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325A -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 Google Patents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325A
KR20050053325A KR1020040099273A KR20040099273A KR20050053325A KR 20050053325 A KR20050053325 A KR 20050053325A KR 1020040099273 A KR1020040099273 A KR 1020040099273A KR 20040099273 A KR20040099273 A KR 20040099273A KR 20050053325 A KR20050053325 A KR 2005005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methacrylic
material according
particle siz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924B1 (ko
Inventor
슈나르쟝-이브
뻬리스떼파니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314589A external-priority patent/FR2863621B1/fr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filed Critical 아르끄마
Publication of KR2005005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광-산란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0 내지 90%;
-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및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상용성 방화재 5 내지 15%; 및
- 500 nm 미만의 소립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1 내지 5%.

Description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METHACRYLIC POLYMER MATERIAL WITH IMPROVED FIRE RESISTANCE}
본 발명은 전기 분야에 속하는 (예컨대 전기 외피), 보다 특히, 예를 들어 비상구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거리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분야에 속하는 물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내화성이 개선된 광-산란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이다.
예를 들어 출원 WO 03/037975 에는, 상술된 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의 비범한 광학 특성, 특히 이들의 투명성으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물품 제조에 사용되지 못하게 하는 내화성 문제점을 지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상기 물품이 일반적으로 이들을 조명하는 광원으로부터의 조사, 또는 적절한 경우 가열 요소와의 바람직하지 못한 연장된 접촉으로 인해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상기 이유로 인해, 상기 물품의 제조를 위해 적합한 물질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와 일정량의 방화재를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된 출원 WO 03/037975 에는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로서, 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방화재로서의 하나 이상의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 화합물과 함께 포함하는 특정 배합의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의 사용이 추천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 기재된 물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두께의 시트 형태이며, 이는 특히 열형성, 절단 및 접착 결합에 의해 성형되어 목적 물품이 수득된다. 그러나, 상술된 화합물의 방화성은 상기 시트의 두께에 따라 크게 감소하여, 박층인 경우에는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의 기재되는 광학 특성을 달리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단점을 교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출원 WO 03/037975 에 기재된 방화재에 특정 실리카를 혼입함으로써, 놀랍게도 특히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이 박층 형태인 경우, 예를 들어 두께가 2.5 내지 8 mm 인 경우 그 내화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주제는 하기를 포함하는 광-산란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이다:
- 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0 내지 90%;
-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상기 두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인 방화재 5 내지 15%; 및
- 소립자 크기가 5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인 실리카 1 내지 5%.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 주어진 백분율은 중합체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되는 중량 백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물질은 이들이 빛을 가시 스펙트럼으로 방출하거나 가능한한 균일한 조명을 보장하도록 충분해 높은 광산란력을 갖는지와 무관하게, 조명,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용 조명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 (예를 들어 광고 패널 또는 조명 사인을 위한 것들) 에 기대되는 바에 일치하는 유리한 광학 특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물질은 아크릴계 물질에 대해 매우 현저한 내화성과 조합된 상기 특성을 부여한다. 내화성은 IEC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에서 개발하여 60695-2-12 라는 명칭하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상기 방법은 시험될 중합체 물질에 공지된 온도로 예열된 백열선의 말단을 30 초 동안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적용한 후, 선을 제거하고, 불꽃이 소화되는데 걸리는 시간 또는 물질에 전달된 백열광이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물질은 불꽃 또는 백열광이 선 제거 30 초 이내에 사라지고 이것이 3 회 연속 시험에서 일어나는 경우,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방법은 백열선을 960℃ 온도로 가열하는데서 시작된다: 물질이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성공적으로 시험이 이루어질 때까지 선의 온도를 50℃ 씩 단계적으로 낮춘다. GWR (백열선 저항, Glow Wire Resistance) 로 불리는 해당 온도는 물질 내화성의 특징이 되며, 상기 저항이 높을수록 GWR 이 높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시험될 물질 내화성의 상대적 평가를 얻을 수 있다.
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유래 단위 5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 유래 단위 0 내지 49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가 포함된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들)은 특히 아크릴계, 메타크릴계 및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10 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4 인 히드록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언급할 수 있다.
