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856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856B1
KR100724856B1 KR1020040018802A KR20040018802A KR100724856B1 KR 100724856 B1 KR100724856 B1 KR 100724856B1 KR 1020040018802 A KR1020040018802 A KR 1020040018802A KR 20040018802 A KR20040018802 A KR 20040018802A KR 100724856 B1 KR100724856 B1 KR 10072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service
traffic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880A (ko
Inventor
고준원
정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856B1/ko
Priority to PCT/KR2005/000798 priority patent/WO2005091631A1/en
Priority to CN2005800054195A priority patent/CN1922872B/zh
Priority to US11/083,755 priority patent/US20050210504A1/en
Priority to EP05728986A priority patent/EP1741291A4/en
Priority to JP2006549148A priority patent/JP2007518347A/ja
Publication of KR2005009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Code Division Multiplex)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 라 함)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자가 방송 서비스 전환시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는데 역점을 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신기가 서비스 전환시 버퍼에 들어있는 종래 방송을 유지하고, 그 기간에 수신기가 요구한 방송 서비스를 디인터리빙 한 뒤 화면 및 기타 출력 장치로 출력하게 되는데, 요구한 방송 서비스를 디인터리빙하기 위해 여유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레이크 수신기. 디인터리버, EPG, CAS, MPEG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OF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현재 DMB 시스템의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채널의 구성도
도 2는 현재 DMB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전환 시 전환된 서비스로의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 변환 시 도 4의 수신 장치의 채널별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라 함)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CD수준의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현재 지상파 및 위성방송 이렇게 두 가지로 발전하였다. 여기서 지상파라 함은 지상의 중계기를 통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반면에 위성방송이라 함은 인공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압축률이 높은 엠펙-2(MPEG-2 : Motion Picture Experts Group-2)로 압축되어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방식과 엠펙-4의 2가지 방식이 있다. 상기한 2가지 방식은 모두 매우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방송 서비스 트래픽을 압축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압축률이 높은 엠펙-2를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 정보량이 크기 때문이다. 즉, 큰 정보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압축률이 높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서비스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 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DMB 시스템이다. 그러면 DMB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DMB 시스템은 특정 단말에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5 개의 채널을 수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5 개의 채널을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현재 DMB 시스템의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채널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현재 DMB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채널들의 종류와 각 채널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B 시스템에서는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 0(100)과, 방송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 이하 "EPG"라 함)를 전송하는 채널 1(102)와, 수신자 제한 시스템 정보(Conditional Access System : 이하 "CAS"라 함)를 전송하는 채널 2(104)를 가진다. 또한 DMB 시스템에서 실제로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2개의 방송 정보 전송 채널을 가진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방송 정보 채널을 방송 A-1의 채널 3(106)과 방송 A-2의 채널 4(108)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실제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채널은 채널 3(106)와 채널 4(108)의 2 채널이다. 이는 DMB 시스템에서 하나의 방송 서비스 트래픽이 2개의 채널로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DMB 시스템에서는 전송되는 방송 트래픽을 매우 큰 단위로 인터리빙하여 전송한다. 즉, 부호화기에서 부호화된 트래픽 정보를 매우 큰 단위로 인터리빙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이를 모두 수신하여야만 수신기에서는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터리빙된 큰 단위의 데이터들을 모두 수신하여야만 디인터리빙이 가능하며, 디인터리빙이 완료되어야만 복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DMB 시스템의 단말은 수신된 트래픽의 복호가 이루어지기 전에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의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야 방송 서비스 트래픽을 복호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에 많은 지연을 가져온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지연은 단지 단말이 최초 서비스를 개시할 경우 뿐 아니라 사용자가 다른 채널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에서 특정한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중에 다른 채널의 방송이 요구될 시 서비스가 지연되는 것을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현재 DMB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전환 시 전환된 서비스로의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현재 DMB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가 전환될 때, 다른 방송으로 전환 지연의 이유 및 그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x 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y 축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래픽을 구별하기 위해 구비하였다. 먼저 DMB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 방송 A(200)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상황을 먼저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방송 서비스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현재 방송 A(200)를 제공하기 위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 제하고, 요구된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해야만 한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방송 A(200)를 제공하기 위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는 매우 큰 양의 데이터이며, 적어도 인터리빙이 이루어지는 단위만큼이 된다.
