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31B1 -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 Google Patents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31B1
KR102496931B1 KR1020210105538A KR20210105538A KR102496931B1 KR 102496931 B1 KR102496931 B1 KR 102496931B1 KR 1020210105538 A KR1020210105538 A KR 1020210105538A KR 20210105538 A KR20210105538 A KR 20210105538A KR 102496931 B1 KR102496931 B1 KR 10249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ing
mount
harp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
Priority to KR102021010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프에 관한 발명이며,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공명부(100); 상기 공명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현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되는 받침부(300); 상기 공명부(100)와 받침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 및 받침부(300) 간의 상호 결착력을 공급하는 결합부(400); 를 포함하는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다.

Description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Harp with easy movement of the player's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연주자의 상체 전면부에 거치되어,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중앙에 사운드 홀을 형성하고 조율핀, 상현주, 하현주 및 하현주 받침대를 구비하며 몸체의 상부를 덮는 상판과, 상판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하부를 덮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테두리 골격을 이루며 가운데 중공을 형성하는 몸체 지주대와, 다수의 현 및 코드바, 화음버튼 및 코드바 덮개를 포함하며 현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코드부를 포함하는 오토 하프에 있어서, 몸체 지주대는 내측면에 다수의 조율핀틀 사운드 홀을 형성하며, 몸체 상단과 조율핀을 지지하는 조율핀 브리지 틀; 조율핀 틀의 좌측단에 연접하고, 내측면에 다수의 좌측지주 사운드 홀을 형성하며, 몸체의 좌측을 지지하는 좌측 지주대; 조율핀 브리지 틀의 우측단에 연접하고, 내측면에 다수의 우측지주 사운드 홀을 형성하며, 몸체의 우측을 지지하는 우측 지주대; 양측단이 좌측 지주대와 우측 지주대의 일측단에 각각 연접하고, 상판과 접하는 상면 하부에 다수의 하현주틀 사운드 홀을 형성하며, 하현주를 지지하는 하현주 브릿지 틀; 을 포함하는 오토하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공명통과, 공명통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음높이를 갖는 다수의 현과, 공명통의 전면에 형성되며 현을 통해 발생되는 소리가 공명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과, 공명통의 후면에 형성되어 공명통으로 유입된 소리를 외부로 발산하는 유출공을 포함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에 있어서, 유출공에 탈착되는 것으로,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음 증폭수단; 을 더 포함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판과, 전면판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판과, 전면판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건반몸체와, 한 쌍의 건반몸체 사이에 누를 수 있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건반대와, 전면판의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고정되는 현 고정대와, 현 고정대를 지난 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현 고정대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조율핀과, 전면판의 하단에서 전면판의 상부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현이 구비된 크로마하프에 있어서, 후면판에는 현의 일측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봉 형상의 후면 고정구; 전면판을 관통하여 전면판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전면판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면 고정구; 를 포함하는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공명통 내측면 상의 길이방향 중심에 일정길이로 부착 결합되되, 좌우로 관통된 현 결속홈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현 결속홈 상에 현의 상단부가 결속되는 현 결속부재; 현 결속부재의 양측이 공명통 내측면 양측 동일 선상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공명통의 공명공간과 내통되어 탄주되는 현으로부터 발생한 음의 공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공명공; 을 포함하는 전통 현악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220418 B1 (2021년02월19일) KR 10-1903780 B1 (2018년09월21일) KR 10-2218783 B1 (2021년02월16일) KR 10-0715800 B1 (2007년05월01일)
본 발명은 연주자의 상체 전면부에 거치되어,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프에 관한 발명이며,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공명부(100); 상기 공명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현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되는 받침부(300); 상기 공명부(100)와 받침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 및 받침부(300) 간의 상호 결착력을 공급하는 결합부(4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제1 마운트(410); 상기 받침부(30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제2 마운트(420); 상기 제1 마운트(410)와 상기 제2 마운트(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부(4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4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 조인트(431);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브라켓(432);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마운트(41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이동이 실시된 상기 공명부(1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현 지지부(2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두께 값을 갖는 프레임(210);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장력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반음 구현부(220); 상기 반음 구현부(22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인장력을 전달하는 반음 구동부(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반음 구동부(23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대한 인장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반음 제어부(7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현이 배치되는 공명부와 현 지지부가 소정 범위 가동이 가능함에 따라,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옥타브 내에서 구현되는 모든 음계를 연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주자가 파지하는 현 지지부를 비교적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반음 구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반음 구동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반음 제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공명부(100); 상기 공명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현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되는 받침부(300); 상기 공명부(100)와 받침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 및 받침부(300) 간의 상호 결착력을 공급하는 결합부(4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현(String)을 이용하여 연주자가 음악을 연주하는 하프에 대한 발명이다. 연주자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현에 진동을 발생시켜, 복수의 음계로 이루어지는 음악을 연주한다.
