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842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842A
KR20050044842A KR1020040072577A KR20040072577A KR20050044842A KR 20050044842 A KR20050044842 A KR 20050044842A KR 1020040072577 A KR1020040072577 A KR 1020040072577A KR 20040072577 A KR20040072577 A KR 20040072577A KR 20050044842 A KR20050044842 A KR 20050044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channel
broadcast
data
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886B1 (ko
Inventor
유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86B1/ko
Priority to US11/109,910 priority patent/US8229345B2/en
Publication of KR2005004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842A/ko
Priority to CNB2005100823391A priority patent/CN100452847C/zh
Priority to EP05018721A priority patent/EP1635559B1/en
Priority to DE602005008327T priority patent/DE602005008327D1/de
Priority to JP2005259668A priority patent/JP406441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멀티 채널 전송 스트림을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데이터 비트율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용량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를 데이터 비트율에 따라 대응하는 용량의 버퍼에 저장하는 버퍼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채널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버퍼로부터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 라 함)이란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한다. 특히, 한국에서 채택된 위성 DMB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의 표준 Rec. BO.1130-4 : System-E 로서 CDMA 방식의 이동전화와 비슷한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채택한다.
기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기 전에 해당 방송 채널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버퍼에 채우는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대기해야 하는 시간은 방송 채널 전환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의 응답 시간 및 버퍼링 시간의 합이 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 채널 전환 시 소요되는 시간은 버퍼의 크기와 관련된다.
이러한 DMB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전송 채널에 비트율이 다른 복수개의 방송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방송의 경우 어떤 전송 채널에는 64kbps, 48kbps, 48kbps 및 32kbps 방송 채널 4개가 할당되고, 다른 전송 채널에는 48 kbps, 40kbps, 32kbps 및 32kbps 방송 채널 4개가 할당된다. 최소 비트율을 갖는 방송 채널은 24kbps급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가장 큰 비트율의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버퍼를 구비해야 한다. 예컨대, 64kbps 방송 채널 데이터를 2초 버퍼링하는 크기의 버퍼는 24kbps 방송 채널 데이터에 대해서는 5.33초 버퍼링할 수 있는 버퍼가 된다. 이 버퍼를 64kbps 방송 채널 데이터로 절반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이 1초라면 24kbps급 데이터로 절반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은 2.67초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방송 채널에 따라 그 버퍼를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 채널 전환시 버퍼를 채우기 까지의 시간이 방송 채널 마다 서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방송 채널의 전환시 전환된 방송 채널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방송 채널에 따라 다르게 된다. 만약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최대 비트율 오디오 방송 채널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가 최소 비트율 오디오 방송 채널을 버퍼링하는 경우 방송 채널 전환을 위한 대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시 방송 채널 전환 시간을 단축시킨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고속으로 방송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멀티 채널 전송 스트림을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데이터 비트율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용량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를 데이터 비트율에 따라 대응하는 용량의 버퍼에 저장하는 버퍼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채널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버퍼로부터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소정 CDM 채널들(CDM0-CDMN)을 통해 수신된 CDM 채널 데이터를 디인터리버하여 출력하는 CDM 채널 처리부(110), CDM 채널 데이터를 머지하여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머지부(120), 머지부(120)로부터의 전송 스트림을 MPEG 디코딩하여 소정 방송 채널 데이터를 출력하는 MPEG 디코더(130) 및 MPEG 디코더(1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채널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140)을 포함한다.
