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785A -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785A
KR20050050785A KR1020030084424A KR20030084424A KR20050050785A KR 20050050785 A KR20050050785 A KR 20050050785A KR 1020030084424 A KR1020030084424 A KR 1020030084424A KR 20030084424 A KR20030084424 A KR 20030084424A KR 20050050785 A KR20050050785 A KR 2005005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wer plate
exhaust
exhaust pipe
confl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학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785A/ko
Publication of KR2005005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F01N13/141Double-walled exhaust pipes or housings
    • F01N13/143Double-walled exhaust pipes or housings with air filling the space between both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이중의 관으로 모아진 후, 다시 하나의 관으로 합류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가 소정의 구간동안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의 끝단이 어퍼 및 로어 플레이트에 의해서 덮어지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중간부에는 각각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이 합류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후방측 끝단부는 서로 면접되도록 소정 구간에 걸쳐 직선면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 중 어느 일측의 파이프의 직선면이 다른 일측면의 직선면보다 길게 확대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부의 측면으로는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의 전방단이 면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Connecting apparatus dual exhaust pipe}
본 발명은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이중의 관으로 모아진 후, 다시 하나의 관으로 합류되도록 하기 위한 합류부의 구조를 개선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은 4기통 이상의 다실린더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의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힘이 크랭크 샤프트에 전달되어 구동력을 얻게 된다. 이러한 엔진의 배기측에는 각 실린더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매니폴드가 플랜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모으는 장치인 배기 매니폴드는 각 실린더와 연결된 런너의 끝단이 하나로 모아지는 형상의 배기 매니폴드와, 1번과 4번 실린더에 연결된 런너의 끝단이 하나로 합류되며 2번과 3번 실린더에 연결된 런너의 끝단이 다시 하나로 합류된 형상의 배기 매니폴드 등이 엔진에 적용되고 있다.
듀얼 배기 파이프는 각 연소실에 연결된 런너의 끝단이 2개로 모아지는 형상의 배기 매니폴드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듀얼 배기 파이프(20)는 듀얼 배기 매니폴드(10)와 플랜지 결합된다. 상기한 듀얼 배기 파이프(20)는 소정의 구간에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의 끝단부는 하나의 합류부(23)를 통해서 그 후방의 싱글 배기 파이프(26)에 연결된다. 상기한 2개의 배기가스 유로가 하나의 배기가스 유로로 합류되도록 하기 위한 합류부(23)는 어퍼 플레이트(24)와 로어 플레이트(25)로 구성되어, 상기 어퍼 플레이트(24) 및 로어 플레이트(25)의 전방측 끝단이 상기한 제1파이프(21) 및 제2파이프(22)의 후방측 끝단을 감싸게 되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24)와 로어 플레이트(25)의 후방측 끝단은 싱글 배기 파이프(26)의 전방단을 감싸게 된다.
특히, 상기한 어퍼 파이프(24)의 내측면 중간부와 로어 플레이트(25)의 내측면 중간부에는 각각 상부 격벽(24a) 및 하부 격벽(25b)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형성되어, 상기 어퍼 파이프(24)와 로어 파이프(25)를 조립하였을 경우에 상기 상부 격벽(24a)과 하부격벽(25a)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상부 격벽(24a) 및 하부 격벽(25a)이 서로 마주하여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24)와 로어 플레이트(25)의 결합시 마련되는 공간이 양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24)와 로어 플레이트(25)의 양측 연결부는 어느 일측의 플레이트가 다른 일측의 플레이트를 덮은 채로 용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어퍼 플레이트(24)와 로어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의 끝단부를 감싸는 과정에서 상기한 상부 격벽(24a) 및 하부 격벽(25a)의 끝단과, 상기한 제1파이프(21) 및 제2파이프(22)의 끝단의 접촉부 간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기 갭(G)을 통하여 원래의 유로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가 나란히 배치된 구간과, 합류부의 구간 및 싱글 배기 파이프(26)의 구간의 일정구간은 별도의 외측 어퍼 플레이트(27)와, 외측 로어 플레이트(28)로써 감싸지게 되므로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27,28)와 내측의 유로를 이루는 파이프 및 플레이트 간에는 단열 및 소음감쇄를 위한 공기층(29)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한 공기층(29)의 도중에는 소정 구간 스틸 와이어 매트(30)가 개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조에서는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의 끝단부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서,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더라도 서로 접하게 되는 부분은 선접촉하게 되어 용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파이프(21)와 제2파이프(22)의 끝단과 상기 상부 격벽(24a)와 하부 격벽(25a) 간에 갭(G)이 형성되고, 이 갭(G)을 통하여 배기가스의 유동이 공기층으로 확대되므로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부분의 단열성능이 저하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어진다. 