이 때, 현의 구조적인 특성상, 각각의 현에서 구현해내는 소리의 크기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현을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연장시키는 별도의 공명부(1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현의 일단부는 공명부(100)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현 지지부(200)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현이 진동하여 구현해내는 소리는 공명부(10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에 의해 받침부(300)가 공명부(10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복수의 현은 연주자의 상체와 대향되는 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100)는 내부에 공실이 형성되고,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우징(1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0)는 내부에 공실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단면과 대향 배치되는 제2 하우징(31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이 구현하는 소리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공명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고정부(200)와 일체형 또는 결합형 구조로 형성되는 공명부(100)에 현의 일단부가 결합됨에 따라, 각각의 현에서 구현하는 소리의 크기가 증폭될 수 있다.
이 때, 공명부(100)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유입공을 관통하는 현의 일단부가 내측 빈 공간에 삽입되는 제1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현이 진동하여 구현해내는 소리가 제1 하우징(110) 내에서 일부 증폭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받침부(300)는 하단면이 지면과 접하고, 상단면이 제1 하우징(110)의 하단면과 접하는 제2 하우징(31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공명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가 연주자의 상체와 대향되는 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100)는 상기 유입공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관통하는 현의 외주부와 접하는 베어링; 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마찰계수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이 구현하는 소리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공명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입공에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됨에 따라, 현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가 제1 하우징(110) 내부에서 증폭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하프의 통상적인 구조적인 특성상, 제1 하우징(110)에 일단부가 결합하는 각각의 현은 유입공 내주부와 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시, 현과 제1 하우징(110) 간의 마찰력에 의해 현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명부(100)는 마찰계수가 제1 하우징(110)보다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유입공 내주부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제1 마운트(410); 상기 받침부(30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제2 마운트(420); 상기 제1 마운트(410)와 상기 제2 마운트(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부(4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명부(100)와 받침부(300)를 상호 체결시키는 결합부(400)에 대한 발명이다. 결합부(400)는 공명부(100)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110)의 하단면과 받침부(300)를 구성하는 제2 하우징(310)의 상단면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결합부(400)는 공명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제1 마운트(410), 받침부(30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제2 마운트(4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마운트(410,420)는 힌지부(43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힌지부(430)를 기준으로 공명부(100)가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잇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100)는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마운트(41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결합 홀(1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홀(120)과 대응되는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결합 돌기(411);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41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41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명부(100)에 결착되어, 결합부(400)를 구성하는 제1 마운트(410)에 대한 발명이다. 제1 마운트(410)는 공명부(100)의 하단부에 결착되어, 받침부(300)에 결착되는 제2 마운트(420)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공명부(100)는 제1 마운트(4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하우징(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 홀(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마운트(410)는 제1 하우징(110)의 하단면과 접하는 상단부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결합 돌기(411)가 형성되어, 결합 홀(120) 내주부로 삽입된다. 상기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제1 마운트(410)는 공명부(100)와의 상호 결착이 완료된다.
또한 제1 마운트(410)는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마운트(420)를 통과하는 별도의 지주(412)가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종속적으로 공명부(100)의 회동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0)는 상단면에 형성되고,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2 마운트(42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결합 홈(3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420)는 높이 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 연통공(42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받침부(300)에 결착되어, 결합부(400)를 구성하는 제2 마운트(420)에 대한 발명이다. 제2 마운트(420)는 받침부(30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공명부(100)에 결착되는 제1 마운트(410)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받침부(300)는 제2 마운트(4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2 하우징(310)의 상단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결합 홈(311)과 결합 홈(311)의 하단면으로부터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결합 홀(31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홀(312)의 면적은 결합 홈(311)의 면적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어, 제2 마운트(420)의 하단면 모서리부와 접하여 지지되는 단턱을 형성한다.
또한 제2 마운트(420)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제1 연통공(421)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부(400)는 제1 마운트(410)의 지주(412)가 제1 연통공(421)을 관통하여 받침부(300) 내부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 조인트(431);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브라켓(432);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와 제2 마운트(42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마운트(410,420) 위치를 제한하는 힌지부(430)에 대한 발명이다. 공명부(100)와 받침부(300)와 결착하는 복수의 마운트(410,420)는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힌지부(430)를 사이에 두고 힌지 결합하는 구조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마운트(410)와 결착하는 공명부(100)가 받침부(3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힌지부(430)는 구 형상의 볼 조인트(431)와 볼 조인트(431) 외주부에 배치되어, 볼 조인트(431)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라켓(43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431)는 구의 중점을 지나 내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공(431-1); 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지주(412)는 상기 제2 연통공(431-1)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300) 내부로 투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에 소정 범위 자유도를 부여하는 볼 조인트(431)에 대한 발명이다. 볼 조인트(431)는 브라켓(432) 내주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의 마운트(410,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마운트(410)와 결착된 공명부(100)에 소정 범위 자유도를 공급한다.