이와 같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 이후에 사용자가 요구한 방송 서비스인 방송 B(204)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버퍼에 T00 시점부터 T02 시점까지 도시되지 않은 버퍼에 데이터를 수신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요구된 방송 서비스인 방송 B(204)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인터리빙 된 데이터의 양보다 크거나 같아야만 한다. 상기 도 1에서 디인터리버 지연/복호(decoding) 지연으로 표시된 시간 구간(202)은 실제로 버퍼에 요구된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을 저장하는 시간과 저장된 데이터가 디인터리빙 되는 지연시간 및 복호의 지연시간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참조부호 202의 동안은 계속적으로 요구된 방송 서비스인 방송 B(204)의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실제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점은 T02의 이후 시점이 된다.
이러한 시간의 지연은 실제로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시간과 복호를 수행하는 시간보다 방송 데이터가 매우 큰 단위로 인터리빙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려면 적어도 인터리빙된 데이터들을 모두 받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리빙 크기가 큰 DMB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방송 서비스의 전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어도 인터리빙 된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때까지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또한 모든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도 디인터리빙 지연시간과 복호의 지연시간만큼이 부가된 시간동안 방송이 제공되지 않는다. 즉, 방송 A(200)에서 방송 B(204)로 전환 요구 시(T00)에 상기 방송 A(200)의 수신이 중단되고, 상기 방송 B(204)가 수신되고 디인터리빙 될 동안(202) 아무런 방송도 나오지 않고 있다가 상기 방송 B(204)의 디인터리빙이 끝난 후 복호가 완료되어야만 상기 방송 B(204)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DMB 시스템에서 방송 트래픽의 인터리빙을 큰 블록 단위로 수행하는 이유는, 송신기에서 데이터 전송 시 오류가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수신기에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수신기에서 상기 데이터를 복호하려면 전송 시에 인터리빙된 크기만큼 데이터를 수신해야만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DMB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T00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까지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MB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MB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방송 서비스의 전환이 요구될 시 방송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채널(EPG)과,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증 채널(CAS)과, 트래픽을 전송하는 2개의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들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여유채널을 더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채널들을 독립적으로 인터리빙하며 복호하는 복호기와, 채널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채널들 중 사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요구된 방송 트래픽의 버퍼링이 완료될 때 현재 제공되는 방송 트래픽을 요구된 방송 트래픽으로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구된 방송 트래픽은 여유 채널과 상기 사용 가능한 채널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채널(EPG)과,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증 채널(CAS)과, 트래픽을 전송하는 2개의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채널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채널들 중 사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채널들 중 방송 트래픽 채널들과, 상기 선택된 사용 가능한 채널과 여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을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의 복호가 완료되면, 기존에 제공되는 방송 트래픽을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이는 예컨대, 방송 A(300)를 서비스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이 방송 B(304)로의 서비스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변경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X 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보면,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 전환 요구 시(T04) 수신기가 기존의 방송 A(300)를 유지하며, 새로운 방송 B(304)가 디인터리빙 되는 동안(302) 상기 방송 A(300)가 계속 방송되어 방송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진행 과정 정보를 전달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방송 B(304)의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전에 도시되지 않은 버퍼에 들어 있던 상기 방송 A(300)가 먼저 비워질 수 있음(306)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기존 채널 구조에서 방송 가이드 정보가 실리는 채널 1(302)과 별도의 채널을 여유 채널로 구비하고, 이 여유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 변경 요구가 있는 시점 T04 부터 방송 서비스 변경 완료 시점 T06 까지 방송 B(304)를 수신하게 된다. 이 시간 구간(302) 동안 방송 A(300)는 종래와 같이 중단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계속적으로 제공되므로 종래와 같이 방송 서비스 변경 시 방송 중단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에 구현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A를 서비스 받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른 방송 B로의 서비스 변경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가정한다.
또한 상기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는 도 3의 시간 구간(302)에서 방송 A의 서비스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새로이 전환되는 방송 B를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여유 채널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복조 및 동기화를 수행하는 RAKE 수신기(404)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디인터리버(406)는 각각 도 1에서 설명한 5 개의 채널 외에 별도의 여유 채 널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요소인 채널 디코더(408), MPEG 디코더(410)는 종래와 같은 채널 구조를 유지한다.
