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247A -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247A
KR20050050247A KR1020030083949A KR20030083949A KR20050050247A KR 20050050247 A KR20050050247 A KR 20050050247A KR 1020030083949 A KR1020030083949 A KR 1020030083949A KR 20030083949 A KR20030083949 A KR 20030083949A KR 20050050247 A KR20050050247 A KR 2005005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rod
link member
coupled
knuckle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865B1 (ko
Inventor
최장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8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Abstract

본 발명은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퍼암(4)의 하측으로 이격되면서 일단이 너클(2)의 상단부에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는 너클링크부재(11)와, 일단은 상기 너클링크부재(11)의 선단과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클(2)과 조향기어박스(6)를 연결하는 타이로드(5)와 볼조인트(J)를 통해 결합되는 타이로드링크부재(13)와,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관통하여 차체측에 결합되면서 타이로드(5)의 직선이동에 따라 타이로드링크부재(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의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축부재(15)와, 일단은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퍼암(4)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퍼암(4)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17)으로 구성되어져, 차량의 선회 주행시 좌우측 타이어(1)의 접지상태가 차량의 직진 주행시와 동일하게 최대한의 접지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차량의 선회안정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system for controling camber angle of front wheel}
본 발명은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전륜의 타이어와 노면과의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륜의 타이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에 결합되는 허브볼트 및 너트를 통해 앞차축과 연결된 허브와 결합되고, 이 허브에는 너클(2)이 결합되는 바, 상기 허브와 너클(2)사이에는 허브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타이어(1)와 허브는 너클(2)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클(2)은 차체측으로 연결되는 로어암(3)과 어퍼암(4)등의 각종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클(2)은 스티어링시스템을 구성하는 타이로드(5)와 연결되며, 상기 타이로드(5)는 조향기어박스(6)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륜구조를 갖춘 차량의 직진 주행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와 노면(R)과의 접지력이 최대가 되어 주행안정성이 확보되는 상태이지만, 일례로 고속주행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의 선회 주행시에는 전륜이 선회 반대방향(우측방향)으로 밀려나는 특성(원심력 작용)에 의해 타이어(1)의 접지력이 감소되면서 선회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J는 볼조인트 결합부(J)이고, 미설명부호 M은 차체측으로 결합되는 마운팅부(M)이며, 도 2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B는 차량의 바디(B)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회 주행시 전륜의 너클 상단부를 선회하는 방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타이어와 노면과의 접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라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퍼암의 하측으로 이격되면서 일단이 너클의 상단부에 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너클링크부재와, 일단은 상기 너클링크부재의 선단과 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클과 조향기어박스를 연결하는 타이로드와 볼조인트를 통해 결합되는 타이로드링크부재와,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를 관통하여 차체측에 결합되면서 타이로드의 직선이동에 따라 타이로드링크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의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축부재와, 일단은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퍼암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퍼암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버각 조정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전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시 전륜의 캠버각이 조향휠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선회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접지력 증대를 통해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륜의 타이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에 결합되는 허브볼트 및 너트를 통해 앞차축과 연결된 허브와 결합되고, 이 허브에는 너클(2)이 결합되는 바, 상기 허브와 너클(2)사이에는 허브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타이어(1)와 허브는 너클(2)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클(2)은 차체측으로 연결되는 로어암(3)과 어퍼암(4)등의 각종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클(2)은 스티어링시스템을 구성하는 타이로드(5)와 연결되며, 상기 타이로드(5)는 조향기어박스(6)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륜의 캠버각 조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너클링크부재(11)와 타이로드링크부재(13)와 힌지축부재(15) 및 가이드수단(1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클링크부재(11)는 상기 어퍼암(4)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너클(2)의 상단부측에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는 그 일단이 상기 너클링크부재(11)의 선단과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고, 반대측의 타단은 상기 너클(2)과 조향기어박스(6)를 연결하는 타이로드(5)의 소정부위와 볼조인트(J)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부재(15)는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의 소정부위를 관통하여 차체측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부재(15)는 타이로드(5)가 직선운동을 할 때 타이로드링크부재(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중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부재(15)의 설치위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의 