따라서, 볼 조인트(431)는 제1 마운트(410)의 지주(412)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 형상의 볼 조인트(431)는 중점을 지나 연통되는 제2 연통공(43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주(412)는 제2 연통공(431-1)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마운트(410)와 힌지부(430)와의 상호 결합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공(421)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받침부(300)의 상단면에 결착되는 제2 마운트(420)에 대한 발명이다. 제2 마운트(420)는 힌지부(430)를 매개체로 하여 제1 마운트(410)와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제1 마운트(410)와 결착되는 공명부(100)는 받침부(30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제2 연통공(431-1)을 관통하는 지주(412)는 제2 마운트(420)에 형성되는 제1 연통공(421)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받침부(300) 내주부에 배치된다. 이 때, 연주자가 공명부(100)의 중심을 이동할 시에 지주(412)의 하단부는 받침부(300)의 제2 하우징(310) 내부에서 자유도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연통공(421)는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직경 값이 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부(400)의 결합 구조에 의해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대한 발명이다. 결합부(400)는 복수의 마운트(410,420)와 힌지부(430)에 의하여, 공명부(100)가 받침부(3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마운트(410,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부(430)의 볼 조인트(431)가 임의의 한 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음에 따라, 연주자의 의도에 관계 없이 공명부(100)의 중심이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공명부(1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지주(412)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 부재(510)는 브라켓(432) 내주면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에 대한 발명이다. 고정부(500)는 연주자가 필요로 할 시에 제1 마운트(410)의 지주(412)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 마운트(410)와 결착하는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부(500)는 지주(412)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돌출 부재(510)는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와 대향 배치되는 브라켓(43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500)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가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힌지부(430)와 결합하는 제1 마운트(41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받침부(3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주(412)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제3 연통공(521)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5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 부재(510)는 상기 제3 연통공(521) 내주면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에 대한 발명이다. 고정부(500)는 연주자가 필요로 할 시에 제1 마운트(410)의 지주(412)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 마운트(410)와 결착하는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부(500)는 받침부(300)의 제2 프레임(310)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고정 브라켓(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20)의 중심부에는 고정 브라켓(52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제3 연통공(521)이 형성되어, 지주(412)의 하단부가 제3 연통공(521)을 관통한다.
이 때, 복수의 돌출 부재(510)는 제2 연통공(521) 내주면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500)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가 지주(412)의 하단 외주부를 파지하여, 제1 마운트(41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복수의 상기 돌출 부재(51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돌출 부재(510)의 위치를 결정하는 레버(5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에 대한 발명이다. 고정부(500)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가 공명부(100)와 결착하는 구성을 고정시켜,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이 의도치 않게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500)는 복수의 돌출 부재(510)와 결합되어, 돌출 부재(510)의 위치를 결정하는 레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주자는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을 원하지 않을 시에 레버(530)의 위치를 설정하여, 돌출 부재(510)의 구성 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이동이 실시된 상기 공명부(1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부(400)의 결합 구조에 의해 공명부(100)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대한 발명이다. 결합부(400)는 복수의 마운트(410,420)와 힌지부(430)에 의하여, 공명부(100)가 받침부(3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연주자에 의해 공명부(100)로 공급되는 외력이 해제될 시에는 공명부(100)의 중심이 받침부(300)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위치로 복귀되어, 공명부(100)와 받침부(300) 상호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명부(100)와 결착되는 제1 마운트(410)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공명부(100)의 중심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회귀부(600)는 일정한 탄성 계수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회귀부(600)는 상기 지주(412)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공명부(100)의 중심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에 대한 발명이다. 회귀부(600)는 공명부(100)와 결착되는 제1 마운트(410)와 결합되어, 연주자의 외력이 해제될 시에 공명부(100)의 중심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회귀부(600)는 일정한 탄성 계수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지주(412)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주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지주(412)가 회귀부(600)의 형상을 가변시켜, 외력이 해제될 시에 지주(412)의 하단부를 향하여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회귀부(600)는 상기 받침부(300)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회귀부(600)는 상기 받침부(300)의 중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3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 배치되는 탄성재(6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명부(100)의 중심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에 대한 발명이다. 