어서 CRC 결정이 가능해질 때까지는, SIR (hho_bts) 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업링크 동기화가 확립된 이후, SIR (hho_bts) 의 값은 (2) 로 시작되는 절차들에 따라 변화된다.
(2) 각 타임 슬롯에 대한 SIR (hho_bts) 에 따라 MS (3) 와 HHO 발신 BTS 사이의 업링크 및 MS (3) 와 HHO 수신지 BTS 사이의 업링크의 TPC가 실시된다.
(3) MS (3) 로부터 주파수 f1 및 f2의 각각을 사용하여 송신된 l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각각이 동일한 데이터를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하여, 1 프레임분의 합성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수신 SIR (= SIR(dv_bts)) 가 산출된다 (도 8참조).
(4) Gain (bts) = SIR(dv_bts) - SIR (bts).
(5) SIR (hho_bts)= SIR(bts) - Gain (bts)/2.
(6) 뒤이어서,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각 프레임에 대해 (2) 내지 5) 의 순서가 반복된다.
[2-2] BTS (1) 가 HHO 발신 BTS 이고 BTS (2) 가 HHO 수신지 BTS 인 경우는, 전술한 [2-l] 과 다르고, BTS (l) 및 BTS (2) 의 호스트 장치인 RNC (4) 의 제어를 요구한다. 다음의 변수들이 정의된다 (모든 값들은 진실한 값들이고 dB가 아니다).
●SIR (bts) : RNC (4) 로부터 지정되는 BTS (1) 및 BTS (2) 의 타겟 SIR.
●△(btsl) : BTS (1) 의 SIR (bts) 에 대한 오프셋.
●△(bts2) : BTS (2) 의 SIR (bts) 에 대한 오프셋.
N : 이하에서 설명되는 n1 및 n2를 산출하기 위한 상수.
Nl : RNC (4) 의 선택적 합성 프로세싱에 있어서,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에서 BTS (l)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된 횟수 (도 7 에 나타낸 예에서,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은 1 프레임이다).
●nl[i] :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의 (N-i)번째의 선택 단위 인터발에서 BTS (1)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l"은 데이터가 선택된 것을, "0" 은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N1 = Σnl[i].
N2 : RNC (4) 의 선택적 합성 프로세싱에 있어서,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에서 BTS (2)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된 횟수.
●n2[i] :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의 (N-i)번째의 선택 단위 인터발에서에서 BTS (2)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1" 은 데이터가 선택된 것을, "0" 은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N2 = Σn2[i].
●f[x] : N1 및 N 2으로부터 △ (bts1) 및 △ (bts2)를 산출하기 위한 함수. 기본적으로, x에 대하여 단조 증가.
●SIR (hho_bts1) : RNC (4) 에서의 선택적 합성을 고려한 BTS (1) 의 타겟 SIR.
●SIR (hho_bts2) : RNC (4) 에서의 선택적 합성을 고려한 BTS (2) 의 타겟 SIR.
●Ml : 요청된 N1 및 N2을 타겟 SIR에 반영하는 인터발 (이하, "반영 인터발"이라 함) 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상수이고, 반영 인터발의 길이는 M1 개의 선택 유닛 인터발이다. Ml은 cntl에 의해 카운트된다.
●M2 : 요청된 N 1 및 N 2을 타겟 SIR에 반영하지 않은 인터발 (이하, "비반영 인터발"이라 함) 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상수이고, 비반영 인터발의 길이는 M2 개의 선택 단위 인터발이다. M2는 cnt2에 의해 카운트된다.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은 RNC (4) 가 하나의 선택 합성을 실시하는 인터발이고, BTS (1) 로부터의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에 대한 데이터와 BTS (2) 로부터의 이 인터발에 대한 데이터는 RNC (4) 에 의해 선택합성된다. 도 9 에 나타낸 예에서,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은 1 프레임이지만, 선택 단위 인터발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약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은 2 프레임이 될 수도 있고, 만약 데이터가 패킷 데이터이면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은 4 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 주파수간 HHO 에서 업링크TPC는 SIR (hho_btsl) 및 SIR (hho_bts2) 을 사용하여 실시되고,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0) SIR (hho_btsl) 및 SIR (hho_bts2) 의 초기값으로서, 이것들의 값은 SIR (bts) 와 같은 값으로 설정된다.
