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800B1 - 전통 현악기 - Google Patents

전통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800B1
KR100715800B1 KR1020060050290A KR20060050290A KR100715800B1 KR 100715800 B1 KR100715800 B1 KR 100715800B1 KR 1020060050290 A KR1020060050290 A KR 1020060050290A KR 20060050290 A KR20060050290 A KR 20060050290A KR 100715800 B1 KR100715800 B1 KR 10071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resonance
instrument
traditiona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연
Original Assignee
조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연 filed Critical 조석연
Priority to KR102006005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공명통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을 형성하여 현의 탄주시 보다 맑은 음색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하단으로 일정 곡률로 굴곡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이 형성되어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 공명통의 하부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 공명통과 조율대 사이에 연결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 조율대에 구성되어 현의 음을 조율하는 조율수단 및 공명통이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통 현악기에 있어서, 공명통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지되 좌우로 관통된 현 결속홈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현 결속홈 상에 현의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 및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공명통의 공명공간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현악기, 전통악기, 공후, 하프, 발현악기

Description

전통 현악기{A string instrument tradition}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공명통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공명통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조율대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조율대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후 110. 공명통
120. 조율대 130. 현
140. 장홈 142. 튜너
144. 현 걸침부재 150. 결합단
152. 받침판 160. 현 결속부재
170. 공명공
본 발명은 전통 현악기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을 공명시키는 공명통에 복수의 현을 연결하여 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한 구성된 전통 현악기로써 공후의 탄주되는 현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의 구조와 현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현의 탄주시 그 음색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 전통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絃樂器)러 함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로, 그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손가락이나 손톱·피크 등으로 현을 퉁겨서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發絃樂器),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擦絃樂器), 채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는 타현악기(打絃樂器)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한편, 현악기는 수렵시대 사람들이 활시위에서 나는 소리에 착안하여 궁현악기(弓絃樂器)를 만들어 썼던 데서 비롯되었으며, 이 궁현악기는 그 후 하프로 발전하였다. 또한, 궁현악기에 공명기(共鳴器)로서 야자 열매나 호리병박 등을 단 데서 공명동(共鳴胴)과 지판(指板)이 있는 악기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려고 하는 현악기는 발현악기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삼국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후와 유사한 계통의 전통 현악기라 할 수 있으며, 서양의 하프와도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전술한 공후는 본디 서역계의 현악기로 중국을 통해 한국에 들어왔는데, 언 제 어떠한 경로로 전래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공후의 종류에는 틀 모양 및 현의 수에 따라 와공후(13현), 수공후(21현), 대공후(23현) 및 소공후 등으로 구분되며, 현재 국립 국악원에 그 모습만이 보존되어 있으나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음은 물론, 그 연주법 또한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전술한 국립 국악원 및 다른 문헌상에 나타난 통상적인 공후의 모습을 보면, 윗기둥이 굽은 "ㄱ" 자 모양의 틀에 23가닥의 줄을 건 악기인데, 공명통이 굽어진 기둥 위쪽에 붙어 있고, 공명통에 연결된 하주(下柱:아래쪽에 삐어져 나온 부분)를 허리에 꽂고 양손으로 연주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이미 재현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후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공명통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는 실용신안등록 제328993호(고안의 명칭 : 현악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단의 내부에 공명공간(12a)이 형성되어지되 머리 부분이 일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공명통(12), 공명통(12)의 하단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14), 공명통(12)과 조율대(14) 사이에 연결되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16), 공명통(12)을 직립으로 세워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18) 및 지지대(18)가 삽입 결합되는 지지홈(20a)이 상부에 형성되어 공명통(12)을 세워 지지하는 받침대(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는 공명통(12)을 받침대(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주자가 뒤에서 손이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현(16)을 퉁기거나 뜯어 음을 만들어 낸다. 물론, 받침대(20)로부터 공명통(12)을 분리시켜 연주자가 한 손으로 공명통(12) 또는 조율대(14)를 지지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현(16)을 퉁기거나 뜯어 음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러한 공후(10)는 받침대(20)에 공명통(1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두 손을 이용하여 현(16)을 퉁기거나 뜯어 연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후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다수의 현이 공명통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현의 탄주시 공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 음색이 맑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공후는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를 제현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명통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을 형성하여 현의 탄주시 보다 맑은 음색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전통 현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공명통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을 형성한 구조의 공후를 제작함으로써 전통의 공후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하단으로 일정 곡률로 굴곡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이 형성되어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 공명통의 