회귀부(600)는 지주(412)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공명부(100)의 중심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때, 회귀부(600)는 받침부(300)의 제2 하우징(310)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재(6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재(610)는 제 제2 하우징(310)의 횡단면 중심을 중점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지주(412) 하단부의 전방향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현 지지부(2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두께 값을 갖는 프레임(210);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장력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반음 구현부(220); 상기 반음 구현부(22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인장력을 전달하는 반음 구동부(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단부가 공명부(100)와 결합하는 현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공명부(100)와 현 지지부(200)에 의해 현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각각의 현에는 일정한 인장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현으로 전달하는 충격에 의해, 소리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한 옥타브 내에 존재하는 음계는 총 12음계로, 7개의 온음계와 5개의 반음계가 있다. 이 때, 옥타브 내의 모든 음계에 대한 현이 존재한다면, 전반적인 하프의 크기가 증대되어 휴대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하프에서 자주 구현되는 아르페지오(Arpeggio) 기법으로 연주될 시에 화성악에 다소 어긋나는 불편한 소리가 구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 지지부(200)는 각각의 현에 대한 반음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반음 구현부(220)와 반음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반음 구현부(220)는 상기 프레임(210)의 두께방향 일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현이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 플레이트(221); 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2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현에 대한 반음 올림음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반음 구현부(220)에 대한 발명이다. 연주자가 필요로 할 시에만 특정 현에 대한 인장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함에 따라, 하프의 휴대성과 연주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반음 구현부(220)는 현이 관통되는 구조의 회전 플레이트(221)가 프레임(210)의 일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은 프레임(210)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221)를 회동시키는 구성이 소리를 구현하는 현과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반음 구동부(230)는 상기 프레임(210)의 두께방향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동력 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음 구현부(220)를 활성화시키는 반음 구동부(230)에 대한 발명이다. 회전 플레이트(221)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반음 구동부(230)는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동력 수단을 포함하여,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을 향하여 동력을 공급한다.
이 때, 현이 타 구성과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회전 플레이트(221)의 회전축이 프레임(210)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적이 특성상, 동력 수단은 프레임(21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반음 구동부(23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대한 인장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반음 제어부(7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부(100)와 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하프에 대한 발명이다. 반음 구현부(220)와 반음 구동부(230)에 의해 복수의 현에서는 선택적으로 반음이 상승된 음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각각의 현에 공급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310)를 포함하는 별도의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장력 제어부(310)에 의해 반음 구동부(230)와 반음 구현부(220)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켜, 옥타브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음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반음 제어부(700)는 동력 수단과 연동되는 풋 스위치(7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711)는 일면이 지면과 접하는 평플레이트(711); 상기 평플레이트(311-1)의 길이방향 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풋 레버(712); 상기 풋 레버(712)를 초기 위치로 회귀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항시 가하는 복귀부(71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음 제어부(700)를 구성하여, 반음 구동부(230)에 힘을 공급하는 풋 스위치(710)에 대한 발명이다. 풋 스위치(710)는 연주자의 발과 대향되는 지면에 배치되어, 반음 구현주(220)와 연동되는 반음 구동부(230)에 외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풋 스위치(710)는 지면과 접하는 평플레이트(711)와 평플레이트(711)의 길이방향 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풋 레버(7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주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을 시에 평플레이트(711)와 풋 레버(712)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탄성 계수를 갖는 재질의 복귀부(713)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7-4)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710)는 상기 평플레이트(711)의 상단부와 상기 풋 레버(712)의 하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714); 를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은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반음 구동부(230)는 복수의 상기 센서(714)와 연동되어, 회전축의 회동 여부가 결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반음 제어부(700)를 구성하여, 반음 구동부(230)에 힘을 공급하는 풋 스위치(710)에 대한 발명이다. 반음 구동부(230)는 반음 제어부(700)에 의해 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동됨에 따라, 축결합된 반음 구현부(220)의 회전 플레이트(221)를 소정 각도 회동시켜 해당 현의 반음 상승된 음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풋 스위치(710)는 풋 레버(712)가 회동하는 각도에 따라 반음 구동부(230)에 힘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풋 스위치(710)는 풋 레버(712)가 평플레이트(711) 측으로 회동할 시에 상호 접하는 복수의 센서(7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714)가 물리적으로 접할 시, 센서(714)와 연동되는 반음 구동부(230)의 회전축이 회동함에 따라, 종속적으로 회전 플레이트(211)가 소정 각도 회동하여 해당 현의 반음 상승된 음계를 구현할 수 있다.
