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539A - Sip 기반의 개인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Sip 기반의 개인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539A
KR20050054539A KR1020030087886A KR20030087886A KR20050054539A KR 20050054539 A KR20050054539 A KR 20050054539A KR 1020030087886 A KR1020030087886 A KR 1020030087886A KR 20030087886 A KR20030087886 A KR 20030087886A KR 20050054539 A KR20050054539 A KR 2005005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p
user
terminal
specific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741B1 (ko
Inventor
현은희
박용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741B1/ko
Priority to US10/882,604 priority patent/US7292561B2/en
Publication of KR2005005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41B1/ko
Priority to US12/612,327 priority patent/USRE42996E1/en
Priority to US13/300,799 priority patent/USRE43789E1/en
Priority to US13/649,539 priority patent/USRE44620E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싱 장비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의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면, 센서관리모듈을 내장한 게이트웨이는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SIP 단말기의 사용자에이전트를 대신하여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의 SIP 등록을 대행한다. 그리고 SIP 등록 메시지를 SIP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고, SIP 단말기로 SIP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SIP 등록이 완료된 특정 영역 내의 다수 단말기 중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들 중 특정의 단말기와 동일한 종류의 단말기를 통해 호가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 장비와 서비스 망과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공간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적인 개입없이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임의의 단말을 통해 어디서든 착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SIP 기반의 개인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MOBILITY OF SIP-BASED}
본 발명은 센싱 장비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위해 성능과 적용 범위가 서로 다른 다양한 네트워크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각종 유무선 기술들의 발달이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현상들은 더욱 심화되고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기호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통신 인프라를 선택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전과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임의의 장소에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해당 장소가 옥내인지 옥외인지 또는 움직임의 속도가 어느정도인지, 사용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가 어떠한지, 어느 정도의 성능을 요구하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할 것인가와 같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각종 단말기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단말기의 선택이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자기 고유의 성향을 가지게 된다.
SIP(에스아이피;Session Initiation Protocol;접속 설정 프로토콜)는 멀티미디어 세션의 설정, 세션 정보 교환 및 해지 기능 등을 제공하는 응용 계층의 호(號, call, 통화를 의미)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임의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나 사용 단말기에 상관없이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서비스는 S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몇몇 서비스들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별도 취향에 따라 통신의 수신 종단을 선택적으로 정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전화, 이메일, 팩스 또는 SMS 서비스 등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정의한 상황 조건에 따라 수신 종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SIP 서비스 망에서는 통신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 중에 사용자의 선호도를 저장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그 사용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지정한 단말기를 가지고 있거나 그 단말기가 존재하는 장소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임의의 사용자가 SIP 서비스 망내에 자신의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저장했다면 누군가 이 사용자에게 통신을 시도한 시점에 그 통신을 수신하도록 지정해 놓은 단말기 곁에 사용자가 위치해 있어야만 호가 설정된다.
따라서, 사람이나 사물이 존재하는 모든 공간에 컴퓨팅 능력을 가지는 다양한 장치들이 산재하여 어느 곳에서든 원하는 형태의 정보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비전이 응용 분야별로 다양한 형태로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나 생각까지도 짐작하여 꼭 필요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각종 콘텍스트를 수집하는 것이 필수다.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각종 센싱 장비들이 동원되며 센싱 장비들은 수집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아주 다양한 종류들이 존재하게 된다.