이와 같이 듀얼 배기 파이프(20)의 합류부(23) 구간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면 촉매 컨버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듀얼 배기 파이프는 보다 좋은 효과의 달성을 위해서 그 길이가 길게 설계되고 있으며, 제1 파이프 및 제2파이프와 상/하부 격벽 간에 발생되는 갭을 줄이는 방향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이중의 관으로 모아진 후, 다시 하나의 관으로 합류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가 소정의 구간동안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의 끝단이 어퍼 및 로어 플레이트에 의해서 덮어지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중간부에는 각각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이 합류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후방측 끝단부는 서로 면접되도록 소정 구간에 걸쳐 직선면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 중 어느 일측의 파이프의 직선면이 다른 일측면의 직선면보다 길게 확대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부의 측면으로는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의 전방단이 면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평단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41과 42은 각각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듀얼 배기 파이프(40)의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는 배기 매니폴드의 두개의 배기 런너가 연결되는 것으로, 제1파이프(41)에는 1번과 4번의 배기 런너가 연결되고, 제2파이프(42)에는 2번과 3번의 배기 런너가 연결된다. 상기한 듀얼 배기 파이프(40)의 전방단은 배기 매니폴드의 후방단에 볼트로써 플랜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는 종래기술에 의한 듀얼 파이프와 같이 적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는 후방단이 서로 면접될 수 있도록 각각의 파이프 내측면은 소정구간 직선면(41a,42a)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 중 어느 일측의 파이프는 다른 일측의 파이프보다 직선면(41a)의 구간이 소정구간 길게 확장된 연장부(4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의 직선면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한 듀얼 배기 파이프에서와 같이 상기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후방의 싱글 배기 파이프(60)로 모아지도록 하기 위한 합류부(50)가 형성된다. 상기한 합류부(50)는 어퍼 플레이트(51)와 로어 플레이트(52)가 서로 상하방향에서 조합되어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파이프(41) 및 제2파이프(42)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후방의 싱글 배기 파이프(60)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합류부(50)를 구성하는 어퍼 플레이트(51)와 로어 플레이트(52)의 내측면 중간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각각 상부 격벽(53)과 하부 격벽(5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51)와 로어 플레이트(52)를 조합하였을 때 형성되는 유로는 격벽(53,54)에 의해서 그 길이방향을 양분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 격벽(53)과 하부 격벽(54)의 전방단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51) 및 로어 플레이트(52)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연장부(43)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51)와 로어 플레이트(52)의 조립부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제1파이프(41) 및 제2파이프(42)의 후방단은 어퍼 플레이트(51) 및 로어 플레이트(52)로 조립되는 합류부(50)에 연결되고, 상기 합류부(50)의 끝단은 싱글 배기 파이프(60)의 전방단에 연결되어, 2개의 배기가스 유로가 1개의 배기가스 유로로 합쳐지게 된다. 상기 전방에 마련된 2개의 유로 및 후방에 마련된 1개의 유로를 이루는 제1파이프(41) 및 제2파이프(42)와, 어퍼 플레이트(51) 및 로어 플레이트(52)와, 싱글 배기 파이프(60)의 외주에는 소정 간격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측 어퍼 플레이트(55)와 외측 로어 플레이트(56)가 조립된다. 상기 외측 어퍼 플레이트(55)와 외측 로어 플레이트(56)도 그 조립면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장부(43)가 형성된 위치의 공기층(58)의 도중에는 공기층의 간격유지 및 단열을 위한 스틸 와이어 매트(58)가 개재된다. 상기한 스틸 와이어 매트(58)는 가는 금속사가 엉기성기 엮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진 채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스틸 와이어 매트(58)의 장착위치가 특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59)가 상기한 외측 어퍼 플레이트(55)의 외측 로어 플레이트(56)의 내측면 도중에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듀얼 배기 파이프(40)의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로는 배기 매니폴드의 배기 런너를 통해서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이렇게 제1파이프(41) 및 제2파이프(42)로 각각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상기한 합류부(50)에서도 상부 격벽(53) 및 하부 격벽(54)에 의해서 연장되는 양측의 유로를 통해서 후방으로 진행되고, 상기한 싱글 배기 파이프(60)의 전방에서 합류되어 계속되는 배기계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가 합류부(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의 접합면과 격벽(53,54) 간에 갭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서, 상기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유동이 연통되는 시점이 후방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경우에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와 격벽 사이의 갭을 통해서 배기가스가 공기층으로 누출되어 단열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공기층에 의한 단열성능의 향상은 상기 듀얼 배기 파이프 후방측에 마련되는 촉매 컨버터의 성능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공기층(57)의 역할 향상으로 인하여 외측 어퍼 플레이트(55)와 외측 로어 플레이트(56)의 표면온도가 낮아져 배기계 주변의 부품에 열해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배기 파이프와 싱글 배기 파이프 간의 합류부의 구조가 개선되므로서 듀얼 배기 파이프의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와 합류부의 격벽 간의 갭이 삭제되므로서, 듀얼 배기 파이프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외측 어퍼 플레이트와 외츨 로어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이루는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듀얼 배기 파이프의 단열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듀얼 배기 파이프의 이중 유로 구간이 연장되어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등의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평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듀얼 배기 파이프 41 : 제1파이프