(1) MS (3) 와 BTS (2) 사이의 업링크의 동기화가 확립될 때까지는, 즉, MS (3) 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BTS (2) 에 있어서 CRC가 결정될 수 있을 때 까지는,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업링크의 동기화가 확립된 이후,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 는 (2) 의 절차 및 연속하는 단계들에 따라 변화된다.
(2) 각 타임 슬롯의 SIR (hho_bts1) 에 따라, MS (3) 와 BTS (1) 사이의 업링크이 TPC가 실시된다. 또한, 각 타임 슬롯에 대한 SIR (hho_bts2) 에 따라서, MS (3) 와 BTS (2) 사이의 업링크의 TPC가 실시된다.
(3) 각 BTS로부터의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의 데이터에 대해, RNC (4) 가 선택적 합성을 실시한다 (가장 좋은 수신품질을 가지는 데이터를 선택) (도 9참조). 이 선택적 합성에 의해 각 BTS에서의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를 기록하는데nl[i] 및 n2[i] 의 값이 사용된다.
(4)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에서, BTS (1)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된 횟수 Nl (=Σnl[i]) 과, BTS (2) 로부터의 데이터가 선택된 횟수 N2 (=Σn2[i]) 를 RNC (4) 가 산출한다.
(5) RNC (4) 는 다음의 식에 의해, △(bts1)및 △(bts2) 를 구하여, BTS (1) 및 BTS (2) 에게 통지한다.
△(bts1) = SIR (bts) * f[Nl - (N1 + N2)/2]
△(bts2) = SIR (bts) * f[N2 - (N1 + N2)/2]
함수 f[x]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함수인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반영 인터발에서, RNC (4) 는 상기 식으로 구한 △(btsl) 및 △(bts2) 를 변경없이 그대로 BTS (1) 및 BTS (2) 로 통지한다. 그러나, 비반영 인터발에서는 △(bts1) 및 △(bts2)의 값을 각각 "O" 으로서 통지한다.
(6) MS (3) 와 BTS (1) 사이의 업링크의 TPC에 사용되는 타겟 SIR 인 SIR (hho_btsl) 및 MS (3) 와 BTS (2) 사이의 업링크의 TPC에 사용되는 타겟 SIR 인 SIR (hho_bts2) 가 다음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SIR (hho_bts1) = SIR (bts) + △(bts1)
SIR (hho_bts2) = SIR (bts) + △(bts2)
(7)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각각이 선택 단위 인터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2) 내지 (6) 의 절차가 반복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5 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간 HHO를 수행하는 MS (3) 는, 콤프레스트 모드의 갭 인터발에서, HHO 수신지 BTS (2) 가 모든 주파수로 상시 송신하는 기준 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다운링크 모니터 유닛 (23) 이 HHO 수신지 주파수 f2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획득한다. 이것은 BTS (2)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모니터링을 종료시킨다 (도 11 의 단계 S2). 그 다음에, MS (3) 는, HHO 발신 주파수 f1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를 HHO 발신 BTS (1) 을 통해 RNC (4) 로 통지한다 (도 11 의 단계 S3). 이 통지에 응답하여, RNC (4) 는,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을 BTS (1), BTS (2) 및 MS (3) 로 통지하고, SIR (ms) 를 BTS (1) 를 통해 MS (3) 로 통지하며, SIR (bts) 를 BTS (1) 및 BTS (2) 로 통지한다 (도 11 의 단계 S4). 또한, RNC (4) 로부터 통지되는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은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f1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실시하는 시간과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수신을 실시하는 시간이 서로 시간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1] MS (3) 의 동작
MS (3) 은, 먼저, SIR (hho_ms) 를 초기화한다 (도 1l 의 단계 S5). 그 다음에, MS (3) 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 (4) 로부터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주파수 f1과 주파수 f2를 스위칭하면서, 데이터의 송수신하면서, MS (3) 와 BTS (1) 사이의 다운링크 TPC 및 MS (3) 와 BTS (2) 사이의 다운링크 TPC가 SIR (hho_ms) 를 타겟 SIR로서 가지는 각 타임 슬롯에 대해 수행된다 (도 11의 단계 S6).
