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821A -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821A
KR20050047821A KR1020030081621A KR20030081621A KR20050047821A KR 20050047821 A KR20050047821 A KR 20050047821A KR 1020030081621 A KR1020030081621 A KR 1020030081621A KR 20030081621 A KR20030081621 A KR 20030081621A KR 20050047821 A KR20050047821 A KR 20050047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ski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7821A/ko
Publication of KR2005004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쉬패드의 스킨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고, 그 크래쉬패드 안에 일몰센서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로 내장하여 일몰후 주위가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점등되어 차실내 분위기가 개선되도록 한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차실내측 앞유리창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크래쉬패드스킨;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이 지지되도록 골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래쉬패드레인포스;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을 통해 불빛이 퍼지도록 하는 발광부;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일몰센서; 상기 일몰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받아서 내부에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한 다음 햇빛이 유입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Mood Lamp Apparatus had within Crash pad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쉬패드의 스킨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고, 그 크래쉬패드 안에 일몰센서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로 내장하여 일몰후 주위가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점등되어 차실내 분위기가 개선되도록 한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가운전자가 많이 늘어나고 차량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자동차를 단순히 운송수단으로만 여기던 과거와는 달리 차량내의 인테리어에 신경을 쏟고 있다.
특히, 야간시에 차 실내의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하는 장식용 무드램프를 구입하여 차내 크래쉬패드 쪽에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 운전자가 늘어나고 있는 바, 이러한 장식용 무드램프는 광원이 운전자의 눈에 직접 들어오기 때문에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여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크래쉬패드 내부에 무드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시에 은은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1은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설치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간단한 회로도이며, 도3은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는 크래쉬패드조립체가 설치되는바, 상기 크래쉬패드조립체는 크게 크래쉬패드스킨(10)과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은 자동차의 실내에서 직접 보이는 것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차실 내측 앞유리창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은 빛이 잘 통과하도록 투명 또는 유색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는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이 지지되도록 골재의 역할을 하는데, 차실 내부에서는 크래쉬패드스킨(10)에 의해 가려져 직접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의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빛을 내는 전구(1)가 설치되고, 상기 전구(1)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멸되도록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일측에는 무드램프스위치(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무드램프스위치(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원이 되는 자동차용 배터리(3)와 상기 전구(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무드램프스위치(2)를 온(on)시키면 전구(1)가 점등되고, 무드램프스위치(2)를 오프(off)시키면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크래쉬패드스킨(10)의 내측에 전구(1)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전구(1)가 점등되더라도 광원이 운전자의 눈에 직접 보이지 않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크래쉬패드스킨(10)에 의하여 불빛이 은은하게 퍼지므로 차내 분위기를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는 해가 져서 주위가 어두워지면 차실내 분위기를 내기 위해 운전중인 운전자가 손으로 무드램프스위치의 위치를 찾아내 직접 전구를 점등시켜야하므로 운전 중에는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다수의 운전자가 야간 운행 중에 무드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그냥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무드램프가 내장되어 있어도 무용지물로 남는 경우가 허다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래쉬패드 안에 무드램프가 구비된 차량에서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해가 져서 주위가 어두워지면 무드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야간시 차실내 분위기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차실내측 앞유리창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크래쉬패드스킨;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이 지지되도록 골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래쉬패드레인포스;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을 통해 불빛이 퍼지도록 하는 발광부; 상기 크래쉬패드스킨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일몰센서; 상기 일몰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받아서 내부에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한 다음 햇빛이 유입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크래쉬패드스킨(10)과, 그 크래쉬패드스킨(10)의 내부에 위치되어 크래쉬패드스킨(10)을 지지하는 골재 역할을 하는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가 마련되어 있다고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의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21)가 설치되는데, 상기 발광부(21)는 종래에는 전구(bulb)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부(21)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차종에 따라 그 분위기에 맞게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형상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발광다이오드는 전구에 비해 눈에 자극이 적어 탑승객의 피로도가 거의 없으며, 전구에 비해 좀 더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그 배열만을 달리한다면 얼마든지 다른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어느 일측에는 햇빛의 일조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몰센서(30)가 설치된다.
상기 일몰센서(30)는 햇빛의 일조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내보내는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일몰센서(30)는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에 설치될 때 비교적 빛이 잘 들어오는 크래쉬패드스킨(10)의 상부면 전방 쪽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일몰센서(30)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받아서 주위가 어두워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21)가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발광부(21)에 배터리(3)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40)가 차량의 일측에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제어유닛(ECU)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일몰센서(30)의 신호를 받아서 내부에 설정되어 있는 비교값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보다 상기 일몰센서(30)의 신호가 작으면 주위가 어두워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발광부(21)에 배터리(3)의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21)를 점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의 비교값은 제어부(40)가 일몰을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값으로서, 이는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낮에는 상기 일몰센서(30)가 빛을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21)가 항상 소등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밤이 되면 일몰센서(30)로 유입되는 빛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21)는 항상 점등되어 무드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야간 운행시에도 상기 발광부(21)가 소등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있을 것이므로, 상기 발광부(21)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와 상기 발광부(21) 사이에는 상기 발광부(21)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컷오프스위치(50)가 설치된다.
상기 컷오프스위치(50)는 보통의 경우에는 제어부(40)와 발광부(21)를 연결하고 있다가, 상기 발광부(21)의 전원을 차단할 경우에 한번 눌러주면 오프(off)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와 발광부(21)의 연결을 끊게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다시 온(on)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와 발광부(21)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컷오프스위치(50)는 운전자의 손이 닿기 쉬운 크래쉬패드스킨(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에 의하면, 해가 져서 주위가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크래쉬패드에 내장된 무드램프가 점등되고, 낮이 되면 다시 자동으로 무드램프가 소등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에 무드램프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설치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2는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간단한 회로도,
도3은 종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배터리 10 : 크래쉬패드스킨
20 : 크래쉬패드레인포스 21 : 발광부
30 : 일몰센서 40 : 제어부
50 : 컷오프스위치