하부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 공명통과 조율대 사이에 연결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 조율대에 구성되어 현의 음을 조율하는 조율수단 및 공명통이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통 현악기에 있어서, 공명통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지되 좌우로 관통된 현 결속홈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현 결속홈 상에 현의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 및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공명통의 공명공간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현 결속부재의 횡단면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전술한 공명공은 현 결속부재의 좌우 양측 동일 선상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한 조 내지 다섯 조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조율수단은 조율대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구된 장홈; 조율대의 좌우로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장홈 상에 위치된 몸체 부분에 각각의 현 하단부가 감겨져 현의 장력을 조율하는 다수의 튜너; 및 장홈의 내측 일측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튜너 사이 사이의 일정 높이에 구성되어 각각의 현이 그 외주면을 통해 걸쳐져 튜너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현 걸침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받침수단은 공명통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단; 및 결합단에 대응하여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적용되는 현은 4현 내지 48현으로 이루어지되 명주실, 나일론 줄 또는 철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공명통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조율대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의 현 조율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 공후(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 공후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하단으로 일정 곡률로 굴곡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112)이 형성되어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110), 공명통(110)의 하단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120), 공명통(110)과 조율대(120) 사이에 연결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130), 조율대(120)에 구성되어 현(130)의 음을 조율하는 조율수단 및 공명통(110)이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명통(110), 조유대(120), 현(130), 조율수단 및 받침수단으로 구성된 전통 현악기로써 공후(100)의 구성에 더하여 공명통(110)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 각각의 현(130)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160) 및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인 공명통(110)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탄주되는 현(130)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공(170)이 더 구성되어져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0)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112)이 형성되어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110), 공명통(110)의 하단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120), 공명통(110)과 조율대(120) 사이에 연결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130), 조율대(120)에 구성되어 현(130)의 음을 조율하는 조율수단, 공명통(110)이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 공명통(110)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 각각의 현(130)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160) 및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 인 공명통(110)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탄주되는 현(130)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공(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0)는 공명통(110)을 통하여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현 결속부재(160)와 조율수단에 의해 일정한 장력으로 조율된 다수의 현(130)을 퉁기거나 뜯어 탄주를 하게 되면 현(130)으로 부터 발생한 음이 공명통(110)의 공명공(170)을 통해 공명통(110)의 공명공간(112)으로 전파되어 공명에 의해 증폭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후(100)의 구성에서 현 결속부재(160)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0)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지되 그 좌우로 관통된 현 결속홈(16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현 결속홈(162) 상에 현(130)의 상단부가 결속된다. 이때, 현 결속부재(160)의 횡단면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공명공(170)은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인 공명통(110)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공명통(110)의 공명공간(112)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130)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명공(170)은 현 결속부재(160)의 좌우 양측 동일 선상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한 조 내지 다섯 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명공(170)을 상단와 중단 및 하단 3개 조, 총 여섯 개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현(130)을 조율하기 위한 수단은 조율대(12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는 장홈(140), 조율대(120)의 좌우로 관통 설치되어 몸체 부분에 각각의 현(130) 하단부가 감겨져 현(130)의 장력을 조율하는 다수의 튜너(142) 및 튜너(142) 사이 사이의 일정 높이인 장홈(140)의 내측 일측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각각의 현(130)이 그 외주면을 통해 걸쳐져 튜너(142)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현 걸침부재(1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받침수단은 본 발명의 공후(100)를 자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받침수단의 구성은 공명통(1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단(150) 및 결합단(150)에 대응하여 상부에 결합홈(152a)이 형성된 받침판(1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0)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명통(110)은 현(130)의 탄주에 따른 음의 울림통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공명통(110)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단에 까지 일정 곡률로 굴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명통(110)의 내부에는 현(130)의 탄주에 의한 음의 공명(울림)이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112)이 형성된다. 이때, 공명통(110)의 굴곡된 정도는 상단이 급하게 구부려지는 한편, 하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구부려진 형상이다. 이러한 공명통(110)의 상단에는 복수의 현이 연결되어 걸리도록 하고, 현의 길이 또는 두께에 따라 음의 고저가 달라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0)에는 시각적인 멋과 전통악기로써의 가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공명통(110)의 상단에 봉황의 머리를 조각하여 그 아름다움을 더하였다.