메타크릴계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알킬기가 탄소수 2 내지 10 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4 인 히드록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서, 스티렌 및 치환 스티렌 (예컨대 메틸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및 tert-부틸스티렌) 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에 사용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이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산란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에는 또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인 방화재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 가 포함된다. "상용성" 이라는 용어는 상기 방화재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와 쉽게 혼합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탈혼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용되는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문헌 US 3 058 941 에 기재되어 있다. 염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특히 명칭 EXOLIT 5087 하에 Clariant 에서 시판되는 염화 폴리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의 예로서, 할로겐이 염소 또는 브롬이고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4 인 트리스(할로알킬)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리스(클로로메틸)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브로모메틸)포스페이트, 트리스(브로모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및 트리스(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에 매우 적합한 것은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이다 (이후 TCIP 로 표시하며, CAS-번호는 13674-84-5 임).
사용되는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침전 실리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적절한 경우 선행 구현예와 조합되어, 소립자 크기 15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nm 미만의 실리카가 사용된다.
소립자 크기 500 nm 미만, 100 nm 미만, 또는 심지어 15 또는 10 nm 미만인 실리카, 특히 침전 실리카가 시판되고 있다.
"소립자 크기" 라는 표현은 소립자가 실리카 응집물로서 갖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상기 응집물은 강력한 공유 결합에 의해 함께 연결되거나 함께 축합된 소립자로 이루어진 최소의 분리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는 특히 수성 매질 중에서, 높은 분산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특허 EP 0 520 862 (또는 출원 WO 95/09127 또는 WO 95/09128) 에 따른/따르거나 상기 특허 (또는 상기 출원) 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일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분쇄 공정 (특히 예를 들어 Forplex 유형의, 기계적 밀을 이용함)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론화 공정 (특히 공기 제트 밀과 같은 마이크로나이저를 이용함) 를 후속적으로 거친다.
임의의 후속 마이크론화 또는 분쇄 이전에는, 1 내지 10 mm 크기의 과립 형태 또는 5 내지 70 ㎛ 평균 크기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후속 마이크론화 또는 분쇄 이전에는, 평균 크기 80 ㎛ 이상, 특히 100 ㎛ 이상, 예를 들어 150 ㎛ 이상, 및 통상 300 ㎛ 이하인 대략 구형의 비드 형태이다. 상기 평균 크기는 건식 스크리닝 및 50% 의 축적 스크린 오버사이즈에 해당하는 직경을 결정함으로써 NF X 11507 (1970. 12.) 표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대략 구형인 비드 형태의 실리카는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고 먼지가 없어서, 물질의 산업적 제조 관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는 대략 구형인 비드 형태 실리카의 마이크론화로부터 얻어지며, 이후 마이크로비드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는, 그 사용 전에 마이크론화 또는 분쇄되는 경우, 통상 (상기 마이크론화 또는 분쇄 이후) 20 ㎛ 미만, 특히 12 ㎛ 미만의 (특히 Malvern 입자 크기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되는) 중앙 입자 크기를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론화되는 경우, 그 중앙 입자 크기는 5 ㎛ 이하, 특히 0.5 내지 5 ㎛, 예를 들어 1 내지 4 ㎛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는, 예를 들어 Rhodia 에서 명칭 RP 635 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적절한 경우 선행 구현예와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2 내지 86%;
- 방화재 10 내지 12%; 및
- 침전 실리카 2 내지 4%.
상기 물질은 이것이, 예를 들어 두께 2.5 내지 8 mm 의 박층 형태인 경우를 포함하여, 유리하게는 850℃, 때로는 심지어 960℃ 이상의 GWR 에 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질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가 포함된다:
-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2 내지 86%;
- TCIP 10 내지 12%; 및
- 실리카 RP 635 2 내지 4%.
