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722A - 기타의 공명상자 - Google Patents

기타의 공명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722A
KR20050050722A KR1020030084323A KR20030084323A KR20050050722A KR 20050050722 A KR20050050722 A KR 20050050722A KR 1020030084323 A KR1020030084323 A KR 1020030084323A KR 20030084323 A KR20030084323 A KR 20030084323A KR 20050050722 A KR20050050722 A KR 2005005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box
sound
output
reson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수
Original Assignee
배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윤수 filed Critical 배윤수
Priority to KR102003008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722A/ko
Publication of KR2005005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클래식 기타에 있어서 공명상자(共鳴箱子;울림통)를 개량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명상자의 음(音) 출력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맑고 깨끗한 음향과 증폭된 음량으로 뛰어난 음질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인 바,
기타(1)의 공명상자(2)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명상자(2)를 구성하는 측판(6)에 공명상자(2)내부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출력공(7,7')(8,8')을 형성하되,
상기 출력공(7,7')(8,8')은 네크측 측판(6)과 그 반대측 측판(6)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출력공(7,7')(8,8')의 공명상자(2) 내측으로는 출력공(7,7')(8,8')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타의 공명상자{Resonance box of guitar}
본 발명은 주로 클래식 기타에 있어서 공명상자(共鳴箱子;울림통)를 개량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명상자의 음(音) 출력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맑고 깨끗한 음향과 증폭된 음량으로 뛰어난 음질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타는 외부 음파로부터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발음체인 공명상자와 현(鉉;대략 6개∼12개)이 연결되는 네크(Neck)로 구성되어 현의 진동이 공명상자 내부를 울리도록 함으로서 음향(소리)을 내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에 있어 공명상자의 전판은 현의 단순 진동을 화성적이고 음률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두께, 크기 등에 변화를 줘 소리의 품새를 결정짓게 된다.
현의 강제 변위(變位)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공명상자(울림통)에 전달되고 공명상자의 진동은 공명상자내의 공기를 매개로 진동이 전달되면서 연주를 통한 음(音)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판(엄밀하게는 공명상자 전체)의 진동(울림) 중에는 공명상자 내부의 공기가 울림공을 통해 미세하게나마 출입하면서 진동파(음파)가 울림공을 통해 출력된다.
즉, 공명상자의 울림은 공명상자 내의 부피가 크고 적게 변하는 미세한 변화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미세하게 나마 공명상자 내부의 공기는 울림공을 통해 출입하게 되고, 공명상자 내에서 생성된 음파 역시 공기를 매개로 전달되는 것이다.
현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음은 그 음이 생성되는 공명상자 내부에서 내부의 공기를 매개로 진동의 전달되고 음이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음의 진동, 음파는 공명상자를 구성하는 전판과 측판 등에 진동, 반사되고, 흡수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울림공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공명상자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 중에 울림공으로부터 가까운 곳의 음파는 울림공을 통해 곧장 나오게 되겠지만, 먼 거리에 있는 음파는 울림공 주위의 음파들과 충돌하면서 소멸되거나 다시 공명상자 내부로 반사된다.
따라서 공명상자의 내부, 울림공으로부터 먼거리에 있는 측판 가까곳에서 생성된 음파는 결국 울림공을 통해 출력되지 못하고 공명상자 내에서 극히 짧은 순간 머물면서 소멸한다.
이러한 음의 소멸은 결국 현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음들이 고르게 출력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결과가 된다.