현재까지 고려되고 있는 사용자 선호도에 의한 선택적인 서비스들은 단지 사용자가 이미 정해놓은 선호도 정보에만 의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은 '하루 중 어느 시간대에는 어떤 단말기로' 또는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호는 음성 사서함으로'와 같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호의 수신 종단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호가 수신되었을 때 통신 세션의 종단이 되는 단말 근처에 해당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호는 해당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SIP를 이용한 서비스 수행을 위해 서비스에 이용될 단말들은 실제 통신 세션이 설정되기 이전에 등록절차가 진행되어야 한다. SIP 등록은 사용자의 의지에 대한 개입없이 자발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특히 하나의 단말이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는 경우 그리고 그 사용자가 한정된 그룹이 아니라 불 특정한 다수가 될 경우에는 사용자를 미리 예측하여 SIP 등록을 수행해 놓을 수도 없다. 이를 위해 발신의 경우는 사용자가 임의의 단말기를 집어 들거나 버튼이나 마우스 클릭 또는 키보드 입력과 같은 사용자의 동작이 그 단말기를 통한 통신 서비스의 의도를 알리는 시점에 등록 절차를 수행한 후 세션 설정 절차에 들어가면 되지만, 착신의 경우 역시 SIP 사용자 에이전트(SIP UA)가 구동 되어 SIP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어떠한 통신 시도도 수신되지 않게 된다. 이때, 착신 가입자는 어느 시점에 자신에게 수신요청이 오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 등록을 할 수 없다. 물론 자신의 고유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될 때 무조건 등록을 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등록 지시를 할 수 있지만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거나 이동 중 다른 장소에 있는 임의의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그 주변의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서비스 제공에 큰 제약사항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SIP 서비스망과 센싱 장비를 연동하여 사용자가 이동을 전제로 한 임의의 장소에서도 그 장소에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 어떠한 장소로도 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개인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SIP기반의 개인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망과 연결되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SIP 단말기 및 SIP 프록시 서버로 SIP 메시지를 전달하는 SIP 기반에서 이동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는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및 진출에 대한 이벤트를 인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특정 영역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특정 영역 내의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을 대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를 통해 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단말기는 상기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기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되어진 단말기와 동일한 능력(capability)을 가진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 및 진출 이벤트 감지 및 판독하고, 감지 및 판독된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부로 전송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실장하여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센서 관리부는 별도의 컴퓨팅 능력을 가지는 머신에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센싱부의 수신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상기 SIP 단말기 및 상기 센싱부의 수신기 관리 및 상기 센서 관리부를 조작하는 운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특정 영역 내의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 단말기에 SIP 등록을 대행 및 SIP 등록 완료 통보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는 SIP 서비스지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이동체 감지 허용 한계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동체의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영역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 사용 여부 및 SIP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특정 영역 내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SIP 등록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이동체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유알아이(URI)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이동체 매핑 관리부;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 단말기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지역 내 상기 사용자의 액티브 정보를 관리하는 액티브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IP 서비스지원부는,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의 단말기 각각에 대해 SIP 등록 관련 정보에 따른 상기 각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SIP 등록 메시지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에 전달하여 SIP 등록을 수행하는 SIP 사용자등록 대행부; 및 상기 SIP 사용자등록 대행부를 통해 SIP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SIP 단말기로 SIP 사용자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SIP 사용자등록완료 통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및 진출 이벤트 감지 및 판독에 따른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부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싱수신기 인터페이스; 상기 각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메시지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IP 프록시 서버 인터페이스; 상기 SIP 등록 완료 통보를 상기 SIP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 관리부의 조작 및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망과 연결되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SIP 단말기 및 SIP 프록시 서버로 SIP 메시지를 전달하여 SIP 기반에서 이동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기 SIP 서비스의 이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를 서비스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비스 가능한 상태인 다수 단말기 중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단말기와 동일한 하나의 특정 단말기를 통해 호를 수신토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의 사용 및 상기 SIP 서비스 이용 권한 여부의 판단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ⅰ) 상기 사용자의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인지하는 단계; ⅱ) 상기 특정 영역의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여 SIP 등록을 대행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SIP 단말기로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ⅲ)단계 이후에, ⅳ)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상기 ⅳ)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영역 내의 다수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해제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이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양한 통신망이 중첩된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환경(100)에는 캠퍼스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걷는 속도의 이동을 전제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무선랜(WLAN) 환경(101), 자동차를 통한 이동과 같이 어느 정도의 속도에서 사용 가능한 셀룰라(Cellular)나 개인휴대 이동통신 환경(102), 홈이나 사무실내의 각종 무선장비를 통한 통신이나 인터넷 접속 환경인 블루투스(Bluetooth) 환경(103), 기존의 유선 전화(Fixed Network) 환경(104), 및 그 밖에 서로 다른 각종 유무선 방식의 통신 망(Any Other Network) 환경(105)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통신 인프라들은 임의의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제 물리적인 통신로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프라는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는 서로 다른 사업자의 네트워크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이 통신 인프라나 통신에 사용될 단말기를 선택하는 기준은 비용이나 환경적인 요소, 개인의 취향 등이 작용하여 매우 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 가능한 단말기들의 서비스 능력(capability)이나 통신 인프라의 과금 정책이나 서비스 품질, 통신 상대의 중요도나 긴급정도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이 특정한 시간대나 자신이 존재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와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 이동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 인프라 환경 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적용할 수 있는 개인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다.
