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245A - 차량용 토크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245A
KR20050046245A KR1020030080275A KR20030080275A KR20050046245A KR 20050046245 A KR20050046245 A KR 20050046245A KR 1020030080275 A KR1020030080275 A KR 1020030080275A KR 20030080275 A KR20030080275 A KR 20030080275A KR 20050046245 A KR20050046245 A KR 2005004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oil
coil assembly
jaw
sensor hous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8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6245A/ko
Priority to US10/981,929 priority patent/US7117755B2/en
Priority to CNB2004100858911A priority patent/CN1306254C/zh
Publication of KR2005004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코일조립체의 위치를 고정시킴은 물론, 토크센서의 부품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센서하우징의 내벽과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 각각 단차면을 형성하며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제1턱과 제2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턱과 대응하는 제2턱의 단부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상기 제1턱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턱이 소성변형되며 응집되도록 그루브가 마련되어 센서하우징의 내벽을 통해 검출코일조립체가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검출코일조립체가 별도의 고정부재 대신 센서하우징과 검출코일조립체의 구조변경을 통해 센서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감출코일조립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토크센서의 부품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센서{Torque sen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크센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코일조립체를 별도의 고정부재 대신 센서하우징과 검출코일조립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고정시킴으로써, 토크센서의 부품수가 줄어들도록 한 차량용 토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조향축을 통해 바퀴 측과 연결된 스티어링휠을 조작하여 운동방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바퀴와 노면과의 접지저항이 큰 상태에서는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이 약화되어 자동차를 신속하게 조향시킬 수 없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파워스티어링 장치이다. 이러한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조향장치의 도중에 보조동력장치를 설치하여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을 배력작용에 의해 경감시키게 한다.
파워스티어링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조향축은 입력축과 출력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입력축은 스티어링휠 측에 결합되고 출력축은 타이로드의 랙바와 이물림 결합된 피니언기어 측과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축과 출력축은 토션바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면 출력축이 회전하며 피니언기어와 랙바의 기어작용에 의해 타이로드에 결합된 바퀴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때, 바퀴와 노면과의 접지저항이 큰 경우에는 랙바와 피니언기어와의 기어작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휠 측과 결합된 입력축에 비해 피니언기어 측과 결합된 출력축이 덜 회전하여 토션바가 비틀리게 된다. 이러한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는 전기적인 신호상태로 전자제어유닛에 입력되고, 전자제어유닛에서는 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랙바에 설치된 보조동력장치를 가동시켜 출력축의 회전을 보상하여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토션바의 비틀림 감지는 토크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는 입력축(1)의 하단과 출력축(2)의 상단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3)와, 자성체로 마련되며 입력축(1)과 출력축(2)의 연결부위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의 검출링(4a,4b,4c)과, 검출링들(4a,4b,4c)이 끼워져 설치되는 통형상의 센서하우징(5)을 구비한다.
출력축(2)의 하단은 바퀴(미도시)측의 타이로드(미도시)에 형성된 랙바(미도시)와 이물림결합된 피니언기어(2a)와 연결되고, 입력축(1)의 상단은 스티어링휠(미도시)과 결합되어 스티어링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입력축(1)과 출력축(2)을 연결하는 토션바(3)가 비틀리면서 출력축(2)이 회전하게 된다.
복수개의 검출링(4a,4b,4c)은 입력축(1) 외주에 결합되어 스티어링휠(미도시)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 그리고 출력축(2) 외주에 결합되어 출력축(2)과 함께 회전 운동하는 제3검출링(4c)으로 구별된다. 또한,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의 하면 및 제3검출링(4c)의 상면에는 각각 요철이 반복된 톱니부(4d,4e,4f)가 형성된다.
또한, 센서하우징(5) 내부에는 검출링들(4a,4b,4c)의 톱니부(4d,4e,4f)를 감싸며 이들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코일(6a,7a)이 권선된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와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가 배치된다.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는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 사이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는 제2검출링(4b)과 제3검출링(4c) 사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스페이서(8)가 개재된다.