중간지점과 상기 너클링크부재(11)와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연결하는 볼조인트(J)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축부재(15)가 너클링크부재(11)와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연결하는 볼조인트(J)와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이유는, 상기 타이로드(5)의 직선운동에 따라 타이로드링크부재(13)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17)은 일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퍼암(4)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너클링크부재(11)와 연동하는 어퍼암(4)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수단(17)은 어퍼암(4)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용 파이프부재(17a)와, 상기 어퍼암(4)과 가이드용 파이프부재(17a)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부재(17c)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캠버각 조정장치에 대해 도 3과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전륜은 타이어(1)의 중심선(C)이 노면(R)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유지한 상태이므로 이때의 차량은 직진 주행상태라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진 주행을 하던 차량이 좌측방향으로 선회주행을 하고자 운전자가 조향휠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이때의 조작력은 조향기어박스(6)를 통해 타이로드(5)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기어박스(6)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타이로드(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기어박스(6)쪽으로 당겨지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반대편의 우측 타이로드(5)는 조향기어박스(6)로부터 멀어지는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타이로드(5)의 직선운동으로 인해 타이어(1)의 조향이 이루어지면서 직선 주행중이던 차량은 좌측방향으로 선회주행을 하게 된다.
한편, 좌측방향의 선회주행을 위해 타이로드(5)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륜의 좌측 타이어(1)는 정캠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측의 우측 타이어(1)는 부캠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좌측에 위치한 타이로드(5)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기어박스(6)쪽으로 당겨지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타이로드(5)에 연결된 타이로드링크부재(13)도 함께 이동하면서 힌지축부재(15)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와 연결된 너클링크부재(11)는 도시된 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너클(2)의 상단부측을 타이어(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좌측의 타이어(1)는 정캠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측에 위치한 타이로드(5)가 조향기어박스(6)로부터 멀어지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타이로드(5)에 연결된 타이로드링크부재(13)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힌지축부재(1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와 연결된 너클링크부재(11)는 도시된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너클(2)의 상단부측을 타이어(1)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우측의 타이어(1)는 부캠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이 좌측방향으로 선회 주행할 때 선회방향의 내륜에 해당하는 좌측의 타이어(1)가 정캠버의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외륜에 해당하는 우측의 타이어(1)가 부캠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의 타이어(1)는 직진 주행시와 마찬가지로 노면(R)과는 완전한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이 좌측방향으로 선회 주행을 할 때 차량의 바디(B)와 전륜의 좌우측 타이어(1)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회하는 반대방향(우측방향)으로 밀려나는 특성(원심력 작용)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전륜의 좌측 타이어(1)는 부캠버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고 우측의 타이어(1)는 정캠버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캠버각 조정장치에 의해 전륜의 좌측 타이어(1)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정캠버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갖게 되고, 우측의 타이어(1)가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부캠버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갖게 되면, 각각의 힘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하더라도 좌우측의 타이어(1)는 직진 주행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선회할 때 차량의 바디(B)가 원심력에 의해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전륜의 좌우측의 타이어(1)는 좌측방향으로 밀려나는 힘에 의해 노면(R)과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직진 주행시와 동일한 상태(최고의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우측방향 선회 주행시에도 좌우측의 전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원리로서 작동되며, 이에 따라 전륜의 좌우측 타이어(1)는 항상 노면(R)과 수직한 상태로서 최대한의 접지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캠버각 조정장치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 타이어(1)의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선회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선회 주행시 좌우측 타이어의 접지상태가 차량의 직진 주행시와 동일하게 최대한의 접지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회안정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이에 따라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져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전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구조를 갖춘 차량이 직진 주행시와 좌측방향으로의 선회시에 타이어의 접지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버각 조정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전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좌측방향으로의 선회시 전륜의 캠버각이 조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타이어 2 - 너클
3 - 로어암 4 - 어퍼암
5 - 타이로드 6 - 조향기어박스
11 - 너클링크부재 13 - 타이로드링크부재
15 - 힌지축부재 17 - 가이드수단
17a - 파이프부재 17c - 베어링부재
J - 볼조인트