개인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에는 서로 다른 전달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통신 인프라(100)를 기반으로 SIP를 이용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P 서비스 망(200)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은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용 단말기 근처에 있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 그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발신 및 착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센싱 영역(300)이 추가된 서비스 환경을 포함한다.
센싱 영역(300)에서는 서비스 제어망인 SIP 서비스 망(200)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의도적인 개입없이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 자원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P 서비스망(SIP 기반 이동 멀티미디어서비스 네트워크)과 센싱 영역의 센싱 장비 간 연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IP 서비스망(200)에서 개인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센싱 영역(300)에 센싱 장비(310)를 설치한다.
센싱 장비(310)는 센싱 영역(300)을 관장하며, 수신기(312) 및 이동체(314)를 포함한다. 센싱 장비(310)는 센싱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이나 설치될 주변환경의 물리적인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싱 장비들을 활용할 수 있다.
센싱 영역(300)은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320) 중에 임의의 단말기를 선택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임의의 센싱 장비를 설치하고 센싱 반경을 지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센싱 영역(300)은 수신기(312)가 이동체(314)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며 선택된 센싱 장비(310)에 따라 센싱 영역(300)의 정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장비(310)의 능력 내에서 개인 공간의 정의를 위해 센싱 영역(300)을 의도적으로 작게 또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동체(314)는 ID와 같은 자신의 고유한 정보를 수신기(312)로 전송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게 되며, 그 크기가 작고 전원 공급의 문제로 인해 사용에 불편을 전혀 주지 않도록 제작된 장치이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체(314)를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
수신기(312)는 고유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체(314)로부터 이동체(314)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그 이동체(314)를 소유한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한다.
SIP 서비스망(200)은 SIP 프록시 서버(210), SIP 등록 서버(220), SIP 리다이렉트 서버(230), SIP 프리젠스 서버(240) 및 SIP 응용서버(250)들을 포함한다. 이는 기존의 SIP 서비스 망을 기능 추가나 변경없이 그대로 활용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기(312)로부터 감지된 이동체(314)의 식별에 의해 해당 이동체(314)를 소유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SIP 서비스망(200)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저장하거나 가공할 수 있는 센싱 관리 기능 및 전달 기능을 하는 센싱 관리 모듈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장치에서 센서 관리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여기서, 센서 관리 모듈이 게이트웨이(330)에 실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관리모듈(400)은 인터페이스부(410), 정보 관리부(420),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430), 사용자 인증부(440) 및 SIP 서비스지원부(4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0)는 센싱수신기 인터페이스(412), SIP 프록시서버 인터페이스(414),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416) 및 운용자 인터페이스(418)을 포함한다.
센싱수신기 인터페이스(412)는 이동이 인지된 이동체(314)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센싱수신기 인터페이스(412)는 해당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 수신기(312)와 컴퓨터(330) 사이의 하드웨어적 연결 방식에 의존한다.
SIP 프록시서버 인터페이스(414)는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와 연계되어 SIP 프록시 서버(210)와 SIP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416)는 SIP사용자등록완료통보부(454)와 연계되어 SIP 단말기(320)와의 통신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SIP 단말기(320)와 컴퓨터(게이트웨이)(330) 사이에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센싱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SIP 단말기(320)가 게이트웨이(330)와 어떠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가에 의존한다. 이러한 통신 방식은 유선 혹은 무선, 무선인 경우 어떤 규격이나 방식을 따르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416)는 각각의 SIP 단말기(320)와 연동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이 정보들은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운용자 인터페이스(418)는 운용자 단말기(270)와 정보 관리부(420) 및 SIP 서비스지원부(450) 사이를 인터페이스하여 운용자 단말기(270)를 통해 운용자가 각종 환경 변수들에 대한 조정과 정보의 추가, 삭제, 실시간 운용 중 따라야 하는 규칙을 위한 변수 등을 검색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운용자 단말기(270)는 각종 데이터 테이블과 각 구성부에서 처리되는 절차들을 위한 참고치나 기준치등에 대한 운용 중 조작을 수행한다. 또한, 운용자 단말기(270)는 센싱 장비(310)의 설치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센싱 영역(300)에 대한 범위를 결정하고, 해당 센싱 영역(300) 내에 사용자가 계속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해당 이동체(314)의 모니터링 주기 등을 결정한다.