Claims (4)

  1.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차실내측 앞유리창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크래쉬패드스킨(10);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이 지지되도록 골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
    상기 크래쉬패드레인포스(2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을 통해 불빛이 퍼지도록 하는 발광부(21);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일몰센서(30);
    상기 일몰센서(30)의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받아서 내부에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한 다음, 주위가 어둡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21)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21)가 점등되도록 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1)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몰센서(30)는 포토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와 발광부(21) 사이에는 상기 발광부(21)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컷오프스위치(50)가 상기 크래쉬패드스킨(1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KR1020030081621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KR20050047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1A KR20050047821A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1A KR20050047821A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21A true KR20050047821A (ko) 2005-05-23

Family

ID=3724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21A KR20050047821A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78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32Y1 (ko) * 2010-08-05 2012-03-19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발광 스티치 라인 구조
KR101946237B1 (ko) 2017-09-25 2019-02-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종재질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크래쉬패드 조립체
KR20210123819A (ko) 2020-04-06 2021-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32Y1 (ko) * 2010-08-05 2012-03-19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발광 스티치 라인 구조
KR101946237B1 (ko) 2017-09-25 2019-02-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종재질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크래쉬패드 조립체
KR20210123819A (ko) 2020-04-06 2021-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762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llumination module
US10160380B1 (en) Enhanced informational vehicle puddle lamp assemblies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7245209B2 (en) U-turn indicator
US6126233A (en) Child safety seat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JP5572837B2 (ja) 車両内部のための移行型照明システム
CN106080312B (zh) 具有环境照明的座椅
WO2018096523A1 (en) Exterior illumination and icon projection module for vehicle
JP6848687B2 (ja) 乗物用照明装置
JP3186264U (ja) 光源調節制御可能な車のドア敷居用発光踏板
KR101189584B1 (ko) 도어 트림의 조명장치
KR20050047821A (ko)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내장형 무드램프장치
JPH069914Y2 (ja) 自動車の内装構造
JP2010018046A (ja) ドアハンドル装飾体の警告照明装置
JP2007331572A (ja) 車室内用覚醒照明装置
JP2005238859A (ja) 自動車の開口縁部照明装置
JP2007099045A (ja) 車室内照明器具
KR200447428Y1 (ko) 태양전등이 구비되는 버스승강장 표지판
TWM457671U (zh) 具有裝飾效果之車內氛圍燈
TWI330601B (en) Intelligent automobile light
JP2019137186A (ja) 車両
KR20180130757A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조명장치
KR19980066074U (ko) 리어 암레스트의 리모콘 전원 제어장치
JP3156393U (ja) スポイラー
JP3109110U (ja) 照明装置を内蔵する自動車内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