즉, MS (3) 는 SIR (hho_ms) 및 BTS (1) 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SIR에 기초하여 TPC 비트를 BTS (l) 로 송신하고, 또한, SIR (hho_ms) 및 BTS (2) 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SIR 에 기초하여 TPC 비트를 BTS (2) 로 송신한다. BTS (1) 및 BTS (2) 의 각각은 MS (3) 으로부터의 TPC 비트에 따라, MS (3) 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MS (3) 는, BTS (l) 및 BTS (2) 의 각각으로부터 1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도 11 의 단계 S7에서, "예"), SIR (hho_ms) 의 값을 변경하는 절차로 진입한다. 그러나, BTS (2) 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SIR (hho_ms) 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 11 의 단계 S8에서, "아니오").
BTS (2) 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되지 않는 경우 (도 11 의 단계 S8에서, "예"), MS (3) 는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수신된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검색/디코딩 유닛 (22) 에서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하여, 합성된 1프레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 SIR (= SIR (dv_ms)) 를 산출한다 (도 1l 의 단계 S9).
그 다음에, MS (3) 는, SIR (dv_ms) 과 SIR (ms) 의 차이인 Gain (ms) 을 산출한다 (도 8 의 단계 Sl0). MS (3) 는, Gain (ms) 을, 주파수 fl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획득된 다이버시티 이득으로 간주하고, SIR (hho_ms) 의 값을 업데이트한다 (도 11 의 단계 Sll). 뒤이어서, MS (3) 는,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단계 S6 내지 단계 S1l 의 동작을 반복한다 (도 11 의 단계 S12).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주파수간 HHO의 시간에서, BTS (1) 및 BTS (2) 는 갭을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MS (3) 는, 갭을 이용하여 주파수 f1과 주파수 f2 사이를 스위칭하면서, BTS (l) 및 BTS (2) 로부터 상호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MS (3) 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이 획득될 수 있어 다른 MS 에 대한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HHO 발신 BTS는 BTS (1) 이고 HHO 수신지 BTS는 BTS (2) 이지만,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는 동일의 BTS 일 수도 있다.
[2] BTS (1), BTS (2) 및 RNC (4) 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가 같은 경우와,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가 다른 경우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은 다르다.
[2-1] BTS (1) 가 HHO 발신 BTS 이고 HHO 수신지 BTS 이기도 한 경우 (BTS 내에서 상이한 주파수 HHO)
HHO 발신 BTS 및 HHO 수신지 BTS가 BTS (1) 인 경우 (도 12 의 단계 Sl3에서, "예"), BTS (1) 는, 먼저, SIR (hho_bts) 를 초기화한다 (도 12 의 단계 S14). 그 다음에,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 (1) 는, RNC (4) 로부터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주파수 f1과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MS (3) 와 BTS (1) 사이에서 주파수 f1을 사용한 업링크 TPC 및 MS (3) 와 BTS (1) 사이에서 주파수 f2를 사용한 업링크 TPC의 각각이, SIR (hho_bts) 를 타겟 SIR 로서 사용하여 각 시간 슬롯에 대해 수행된다 (도 12 의 단계 S15).
즉, BTS (1) 은, SIR (hho_bts) 및 MS (3) 로부터 주파수 fl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SIR에 기초하는 TPC 비트를 MS (3) 로 송신하고, 또한, SIR (hho_bts) 및 MS (3) 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SIR에 기초하는 TPC 비트를 MS (3) 로 송신한다. MS (3) 는, BTS (l) 으로부터의 TPC 비트에 따라,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BTS (1) 에 송신된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BTS (1) 는, MS (3) 로부터 주파수 f1및 f2의 각각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1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도 l2의 단계 S16에서, "예"), SIR (hho_bts) 의 값을 변경하는 절차로 진행한다. 그러나, MS (3) 으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 SIR (hho_bts) 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 l2의 단계 S17에서, "아니오").