정보 관리부(420)는 사용자/이동체 매핑관리부(422), 단말기정보관리부(424) 및 액티브사용자관리부(407)를 포함한다.
사용자/이동체 매핑 관리부(422)는 센싱장비(310)로부터 이동체(314) 의 식별자가 수신될 때, 이동체(314)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ID와 SIP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사용자를 의미하는 ID인 URI를 매핑한다. 사용자/이동체 매핑 관리부(422)는 이동체 ID와 사용자의 URI 간의 매핑을 관리하는 테이블에 의해 동작하고, 이 테이블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430)로 저장관리 된다.
여기서, 여러 개의 센싱 영역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이들 영역간을 이동하면서 개인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서비스 사용을 위한 사용자 수가 적으면 각각의 센서관리모듈(400)에 사용자와 이동체 간의 매핑 정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센서관리모듈(400)은 특정 이동체 ID를 갖는 사용자의 URI를 얻기 위해 별도로 설치된 이 데이터베이스와의 별도의 통신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단말기정보관리부(424)는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각 단말기(320)에 대한 정보는 SIP 서비스 망(200)에서 사용자 에이전트(UA)가 SIP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 관리된다.
액티브사용자관리부(426)는 현재 해당 센싱 영역(300)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액티브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액티브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한 데이터베이스(403)를 통해 관리한다.
사용자 인증부(440)는 해당 센싱 영역(300)으로 이동한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가 그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320)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증 관련에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 관리된다. 사용자 인증부(440) 또한 여러 개의 센싱 영역에서 공통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별도의 인증 서버를 두어 실행될 수도 있다.
SIP 서비스지원부(450)는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 및 SIP사용자등록완료통보부(454)를 포함한다.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는 SIP 단말기의 사용자에이전트(UA)를 대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SIP 등록을 수행한다.
SIP사용자등록완료통보부(454)는 게이트웨이가 SIP 등록을 완료한 시점에 SIP 단말기의 사용자에이전트로 SIP 사용자 등록 완료 통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싱 관리 모듈(400)은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가 주변의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SIP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해당 단말기의 SIP 등록을 대행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특정 지역에서 기 지정된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통신 세션에 참여할 종단 단말을 선정하기 위해 센싱 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320)들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센싱 영역(300)으로 들어오면 단말기(320)들을 서비스 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센싱 장비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센싱영역(300)으로 진입하면 수신기(312)는 고유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체(314)로부터 이동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한다(S502). 예를 들어, 수신기(312)는 이동체(314)가 수동적인 경우, 주기적으로 이동체(314)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여 이동체(314)가 부착된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동체(314)가 능동적인 경우는 이동체(314)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이 이동체(314)가 부착된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한 수신기(312)는 이동체의 식별 정보를 센싱 수신기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센싱 관리 모듈(400)로 전송한다(S504).
즉, 수신기(312)는 개인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센싱 영역(300)으로 정의된 특정 공간으로 사용자가 들어오는지 나가는지에 대한 이벤트를 인지하고(S502), 인지된 이동체(314)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고, 수신된 이동체의 식별 정보를 가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504).
그러면 센싱 관리 모듈(400) 내의 사용자/이동체 매핑 관리부(422)에서 이동체 아이디(ID)와 사용자의 URI를 매핑하여 사용자가 센싱 영역(300) 내에 진입했음을 판정한다(S506). 이동체의 ID와 사용자의 URI에 대한 매핑 정보는 임의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가입하여 이동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점에서 SIP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매핑 관계가 유지된다. 즉, 이러한 매핑 정보는 사용자의 해당 영역에서의 존재 유무와 무관하게 센싱 영역(300)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사용자들의 정보가 관리된다.
또한, 센싱 수신기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특정 이동체의 존재를 인지했을 때, 센싱 관리 모듈(310) 내의 사용자 인증부(440)는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센싱 영역(300)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제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508).
특정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가 SIP 서비스 제공자에게 가입 여부가 확인되면, 센싱 관리 모듈(400) 내의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는 센싱 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단말기(320)에 대해 SIP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고(S510), SIP 프록시서버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SIP 프록시 서버(210)로 전송한다(S512). SIP 프록시 서버(210)는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로부터 SIP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결과에 따른 응답(ACK)을 전송한다(S514).
