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175A -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8175A KR20050048175A KR1020030082028A KR20030082028A KR20050048175A KR 20050048175 A KR20050048175 A KR 20050048175A KR 1020030082028 A KR1020030082028 A KR 1020030082028A KR 20030082028 A KR20030082028 A KR 20030082028A KR 20050048175 A KR20050048175 A KR 20050048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mirror
- base
- arm membe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외부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을 모듈화하여 라인 작업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측에 체결되는 버스의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에 있어서, 차체측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끼워지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끝단에 부착된 미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는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기 위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홈을 구비하고, 전면으로 상부돌출면과 하부돌출면을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암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암부재는 대략 'F'자 형상을 가지고 그 일측 끝부분에 미러부재가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의 외부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을 모듈화하여 라인 작업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는 A필러(2)에 부착되어 운전자에게 후방시야를 확보해주기 위한 것으로 미러부재(10)와 상기 미러부재(10)를 지지하며 브래킷(3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암부재(20) 및 A필러(2)와 암부재(20)를 연결하는 브래킷(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래킷(30)을 뒤덮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50)를 부착하여 브래킷(30) 부분의 볼트, 너트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는 브래킷(30)을 차체에 체결하는 작업이나 상기 브래킷(30)에 미러부재(10)가 부착된 암부재(20)를 상기 브래킷(30) 부착하는 작업이 모두 라인작업에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작업들을 모두 라인에서 수행하는 것은 작업공수가 지나치게 많고 번거로와서 작업의 효율성의 측면에서 좋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미러부재(10)가 암부재(20)에 매달려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차체의 진동이 그대로 미러부재(10)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진동이 증폭되어 차량의 정차시 엔진의 아이들(idle) 진동에 의해서 미러부재(10)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암부재(20) 및 브래킷(30)은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암부재(20)와 결합하고 있는 브래킷(30)이 직접 차체의 A필러(2)에 볼트로 체결되므로 브래킷(30) 부분의 도장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이 부분에서 녹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도장을 강화해야 하며, 출고후 A/S의 측면에서도 아웃사이드미러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를 미리 조립체를 형성하여 장착작업만 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듈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A/S의 편리성을 추구한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와 미러부재를 연결하는 암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미러부재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한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측에 체결되는 버스의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에 있어서, 차체측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끼워지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끝단에 부착된 미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는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기 위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홈을 구비하고, 전면으로 상부돌출면과 하부돌출면을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암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암부재는 대략 'F'자 형상을 가지고 그 일측 끝부분에 미러부재가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브래킷에 암부재와 미러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브래킷이 베이스에 결합하고,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커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아웃사이드미러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아웃사이드미러는 미러부재(110)와 암부재(120) 그리고 브래킷(130)이 결합하여 미러조립체(150)를 형성하고, 상기 미러조립체(150)를 베이스(200)에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는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조립체(150)는, 미러부재(110)를 고정하고 있는 암부재(120)와 상기 암부재(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브래킷(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러조립체(150)의 일부인 브래킷(130)을 베이스(200)에 끼움 결합한 후 체결나사(155)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상기 브래킷(130)에 커버부재(140)를 끼움으로써 버스 아웃사이드미러의 장착이 완료된다.
종래의 체결구조는 미러부재와 암부재 그리고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고 조립하는 과정이 모두 라인작업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임에 반하여, 본 발명의 미러조립체(150)의 조립과정은 라인작업 이전에 이루어지고, 라인에서는 미러조립체(150)를 차체에 부착하는 장착작업만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인에서의 작업부담을 덜 수 있으며, 라인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부품들의 세부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이다.
차체의 A필러에 부착되는 베이스(200)는, 차체에 체결하기 위한 4개의 체결공(210)과 브래킷(130)과의 끼움 결합을 위한 레일(220)을 형성하며, 또 브래킷(130)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홈(2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일(220)은 베이스의 중간부분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한쌍이 사다리꼴형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브래킷(130)을 베이스(200)의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상단부(250)는 다른 부분들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단턱(255)을 구비하고 있어서, 브래킷(130)과 결합시 상단부(250)가 브래킷(130)의 배면에 형성된 덮개부(137)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기 단턱(255)이 덮개부(137)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되어 브래킷(130)을 고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이다.
브래킷(130)은 전면에 상부돌출면(132)과 하부돌출면(134)을 형성하고 있으며, 배면으로는 레일홈(135)과 덮개부(13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부돌출면(132)과 하부돌출면(134)으로 암부재(120)가 브래킷(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레일홈(135)은 베이스(200)에 형성된 레일(2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덮개부(137)는 베이스(200)의 상단면(250)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20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130)이 베이스(200)에 결합하게 되면 덮개부(137)가 베이스(200)의 상단부(250)를 덮어 덮개부(137)의 측면과 베이스(200)의 측면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130)의 중앙에는 베이스(20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39)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 브래킷(130)의 전면에는 커버부재(140)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131,133)들을 구비하고 있어서, 커버부재(140)가 브래킷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브래킷(130)과 베이스(200)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종래의 금속재질 브래킷에서 문제가 되었던 방청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40)는 반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브래킷(130)에 형성된 상부돌출면(132)과 하부돌출면(134)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부재(140)는 브래킷(130)의 걸림홈(131, 133)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41, 143)들을 상하에 형성하고 있으며, 좌우측면에는 브래킷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안내돌기(145)를 형성하고 있다.