만약 MS (3) 로부터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된 경우 (도 12의 단계 S17에서, "예"), BTS (l) 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수신된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검색/디코딩 유닛 (12) 에서 합성 (예를 들어, 최대비 합성) 하여, 합성된 1프레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 SIR(= SIR (dv_bts))를 산출한다 (도 12 의 단계 S18).
그 다음에, BTS (1) 는, SIR (dv_bts) 과 SIR (bts)의 차이인 Gain (bts)를 산출한다 (도 12 의 단계 S19). BTS (1) 는, Gain (bts)을,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획득된 다이버시티 이득으로 간주하고, SIR (hho_bts) 의 값을 업데이트한다 (도 12 의 단계 S20). 뒤이어서, BTS (1) 는,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단계 S15 내지 단계 S20의 동작을 반복한다는 (도 12 의 단계 S21).
이러한 방법으로, 주파수간 HHO의 시간에서, MS (3) 는 갭을 이용하여 주파수 fl과 주파수 f2를 스위칭하면서,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로써 BTS (l) 로 송신하고, BTS (1) 는 MS (3) 으로부터 주파수 f1 및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송신된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BTS (l) 로부터 다이버시티 이득이 회득될 수 있고 그 결과 간섭이 감소된다.
[2-2] HHO 발신 BTS와 HHO 수신지 BTS가 다른 경우 (BTS간의 상이한 주파 HHO)
HHO 발신 BTS가 BTS (1) 이고 HHO 수신지 BTS가 BTS (2) 인 경우 (도 12 의 단계 S13 에서 "아니오"), 먼저, 각각의 변수는 BTS (1), BTS (2) 및 RNC (4) 로써초기화된다 (도 13 의 단계 S22, 도 14 의 단계 S25). 그 다음에, BTS (1) 및 BTS (2) 는 RNC (4) 로부터 통지된 새로운 콤프레스트 모드 패턴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MS (3) 과 BTS (1) 사이의 업링크 TPC 및 MS (3) 와 BTS (2) 사이의 업링크 TPC가 각각,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 을 타겟 SIR로서 사용하여 각 타임 슬롯에 대해 수행된다 (도 13 의 단계 S23).
즉, BTS (1) 는, SIR (hho_bts1) 및 MS (3) 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SIR 에 기초하여 TPC 비트를 MS (3) 로 송신하고, 또한, BTS (2) 는, SIR(hho_bts2) 및 MS (3) 로부터의 수신 SIR에 기초하여 TPC 비트를 MS (3) 로 송신한다. MS (3) 는, BTS (1) 및 BTS (2) 로부터의 TPC비트에 따라, BTS (1) 및 BTS (2) 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BTS (1) 및 BTS (2) 의 각각은, MS (3)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감도 정보와 함께 RNC (4) 로 송신한다 (도 13 의 단계 S24).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 (4) 는 BTS (1) 및 BTS (2) 로부터 통지된 수신 감도 정보에 기초하여 BTS (1) 로부터의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의 데이터와 BTS (2) 로부터의 하나의 선택 단위 인터발의 데이터 중 더 나은 감도를 가지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14 의 단계 S26). 그 다음에, 프로세스는 △(bts1) 및 △(bts2) 의 값을 변경하는 절차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약 BTS (2) 에서 MS (3)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 (도 14 의 단계 S27에서 "아니오"), △(bt1) 및 △(bts2)의 각각의 값은 초기값 (= 0) 으로, 변경하지 않는채로 남는다.
만약 BTS (2) 에서 MS (3) 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가 확립되는 경우 (도 14 의 단계 S27에서 "예"), RNC (4) 는,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에서 BTS (1) 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한 횟수 N1 및 BTS (2) 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한 횟수 N2를 산출한다 (도 l4의 단계 S28 내지 단계 S31).