1 : 하프 10 : 현
100 : 공명부 110 : 제1 하우징
120 : 결합 홀
200 : 현 지지부 210 : 프레임
220 : 반음 구현부 221 : 회전 플레이트
230 : 반음 구동부
300 : 받침부 310 : 제2 하우징
320 : 결합 홈
400 : 결합부 410 : 제1 마운트
411 : 결합 돌기 412 : 지주
420 : 제2 마운트 421 : 제1 연통공
430 : 힌지부 431 : 볼 조인트
431-1 : 제2 연통공 432 : 브라켓
500 : 고정부 510 : 돌출 부재
520 : 고정 브라켓 530 : 레버
600 : 회귀부 610 : 탄성재
700 : 반음 제어부 710 : 풋 스위치
711 : 평플레이트 712 : 풋 레버
713 : 복귀부 714 : 센서

Claims (7)

  1. 현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공명부(100);
    상기 공명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현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현 지지부(200);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되는 받침부(300);
    상기 공명부(100)와 받침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 및 받침부(300) 간의 상호 결착력을 공급하는 결합부(400);
    상기 현 지지부(2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두께 값을 갖는 프레임(210);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장력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반음 구현부(220);
    상기 반음 구현부(22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인장력을 전달하는 반음 구동부(230);
    상기 반음 구동부(230)와 연동되어, 각각의 현에 대한 인장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반음 제어부(700);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공명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제1 마운트(410);
    상기 받침부(30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제2 마운트(420);
    상기 제1 마운트(410)와 상기 제2 마운트(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부(430);를 포함하는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 조인트(431);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볼 조인트(431)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브라켓(432); 을 포함하는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명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500); 를 포함하는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41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이동이 실시된 상기 공명부(1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귀부(600); 를 포함하는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6. 삭제
  7. 삭제
KR1020210105538A 2021-08-10 2021-08-10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KR10249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38A KR102496931B1 (ko) 2021-08-10 2021-08-10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38A KR102496931B1 (ko) 2021-08-10 2021-08-10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931B1 true KR102496931B1 (ko) 2023-02-07

Family

ID=8522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38A KR102496931B1 (ko) 2021-08-10 2021-08-10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5266A1 (fr) * 1982-01-28 1983-08-10 Didier Budin Harpe comportant un mécanisme perfectionné de réglage des sons
KR100715800B1 (ko) 2006-06-05 2007-05-07 조석연 전통 현악기
US20110185877A1 (en) * 2009-07-17 2011-08-04 Sunny Ah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1903780B1 (ko) 2018-02-24 2018-10-05 이정순 음량이 조절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
KR102218783B1 (ko) 2020-05-27 2021-02-22 김현석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
KR102220418B1 (ko) 2018-08-21 2021-02-24 하명식 오토하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5266A1 (fr) * 1982-01-28 1983-08-10 Didier Budin Harpe comportant un mécanisme perfectionné de réglage des sons
KR100715800B1 (ko) 2006-06-05 2007-05-07 조석연 전통 현악기
US20110185877A1 (en) * 2009-07-17 2011-08-04 Sunny Ah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1903780B1 (ko) 2018-02-24 2018-10-05 이정순 음량이 조절되는 초보자용 간편 하프
KR102220418B1 (ko) 2018-08-21 2021-02-24 하명식 오토하프
KR102218783B1 (ko) 2020-05-27 2021-02-22 김현석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213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612273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US7858865B2 (en) Tuning stabilizer for stringed instrument
EP3580749B1 (en) Compact drum kit
US7960635B2 (en) Combination drumstick
US8288637B2 (en) Torsion oscillated spring corded contrabass guitar
US5537906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20118995A (ja) 楽器の反対側にある二枚のサウンドボードから音を発生させる楽器
KR102496931B1 (ko) 연주자의 중심 이동이 용이한 하프
KR102610446B1 (ko) 반음계를 구현하는 하프
JP2001318667A (ja) ドラム
USRE31722E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210158787A1 (en) Go Drum
JP2019523455A (ja) ボディを取替できるギター
US6693233B1 (en) Neckless lap guitar
US20170278489A1 (en) Stringed Instrument With Vibrating Rear Diaphragm
US20110252941A1 (en) Fix-mounted Guitar Bridge
WO2012150854A1 (es) Mejoras a una guitarra
US6603066B2 (en) Modifi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20010093782A (ko) 핸드차임 악기
EP2092510B1 (en) Foldable guitar
JP7362157B2 (ja) 打楽器
US8624095B2 (en) Musical instrument
RU2813957C1 (ru) Клавиатура для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7068982B2 (ja) カラオケ用タンバリ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