또, 울림공을 통해 출력되지 못한 내부 잉여의 음파들과 서로 충돌, 상쇄되면서 맑고 깨끗한 음을 내는 데 부족한 원인이 되는 것이다.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측판(네크측 방향)에 공명상자내에서 생성된 음파가 소실되지 않고 고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별도의 출력구멍을 형성한 기타와, 전판에 울림공과는 별도로 보조 울림공을 형성하여 복수의 울림공으로서 공명상자 내부에서 생된 음이 서로 상쇄되어 소실되지 않고 울림공을 통해 고스란히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연구가 선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판과 전판상에 단순히 음의 출력을 위한 출력구멍을 추가로 형성하여 여러 개의 출력구멍을 통해 음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타는 보다 많은 음량의 출력을 유도하여 음폭을 증폭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었지만, 음파가 단순히 출력구멍으로 빠져나가는 역할만 수행하게 되어 음질의 개선과 음폭의 증대, 그리고 보다 맑고 깨끗한 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즉, 울림공 외에 출력구멍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서 음의 외부로 나갈 수 있는 통로를 많이 확보하여 음량의 증폭을 기대한 것이었으나, 출력구멍의 다수개로 이루어짐으로서 공명상자 내에서 생성되어야 할 음파, 즉, 음량이 제대로 생성되지 못하게 됨으로서 결국 음량의 증폭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울림공을 제외한 공명상자가 밀폐되지 못한 상태에서 공명이 일어나게 되어 공명상자가 음파를 제대로 생성해 내지 못함으로서 음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현의 진동으로 공명상자 내부 공기를 자극, 진동시켜 울림공을 통해 음을 생성되는 음의 진동, 즉 음파의 소실을 최소화하며, 공명상자 내부에서 생성된 음이 공명상자로부터 증폭, 출력되게 함으로서 음량의 증폭효과를 도모토록 하고, 이와 함께 음파간의 상쇄와 중첩 등을 해소하여 맑고 깨끗한 음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음질이 뛰어난 기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로 클래식 기타(1)에 있어서, 공명상자(2)를 구성하는 측판(6)에 출력공(7,7')(8,8')을 형성하여 음의 소실을 최소화하여 음량을 증폭시키고, 맑고 깨끗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통상과 같이 기타(1)의 공명상자(2)는 울림공(3)이 형성된 전판(4)과, 후판(5) 그리고, 측판(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타(1)의 공명상자(2)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공명상자(2)에 있어서 공명상자(2) 내부를 외기와 연통시키도록 측판(6)상에 출력공(7,7')(8,8')을 형성한다.
상기 출력공(7,7')(8,8')은 도 2, 2a 및 도 3과 같이 대략 네크(10)측 방향의 측판(6)과, 그 반대측 측판(6)상에 형성하는 바, 도시한 예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전판(4)측과 후판(5)측에 각각 2개의 복수개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출력공(7,7')(8,8')의 형태는 도시한 예와 같은 장방형이나 타원형 또는 원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의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 것이며, 출력공(7,7')(8,8')의 개수 또는 여러 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판(6)상에 형성된 출력공(7,7')(8,8') 내측면에는 현의 진동에 의한 공명상자의 공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차단판(9,9a,9b,9c,9d,9e,9f)을 형성한다.
즉, 탄현(彈絃)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음파)가 공명상자(2) 내에서 생성되는 공명과정에서 출력공(7,7')(8,8')을 통해 진동(음파)와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 공명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들의 흐름이 제어되도록 차단판(9,9a,9b,9c,9d,9e,9f)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9,9a,9b,9c,9d,9e,9f)은 도 4와 같이 출력공(7,7')(8,8')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바, 상기 차단판(9,9a,9b,9c,9d,9e,9f)은 도 7a 내지 도 7f와 같이 여러 형태와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차단판(9a)의 상하 방향중 어느 일방을 폐쇄한 구조로 실시하거나 7b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차단판(9b)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도 7c와 같이 전,후판(4,5)에 출력공(7,7')(8,8')과 소정 간격을 두고 차단판(9c)을 바로 부착시켜 구성하거나 도 7d와 같이 통기성이 있는 필림지나 지류 등을 이용하여 차단판(9d)을 구성한다.
또, 도 7e와 같이 출력공(7,7')(8,8') 내측으로 관체 형으로 차단판(9e)을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도 7f와 같이 일방으로 개폐 단속되도록 차단판(9f)을 구성하여 실시한다.
상기 차단판(9f)은 일단의 축점을 중심으로 차단판(9f)이 각운동되게 구성하여 출력공(7,7')(8,8')을 일방으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출력공(7,7')(8,8')의 차단판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특정의 재질이나 형태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명상자(2)의 출력공(7,7')(8,8')은 공명상자(2) 내부에서 생성된 음들이 소실되지 않고 출력되게 하여 음량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출력공(7,7')(8,8') 내측에 형성되는 차단판은 측판(6)에 출력공(7,7')(8,8')이 없는 공명상자(2)와 같이 음파가 공명상자(2) 내에서 고르게 진동, 반사되어 풍부한 음량을 가지도록 하고, 맑고 깨끗한 음을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판(4)과 후판(5) 그리고 측판(6)으로 이루어지는 공명상자(2)내에서 생성된 음이 소실되지 않고 고르게 출력되어 음량이 풍부하면서도 맑고 깨끗한 음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존 공명상자(2)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의 출력 등에 관하여 우선 살펴보고 본 발명에 의한 공명상자(2)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파는 장애물이 없는 조건하에서 멀리 퍼져나가며 점차적으로 감쇠된다.