도 4에서 방송 B로의 서비스 변경을 원하는 사용자는 입력부(420)를 키조작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방송 B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의 전환을 위해 제어부(418)는 상기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를 조회하여 상기 여유 채널의 확보 유무를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에 하나의 여유 채널을 구비하는 경우 예컨대, 방송 가이드 정보가 실리는 EPG 채널을 또 다른 여유 채널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18)는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의 여유 채널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변경하고자 하는 방송 B의 데이터를 안테나(400)와 RF 수신부(402)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디인터리버(406)는 내부 버퍼(도시되지 않음)로 인하여 상당한 지연 시간을 가지며, 내부 카운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시간 지연되는 내부 버퍼의 주소를 생성하고, 내부 카운터를 이용하여 버퍼 지연 후의 원하는 정보의 출력 시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18)는 상기 디인터리버(406)를 통해 방송서비스 변경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과 진행 상황 및 변경 완료 시점의 정보(이하, "방송 변경 정보"라 칭함)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방송 변경 정보를 표시부(41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8)는 디인터리버(406)의 내부 버퍼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변경하고자 하는 방송 B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디인터리버(406)의 내부 버퍼가 채워진 상태인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채널 디코더(408)는 예컨대, 내부에 디인터리버(406)의 출력 신호 중에 원하는 방송 서비스의 채널을 받아서 원하는 출력 채널을 스위칭하는 채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며, 제어부(418)는 상기 채널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스위치를 상기 디인터리버(406)와 채널 디코더(408) 사이에 개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디인터리버(406)의 0번 채널 출력이 채널 디코더(408)의 0번 채널 또는 다른 임의의 채널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인터리버(406)와 채널 디코더(408)를 복호기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변경 요청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새로운 방송 B 가 여유 채널로 선택된 채널 B를 통하여 레이크 수신 및 디인터리빙을 시작하고, 디인터리버(406)의 내부 버퍼가 다 채워질 동안 기존의 방송 A 는 그대로 방송된다. 디인터리버(406)의 내부 버퍼가 다 채워지고, 방송 B 가 출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기존의 방송 A 는 중단하고, 방송 B 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채널 디코더(408)의 입력 채널은 기존의 채널 A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방송 서비스를 변경하면 기존의 방송을 유지한 상태에서 신규 방송에 대한 레이크 수신과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8)는 상기 디인터리버(406)의 내부 버퍼가 다 채워져서 출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기존 방송 중인 방송 A를 중단시키고, 디인터리빙 된 방송 B의 데이터를 채널 디코더(408)로 보내고, 채널 디코더(409)는 방송 B의 데이터에 대해 오류 복원을 위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MPEG디코더(410)로 출력한다. 그리 고 디코딩된 신호는 화상/음성 처리기(412)를 통해 표시부(416) 및 스피커(414)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방송 B의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 변환 시 도 4의 수신 장치의 채널별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타이밍도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에 예컨대, 하나의 여유 채널 즉. 채널 5(510)을 추가로 구비하고, EPG 채널 즉, 채널 1(502)을 방송 서비스 전환을 위한 또 다른 여유 채널로 설정한 것이다. 상기 두 개의 여유 채널들은 방송 A(506, 508)에서 방송 B(510, 502)로 변환 시 복조 및 디인터리빙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로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각 채널들(채널0~채널5)의 역할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4의 수신 장치를 통해 방송 A(506, 508)를 수신하다 방송 B(502, 510)로의 서비스 전환을 요구하면, 두 개의 여유 채널들은 방송 B(502, 510)의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위한 채널로 할당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채널에 비해 우선순위가 즉, 채널 점유가 낮은 EPG 채널을 여유 채널로 할당하였으나, EPG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을 여유 채널로 할당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EPG 채널인 채널 1(502)과 본 발명에 따라 부가된 채널 5(510)를 통해 방송 B의 복조 및 디인터리빙이 이루어지므로, 방송 B가 디인터리빙되는 동안 사용자는 방송 A를 시청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방송 중단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a 및 도 6b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도 4의 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설명 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의 방법은 전술한 도 5의 채널 구조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먼저 602 단계와 같은 방송 A의 서비스 상태에서 603 단계에서 입력부(420)를 통한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 변경 요구가 제어부(418)로 인가되면, 604 단계에서 제어부(418)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로의 변경 요구 즉, 원하는 채널로의 변경 요구를 수집 및 인지하고, 606 단계에서 제어부(418)는 RAKE 수신기(404), 디인터리버(406)를 조회하여 여유 채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606 단계에서 여유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608 단계에서 제어부(418)는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는 채널이 있는 지 조사하고, 상기 606 단계에서 여유 채널이 있다면, 현재 서비스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변경 채널 수를 확보하는 614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8 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을 중단해도 되는 채널이 있다면, 61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을 중지하고, 없다면 610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방송을 서비스하고 있는 방송 채널을 중지한다. 상기와 같은 612, 610 단계를 거친 후 상기 제어부(418)는 614 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채널수를 확보하게 된다. 서비스 변경에 필요한 채널수를 확보한 후에는 616 단계로 진행하여 확보한 채널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디코딩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어부(418)는 상기 디코딩 후 618 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서비스 변경 진행 상황을 표시부(416)에 출력하게 한다. 