CDM 채널 처리부(110)는 대략 5개의 CDM 채널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필수적으로 CDM 채널 처리부(110)는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EPG)를 전송하는 채널과, 수신자 제한 시스템 정보(CAS)를 전송하는 채널을 수신한다. 그리고 CDM 채널 처리부(110)는 실제로 방송 채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CDM 전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복호할 수 있는 CDM 채널 개수는 일반적으로 DMB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전체 CDM 채널 개수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ARIB Standard 규격집인 [ARIB STD B41] 위성 DMB의 송수신 규격을 보면 DMB 시스템은 30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29개의 채널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중 하나의 채널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29개 채널은 채널당 512Kbps를 전송한다. 그런데, 각 채널은 1/2 컨볼루션 코딩에 따라 256Kbps용량이 되고 R-S 코딩으로 188/204= 약 236Kbps의 유효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총 29개 채널이므로 위성 DMB 시스템는 전체 약 6.844Mbps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차후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5개 이상의 CDM 전송 채널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본 발명이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한편, DMB 시스템은 1개의CMD 전송 채널에 1개의 AV 방송 채널 데이터를 실어 보내지 않고 2개의 전송 채널로 나누어 보낼 수 있다. 오디오 방송 채널인 경우 1개의 전송 채널로 여러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도 있다. 대략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 용량은 약 48Kbps이므로 하나의 전송 채널(CDM 채널)은 236/48= 약 5개의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를 실을 수 있다. 전송 채널에는 다중화 장비를 통해 여러 방송 채널 데이터가 섞여서 실린다.
CDM 채널 처리부(110)는 방송 채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1개 이상의 CDM 전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CDM 채널 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인터리버된 CDM 채널 데이터는 머지부(120)에 출력된다. 머지부(120)는 CDM 채널 데이터를 머지하여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채널 데이터들은 여러 전송 채널로 다중화되므로, 머지부(120)는 수신되는 CDM 채널들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 후 MPEG 디코더(130)에 제공한다. 전송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머지부(120)는 여러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온 방송 채널 데이터를 머지하여 여러 방송 채널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
MPEG 디코더(130)는 머지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채널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PID(Packet ID)가 MPEG 디코더(130)에 제공된다. MPEG 디코더(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PID에 따라 전송 스트림중 원하는 방송 채널 데이터를 출력한다. 코덱(140)은 MPEG 디코더(1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채널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이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 전환을 위한 MPEG 디코더(1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PEG 디코더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PEG 디코더(130)는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 버퍼부(220), 멀티-버퍼 스위칭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PID 검출부(260)을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시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에는 복수개의 방송 채널이 멀티플렉싱된 전송 스트림이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 DMB의 경우 또는 전송 스트림를 사용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경우 하나의 전송 채널에 다수의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가 실린다. 예를 들면, 위성 DMB의 경우 하나의 CDM 채널이 256kbps 전송 용량을 보유하는데 하나의 오디오 방송국의 채널 데이터 율은 24kbps~64kbps 정도 이다. 따라서 하나의 CDM 채널에 4~6개의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가 실릴 수 있다.
2개의 멀티플렉싱된 CDM 채널을 수신한다면 예컨대, 10개 이상의 오디오 방송 채널을 수신한 것이 된다. 따라서, 수신된 모든 방송 채널 데이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머지부(120)(도 1)에서 동일한 전송 스트림을 통해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에 전달된다.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는 동일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기 위해 방송 채널별로 할당 되어있는 PID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MPEG 디코더(130)는 방송 채널 데이터와 CDM 전송 채널의 대응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40)의 구조는 그 일예로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240)는 서비스 ID(310), PMT(Program Map Table) PID(320), AUD(Audio) PID(330), CDM 채널 넘버(340), 방송 채널 용량(350) 등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서비스ID(3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이다. PMT PID(320) 및 AUD PID(330)는 방송 가이드 정보(EPG)를 전송하는 EPG 채널 등을 통해 전송되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정보이다. EPG 엔진(도시 생략)이PSI 정보를 수집하여 이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성할 수 있다.