토션바(3)의 비틀림에 의해 제2검출링(4b)과 제3검출링(4c)의 각 톱니부(4e,4f)들은 그 대향면적이 변화되며, 이 대향면적의 변화에 의하여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의 인덕턴스값이 변화되고, 입력축(1)과 출력축(2)의 회전편차는 이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코일조립체(6,7)들을 통해 토션바(3)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 검출코일조립체(6,7)들은 상기 센서하우징(5)의 내부에서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는데, 검출코일조립체(6,7)들의 위치고정을 위해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 하부의 센서하우징 내부에는 "C" 형상의 고정링(9a)이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링(9a)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 사이에는 웨이브와셔(9b)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링(9a)과 웨이브와셔(9b)를 통해 검출코일조립체(6,7)는 센서하우징(5)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토크센서는 검출코일조립체(6,7)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링(9a)이나 웨이브와셔(9b)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가 마련되어야 하는 만큼, 부품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도록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코일조립체를 별도의 고정부재 대신 센서하우징과 검출코일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부품수 감소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토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이 결합되는 입력축과 조향기구와 결합되는 출력축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 상기 복수의 검출링 사이를 감싸도록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코일조립체,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센서하우징을 구비한 차량용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각각 단차면을 형성하며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제1턱과 제2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턱과 대응하는 상기 제2턱 단부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상기 제1턱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턱이 소성변형되며 응집되도록 그루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보다 큰 경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스틸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턱은 상기 센서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최 하단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통해 나머지 상부 측 검출코일조립체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턱은 상기 최 하단 검출코일조립체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최 하단 검출코일조립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로 조립되며, 최 하단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상부의 검출코일조립체의 외경은 상기 제1턱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가 별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1턱은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로 조립되고, 조립시 상부의 상기 검출코일조립체가 하부의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측 제1턱에 걸리지 않도록 상부 측 상기 제1턱의 내경은 인접한 하부 측 상기 제1턱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의 외경은 이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토크센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0)의 하단과 출력축(20)의 상단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30)와,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41,42,43), 그리고 상기 각 검출링(41,42,43)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센서하우징(50)을 구비한다.
출력축(20)은 바퀴(미도시)측의 조향기구(미도시)와 결합되는데 출력축(20)의 하단에는 바퀴(미도시)측의 타이로드(미도시)에 설치된 랙바(미도시)와 이물림결합되도록 피니언기어(21)가 가공되며, 입력축(10)의 상단은 스티어링휠(미도시)과 결합되어 있어, 바퀴(미도시)와 노면과의 마찰력이 클 경우 스티어링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토션바(30)가 비틀리면서 출력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30)의 상단은 평행핀(10a)을 통해 입력축(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센서하우징(50)의 하부로 연장된 출력축(20)에 압입 고정되며, 센서하우징(50)의 상부에는 입력축(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롤러베어링부재(10b)가 마련된다.
검출링(41,42,43)은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 그리고 제3검출링(43)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자성체로 마련되어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연결부에 설치된다.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은 입력축(10)의 하단 외주에 마련되며, 제3검출링(43)은 출력축(20)의 상단 외주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검출링(41), 제2검출링(42)의 하단과 제3검출링(43)의 상단에는 각각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톱니부(41a,42a,43a)가 마련된다.
센서하우징(50)은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그 내주면이 각 검출링(41,42,43)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또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각 검출링(41,42,43)의 톱니부(41a,42a,43a)를 감싸며 이들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코일조립체들(60,70)이 배치된다. 이중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 사이에는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가 마련되고, 제2검출링(42)과 제3검출링(43) 사이에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가 마련된다.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모두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코일(61,71)이 권선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각 코일(61,71)은 케이블(40)에 의해 차량의 적소에 마련된 신호처리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데, 센서하우징(50)의 측면 일측에는 이러한 케이블(40)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51)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토크센서는 토션바(30)의 비틀림에 의해 제2검출링(42)과 제3검출링(43)의 각 톱니부(42a,43a)들의 대향면적이 변화되고, 이 대향면적의 변화에 의하여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인덕턴스값이 변화되며,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회전편차는 이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된다. 또 이때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의 각 톱니부(41a,42a)들은 그 대향면적이 변화가 없게 되어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의 인덕턴스 값은 온도에 의해서만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온도 변화에 따른 편차를 보상하게 된다. 또한, 검출코일조립체(60,70)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 사이에는 스페이서(80)가 개재된다.
한편, 검출코일조립체(60,70)들을 통해 토션바(30)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 이러한 검출코일조립체(60,70)들은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서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부재 대신 센서하우징(50)의 내벽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외면 구조를 개선하여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가 센서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검출코일조립체(60,70) 고정구조는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센서하우징(50) 내부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별도의 고정부재가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을 통해 토크센서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센서하우징(50) 내부에 조립되는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와 스페이서(80)는 센서하우징(50)의 하단을 통해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 스페이서(80),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순서로 센서하우징(50) 내부에 조립되고, 이 상태에서 최 하단의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가 고정됨으로써 센서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과 대응하는 센서하우징(50)의 내벽에는 센서하우징(50)의 내벽이 단차를 갖도록 단차면을 형성하며 센서하우징(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턱(90)이 마련되고,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에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이 단차를 갖도록 단차면을 형성하며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턱(100)이 마련된다. 또 이러한 제1턱(90)과 제2턱(100)은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제1턱(90)과 대응하는 제2턱(100)의 단부 측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에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그루브(110)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턱(90)과 제2턱(100)이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를 가압공구를 이용하여 제1턱(9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턱(90)이 소성변형되며 그루브(110) 내부로 응집된다.