즉, 단계 S26에서의 선택합성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가 BTS (1) 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 (도 11 의 단계 S28에서 "예"), RNC (4) 는 nl[N-1]의 값을 "1"로 설정하고, n2[N-1]의 값을 "0"로 설정한다 (도 14 의 단계 S29). 한편, 만약 단계 S26에서의 선택합성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가 BTS (2) 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 (도 14 의 단계 S28에서, "아니오"), nl[N-l]의 값은 "0" 로 설정되고, n2[N-l]의 값은 "1" 로 설정된다 (도 14 의 단계 S30). 그 후, RNC (4) 는, nl[i] 및 n2[i]를 기초로 하여 N1 및 N2를 산출한다 (도 l4 의 단계 S31).
그 다음에, RNC (4) 는 과거 N 선택 단위 인터발내에서 보다 많은 횟수로 선택된 데이터를 공급한 BTS의 타겟 SIR의 값이 증가하도록 그리고 보다 적은 회수로 선택된 데이터를 공급한 BTS의 타겟 SIR의 값이 감소하도록 △(bts1) 및 △(bts2)를 산출한다 (도 11 의 단계 S32). 이 산출에 사용되는 함수 f[x]의 특성은, 단조 증가함수이고,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RNC (4) 는 nl[i] 및 n2[i]를 업데이트하고 (도 14 의 단계 S33), 뒤이어서 RNC (4) 는 현재의 인터발이 반영 인터발, 또는 비반영 인터발인지를 조사한다 (도 15 의 단계 S34). 즉, 만약 cnt1의 값이 M1 이상이면, 현재 인터발은 비반영 인터발이고, cnt1의 값이 M1 미만이면, 현재 인터발은 반영 인터발이다.
만약 그 인터발이 반영 인터발이면 (도 15 의 단계 S34에서 "예"), RNC (4) 는 cnt1의 값을 1 증가시킨 뒤 (도 l5 의 단계 S35),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한편, 그 인터발이 비-반영 인터발인 경우 (도 15 의 단계 S34에서 "아니오"), RNC (4) 는 △(bts1) 및 △(bts2)의 각값을 "O" 으로 설정한다 (도 15 의 단계 S36).
그 후, RNC (4) 는 다음 선택 단위 인터발이 반영구간 또는 비반영 인터발인지를 검사한다 (도 15 의 단계 S37). 특히, cnt2의 값이 M2 이상이면, 다음 선택 단위 인터발은 반영 인터발이고, cnt2의 값이 M2 미만이면, 다음 선택 단위 인터발은 비반영 인터발이다.
만약 다음 선택 단위 인터발도 비반영 인터발이면 (도 15 의 단계 S37에서 "예"), RNC (4) 는 cnt2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도 15 의 단계 S38),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만약 다음 선택 단위 인터발이 반영 인터발이면 (도 15 의 단계 S37에서 "아니오"), RNC (4) 는 cntl 및 cnt2의 각값을 "0" 으로 설정한 후 (도 15 의 단계 S39),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RNC (4) 는, △(bts1) 및 △(bts2) 를 각각 BTS (1) 및 BTS (2) 로 통지한다 (도 14 의 단계 S40). BTS (l) 은 RNC (4) 로부터 △(bts1) 를 사용하여 SIR (hho_bts1) 를 업데이트하고, BTS (2) 는 RNC (4) 로부터 △(bts2) 를 사용하여 SIR (hho_bts2) 를 업데이트한다 (도 13 의 단계 S41). 그 후, 주파수간 HHO가 종료할 때까지 단계 S23 내지 단계 S41의 동작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측에서 반복된다 (도 l3 의 단계 S42 및 도 14 의 단계 S43).
도 16 은 상기 단계 S 23 내지 단계 S41에 따른 BTS (1) 및 BTS (2) 의 타겟 SIR (SIR (hho_bts1) 및 SIR (hho_bts2))의 거동예를 도시한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반영 인터발에서는, △(bts1) 및 △(bts2)의 값은 모두 "O" 이고, 따라서 BTS (1) 및 BTS (2) 의 타겟 SIR는 모두 SIR (bts)가 된다. 한편, 반영 인터발에서는, N1 및 N2의 값의 변화에 따라, 각 타겟 SIR은 변화한다.