PID 검출부(260)는 유저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PID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ID 검출부(260)는 유저 인터페이스(250)로부터 하나의 방송 채널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PID 검출부(260)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CDM 채널과 연동된 PID 값들을 데이터베이스(240)를 통해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PID 검출부(260)는 현재 전송 스트림에 존재하는 모든 방송 채널의 개수와 그 해당 PID값들을 알 수 있다. PID 검출부(260)는 현 전송 스트림에 있는 PID값들 및 그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테이블화하여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 및 멀티-버퍼 스위칭부(230)에 제공한다. 이러한 PID 검출부(260)의 동작을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ID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ID 검출부(260)는 먼저 단계 41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250)로부터 방송 채널에 대응한 PID를 제공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가 소정 방송 채널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PID를 PID 검출부(260)에 제공한다. 이어서 PID 검출부(260)는 단계 420에서 데이터베이스(240)를 참조하여 현재 수신 CDM 채널을 찾고 단계 430으로 진행한다. PID 검출부(260)는 단계 430에서 찾은 CDM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전송 스트림의 모든 PID를 획득한다. 그리고 PID 검출부(260)는 현재 전송 스트림의 PID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P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PID가 현재 전송 스트림의 PID들중 하나이면 PID 검출부(260)는 해당PID 정보를 멀티 버퍼 스위칭부(230)에 제공하여 해당 방송 채널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를 코덱(140)으로 스위칭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PID가 현재 전송 스트림의 PID들에 존재하지 않으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새로운 CDM 채널을 수신하게 된다. 그에 따라 PID 검출부(260)는 새로운 CDM 채널에 대응하는 PID값들 및 그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테이블화하여 다시 디멀티플렉서(210) 및 멀티-버퍼 스위칭부(230)에 제공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는 PID 검출부(260)로부터 제공되는 PID값들을 참조하여 전송 스트림을 각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하여 버퍼부(220)에 제공한다. 이때,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는 PID 검출부(260)로부터 제공되는 각 방송 채널별 비트율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방송 채널 데이터를 버퍼부(220)의 복수개의 링 버퍼(222,224,..., 226)에 그 버퍼 용량에 맞추어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링 버퍼(222,224,..., 226)는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채널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한다. 이때,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의 비트율이 다양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링 버퍼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다. 즉, 다양한 비트율의 방송 채널을 버퍼링하는데 적합하도록 복수개의 링 버퍼의 용량이 각각 결정된다. 즉,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는 방송 채널별 비트율에 따라 각 방송 채널 데이터를 다양한 용량의 복수개의 링 버퍼(222,224,..., 226)에 각각 공급한다.
예컨대, 10개 정도의 오디오 방송 채널 데이터가 512kbps 정도의 데이터율을 갖고 각 링 버퍼가 입력되는 방송 채널 데이터를 2초 정도 버퍼링한다면, 전체 버퍼부(220)의 크기는 1028kbit (128kbyte)정도가 된다. 이 정도의 메모리 크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큰 부담이 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각 링 버퍼(222,224,..., 226)는 버퍼링한 채널 데이터를 멀티 버퍼 스위칭 장치(230)로출력한다.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전환하면, 멀티 버퍼 스위칭 장치(230)는 유저 인터페이스(25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PID 정보를 제공받는다. 멀티-버퍼 스위칭 장치(230)는 유저 인터페이스(250)로부터 제공받은 PID 정보에 따라 버퍼부(220)의 복수개의 링 버퍼(222,224,..., 226)중 하나의 출력을 코덱(240)으로 스위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링 버퍼에 다수의 방송 스트림을 동시에 저장하고, 방송 채널 전환의 명령시 기 할당된 방송 스트림과 버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오디오 링 버퍼를 바로 코덱에 연동해줌으로써 고속 방송 채널 전환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오디오 방송 채널 전환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방송 채널을 수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AV 방송 채널을 수신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MPEG 디코더(130)는 단계 510에서 멀티 채널 오디오 스트림을 머지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MPEG 디코더(13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면 단계 520으로 진행하여 수신한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에 입력한다.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스트림을 복수 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한다. 이어서 MPEG 디코더(130)는 단계 530으로 진행하여 분리된 복수 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를 버퍼부(220)에 제공한다. 버퍼부(220)의 각 링 버퍼(222,224,..., 226)는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2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채널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한다.