상술된 성분에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에는 또한 적절한 크기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입자 형태인 적절한 양의 하나 이상의 광-산란 성분이 포함된다. 이들은 안료 또는 염료, 예컨대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카본 블랙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 중 상기 화합물의 중량 함량 범위는 0.01 내지 5%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에는 또한 출원 WO 03/037975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충격 개질제 5 내지 15% 가 임의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은 유리하게는 시트 형태이다. 이들은 출원 WO 03/037975 에 기재된 주조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정에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가능한 성분, 방화재 또는 난연재, 실리카, 광-산란 성분, 및 임의로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메타크릴계 조성물의 사용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은 밀봉 작용을 제공하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클로레이트) 로 제조된 밀봉으로 구별되는 2 개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주형 내로 도입되며, 밀봉의 두께가 물질 시트의 두께를 결정한다. 단량체를 중합시키기 위해서는, 주형이 통기 오븐 또는 가열조 내에 위치해야 한다. 중합 주기에는 대략 95% 의 전환도를 수득하기 위한 50-60℃ 근처 온도에서의 중합 단계, 이후 120℃ 근처 온도에서의 후중합 단계가 포함된다. 냉각 후, 수득되는 시트는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수득되는 시트는 밀봉 두께로 정의되는 두께를 갖는다.
중합가능한 성분은 본질적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임의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 예컨대 상기 언급된 것들로 이루어진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유리하게는 6 내지 15% 의 전환도를 갖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예비중합체 (시럽으로 불림) 와 상기 단량체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되는 실리카는 교반, 심지어는 온건한 교반 하에 상기물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시럽의 혼합물) 와 혼합한 후 쉽게 분산된다.
상기 정의된 산물에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의 제조를 위한 공정에는 또한, 출원 WO 03/037975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가능한 조성물로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사슬 전이제, 주형 이탈제, 항산화제 또는 UV 안정화제의 첨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의 시트는 두께가 2 내지 8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mm 이다. GWR 을 가지며, 따라서 안전성이 개선된 상기 박층은 본 출원의 아크릴계 물질이 거리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분야에서 다각화될 수 있게 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로서 주어지며, 결코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7%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3 mm 두께 시트.
358.65 g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시럽 (이후 MMA 로 불림) 에 하기를 교반 하에 연속 첨가하여 450 g 의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Clariant 에서 명칭 EXOLIT 5087 하에 시판되는 염화 폴리포스포네이트 31.5 g (즉 7%);
- TCIP 22.5 g (즉 5%);
- 소립자 크기가 대략 12 nm 인 실리카 (RP 635, Rhodia) 15.75 g (즉 3.5%);
- 디옥틸 프탈레이트 중에 분산된 BaSO4 2.25 g (즉 0.5%);
- 디옥틸 프탈레이트 중에 분산된 TiO2 0.27 g (즉 600 ppm);
- AIBN 0.1125 g (250 ppm) 에 해당하는, MMA 중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의 5% 용액 2.25 g;
- 테르피넨 0.0333 g (74 ppm) 에 해당하는, MMA 중 테르피넨 (사슬 전이제) 1% 용액 3.33 g; 및
- TINUVIN P 0.135 g (300 ppm) 에 해당하는, MMA 중 TINUVIN P (벤조트리아졸 유래 UV 안정화제, Ciba-Geigy 시판) 1% 용액 13.5 g.
이렇게 수득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균일한 외양의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PVC 밀봉으로 분리되고 클램프로 위치에 고정시킨 2 개의 유리판으로 형성된 주형 내에 부어, 두께 3 mm 인 시트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충전 및 폐쇄된 주형을 팬이 보조된 오븐에 수평으로 위치시켰다. 이어서 조성물을 68℃ 에서 1 시간 동안, 이후 55℃ 에서 1 시간 40 분 동안 중합하였다. 이어서, 중합 온도를 125℃ 에 도달할 때까지 1 시간에 걸쳐 증가시키고, 상기 온도에서 20 분 동안 유지하였다.
주형을 냉각한 후, 평행 6 면체 시트 (치수: 300 ×300 ×3 mm) 를 주형에서 꺼낸 뒤 50 ×50 ×3 mm 평방 플라크로 절단하여, IEC 60695-2-12 표준에 따라 백열선 저항 (GWR) 을 측정하였다.
수득한 GWR 은 960℃ 였다.