도 7a는 도 3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와 브래킷(130)은 레일(220)과 레일홈(135)을 통해 끼움구조로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130)에는 다시 커버부재(140)가 결합하고 있으며 커버부재(140)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45)가 브래킷(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와 브래킷(130)은 체결나사(155)를 통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커버부재(140)는 끼움돌기(141, 143)를 통해 브래킷에 결합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부돌출면(132)과 하부돌출면(134)에는 암부재(1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1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브래킷연결부(122)와 하방으로 형성된 미러부재연결부(124)로 이루어져 대략 'F'자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브래킷(130)에 연결되는 브래킷연결부(122)는 브래킷(130)의 상하 양측에서 브래킷(130)과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암부재(120)가 브래킷(130)에 결합되면 도 3b 및 7b로 부터 알수 있듯이 브래킷연결부(122)가 전체적으로 4각형의 형태가 되어 미러부재 및 차체사이를 밸런스 있게 연결함으로 충분한 지지강도가 확보되어 종래의 미러부재(110)의 떨림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는 브래킷과 미러부재 암부재를 하나의 조립체로 형성하여 모듈화하고, 이를 차체에 장착된 베이스에 끼워 넣고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라인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인에서는 아웃사이드미러의 장착 작업만 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우수하고 부품을 모듈화함으로써 A/S시에도 편리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는 암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엔진의 아이들 진동시에 미러부재가 떨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아웃사이드미러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7a는 도 3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10 : 미러부재 120 : 암부재
130 : 브래킷 135 : 레일홈
137 : 덮개부 140 : 커버부재
145 : 안내돌기 150 : 미러조립체
155 : 체결나사 200 : 베이스
220 : 레일
Claims (3)
- 버스의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에 있어서,차체측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끼워지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끝단에 부착된 미러부재로 이루어지고,상기 베이스는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기 위한 레일을 구비하며,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홈을 구비하고, 전면으로 상부돌출면과 하부돌출면을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암부재와 결합하며,상기 암부재는 대략 'F'자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일측은 상기 상부돌출면과 하부돌출면에 결합하고 타측에는 미러부재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에 암부재와 미러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브래킷이 베이스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레일 및 레일홈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2028A KR100570396B1 (ko) | 2003-11-19 | 2003-11-19 |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2028A KR100570396B1 (ko) | 2003-11-19 | 2003-11-19 |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8175A true KR20050048175A (ko) | 2005-05-24 |
KR100570396B1 KR100570396B1 (ko) | 2006-04-11 |
Family
ID=3724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2028A KR100570396B1 (ko) | 2003-11-19 | 2003-11-19 |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03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505Y1 (ko) | 2019-01-21 | 2020-04-20 | 장경원 | 버스용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8579B1 (ko) | 2015-08-11 | 2017-01-20 | 이준승 | 차량용 사이드 미러 |
-
2003
- 2003-11-19 KR KR1020030082028A patent/KR1005703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505Y1 (ko) | 2019-01-21 | 2020-04-20 | 장경원 | 버스용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0396B1 (ko) | 2006-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0396B1 (ko) |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 |
JPH11115856A (ja) | 自動二輪車のメータケース取付け構造 | |
JP2002061231A (ja) | ハンドレール装置 | |
KR100588307B1 (ko) |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 |
JP2575211Y2 (ja) | 車両用灯具の車体取付構造 | |
JP4466317B2 (ja) |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への機器の取付構造 | |
JPH08150883A (ja) | 自動車のリヤドア用スプラッシュガードの取付構造 | |
JPH0735828Y2 (ja) | 車両のフェンダライナ取付構造 | |
KR0119209Y1 (ko) | 자동차 앞범퍼의 착탈식 포그램프 부착그릴 | |
CN210149491U (zh) | 一种防止松动的摩托车电机 | |
JPH0263929A (ja) | ラジェータの取付装置 | |
KR100448721B1 (ko) |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플로워 사이드 커버 고정구조 | |
KR200143374Y1 (ko) | 자동차의 범퍼커버 브래킷 체결용 가대 리테이너 | |
KR20050048067A (ko) | 자동차의 실 사이드 마운팅 구조 | |
JP2552129Y2 (ja) | 机における幕板取付装置 | |
JP4126425B2 (ja) | 自転車錠の取付け金具 | |
JPS6327029Y2 (ko) | ||
KR200192430Y1 (ko) | 스티어링휠의 어퍼커버 장착구조 | |
JPH03703Y2 (ko) | ||
KR100550618B1 (ko) |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 |
JP3055793U (ja) | エアバッグ付ステアリングホイ−ルにおけるコンタクトプレ−トの取付構造 | |
JPS59114142A (ja) | ライセンスプレ−ト支持具 | |
KR100621912B1 (ko) | 차체 패널 조립용 리테이너 | |
KR200205821Y1 (ko) | 차량의 카울 사이드 트림 마운팅 브라켓 구조 | |
KR100471775B1 (ko) | 엔진 사이드 커버의 체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