그러나 공명상자(2) 내부와 같이 내부가 빈 소정의 공간내에서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전판(4)과 후판(5) 그리고 측판(6)에 부딪히면서 이들을 진동시키고, 또한 진동과 반사에 따라 새로운 음파가 생성되어 울림공(3)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런데 공명상자(2)의 가장 안쪽인 측판(6) 가까이에서 생성되고, 측판(6)과 부딪히고 반사되는 음파는 울림공(3)을 통해 원활히 출력되지 못하는 데 이것은 울림공(3) 가까이에서 울림공(3)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선행하는 음파와 만나면서 반사되고, 공명상자(2)의 가장자리인 측판(6)측에 몰려 밀집됨으로서 제대로 출력되지 못한 상태에서 결국 소멸된다.
따라서 공명상자(2) 내부에서 생성된 음파중 측판(6)과 가까운 깊은 안쪽의 음파는 결국 울림공(3)을 통해 출력되지 못하고 갇히게 되어 소실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파의 소실은 결국 보다 풍부한 음량을 제공하는 데에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측판(6)에서 반사된 음파가 울림공(3) 주변의 음파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난반사는 음파의 음율을 불규칙하게 생성시켜 현의 진동에 의한 순수한 음파와는 다른 음파를 생성시켜 결국 맑고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즉, 공명상자(2) 내부에서 진동을 통해 발생되어 울림공(3)을 통해 출력되는 음파와 공명상자(2)의 가장 안쪽에서 생성되어 울림공(3)측으로 진행되는 반사음을 포함한 음파는 서로 충돌하고 중첩되면서 매우 복잡한 양상의 음파로 발전되고, 이러한 음파는 파생적으로 불규칙한 음파로 혼입됨으로서 다소 무겁고 탁한 음이 울림공(3)을 통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공명상자(2)는 공명상자(2) 내의 음파를 장애없이 출력되게 하여 보다 맑고 깨끗한 음의 출력을 도모하고 음의 소실은 최소화하여 풍부한 음량을 제공하는 등의 뛰어난 음질을 발휘하는 것이다.
현의 진동에 의해 공명상자(2) 내에서 생성된 음파 중에 울림공(3)을 통해 출력되는 데에 아무런 장애를 받지않는 음파는 울림공(3)을 통해 그대로 출력된다.
그리고 측판(6)에 반사되는 음파 역시 일부는 공기를 통해 울림공(3)측으로 전달되어 출력되고 일부는 공명상자(2)내에서 다른 음파와 충돌되고 반사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명상자(2)는 출력공(7,7')(8,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판(6)에서 반사되는 음파가 울림공(3)을 통해서도 출력되겠지만 출력공(7,7')(8,8')과 가까운 곳에서 생성된 음파는 울림공(3)으로 가지 않고 출력공(7,7')(8,8')을 통해 바로 출력된다.
이것은 측판(6)에서 반사된 음파가 멀리가지 않고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가까운 출력공(7,7')(8,8')을 통해 공기를 매개로 곧장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음파는 측판(6) 내측 공간에서 밀집상태로 머물러 소실되지 않고 출력공(7,7')(8,8')을 통해 원활하게 출력되어 중앙의 울림공(3)을 통해 출력되는 것과 같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단판은 현의 진동에 의해 공명상자(2)내에서 생성되는 음파가 공명상자(2)내에서 진동, 반사되어 울리는 과정에서 출력공(7,7')(8,8')을 통해 음파와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역할 등을 하게 된다.