실시예 A (WO 03/037975 에 따른 비교예):
실리카를 혼입하지 않고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GWR 은 75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 (대조예):
실리카 또는 방화재를 혼입하지 않고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GWR 은 700℃ 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WO 03/037975 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물질에 비해, 3 mm 시트의 GWR 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대략 200℃) 나타났다.
실시예 2: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5%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3 mm 두께 시트.
EXOLIT 5087 함량을 변경하고, 800 ppm 의 TiO2 (600 ppm 대신) 및 0.65% 의 BaSO4 (0.5% 대신) 를 혼입하여,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GWR 은 90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12%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3 mm 두께 시트.
방화재로 12% TCIP 를 혼입하여 실시예 2 를 반복하였다.
GWR 은 85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7%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4 mm 두께 시트.
4 mm 두께 시트를 수득할 수 있는 PVC 밀봉을 이용하여, BaSO4 를 혼입하지 않고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GWR 은 96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C (WO 03/037975 에 따른 비교예):
실리카를 혼입하지 않고 실시예 4 를 반복하였다.
GWR 은 75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7% EXOLIT 5087, 5% TCIP 및 2%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4 mm 두께 시트.
실리카 함량을 변경하고 0.5% BaSO4 를 혼입하여 실시예 4 를 반복하였다.
GWR 은 85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6: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5%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4 mm 두께 시트.
EXOLIT 5087 함량을 변경하고 0.5% BaSO4 를 혼입하여 실시예 4 를 반복하였다.
GWR 은 90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7: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12%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4 mm 두께 시트.
단독 방화재로 12% TCIP 를 사용하여 실시예 6 을 반복하였다.
GWR 은 85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8: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5%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5 mm 두께 시트.
5 mm 두께 시트를 수득할 수 있는 PVC 밀봉을 이용하여 TiO2 및 BaSO4 함량을 매우 약간 변경시켜, 실시예 6 을 반복하였다.
GWR 은 90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9: 84%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7% EXOLIT 5087, 5% TCIP 및 3.5% 실리카를 포함하는 물질의 6 mm 두께 시트.
6 mm 두께 시트를 수득할 수 있는 PVC 밀봉을 이용하여 EXOLIT 5087 함량을 변경하고 TiO2 함량을 조절하여, 실시예 8 을 반복하였다.
GWR 은 960℃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D (WO 03/037975 에 따른 비교예):
실리카를 혼입하지 않고 실시예 9 를 반복하였다.
GWR 은 900℃ 로 측정되었다.
예시한 물질 및 수득한 결과를 하기 표 1 에 요약하였다:
본 발명은 방화재에 특정 실리카를 혼입함으로써, 특히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이 박층의 형태인 경우 그 내화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를 포함하는 광-산란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 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0 내지 90%;
    -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상기 두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인 방화재 5 내지 15%; 및
    - 소립자 크기가 500 nm 미만인 실리카 1 내지 5%.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할로겐화 폴리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이 염화 폴리포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산의 할로겐화 중성 에스테르가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침전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소립자 크기 15 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2 내지 86%;
    - 방화재 10 내지 12%; 및
    - 침전 실리카 2 내지 4%.