42 : 제2파이프 41a,42a : 직선면
43 : 연장부 50 : 합류부
51 : 어퍼 플레이트 52 : 로어 플레이트
53 : 상부 격벽 54 : 하부 격벽
55 : 외측 어퍼 플레이트 56 : 외측 로어 플레이트
57 : 공기층 58 : 스틸 와이어 매트
59 : 스톱퍼 60 : 싱글 배기 파이프

Claims (3)

  1.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가 소정의 구간동안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의 끝단이 어퍼 및 로어 플레이트에 의해서 덮어지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중간부에는 각각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이 합류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형성된 듀얼 배기 파이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의 후방측 끝단부는 서로 면접되도록 소정 구간에 걸쳐 직선면(41a,42a)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 중 어느 일측의 파이프의 직선면(41a)이 다른 일측면의 직선면(42a)보다 길게 확대된 연장부(43)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부(43)의 측면으로는 상기한 어퍼 플레이트(52)와 로어 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상부 격벽(53)과 하부 격벽(54)의 전방단이 면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파이프(41)와 제2파이프(42)에 형성된 직선면이 위치된 구간의 외주에는 외측 어퍼 플레이트(55) 및 외측 로어 플레이트(56)와의 간격 유지 및 단열을 위한 공기층(57)에 스틸 와이어 매트(58)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틸 와이어 매트(58)가 장착되는 외측 어퍼 플레이트(55)와 외측 로어 플레이트(56)의 내측면 도중에는 상기 스틸 와이어 매트(58)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5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KR1020030084424A 2003-11-26 2003-11-26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KR2005005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24A KR20050050785A (ko) 2003-11-26 2003-11-26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24A KR20050050785A (ko) 2003-11-26 2003-11-26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85A true KR20050050785A (ko) 2005-06-01

Family

ID=3866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424A KR20050050785A (ko) 2003-11-26 2003-11-26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9244A (zh) * 2009-11-30 2011-06-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排气管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520U (ja) * 1983-08-12 1985-03-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デユアル排気管と排気マニホ−ルドの接合部構造
JPS6112942U (ja) * 1984-06-29 1986-01-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マニホ−ルドと過給機との結合構造
JPH0717918U (ja) * 1993-08-31 1995-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管
KR970006787A (ko) * 1995-07-18 1997-02-21 다기통 엔진의 마후라의 볼 죠인트 구조
JPH09209747A (ja) * 1996-02-07 1997-08-12 Futaba Sangyo Kk 排気パイプ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520U (ja) * 1983-08-12 1985-03-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デユアル排気管と排気マニホ−ルドの接合部構造
JPS6112942U (ja) * 1984-06-29 1986-01-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マニホ−ルドと過給機との結合構造
JPH0717918U (ja) * 1993-08-31 1995-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管
KR970006787A (ko) * 1995-07-18 1997-02-21 다기통 엔진의 마후라의 볼 죠인트 구조
JPH09209747A (ja) * 1996-02-07 1997-08-12 Futaba Sangyo Kk 排気パイプ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9244A (zh) * 2009-11-30 2011-06-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排气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76356A (ja) 車載用エンジンの排気構造
EP2187013B1 (en) Construction for an exhaust after treatment device
JP2011116204A (ja) 横置きエンジンの排気装置
US6122911A (en) Exhaust manifold pipe weld assembly
JP2011208586A (ja) 排気マニホールド
JP2007285168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ヘッド構造
US4132285A (en) Connecting line within an exhaust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1303948A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101316520B1 (ko) 고출력 엔진용 듀얼 머플러
KR20050050785A (ko) 듀얼 배기 파이프의 합류부 구조
JPH0510122A (ja) 横置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3736894B2 (ja) エンジンの排気管構造
JP3899833B2 (ja) エンジンの排気系構造
JP2013185498A (ja)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3875344B2 (ja) 4気筒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
JP7614047B2 (ja) エンジン
JP3736895B2 (ja) 4気筒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
JP3089678B2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JP3971523B2 (ja) エンジンの保温型排気マニホールド
JP4610491B2 (ja) 排気消音器の外カバー
JPH0455220Y2 (ko)
JP2000161054A (ja) エンジンの保温型排気マニホールド
JP5212238B2 (ja) 内燃機関
JP2004052595A (ja) 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JPH10238341A (ja) 排気管の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