반영 인터발에서 구현되는 BTS (1) 및 BTS (2) 의 타겟 SIR의 가변 제어는, 먼저, 더 자주 선택된 데이터를 공급하는 BTS의 수신특성이 더 작은 횟수로 선택된 데이터를 공급하는 BTS의 수신특성보다 우수한 것으로 추정함으로써, 그 후 더 양호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BTS의 타겟 SIR를 높게 하고, 더 불량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BTS의 타겟 SIR를 낮게 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BTS (1) 와 BTS (2) 사이의 수신 특성 차이가 최대가 되는 경우, 수신 특성에서의 발신 차이보다 더 큰 정도로 타겟 SIR 사이에서의 차이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도 16 참조). 그러나, 비반영 인터발의 정기적인 제공은, 원래의 수신 특성에서의 차이를 초과하는 타겟 SIR 간의 차이에서의 증가를 억제한다.
마지막으로, 도 11 내지 도 l5 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르는 BTS (1), BTS (2), MS (3) 및 RNC (4) 각각의 프로세싱 동작은, CPU (제어 유닛) 로서 기능하는 컴퓨터가 ROM 과 같은 메모리 매체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고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명백히 실현될 수 있다.

Claims (50)

  1. 이동국과 이 이동국이 무선접속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통신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합성 수단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다운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한 가변 제어를 구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이 동일한 기지국이고 이 기지국이 자국인 경우,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은, 자국의 상기 합성 수단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를 구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된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이 서로 다른 기지국인 경우,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HO 발신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 중,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의해 과거의 소정 인터발내에서 수행된 선택 합성에서 데이터가 선택된 횟수가 더 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및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작은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업링크 송신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수단을 구비하며; 및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이동국의 각각의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모니터 수단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이 종료한 이후에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 (신호대 잡음 비율) 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이동 통신 시스템.
  12. 이동국과 이 이동국이 무선접속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주파수간 HO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HO 발신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주파수로써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해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합성 단계에 의해 획득된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다운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가 구현되는, 주파수간 HO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이,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이 동일한 기지국이고, 이 기지국인 자국인 경우,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단계에서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이 자국의 상기 합성 단계에 의해 획득된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가 구현되는, 주파수간 HO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간 HO 방법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이 서로 다른 기지국인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단계에서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 중, 상기 선택 합성단계에서 과거의 소정 인터발내에 수행된 선택 합성에서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및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작은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주파수간 HO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롯 신호를, 상기 갭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단계의 각각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을 종료한 이후에 시작하는, 주파수간 HO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주파수간 HO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주파수간 HO 방법.
  23.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통신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며,
    이동국에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합성 수단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다운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를 구현하는, 이동국.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이동국.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 및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모니터 수단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이동국.
  28.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가지는 이동국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HO 발신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합성 단계에 의해 획득된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다운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 인, 프로그램.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 및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의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
  33.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고,
    HO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이 HO 수신지 기지국 및 HO 발신 기지국이기도 한 경우,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합성 수단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자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 제어를 구현하는, 기지국.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인, 기지국.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항상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이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며,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 및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기지국.