  8. 제 7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82 내지 86%;
    - TCIP 10 내지 12%; 및
    - 실리카 RP 635 2 내지 4%.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0. 제 9 항에 있어서, 시트가 두께 2.5 내지 8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1.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소립자 크기 100 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2. 제 5 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소립자 크기 15 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3. 제 5 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소립자 크기 10 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시트가 두께 3 내지 6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KR1020040099273A 2003-12-12 2004-11-30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KR100649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14589 2003-12-12
FR0314589A FR2863621B1 (fr) 2003-12-12 2003-12-12 Materiau polymere methacrylique a resistance au feu amelioree
FR04.01725 2004-02-20
FR0401725A FR2863622B1 (fr) 2003-12-12 2004-02-20 Materiau polymere methacrylique a resistance au feu amelio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325A true KR20050053325A (ko) 2005-06-08
KR100649924B1 KR100649924B1 (ko) 2006-11-28

Family

ID=3452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273A KR100649924B1 (ko) 2003-12-12 2004-11-30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31117A1 (ko)
EP (1) EP1541628B1 (ko)
JP (1) JP4094605B2 (ko)
KR (1) KR100649924B1 (ko)
CN (1) CN100339436C (ko)
AT (1) ATE318862T1 (ko)
DE (1) DE602004000439T2 (ko)
ES (1) ES2259789T3 (ko)
FR (1) FR2863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56B1 (ko) 2006-05-19 2007-09-13 장학섭 난연 및 방염성 아크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39010A (zh) * 2003-01-16 2006-02-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压敏传感器和物体探测器
JP5515209B2 (ja) * 2007-11-30 2014-06-11 住友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98179A (ko) * 1959-12-14
NL301173A (ko) * 1962-11-30
JPS4844343A (ko) * 1971-06-29 1973-06-26
JPS59206454A (ja) * 1983-05-11 1984-11-22 Marubishi Yuka Kogyo Kk 透明性の改良された難燃性アクリル樹脂組成物
JPH072910B2 (ja) * 1984-03-02 1995-01-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拡散性プラスチック
JPS614762A (ja) * 1984-06-18 1986-01-10 Mitsubishi Rayon Co Ltd 光拡散性プラスチツク
JPH05311026A (ja) * 1992-05-11 1993-11-22 Asahi Chem Ind Co Ltd 難燃化された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H0649312A (ja) * 1992-07-28 1994-02-22 Asahi Chem Ind Co Ltd 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押出板
DE4231774A1 (de) * 1992-09-23 1994-03-24 Bayer Ag Thermoplastische Polymerformmassen mit flammwidrigen Eigenschaften
JPH06122804A (ja) * 1992-10-13 1994-05-06 Asahi Chem Ind Co Ltd 難燃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3684587B2 (ja) * 1994-02-04 2005-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板
JP2003532749A (ja) * 1999-12-03 2003-11-05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ハロゲン化難燃性組成物および発泡体およびそれらからの二次加工品
JP2003082238A (ja) * 2001-09-11 2003-03-19 Asahi Kasei Corp 優れた難燃性重合体組成物
FR2831545B1 (fr) * 2001-10-31 2005-07-01 Atofina Materiau polymere methacrylique resistant au test du fil incandescent
JP3988491B2 (ja) * 2002-03-14 2007-10-10 住友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56B1 (ko) 2006-05-19 2007-09-13 장학섭 난연 및 방염성 아크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3622A1 (fr) 2005-06-17
JP2005171244A (ja) 2005-06-30
DE602004000439D1 (de) 2006-04-27
FR2863622B1 (fr) 2006-03-03
CN1637064A (zh) 2005-07-13
DE602004000439T2 (de) 2006-10-12
KR100649924B1 (ko) 2006-11-28
US20050131117A1 (en) 2005-06-16
EP1541628B1 (fr) 2006-03-01
JP4094605B2 (ja) 2008-06-04
ATE318862T1 (de) 2006-03-15
EP1541628A1 (fr) 2005-06-15
CN100339436C (zh) 2007-09-26
ES2259789T3 (es)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946583A (en) Light-scattering compositions
EP2882807B1 (en) A light diffusing polymer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011046835A (ja)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KR102378654B1 (ko) 개선된 산란 효율 및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광 산란 중합체성 조성물
KR100649924B1 (ko) 내화성이 개선된 메타크릴계 중합체 물질
JP6809496B2 (ja) (メタ)アクリル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照明灯カバー及び照明看板
EP3623421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6790436B2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及び(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8154763A (ja) (メタ)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EP366682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7298654B2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RU2773343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рассеяния и улучшенными механ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торассеивающих изделий,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полимерную композицию,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CN112513176B (zh) 树脂成型体、热射线屏蔽板、顶棚材料、窗户材料
JPH0649312A (ja) 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押出板
JPH06122804A (ja) 難燃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
US10633528B2 (en) Light diffusing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s
JP2011046799A (ja)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JP2004230869A (ja) 光拡散性艶消アクリル樹脂板の製造方法
JPH01217055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FR2863621A1 (fr) Materiau polymere methacrylique a resistance au feu amelio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