조율대(120)는 현(130)의 하부측을 지지하여 조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조율대(120)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0)의 하부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조율대(120)는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 조율대(120)에는 지지된 현(1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율수단이 구성된다. 조율수단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현(130)은 공명통(110)과 조율대(120) 사이에 연결 및 지지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것으로, 이 현(130)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0)과 조율대(120) 사이에 복수 개가 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명통(110)과 조율대(120) 사이에 거치되는 현(130)은 4현 내지 23현을 거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3현 이상을 거치할 수도 있다. 이때, 현(130)은 명주실이나 나일론 줄 및 철선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현(130)은 굵기 및 길이에 따라 각각의 음색이 다른 것을 이용한다.
조율수단은 현(130)의 음색을 조율하기 위한 것으로, 이 조율수단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율대(12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구된 장홈(140), 조율대(120)의 좌우로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장홈(140) 상에 위치된 몸체 부분에 각각의 현 하단부가 감겨져 현(130)의 장력을 조율하는 다수의 튜너(142) 및 장홈(140)의 내측 일측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튜너(142) 사이 사이의 일정 높이에 구성되어 각각의 현(130)이 그 외주면을 통해 걸쳐져 튜너(142)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현 걸침부재(14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율수단의 구성에서 장홈(140)은 조율대(12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기는 하나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고, 현(130)이 감겨지는 부분은 장홈(140) 상에 위치된 튜너(142)의 몸체 상에 감겨진다.
그리고, 튜너(142) 사이 사이의 일정 높이인 장홈(140)의 내측 일측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각각의 현(130)이 그 외주면을 통해 걸쳐져 튜너(142)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현 걸침부재(144)는 현이 직접적으로 튜너(142)에 감져지지 않고 이 현 걸침부재(144)를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맑은 음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율수단은 튜너(142)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현(130)을 감거나 풀어냄으로써 현(130)의 장력을 조절하여 각 현(130)의 음색을 조율하게 된다.
받침수단은 볼 발명에 따른 공후(100)를 자립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받침수단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단(150) 및 결합단(150)에 대응하여 상부에 결합홈(152a)이 형성된 받침판(152)으로 이루어진다.
전수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받침수단에서 받침판(152)의 결합홈(152a) 주위면 에는 도 공명통(110) 상단에 형성된 봉황의 머리와 조화되도록 봉황의 다리를 조각 형성하였다.
현 결속부재(160)는 현(130)의 상부측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이 현 결속부재(160)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0)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된다. 이때, 현 결속부재(160)의 좌우로는 관통된 현 결속홈(16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현 결속홈(162) 상에 현(130)의 상단부가 결속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현 결속부재(16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정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현 결속부재(160)의 단면이 꼭 정삼각형의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이나 반원형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공명공(170)은 현(130)의 탄주에 의해 발생되는 음이 공명공(170)을 통해 공명통(110)의 공명공간(112)으로 전달되어 공명(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공명공(170)은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인 공명통(110)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공명공(170)은 현 결속부재(160)의 좌우 양측 동일 선상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한 조 내지 다섯 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인 공명통(110)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명공(170)은 공명통(110)의 공명공간(112)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130)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 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현악기로써의 공후(100)는 공명통(110)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160)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130)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현 결속부재(160)의 양측인 공명통(110)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170)을 형성함으로써 현(130)의 탄주시 보다 맑은 음색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명통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을 형성하여 현의 탄주시 보다 맑은 음색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공명통 내측면의 중심 상에 그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현 결속부재를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하여 현의 상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공명통 내측면 상에 다수의 공명공을 형성한 구조의 공후를 제작함으로써 전통의 공후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하단으로 일정 곡률로 굴곡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명공간이 형성되어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통, 상기 공명통의 하부에 굴곡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조율대, 상기 공명통과 조율대 사이에 연결되어 탄주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현, 상기 조율대에 구성되어 상기 현의 음을 조율하는 조율수단 및 상기 공명통이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통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공명통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어지되 좌우로 관통된 현 결속홈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현 결속홈 상에 현의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 및