이렇게 제1턱(90)이 소성변형되며 그루브(110)에 채워짐으로써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는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 고정되고,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상부의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스페이서(80)는 하부에 고정된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를 통해 센서하우징(50)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렇게 센서하우징(50)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된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토션바(30)에 작용하는 토크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를 제1턱(90) 측으로 가압할 때 상호 지지되는 제1턱(90)과 제2턱(100) 중 제1턱(90)이 제2턱(100)에 의해 가압변형되도록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는 센서하우징(50)보다 큰 경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는 경도가 큰 스틸재질로 마련되며, 센서하우징(50)은 스틸재질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으며 늘림성 및 퍼짐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된다.
또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스페이서(80)가 센서하우징(50)의 하단을 통해 센서하우징(50)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턱(90)에 걸리지 않도록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스페이서(80)의 외경은 제1턱(90) 측 센서하우징(5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미도시)을 조향시키면, 입력축(10)과 토션바(30)로 연계된 출력축(20)을 통해 조향기구(미도시)가 작동되며 바퀴(미도시)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때, 일정크기 이상의 조향력이 작용하게 되면, 바퀴(미도시)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스티어링휠(미도시)을 통해 직접적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0)에 비해 토션바(30)로 연계된 출력축(20)의 회전각도가 작아 토션바(30)가 비틀린다. 토션바(30)의 비틀림으로 제2검출링(42)과 제3검출링(43)의 각 톱니부(42a,43a)는 그 대향면적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됨과 동시에 코일(61,71)에 흐르는 유기전압이 변화된다. 이러한 유기전압의 변화는 코일(61,71)의 자기저항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신호처리장치(미도시)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다.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조향편차를 측정하고, 보조동력수단(미도시)을 가동시켜 이를 보상한다.
그리고 이때,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 및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측 센서하우징(50)의 내벽에 마련된 제1턱(90)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에 마련된 제2턱(100)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를 제1턱(9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1턱(90)이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그루브(110)로 응집되며 센서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이러한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고정구조를 통해 토션바(30)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고정부재가 삭제됨에 따라 부품수가 줄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 측 센서하우징(50) 내벽에 단차면을 형성하는 제1턱(90)을 각각 마련하고,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에 단차면을 형성하는 제2턱(100) 및 제2턱(100) 상단에 형성되는 그루브(110)를 각각 형성하며, 각 제1턱(90)이 각 그루브(110)로 응집되도록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각 제1턱(90) 측으로 가압함으로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센서하우징(50) 내부에 별도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가 스페이서(80) 없이도 소정 간격 서로 이격되며 센서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토크센서의 부품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도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각 제1턱(90) 측으로 가압할 때 각 제1턱(90)이 가압변형되며 각 그로브(110)로 응집되도록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경도가 큰 스틸재질로 마련되고, 센서하우징(50)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된다.
또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순서로 센서하우징(50)의 하단을 통해 센서하우징(50) 내부로 조립되므로, 먼저 조립되는 상부의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측 제1턱(90)에 걸리지 않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부의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 측 제1턱(90)의 내경은 하부의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 측 제1턱(90)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어야 하며,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외경은 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고정구조에서도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센서하우징(50)의 내벽과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외면 구조를 개선하여 센서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부재가 삭제되어 토크센서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센서하우징의 내벽과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 각각 단차면을 형성하며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제1턱과 제2턱이 마련되고, 제1턱과 대응하는 제2턱의 단부 측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상기 제1턱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턱이 소성변형되며 응집되도록 그루브가 마련되어 센서하우징의 내벽을 통해 검출코일조립체가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검출코일조립체가 별도의 고정부재 대신 센서하우징과 검출코일조립체의 구조변경을 통해 센서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감출코일조립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토크센서의 부품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토크센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분해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센서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센서하우징 60: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
70: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 61,71: 코일
80: 스페이서 90: 제1턱
100: 제2턱 110: 그루브

Claims (8)

  1. 스티어링휠이 결합되는 입력축과 조향기구와 결합되는 출력축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 상기 복수의 검출링 사이를 감싸도록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코일조립체,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센서하우징을 구비한 차량용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각각 단차면을 형성하며 축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제1턱과 제2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턱과 대응하는 상기 제2턱 단부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상기 제1턱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턱이 소성변형되며 응집되도록 그루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보다 큰 경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스틸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턱은 상기 센서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최 하단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통해 나머지 상부 측 검출코일조립체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턱은 상기 최 하단 검출코일조립체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최 하단 검출코일조립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검출코일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로 조립되며, 최 하단 측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상부의 검출코일조립체의 외경은 상기 제1턱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가 별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1턱은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 측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턱과 그루브는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로 조립되고, 조립시 상부의 상기 검출코일조립체가 하부의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측 제1턱에 걸리지 않도록 상부 측 상기 제1턱의 내경은 인접한 하부 측 상기 제1턱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각 검출코일조립체의 외경은 이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KR1020030080275A 2003-11-13 2003-11-13 차량용 토크센서 KR20050046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275A KR20050046245A (ko) 2003-11-13 2003-11-13 차량용 토크센서