이하에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측판(6)의 출력공(7,7')(8,8') 내측으로 형성된 차단판은 출력공(7,7')(8,8')이 바로 관통 형성되어서 음파와 함께 음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공기가 곧장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공명상자(2)가 원활히 공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국, 출력공(7,7')(8,8')으로 인해 공명상자(2)의 진동(울림)이 둔하게 되어 음폭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출력공(7,7')(8,8')이 없는 일반적인 공명상자(2)와 같이 측판(6) 전체에 골고루 음파가 반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공명상자(2)에 차단판(9,9a,9b,9c,9d,9e,9f)이 없이 출력공(7,7')(8,8')만이 형성된 경우를 가정해 볼 때, 출력공(7,7')(8,8')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당연히 그만큼 음파의 반사와 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음의 손실이 있게 되는 것이나, 차단판(9,9a,9b,9c,9d,9e,9f)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판(6)에 출력공(7,7')(8,8')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단판(9,9a,9b,9c,9d,9e,9f)을 통해 음파가 진동, 반사되고 공기의 직접적인 흐름이 차단되어 공명상자(2) 내에서 고르게 공명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음파가 출력공(7,7')(8,8')을 통해 이부로 출력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빠로 빠져나가지 않고 차단판(9,9a,9b,9c,9d,9e,9f)에 의해 공기의 출입이 완만히 이루어지게 하여, 소위 음파의 발생과 함께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 공명이 약화됨으로서 음폭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공명상자(2) 내부에 있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보다 맑고 깨끗한 음향과 증폭된 음량을 얻게 되는 바, 이하에 상기한 내용에 덧붙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보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의 진동에너지는 일시적인 진동으로 특정 현(絃)의 첫 탄현과 동시에 점차 소멸된다.
이러한 현의 진동은 공명상자(2)를 구성하는 전판(4) 등이 현의 진동에 따라 공명상자(2) 내외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즉, 공명상자(2) 전체를 진동(울림)시킨다.
공명상자(2)의 진동은 공명상자(2) 내부의 공기를 움직이게 하며, 공명상자(2) 내부에 있는 공기는 현의 진동, 즉 전판(4)을 포함한 공명상자(2)의 진동 정도에 따라 울림공(3)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적게 또는 많게 출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공명상자(2)에 울림공(3)만이 형성되어있는 기존의 경우에는 공기의 출입이 울림공(3)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음파의 생성이 답답한 즉, 음이 트이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울림공(3)과 함께 보조 울림공의 역할을 하는 출력공(7,7')(8,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음파의 발생시 음의 답답함을 해소시켜 음량과 음폭의 출력을 증대시키고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게 된다.
이하에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판(4)을 포함한 공명상자(2)의 진동은 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공명상자(2)의 진동으로 전판(4)이 내외로 움직이는 (진동) 현상을 볼 수 있다.
상기 움직임(진동)은 음파의 발생으로 공명상자(2) 전체가 진동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때, 공명상자(2) 내부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프레셔(Pressure)현상과 프레셔 릴리즈(Pressure Release)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순간적인 프레셔현상 때는 출력공(7,7')(8,8')의 차단판(9,9a,9b,9c,9d,9e,9f)이 음파와 공기의 순간적 프레셔 현상에 의한 공명(음파)을 공명상자(2) 내부 전체에서 흡사 출력구멍이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공명이 발생되는 것과 같이 공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순간적 프레셔현상후 일어나는 프레셔 릴리즈 현상때는 공명상자(2) 내부의 공기가 울림공(3)을 통해 빠져나감과 동시에 이의 반작용으로 출력공(7,7')(8,8')을 통해 외부 공기가 공명상자(2)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울림공(3)과 출력공(7,7')(8,8')을 통해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은 당연히 매우 미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와 음파의 흐름과 출입이 울림공(3)과 출력공(7,7')(8,8')을 통해 마치 호흡하듯이 이루어지면서 음량과 음폭의 증대, 틔인 음, 즉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출력공(7,7')(8,8')을 통해 공명상자(2) 내에서 생성된 음파와 함께 공기가 울림공(3)과 출력공(7,7')(8,8')을 통해 고르게 사방으로 출력되어 풍부한 음량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측판(6) 내측 가까이 반사되는 음파가 소실되지 않고 출력공(7,7')(8,8')을 통해 출력되어 음파간의 간섭이나 중첩되는 문제를 해소시킴으로서 탁함이 없이 맑고 투명한 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로 클래식 기타(1)에 있어서, 공명상자(2)를 개량하여 공명상자(2)내의 음파가 울림공(3)과 출력공(7,7')(8,8')을 통해 출력되게 하여 음의 소실을 막아 풍부한 음량을 제공할 수 있고, 현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음이 탁함이 없이 최초 생성된 형태 그대로 출력되게 하여 보다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도록 함으로서 음질이 우수한 고품질의 기타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기타의 사시도
도 2, 2a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공명상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a∼7f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요부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기타(Guitar) 2;공명상자(共鳴箱子)
3;울림공 4;전판
5;후판 6;측판
7,7', 8,8';출력공 차단판9,9a,9b,9c,9d,9e,9f
10;네크

Claims (4)

  1. 기타(1)의 공명상자(2)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명상자(2)를 구성하는 측판(6)에 공명상자(2)내부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출력공(7,7')(8,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공명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공(7,7')(8,8')은 네크측과 그 반대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출력공(7,7')(8,8')의 공명상자(2) 내측으로는 출력공(7,7')(8,8')을 차단하는 차단판(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공명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9)은 출력공(7,7')(8,8')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공명상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9f)은 출력공(7,7')(8,8')상에 일방으로만 개폐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공명상자.