    상기 현 결속부재의 양측인 상기 공명통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공명통의 공명공간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 결속부재의 횡단면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공은 현 결속부재의 좌우 양측 동일 선상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한 조 내지 다섯 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수단은 상기 조율대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구된 장홈;
    상기 조율대의 좌우로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장홈 상에 위치된 몸체 부분에 상기 각각의 현 하단부가 감겨져 현의 장력을 조율하는 다수의 튜너; 및
    상기 장홈의 내측 일측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튜너 사이 사이의 일정 높이에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현이 그 외주면을 통해 걸쳐저 상기 튜너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현 걸침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공명통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단; 및
    상기 결합단에 대응하여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은 4현 내지 48현으로 이루어지되 명주실, 나일론 줄 또는 철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KR1020060050290A 2006-06-05 2006-06-05 전통 현악기 KR10071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0A KR100715800B1 (ko) 2006-06-05 2006-06-05 전통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0A KR100715800B1 (ko) 2006-06-05 2006-06-05 전통 현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800B1 true KR100715800B1 (ko) 2007-05-07

Family

ID=3827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0A KR100715800B1 (ko) 2006-06-05 2006-06-05 전통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8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461A (ko) * 2013-08-02 2015-0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
KR101903780B1 (ko) * 2018-02-24 2018-10-05 이정순 음량이 조절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
KR102496931B1 (ko) 2021-08-10 2023-02-07 주식회사 힘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KR20230023414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힘 반음계를 구현하는 하프
KR20230094584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힘 교습용 하프 및 이를 이용한 하프 교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5A (ja) * 1999-11-12 2001-05-25 Kunihiko Omori ギターのブリッジ構造
KR200328993Y1 (ko) * 2003-07-01 2003-10-04 고수환 현악기
KR20050050722A (ko) * 2003-11-26 2005-06-01 배윤수 기타의 공명상자
KR200399174Y1 (ko) * 2005-07-19 2005-10-20 유경화 철현금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5A (ja) * 1999-11-12 2001-05-25 Kunihiko Omori ギターのブリッジ構造
KR200328993Y1 (ko) * 2003-07-01 2003-10-04 고수환 현악기
KR20050050722A (ko) * 2003-11-26 2005-06-01 배윤수 기타의 공명상자
KR200399174Y1 (ko) * 2005-07-19 2005-10-20 유경화 철현금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461A (ko) * 2013-08-02 2015-0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
KR101724789B1 (ko) * 2013-08-02 2017-04-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
KR101903780B1 (ko) * 2018-02-24 2018-10-05 이정순 음량이 조절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
KR102496931B1 (ko) 2021-08-10 2023-02-07 주식회사 힘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KR20230023414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힘 반음계를 구현하는 하프
KR20230094584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힘 교습용 하프 및 이를 이용한 하프 교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800B1 (ko) 전통 현악기
KR102220418B1 (ko) 오토하프
KR102218783B1 (ko)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
KR101252821B1 (ko) 음정조절이 용이한 칼림바
US7939735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N103218995A (zh) 双杆四弦马头琴
CN205140496U (zh) 玉京胡
CN103325361A (zh) 板膜弦协和共鸣式低音拉弦乐器
CN204680366U (zh) 舞台表演用可调式二胡
KR200328993Y1 (ko) 현악기
CN203311827U (zh) 双杆四弦马头琴
CN219997844U (zh) 一种提升音质的声学提琴尾柱
CN207302599U (zh)
CN206584724U (zh) 多管葫芦丝
CN210984245U (zh) 一种板胡
CN107705772A (zh) 铃琴
CN203746405U (zh) 一种唢呐伸缩活芯
CN216053849U (zh) 月琴及其具有音柱的琴身结构
KR200326229Y1 (ko) 가야금
US4481855A (en) Zither-like instruments
CN215834243U (zh) 一种单人武场架子
CN108694924A (zh) 一种双面板琴体共振古琴
CN221281742U (zh) 四弦胡琴及其琴码
JP2001215950A (ja) 弦楽器用駒および弦楽器
CN205827893U (zh) 一种多音胡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