사용자에 대한 SIP 등록이 완료되면, SIP 단말기(320) 내의 사용자 에이전트는 SIP 등록이 완료된 후에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INIVITE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센싱 관리 모듈(400)이 SIP 등록을 완료한 시점에 센싱 관리 모듈(400) 내의 SIP사용자등록완료통보부(454)는 센싱 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320)에 대해 SIP 등록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S516)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416)를 통해 SIP 사용자 등록 완료 통보를 SIP 단말기(320) 내의 사용자에이전트로 전송한다(S518). 그리고 SIP 단말기(320)는 SIP 사용자 등록 완료 통보를 수신하면, 그에 따른 응답(ACK)을 센싱 관리 모듈(400)로 전송한다(S520).
그리고 센싱 관리 모듈(400)은 센싱 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해당 수신기(312)에 확인 시그날을 보내 수신기(312)가 파악한 이동체 식별 정보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522). 센싱 관리 모듈(400)로부터 확인 요청을 받은 수신기(312)는 해당 센싱영역(300)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S524). 이 때, 수신기로부터 얻은 이동체(314)의 정보 중 이전에 해당 센싱영역(300)으로 진입했던 이동체(314)의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이동체(314)를 소유한 사용자가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액티브 사용자 관리부(426)에서 수행된다.
센싱 관리 모듈(400) 내의 액티브사용자관리부(426)에 의해 해당 사용자가 센싱 영역(300)을 벗어났음을 판단하게 되면(S525),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는 SIP 등록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여(S526) SIP 단말기(320)에 대한 SIP 등록을 해제한다. 그런 다음 SIP사용자등록대행부(452)는 SIP 프록시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SIP 프록시 서버(210)로 SIP 삭제 메시지를 전송하고(S528) 이를 수신받은 SIP 프록시 서버(210)는 메시지 수신에 따른 응답(ACK)을 센싱 관리 모듈(400)로 전송한다(S5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싱 관리 모듈의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진 별도의 컴퓨터(게이트웨이)(330)와 센싱장비(310)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장비(310)를 컴퓨터(330)와 연결하지 않고 센싱장비(310)의 수신기(312)가 컴퓨팅 능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컴퓨팅 능력을 가지는 별도의 장치에 센싱 관리 모듈를 삽입하여 센싱 장비(310) 내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각의 구성부들은 임의의 센싱 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며 홈 네트워크나 오피스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나, 그 외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된 특정한 용도의 에이전트들의 관리 영역이 센싱 영역과 일치하도록 구성할 경우 그들과 동일한 플랫폼에 실장 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통신용 단말기와 이를 서비스하는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용 단말기 근처에 있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발신 및 착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양한 조건에 의거하여 수신 단말기를 지정하는 선호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기 등록한 선호도가 적용될 단말기와 떨어져 다른 지역에 존재하더라도 자신이 지정한 것과 동일한 성능이나 특성을 가지는 다른 단말기가 자신의 주변에 있다면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단말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이동성 지원 능력에 추가적으로 센싱 장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통해 의도적으로 SIP 등록을 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임의의 단말이 임의의 사용자를 위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식적인 개입없이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 중에 자신이 지정해 놓은 단말기와 동일한 종류의 임의의 단말을 통해 호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양한 통신망이 중첩된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 이동 멀티미디어서비스 네트워크와 센싱 장비의 연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장치에서 센서 관리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8)

  1. 다수의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망과 연결되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SIP 단말기 및 SIP 프록시 서버로 SIP 메시지를 전달하는 SIP 기반에서 이동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및 진출에 대한 이벤트를 인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특정 영역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특정 영역 내의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을 대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를 통해 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관리부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는 상기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기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되어진 단말기와 동일한 능력(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이나 진출 이벤트를 감지 및 판독하고, 감지 및 판독된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부로 전송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실장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별도의 컴퓨팅 능력을 가지는 머신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센싱부의 수신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상기 SIP 단말기 및 상기 센싱부의 수신기 관리 및 상기 센서 관리부를 조작하는 운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특정 영역 내의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 단말기에 SIP 등록을 대행 및 SIP 등록 완료 통보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는 SIP 서비스지원부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이동체 감지 허용 한계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동체의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영역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 사용 여부 및 SIP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특정 영역 내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SIP 등록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이동체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이동체 매핑 관리부;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 단말기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지역 내 상기 사용자의 액티브 정보를 관리하는 액티브 사용자 관리부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P 서비스지원부는,
    상기 특정 영역 내 다수의 단말기 각각에 대해 SIP 등록 관련 정보에 따른 상기 각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SIP 등록 메시지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에 전달하여 SIP 등록을 수행하는 SIP 사용자등록 대행부; 및