Claims (3)

  1. 어퍼암(4)의 하측으로 이격되면서 일단이 너클(2)의 상단부에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는 너클링크부재(11)와, 일단은 상기 너클링크부재(11)의 선단과 볼조인트(J)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클(2)과 조향기어박스(6)를 연결하는 타이로드(5)와 볼조인트(J)를 통해 결합되는 타이로드링크부재(13)와,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관통하여 차체측에 결합되면서 타이로드(5)의 직선이동에 따라 타이로드링크부재(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의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축부재(15)와, 일단은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퍼암(4)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퍼암(4)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17)으로 구성되는 전륜의 캠버각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부재(15)는 상기 타이로드링크부재(13)의 중간지점과 상기 너클링크부재(11)와 타이로드링크부재(13)를 연결하는 볼조인트(J)사이의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의 캠버각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17)은 어퍼암(4)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용 파이프부재(17a)와, 상기 어퍼암(4)과 가이드용 파이프부재(17a)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부재(17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의 캠버각 조절장치.
KR10-2003-0083949A 2003-11-25 2003-11-25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KR10053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49A KR100534865B1 (ko) 2003-11-25 2003-11-25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49A KR100534865B1 (ko) 2003-11-25 2003-11-25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247A true KR20050050247A (ko) 2005-05-31
KR100534865B1 KR100534865B1 (ko) 2005-12-08

Family

ID=3866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949A KR100534865B1 (ko) 2003-11-25 2003-11-25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8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47B1 (ko) * 2007-07-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륜 더블 위쉬본 현가장치의 가변 캠버각 설정 장치
KR100887978B1 (ko) * 2007-11-15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충 수단이 결합 된 타이로드 장치
KR101103898B1 (ko) * 2005-10-11 2012-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너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42B1 (ko) * 2008-12-03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좌우 독립형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가변레버장치
US9359007B2 (en) 2013-12-30 2016-06-07 Hyundai Motor Company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98B1 (ko) * 2005-10-11 2012-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너클구조
KR100837947B1 (ko) * 2007-07-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륜 더블 위쉬본 현가장치의 가변 캠버각 설정 장치
KR100887978B1 (ko) * 2007-11-15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충 수단이 결합 된 타이로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865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2344B2 (ja) 車輪懸架装置
KR100391611B1 (ko) 캠버 컨트롤 서스펜션
JP47654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966273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3332236A (zh) 一种机器人的移动装置
JP7224110B2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US20210009199A1 (en) Hub unit with steering function, steering system, and vehicle
CN106627024A (zh) 一种麦弗逊式独立悬架结构
EP3689711A1 (en) Hub unit equipped with steering function,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KR100534865B1 (ko) 전륜의 캠버각 조정장치
US20220073136A1 (en) Steering device of independent drive wheel and independent drive module including same
CN107054461A (zh) 前梯交叉几字形转向机构及卡丁车
US7758058B2 (en) Front Steerable device for a vehicle
CN206475933U (zh) 前梯交叉几字形转向机构及卡丁车
KR20090060523A (ko) 장륜차량의 암형 현가장치용 조향장치
JP554950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106193A (ja) 操舵輪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9398469A (zh) 一种全方向转向机构及其转向方法
JP7450376B2 (ja) 操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WO2024053374A1 (ja) 操舵装置
KR20050122947A (ko) 후륜의 선회안정성 향상장치
CN107284167A (zh) 下摆臂组件和车辆
WO2022083577A1 (zh) 一种双轮联动机构
KR100969279B1 (ko) 차량의 트레일링 아암 설치구조
KR100461409B1 (ko) 차량의 캐스터 각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