  38.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HO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HO 발신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서 기지국이 HO 수신지 기지국 및 HO 발신기 지국 이기도한 경우, 상기 주파수간 HO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합성 단계에 의해 획득된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이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자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수신품질에 대해 가변제어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품질은 수신 SIR이고, 상기 타겟 수신품질은 타겟 SIR인, 프로그램.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항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은 이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며, 상기 송신 단계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 및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
  43.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 합성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 중, 상기 선택 합성수단에 의해 과거의 소정 인터발내에 수행된 선택합성에서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및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작은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업 링크 송신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47. 컴퓨터로 하여금 이동국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 통신에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갭들을 가지는 간헐적 모드인 콤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주파수간 HO (핸드 오버) 의 시간에 상기 갭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HO 발신 주파수 및 HO 수신지 주파수로써 송신되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 HO 발신 기지국 및 HO 수신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선택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HO 발신 기지국 및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 중, 상기 선택 합성수단에 의해 과거의 소정 인터발내에 수행된 선택합성에서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및 데이터가 선택된 회수가 더 작은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업링크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프로그램.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HO 수신지 기지국에 의해 항상 송신되는 기준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상기 갭들에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한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공통 파일럿 신호의 모니터링 종료 이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
KR1020057003557A 2002-08-28 2003-08-26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050057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7917A JP2004088522A (ja) 2002-08-28 2002-08-28 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周波数間ho方法、移動局、基地局、基地局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2-00247917 2002-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075A true KR20050057075A (ko) 2005-06-16

Family

ID=3197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557A KR20050057075A (ko) 2002-08-28 2003-08-26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60991A1 (ko)
EP (1) EP1542480A1 (ko)
JP (1) JP2004088522A (ko)
KR (1) KR20050057075A (ko)
CN (1) CN1679357A (ko)
WO (1) WO2004021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232B1 (ko) * 2007-03-17 2012-03-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146B2 (ja) * 2004-09-14 2011-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06082684A1 (ja) * 2005-02-01 2006-08-10 Ibiden Co., Ltd. ハニカム構造体
EP1858271B1 (en) * 2005-03-10 2019-07-31 NEC Corporation Different frequenc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6123493A1 (ja) * 2005-05-20 2006-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端末装置
EP1781056A1 (de) * 2005-10-25 2007-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trafrequenz- und Interfrequenzmessunge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JP4705674B2 (ja) * 2006-02-24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
EP2051403A4 (en) * 2006-08-09 2013-05-15 Fujitsu Ltd WIRELESS TERMINAL
JP5015856B2 (ja) * 2008-02-01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368A (en) * 1995-05-01 1999-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code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US6512750B1 (en) * 1999-04-16 2003-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etting in CDMA systems employ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US6868075B1 (en) * 1999-09-28 2005-03-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mode communications over a radio interface
FI109862B (fi) * 2000-01-10 2002-10-15 Nokia Corp Menetelmä taajuudenvälisen yhteydenvaihdon valmistelemiseksi, verkkoelementti ja matkaviestin
FI112562B (fi) * 2000-02-29 2003-12-15 Nokia Corp Mittausaukkojen määrittäminen keskinäistaajuksien mittauksessa
FR2810177B1 (fr) * 2000-06-13 2005-05-06 Cit Alcatel Procede pour l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KR100592597B1 (ko) * 2001-01-10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축 모드 및 인접 기지국 간 공통 주파수를 이용한핸드오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232B1 (ko) * 2007-03-17 2012-03-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US10045320B2 (en) 2007-03-17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88522A (ja) 2004-03-18
US20050260991A1 (en) 2005-11-24
EP1542480A1 (en) 2005-06-15
WO2004021721A1 (ja) 2004-03-11
CN1679357A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68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940743A (en) Power control of mobile station transmissions during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JP4669841B2 (ja) 時分割複信の符号分割多重接続(tdd−cdma)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およびソフターハンドオーバの方法
KR100417113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JP3125776B2 (ja) 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基地局装置
KR19990023609A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 지원 하드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JP2007116746A (ja)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パワー制御のための伝送品質目標値を設定する方法
JP2000091988A (ja) 基地局送信パワ―レベルを設定する方法
US6337987B1 (en)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JP2001274748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001384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間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22854A (ko) 무선통신 가입자의 분류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임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247626A (ja) 基地局送信制御方法、セルラ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2002271264A (ja)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50057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 주파수간 ho 방법, 이동국, 기지국, 기지국 제어장치, 및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000005925A (ko) 시디엠에이이동통신시스템및그시스템에사용하는전송전력제어방법
KR100552028B1 (ko) 랜덤한 bts 선택을 이용한 cdma 셀룰라 시스템용 속도 의존 소프트 핸드오버
AU2001296701B2 (en) Simplified quality indicator bit test procedures
KR20050091036A (ko) 적응 스텝 사이즈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AU2986101A (en) A method for setting compressed mode parameters and for setting a transmission quality target value for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cummunication system
AU2001296701A1 (en) Simplified quality indicator bit test procedures
JPWO2005008921A1 (ja) 送信電力制御の追従性を向上させた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379461B1 (ko) 주파수간 핸드 오프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JP2001119342A (ja) 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基地局装置
AU2006200633B2 (en) Simplified quality indicator bit test proced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