    상기 SIP 사용자등록 대행부를 통해 SIP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SIP 단말기로 SIP 사용자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SIP 사용자등록완료 통보부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및 진출 이벤트 감지 및 판독에 따른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부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싱수신기 인터페이스;
    상기 각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메시지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IP 프록시 서버 인터페이스;
    상기 SIP 등록 완료 통보를 상기 SIP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IP 단말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 관리부의 조작 및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14. 다수의 통신 인프라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망과 연결되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SIP 단말기 및 SIP 프록시 서버로 SIP 메시지를 전달하여 SIP 기반에서 이동 사용자에게 S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IP 서비스의 이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를 서비스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가능한 상태인 다수 단말기 중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단말기와 동일한 하나의 특정 단말기를 통해 호를 수신토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단말기의 사용 및 상기 SIP 서비스 이용 권한 여부의 판단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ⅰ) 상기 사용자의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인지하는 단계;
    ⅱ) 상기 특정 영역의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여 SIP 등록을 대행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다수 단말기에 대해 SIP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SIP 단말기로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ⅲ)단계 이후에
    ⅳ)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ⅳ)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ⅴ) 상기 특정 영역 내의 다수 단말기에 대한 SIP 등록 해제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30087886A 2003-12-05 2003-12-05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3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886A KR100633741B1 (ko) 2003-12-05 2003-12-05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882,604 US7292561B2 (en) 2003-12-05 2004-06-30 SIP-based user mobility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2/612,327 USRE42996E1 (en) 2003-12-05 2009-11-04 SIP-based user mobility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3/300,799 USRE43789E1 (en) 2003-12-05 2011-11-21 SIP-based user mobility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3/649,539 USRE44620E1 (en) 2003-12-05 2012-10-11 SIP-based user mobility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886A KR100633741B1 (ko) 2003-12-05 2003-12-05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539A true KR20050054539A (ko) 2005-06-10
KR100633741B1 KR100633741B1 (ko) 2006-10-13

Family

ID=3463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886A KR100633741B1 (ko) 2003-12-05 2003-12-05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7292561B2 (ko)
KR (1) KR10063374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28B1 (ko) * 2004-09-14 2007-02-23 주식회사 케이티 Sip-uri를 이용한 호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91286B1 (ko) * 2004-11-30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 장치 및 그방법
KR100716043B1 (ko) * 2004-12-11 2007-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17825B1 (ko) * 2005-09-29 2007-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100728280B1 (ko) * 2005-07-1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Sip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 호 해제 요청/응답메시지를 이용한 네트워크 상태 관리 방법
KR100744538B1 (ko) * 2005-11-29 2007-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9012B1 (ko) * 2006-03-07 2007-09-14 주식회사 인티큐브 착신단말의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한 프레즌스 메시징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775006B1 (ko) * 2005-11-30 2007-11-08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KR100795558B1 (ko) * 2005-11-15 2008-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30126A2 (ko) * 2008-09-12 2010-03-18 삼성 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00061020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7682C (zh) * 2003-11-12 2009-08-1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会话QoS控制装置
US20070135121A1 (en) * 2005-12-08 2007-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ser and service mobility support system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KR100793348B1 (ko) 2006-09-06 200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정보 교환 방법 및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JP2008263326A (ja) * 2007-04-11 2008-10-30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配信方法
WO2008156745A1 (en) * 2007-06-15 2008-12-24 Vonage Netwo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conveyance for end users of a packet based communication network
JP5059517B2 (ja) * 2007-08-09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90019665A (ko) * 2007-08-21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독자의 선호도를 참조하여 sip을 기반으로 하는이벤트 통지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GB2455709B (en) * 2007-12-14 2011-09-28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a mobile station, proxy location serv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use in the system
KR100958110B1 (ko) * 2007-12-17 2010-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증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US8762499B2 (en) * 2010-12-20 2014-06-24 Sonus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registration storm
CN103238155B (zh) * 2011-11-15 2016-08-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便携终端装置、认证系统、认证方法、程序以及集成电路