이 경우 표시부(416)에는 예컨대, 잠시 후에 변경된 방송으로의 변경이 있음을 알리는 소정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방송 서비스 변경 진행 상황을 전달하면서 상기 제어부(418)는 62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서비스 변경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변경 준비가 되지 않았다면, 계속 서비스 변경 진행 상황을 표시부(416)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18)에서 서비스 변경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622 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방송 되고 있던 상기 방송A 중단하고, 624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서비스 변경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방송 서비스 변경 완료 메시지 전달을 완료한 뒤에는 626 단계로 진행하여 원하는 출력단으로 새로운 방송 서비스 B를 출력한다. 상기 방송 B를 출력한 뒤에는 628 단계로 진행하여 방송을 전환하면서 수신을 중단했던 채널(서비스)를 복구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중단했던 채널을 복구해야한다고 판단되면 630 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변경에 사용했던 채널을 중지한 뒤, 632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서비스를 재개한 뒤, 634 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변경을 완료하게 된다. 만일 수신 중단했던 채널을 복구할 필요가 없다면, 바로 634 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변경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의 DMB 시스템에서 방송 변환 서비스 시 일정 시간 동안 방송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이동 단말기에 구현되는 구성이 간단해 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파일럿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채널(EPG)과,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증 채널(CAS)과,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들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여유채널을 더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채널들을 독립적으로 디인터리빙하며 복호하는 하나 이상의 복호기와,
    채널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채널들 중 사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요구된 방송 트래픽의 버퍼링이 완료될 때 현재 제공되는 방송 트래픽을 요구된 방송 트래픽으로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구된 방송 트래픽은 여유 채널과 상기 사용 가능한 채널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로부터 출력된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들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 트래픽을 표시부로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될 시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채널들 중 상기 선택된 사용 가능한 채널을 제외한 채널들을 계속 복호하도록 상기 복호기를 제어하고, 상기 변경 요구된 채널로 채널이 변경된 이후에 상기 요구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채널들이 복호 되도록 상기 변경 요구된 채널의 방송 트래픽을 엠펙(MPEG) 디코딩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는,
    디인터리버와 채널 디코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는,
    상기 복호된 채널들 중 상기 채널 변경 요구와 관련된 방송 트래픽 채널들을 엠펙 디코더로 스위칭하는 채널 스위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수신부와 레이크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트래픽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2. 파일럿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채널(EPG)과,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증 채널(CAS)과, 트래픽을 전송하는 2개의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채널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채널들 중 사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채널들 중 방송 트래픽 채널들과, 상기 선택된 사용 가능한 채널과 여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을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의 복호가 완료되면, 기존에 제공되는 방송 트래픽을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이 요구된 방송 트래픽의 복호가 완료되면,
    상기 복호된 방송 트래픽을 상기 엠펙 디코딩부로 스위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을 복호하기 전에 디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채널은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 방송 가이드 정보(EPG)를 전송하는 채널, 수신자 제한 시스템 정보(CAS)를 전송하는 채널,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채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6. 파일럿 채널과, 방송 가이드 정보채널(EPG)과,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증 채널(CAS)과,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트래픽 채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들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여유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채널들을 독립적으로 디인터리빙하며 복호하는 하나 이상의 복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복호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유 채널과 사용 가능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와 현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들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복호기에서 복호된 방송 서비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동시에 복호되는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KR1020040018802A 2004-03-19 2004-03-1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72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02A KR100724856B1 (ko) 2004-03-19 2004-03-1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PCT/KR2005/000798 WO2005091631A1 (en) 2004-03-19 2005-03-1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CN2005800054195A CN1922872B (zh) 2004-03-19 2005-03-18 用于在数字多媒体广播系统中接收广播业务的设备和方法
US11/083,755 US20050210504A1 (en) 2004-03-19 2005-03-1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EP05728986A EP1741291A4 (en) 2004-03-19 2005-03-1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JP2006549148A JP2007518347A (ja) 2004-03-19 2005-03-18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サービス受信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02A KR100724856B1 (ko) 2004-03-19 2004-03-1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80A KR20050093880A (ko) 2005-09-23
KR100724856B1 true KR100724856B1 (ko) 2007-06-04

Family

ID=3498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02A KR100724856B1 (ko) 2004-03-19 2004-03-1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10504A1 (ko)