그리고, MPEG 디코더(130)는 단계 540에서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전환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전환하면, MPEG 디코더(130)는 유저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PID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에 따라 MPEG 디코더(130)는 단계 550에서 멀티-버퍼 스위칭 장치(230)로 하여금 유저 인터페이스(250)로부터 제공받은 PID 정보에 따라 버퍼부(220)의 복수개의 링 버퍼(222,224,..., 226)중 하나의 출력을 코덱(240)으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단계 560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이 종료되는 지를 판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은 사용자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디지털 방송 수신을 더 이상 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서도 디지털 방송 수신이 종료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540으로 되돌아 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PID 변경 방식과 달리 버퍼를 채우는 간을 제거함으로써 방송 채널 전환시 소요되는 대기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 크기가 커져도 방송 채널 전환시 대기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수신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PEG 디코더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ID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오디오 방송 채널 전환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

Claims (8)

  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멀티 채널 전송 스트림을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데이터 비트율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용량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를 데이터 비트율에 따라 대응하는 용량의 버퍼에 저장하는 버퍼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채널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버퍼로부터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및 전송 채널의 대응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트림에 있는 PID값들 및 그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디멀티플렉서 및 스위칭 장치에 제공하는 PID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퍼 각각은 링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PID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PID값들 및 그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방송 채널 데이터를 그 채널 용량에 따라 상기 각 링 버퍼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ID의 관련 정보는 각 방송 채널별 비트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멀티 채널 오디오 스트림을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PID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버퍼로부터의 출력 중 하나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방송 채널 데이터의 비트율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용량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버퍼에 할당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KR10-2004-0072577A 2004-09-10 2004-09-1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577A KR100539886B1 (ko) 2004-09-10 2004-09-1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11/109,910 US8229345B2 (en) 2004-09-10 2005-04-20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B2005100823391A CN100452847C (zh) 2004-09-10 2005-06-30 数字广播接收装置及其方法
EP05018721A EP1635559B1 (en) 2004-09-10 2005-08-29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E602005008327T DE602005008327D1 (de) 2004-09-10 2005-08-29 Digitaler Multimediafernseh-Empfänger und Verfahren
JP2005259668A JP4064417B2 (ja) 2004-09-10 2005-09-07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577A KR100539886B1 (ko) 2004-09-10 2004-09-1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842A true KR20050044842A (ko) 2005-05-13
KR100539886B1 KR100539886B1 (ko) 2005-12-28

Family

ID=3616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77A KR100539886B1 (ko) 2004-09-10 2004-09-1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9345B2 (ko)
EP (1) EP1635559B1 (ko)
JP (1) JP4064417B2 (ko)
KR (1) KR100539886B1 (ko)
CN (1) CN100452847C (ko)
DE (1) DE602005008327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1631A1 (en) * 2004-03-19 200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WO2006033543A1 (en) * 2004-09-2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0754652B1 (ko) * 2006-02-0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3309A1 (fr) * 2003-03-26 2004-09-29 THOMSON Licensing S.A. Traitement d'un format de flux de données pour la réception audiovisuelle mobile
US20080225838A1 (en) * 2007-03-15 2008-09-18 Nokia Corporation Common Rate Matching Slot for Variable Bit Rate Services
KR101463808B1 (ko) * 2007-10-17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US8190994B2 (en) * 2007-10-25 2012-05-2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stening to audio content
KR101435835B1 (ko) * 2008-03-3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20100083271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서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1984655A (zh) * 2010-11-23 2011-03-09 华亚微电子(上海)有限公司 数字电视接收装置及其换台方法
JP5854983B2 (ja) * 2012-12-27 2016-02-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20180018999A1 (en) * 2016-07-12 2018-01-18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system using ring buffer and racing-mode ring buffer access control scheme
KR20210107128A (ko) * 2019-01-09 2021-08-3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인코더, 비디오 디코더 및 대응하는 방법
TWI757034B (zh) * 2020-06-04 2022-03-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數位廣播接收裝置以及相關的接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9374A1 (en) * 1991-11-25 2002-09-12 Michael J. Freeman Compressed digital-data seamless video switching system
US6188729B1 (en) * 1993-04-01 2001-02-13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seamless data rate changes in a video compression system
JPH0856205A (ja) 1994-08-12 1996-02-27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信号受信方式およびその装置
ES2148768T3 (es) * 1995-07-19 2000-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scodificar trenes numericos binarios de video y equipo receptor que incluye a dicho dispositivo.