US10769924B2 (en) 2012-03-08 2020-09-08 Linquet Technologies Inc.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US8981938B2 (en) 2012-03-08 2015-03-17 Linquet Technologies, Inc.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US9525969B2 (en) 2014-10-09 2016-12-20 Tile, Inc. Sel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movement
US9525970B2 (en) 2014-10-09 2016-12-20 Tile, Inc. Power preservation through motion-activated location reporting
US9654916B2 (en) * 2014-10-09 2017-05-16 Tile, Inc. Secure and private cloud based broadcast identification
US10462600B2 (en) * 2014-10-09 2019-10-29 Tile, Inc. Secure and private cloud based broadcast identification
US10302324B2 (en) * 2016-12-30 2019-05-2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tructing movement based on sensor data
US11201748B2 (en) 2019-08-20 2021-12-14 Tile, Inc. Data protection in a tracking device environment
US11153758B2 (en) 2019-09-19 2021-10-19 Tile, Inc. End-to-end encryption with distributed key management in a tracking device environment
US11368290B2 (en) 2019-10-20 2022-06-21 Tile, Inc. Key diversification in a tracking device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510B1 (ko) 1995-12-23 1999-05-15 양승택 근접 id 카드 감식을 이용한 자동 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1672A (ko) 2001-06-26 200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US20030048195A1 (en) 2001-08-31 2003-03-13 Dirk Trossen Apparatus and method to sense and subscribe to presence information
US7536437B2 (en) * 2002-02-14 2009-05-19 Avaya Inc. Presence tracking and name space interconnection techniques
US7395336B1 (en) * 2002-05-14 2008-07-01 Sprint Spectrum L.P. Method for managing SIP registration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436843B2 (en) * 2003-04-30 2008-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access selection
US20050021976A1 (en) * 2003-06-23 2005-01-27 Nok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event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28B1 (ko) * 2004-09-14 2007-02-23 주식회사 케이티 Sip-uri를 이용한 호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91286B1 (ko) * 2004-11-30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 장치 및 그방법
KR100716043B1 (ko) * 2004-12-11 2007-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8280B1 (ko) * 2005-07-1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Sip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 호 해제 요청/응답메시지를 이용한 네트워크 상태 관리 방법
KR100717825B1 (ko) * 2005-09-29 2007-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100795558B1 (ko) * 2005-11-15 2008-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44538B1 (ko) * 2005-11-29 2007-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5006B1 (ko) * 2005-11-30 2007-11-08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KR100759012B1 (ko) * 2006-03-07 2007-09-14 주식회사 인티큐브 착신단말의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한 프레즌스 메시징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0030126A2 (ko) * 2008-09-12 2010-03-18 삼성 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0030126A3 (ko) * 2008-09-12 2010-07-08 삼성 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649802B2 (en) 2008-09-12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call signal conversion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RE47734E1 (en) 2008-09-12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call signal conversion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00061020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4620E1 (en) 2013-12-03
USRE42996E1 (en) 2011-12-06
KR100633741B1 (ko) 2006-10-13
USRE43789E1 (en) 2012-11-06
US7292561B2 (en) 2007-11-06
US20050122943A1 (en)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741B1 (ko) Sip 기반의 개인 이동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259140B2 (en) Routing communications by scanning visible codes
EP1398914B1 (en) Advertising and controlling the advertisement of wireless hot spots
Berger et al. Ubiquitous computing using SIP
EP1561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user programmable, personalized location-aware services
KR100627003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게이트웨이 서버
CN101061739B (zh) 用于指示邻近共存的方法和装置
KR100895217B1 (ko) 목표 서비스들의 수신을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에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1500679A (ja) 遠隔制御によって呼を経路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6111822A2 (en)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chang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710917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電話通信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電話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510730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1366601B1 (en) System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connection
JP2004328308A (ja) ユビキタス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JP4506603B2 (ja) 端末自動設定システム、制御エリア情報発信装置、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798930B1 (en) Jamming information in a presence service system
JP2004328309A (ja) 位置情報を用いた通信サービス方法及び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0341749A (ja) モバイル端末の接続管理方法及び方式
KR20060021322A (ko) 이기종 단말기 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컨텍스트 관리 시스템
KR100582904B1 (ko) 센서망과 sip 기반의 서비스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90563A (ja) 通信仲介システム
JP649157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82495B2 (ja) 通信仲介システム
JPH1027647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