EP (1) EP1741291A4 (ko)
JP (1) JP2007518347A (ko)
KR (1) KR100724856B1 (ko)
CN (1) CN1922872B (ko)
WO (1) WO200509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3543A1 (en) * 2004-09-2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0754678B1 (ko) * 2005-07-20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수신 단말기의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dmb시스템 및 psi/si 버전 정보 전송 및 psi/si파싱 방법
KR100735235B1 (ko) * 2005-10-1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단말 장치에서 pip 기능을 이용한 이종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86878B1 (ko) * 2005-11-2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에서의 epg정보 제공 방법 및 그 구성 방법
KR100688019B1 (ko) * 2005-11-28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수신기 및 그의 프로그램 넘버 사용방법
KR100800895B1 (ko) * 2006-02-06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채널 변경 속도를 향상시키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0872B1 (ko) 2006-02-1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전환 시간 단축을위한 데이터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829113B1 (ko) * 2006-04-2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658214B1 (ko) * 2006-06-28 2006-12-15 (주) 에버탑 지상파디엠비가 내장된 그래픽카드
CN101282448B (zh) * 2007-04-05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广播数据的传输与接收方法及其系统、终端
JP4626827B2 (ja) * 2007-10-19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18197B2 (en) * 2008-10-29 2013-04-09 Goldspot Media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er based advertisement insertion
US20100332328A1 (en) * 2008-10-29 2010-12-30 Srinivasa Dharmaji Browser Cache Based Ad Inser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499A (ko) * 1998-09-29 2000-04-2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091A (en) * 1991-11-25 1998-03-03 Actv, Inc. Compressed digital data interactive program system
CN1051193C (zh) * 1997-01-30 2000-04-05 广播电影电视部广播科学研究院电视研究所 利用现有数字广播设备传输高清晰度电视的系统
US6118498A (en) * 1997-09-26 2000-09-12 Sarnoff Corporation Channel scanning and channel change latency reduction in an ATSC television receiver
JPH11261906A (ja) * 1998-01-12 1999-09-24 Sony Corp テレビ放送受信装置、テレビ放送受信方法およびテレビ放送方法
JP3275878B2 (ja) * 1999-06-22 2002-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6539006B1 (en) * 1999-08-05 2003-03-25 Ericsson Inc. Mobile station capable of determining base station suitability
JP2001292381A (ja) * 2000-04-04 2001-10-19 Canon Inc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30013097A (ko) * 2001-08-07 200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030196211A1 (en) * 2002-04-10 2003-10-16 Peter Cha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mulated rapid tuning of digital video channels
US20030226153A1 (en) * 2002-06-04 2003-12-04 Sony Corporation, A Japane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elevision channels
US20040181813A1 (en) * 2003-02-13 2004-09-16 Takaaki Ota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channel change within a digital system
KR20050036526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 대기 시간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스트림, 장치,방법 및 그 방송 수신 단말기
KR100539886B1 (ko) * 2004-09-10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33543A1 (en) * 2004-09-2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499A (ko) * 1998-09-29 2000-04-2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11175404NU 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2872A (zh) 2007-02-28
EP1741291A4 (en) 2009-05-20
EP1741291A1 (en) 2007-01-10
US20050210504A1 (en) 2005-09-22
JP2007518347A (ja) 2007-07-05
KR20050093880A (ko) 2005-09-23
WO2005091631A1 (en) 2005-09-29
CN1922872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18347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サービス受信装置及び方法
KR101011612B1 (ko) 무선장치에서 멀티―프로그램 뷰잉
US8326291B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406441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3406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공유 방법 및 장치
WO2008056622A1 (en) Receiver
US20040133917A1 (en) Video on demand using MCMD and TDM or FDM
KR10076262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및 방법
WO2009059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c encoding and decoding
KR100796864B1 (ko) 지상파 dmb 수신기에 있어서 채널 전환 제어방법
KR20160108342A (ko) 계층화된 코딩된 콘텐츠를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1285736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883101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전환속도 향상 방법 및 장치
JP2000115113A (ja) 多重化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06067599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装置及び方法
JP200728180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94823B1 (ko) 추가 채널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및 그 방법
KR101140877B1 (ko) 예비 채널 전환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방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9379B1 (ko)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20080035308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EP20760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gital stream
KR2008007033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WO2005084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bandwidth in broadcast/multicast vide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