KR0182004B1 (ko) * 1995-11-28 1999-05-01 김광호 Mpeg-2 시스템 디코더에서의 채널 호핑 타임 감소방법
JPH10207639A (ja) * 1997-01-28 1998-08-07 Sony Corp 高速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6351471B1 (en) 1998-01-14 2002-02-26 Skystream Networks Inc. Brandwidth optimization of video program bearing transport streams
IL137277A (en) 1998-01-14 2006-10-05 Skystream Corp A video program with a re-multiplication of a current carrier
US6351474B1 (en) * 1998-01-14 2002-02-26 Skystream Networks Inc. Network distributed remultiplexer for video program bearing transport streams
US6842724B1 (en) * 1999-04-08 2005-01-1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rt-up delay in data packet-based network streaming applications
US6721789B1 (en) * 1999-10-06 2004-04-13 Sun Microsystems, Inc. Scheduling storage accesses for rate-guaranteed and non-rate-guaranteed requests
JP3688959B2 (ja) * 1999-11-29 2005-08-31 株式会社東芝 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
US6985188B1 (en) * 1999-11-30 2006-01-10 Thomson Licensing Video decoding and channel acquisition system
US6678332B1 (en) 2000-01-04 2004-01-13 Emc Corporation Seamless splicing of encoded MPEG video and audio
JP2002084511A (ja) 2000-06-30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装置及び受信機
US7433409B2 (en) 2000-07-10 2008-10-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ple decoding
US7106943B2 (en) * 2000-09-21 2006-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ding device, cod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095945B1 (en) * 2000-11-06 2006-08-22 Ati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igital time shifting and method thereof
US7093277B2 (en) * 2001-05-30 2006-08-15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multi-stream multimedia transmission and processing
KR100454782B1 (ko) * 2001-08-28 2004-11-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출 장치
US20050278774A1 (en) * 2004-05-17 2005-12-15 Toshiba America Consumer Products, Ll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ntegration of external devices with a video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1631A1 (en) * 2004-03-19 200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WO2006033543A1 (en) * 2004-09-2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0754652B1 (ko) * 2006-02-0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8327D1 (de) 2008-09-04
KR100539886B1 (ko) 2005-12-28
EP1635559A3 (en) 2006-06-07
US20060057957A1 (en) 2006-03-16
EP1635559A2 (en) 2006-03-15
CN100452847C (zh) 2009-01-14
US8229345B2 (en) 2012-07-24
CN1747531A (zh) 2006-03-15
EP1635559B1 (en) 2008-07-23
JP2006081185A (ja) 2006-03-23
JP4064417B2 (ja)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441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5982411A (e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US8448212B2 (en) Combined receiver for DVB-H and DVB-T transmission
AU784972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70288960A1 (en) Receiving apparatus
KR2005009095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070041285A (ko)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50094733A1 (en) Fast channel surfing
KR10076262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및 방법
KR1007248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6012233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다채널 영상 수신 장치 및방법
US67142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nnels
WO2008016213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065144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8163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및 방법
KR0185947B1 (ko) 디지탈 위성방송수신기의 선택 프로그램 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762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JP7123567B2 (ja) 受信機
JP7123566B2 (ja) 受信機
KR20000040201A (ko) 제공되는프로그램가이드방식에대응하는디스플레이모드자동설정방법
KR10062695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100818299B1 (ko) 사용자가 채널 설정이 가능한 모자이크 이피지 제공장치 및방법
KR100737600B1 (ko)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