US10/981,929 US7117755B2 (en) 2003-11-13 2004-11-04 Torque sensor for vehicle
CNB2004100858911A CN1306254C (zh) 2003-11-13 2004-11-05 用于车辆的扭矩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275A KR20050046245A (ko) 2003-11-13 2003-11-13 차량용 토크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245A true KR20050046245A (ko) 2005-05-18

Family

ID=3456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275A KR20050046245A (ko) 2003-11-13 2003-11-13 차량용 토크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17755B2 (ko)
KR (1) KR20050046245A (ko)
CN (1) CN130625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492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결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7517B2 (en) * 2005-08-05 2007-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torque sensor
US20070028692A1 (en) * 2005-08-05 2007-0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oustic wave sensor packaging for reduced hysteresis and creep
US7395724B2 (en) 2005-08-22 2008-07-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7201044B1 (en) * 2005-09-27 2007-04-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integrated with engine components
JP4877715B2 (ja) * 2005-09-28 2012-02-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11794B2 (ja) * 2005-09-30 2012-08-2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832287B2 (en) * 2007-05-04 2010-1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ensor gap balancer
US7639004B2 (en) * 2007-07-23 2009-12-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pparatus for sensing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ncluding flux collectors
DE102012104076A1 (de) * 2011-05-13 2012-11-15 Denso Corp. Drehmomentsensor
CN103231730A (zh) * 2013-04-12 2013-08-07 大连创新零部件制造公司 扭矩传感器信号采集装置及使用方法
DE102014117802A1 (de) * 2014-12-03 2016-06-09 Trw Automotive Gmbh Servolenkung für Fahrzeuge
EP3379222B1 (en) 2017-03-22 2020-12-30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Magnetoelastic based sensor assembly
DE102018202226B4 (de) * 2018-02-14 2022-05-12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Lenksensoreinheit zur induktiven Erfassung wenigstens einer Lenkinformation
US11084342B2 (en) 2018-02-27 2021-08-10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221262B2 (en) 2018-02-27 2022-01-11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135882B2 (en) 2018-02-27 2021-10-05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014417B2 (en) 2018-02-27 2021-05-25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491832B2 (en) 2018-02-27 2022-11-08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DE18907724T1 (de) 2018-02-27 2021-03-25 Methode Electronics, Inc. Schleppsysteme und Verfahren mit Verwendung von Magnetfeldmess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089B1 (ko) * 1990-06-29 1993-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왜곡 검출장치
US5307691A (en) * 1990-06-30 1994-05-03 Kubota Corporation Torque transducer
JP3346152B2 (ja) * 1996-01-09 2002-11-18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3674177B2 (ja) * 1996-09-03 2005-07-20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トルクセンサ用コイルボビンのコイル巻き付け構造、トルクセンサ用コイルボビン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329294B2 (ja) * 1998-12-28 2002-09-30 日本精工株式会社 コイル組立体の固定構造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97712B1 (ko) * 2001-03-16 2003-09-1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EP1241074B1 (en) * 2001-03-16 2006-07-19 Mando Corporation Torque sensor for vehicle
JP3994047B2 (ja) * 2002-11-20 2007-10-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センサ
JP2005055321A (ja) * 2003-08-05 2005-03-03 Toyoda Mach Works Ltd トルクセンサの組立方法、トルクセンサ、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492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03127A1 (en) 2005-05-19
CN1616938A (zh) 2005-05-18
US7117755B2 (en) 2006-10-10
CN1306254C (zh)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6245A (ko) 차량용 토크센서
US7540511B2 (en) Support structure of motor-driven steering assist apparatus
JP4512128B2 (ja) モータの回転角検出装置
JP2007153004A (ja) ケーブル式操舵装置
EP1591345B1 (en) Electric power-steering device
US6543570B2 (en)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with friction compens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US6481297B2 (en) Torque sensor for automobiles
CN103287485B (zh) 车辆用转向操纵装置
US6557425B2 (en) Torque sensor
JP445163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635741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0779489B1 (ko) 차량용 토크센서
KR20050019427A (ko) 차량용 토크센서
KR100779492B1 (ko) 차량용 토크센서
JPH05262243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US681743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with low hysteresis and torque ripple
JPS6141672A (ja) ラツクアンドピニオン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69384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반력장치
JP200528058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46010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の結合装置
JP401993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36471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조향장치의 회전토오크 감지구조
JPH0563347B2 (ko)
KR100721100B1 (ko) 차량용 토크센서
JP200730224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