KR1020030084323A 2003-11-26 2003-11-26 기타의 공명상자 KR20050050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23A KR20050050722A (ko) 2003-11-26 2003-11-26 기타의 공명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23A KR20050050722A (ko) 2003-11-26 2003-11-26 기타의 공명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22A true KR20050050722A (ko) 2005-06-01

Family

ID=3866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323A KR20050050722A (ko) 2003-11-26 2003-11-26 기타의 공명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72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00B1 (ko) * 2006-06-05 2007-05-07 조석연 전통 현악기
KR200465976Y1 (ko) * 2008-07-15 2013-03-25 은 호 박 쌍둥이 지판 기타
CN104123927A (zh) * 2014-08-11 2014-10-29 佛山市三水龙声乐器制造有限公司 一种吉他
CN104240683A (zh) * 2014-08-22 2014-12-24 胡健敏 一种可以改变音色的二胡
US10424276B1 (en) 2018-03-19 2019-09-24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USD896881S1 (en) 2019-04-30 2020-09-22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body
WO2021112468A1 (ko) * 2019-12-03 2021-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00B1 (ko) * 2006-06-05 2007-05-07 조석연 전통 현악기
KR200465976Y1 (ko) * 2008-07-15 2013-03-25 은 호 박 쌍둥이 지판 기타
CN104123927A (zh) * 2014-08-11 2014-10-29 佛山市三水龙声乐器制造有限公司 一种吉他
CN104240683A (zh) * 2014-08-22 2014-12-24 胡健敏 一种可以改变音色的二胡
US10424276B1 (en) 2018-03-19 2019-09-24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WO2019182731A1 (en) * 2018-03-19 2019-09-2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US10878783B2 (en) 2018-03-19 2020-12-29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US11935505B2 (en) 2018-03-19 2024-03-19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USD896881S1 (en) 2019-04-30 2020-09-22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body
WO2021112468A1 (ko) * 2019-12-03 2021-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KR20210069766A (ko) * 2019-12-03 2021-06-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2310A1 (en) Whistle
KR20050050722A (ko) 기타의 공명상자
US6286623B1 (en) Sound-attenuating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5510399U (zh) 发声装置
US20020017231A1 (en) Whistle
US8194905B1 (en) Coherent wave full spectrum acoustic horn
JP3769248B2 (ja) スピーカ装置
CN108141659A (zh) 扩音器及其制造方法
JP3523826B2 (ja) 防音装置
KR101535003B1 (ko) 음의 증폭 수단이 구비된 오카리나
JP3154917U (ja)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用ダクト
KR101843130B1 (ko) 다중 음파를 발생하는 호루라기
US6636610B1 (en) Loudspeaker systems
JP3616623B2 (ja) 騒音遮断壁
JP4630400B2 (ja) 位相反転方式のスピーカシステム
JP2016021026A (ja) ドラムヘッドおよびドラム
JPH04302698A (ja) トンネル出口における空気圧音の低減装置
CN221081541U (zh) 一种声学输出装置
KR970000399Y1 (ko) 이중 바플(baffle)스피커
KR101812479B1 (ko)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JP3668678B2 (ja) 防音装置
JPH0934472A (ja) 消音装置
RU2250573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7295445A (zh) 发声装置
KR20060061638A (ko) 스피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