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79B1 -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79B1
KR101199379B1 KR1020060000586A KR20060000586A KR101199379B1 KR 101199379 B1 KR101199379 B1 KR 101199379B1 KR 1020060000586 A KR1020060000586 A KR 1020060000586A KR 20060000586 A KR20060000586 A KR 20060000586A KR 101199379 B1 KR101199379 B1 KR 10119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ecoding information
decod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072A (ko
Inventor
강유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단계; (b) 상기 선택에 따라, 디코딩(decoding)을 위한 정보(이하 '디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방송신호의 수신 장애에 의한 에러를 감소시키거나 복구하여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에러, 디코딩, 정지 프레임

Description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Method Of Recovering Error During Reception Of Broadcast And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With Recovering Error During Reception Of Broadca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자동으로 디코딩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및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 하게는 디지털방송신호의 수신 장애에 의한 에러를 감소시키거나 복구하여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시청 중, 신호의 전파 환경에 따른 각종 에러 상황에 의해 전송 헤더 정보나 영상 디코딩을 위한 중요한 비디오 정보를 손상시켜 전체 전송 패킷의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패킷 손실은 영상의 공간적, 시간적인 에러의 전파 현상을 일으키며, 영상 품질의 심각한 저하를 가져온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영상의 블록(block)들이 깨져서 보이거나 영상의 끊김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영상 정보 뿐만 아니라 음성 정보 및 기타 데이터 정보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전송 레이어(layer)에서 에러를 피할 수 있는 방법, MPEG 디코더 시스템에서 보상하는 방법, 기타 에러를 감출 수 있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별도로 획득함으로써,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 가능한 수신 품질 모드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송 수신 품질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은, (a)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단계; (b) 상기 선택에 따라, 디코딩(decoding)을 위한 정보(이하 '디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디코딩(decoding)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 유무선통합 인터넷망과 연동된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통신 모 듈; 및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채널을 통해 디지털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센터(100),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decoding)을 위한 정보(이하 '디코딩 정보'라 함)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110),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 및 유무선통합 인터넷망과 연동된 이동통신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서비스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Eureka-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국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Media FLO(Forward Link Only), 한국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이 있다. 한국의 DMB는, Eureka-147에 기반한 지상파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과,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S-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 있다. 각각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는, 상기 방송센터(100)가 방송채널을 통해 송출한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는 소정의 방식으로 인코딩(encoding,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는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코딩(decoding, 복호화)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가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디코딩 정보가 필요하다. 디코딩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서, 상기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 구조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즉, 디코딩 정보는, 인코딩된 상태로 수신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원래의 데이터로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T-DMB가 기반하고 있는 DAB의 경우, DAB 전송 프레임은, 동기채널(SC: Synchronization Channel),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 및 주서비스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로 상기 고속정보채널에 디코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 다중화 구성 정보(MCI: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신호의 전파 환경에 따라 신호의 감쇄(attenuation), 감쇄에 의한 신호 왜곡(attenuation distortion), 지연 왜곡(delay distortion), 잡음(noise) 등에 의한 다양한 전송 손상에 의해,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와 달라지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난시청 지역이 아닌 일반 시청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디지털방송 시청을 방해하는 요인들에 의해 잠시 동안 수신 상태가 안 좋을 경우, 수신 장애에 의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수신단 디코더 시스템에서는 중요한 비디오 패킷 에러에 의해 에러의 전파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것은 수신단의 작은 랜덤 에러(random error)지만, 에러 발생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실제 디코더 시스템에서는 더 큰 버스트 에러(burst error)로 나타나게 한다. 대표적인 예로서, 전송단의 패킷 헤더의 손상으로 인해 패킷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나, MPEG 디코더 시스템에서 중요한 패킷 정보의 손실은 많은 양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게 한다. 이것은 영상 품질의 저하를 유발시키고, 사용자에게 방송 영상을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가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디코딩 정보가 손상된 채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방송센터(100)가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은,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영상 정보는 데이터 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데이터 압축을 행하여 전송하게 된다. 대표적인 영상 압축 방법으로는 ISO 및 IEC에서 공통으로 정한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부호화(encoding) 방법이 있다.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서비스되는 DMB 표준화 작업에서는 압축 기술 표준으로서 MPEG-4 방식을 논의하고 있으며, 특히, 동영상 부호화 표준으로서 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 / ITU-T Rec. H.264가 논의되고 있다. H.264는, H.261, H.263 및 MPEG-4 Part 2 등의 기존의 동영상 부호화 표준이 가지는 한계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이동 멀티미디어, 인터넷, DVD, 차세대 방송 등을 포함한 응용의 핵심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MPEG-4에서는 픽처 타입으로 I-프레임(Intrapictures), P-프레임(Undirectionally Predicted Pictures), B-프레임(Bidirectionally Pictures)이 정의되어 있다. I-프레임은, 비디오의 기준 화면으로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기초 단위이다. 즉, I-프레임은, 해당 화면 정보만으로 부호화되는 화면으로서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를 위해 사용된다. P-프레임은, 과거의 픽쳐(picture)에 대한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생기는 화면이고, B-프레임은, 과거의 픽쳐와 미래의 픽쳐에 대한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생기는 화면이다.
따라서, MPEG-4 방식으로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수신한 경우, I-프레임에 대해 에러가 발생하면 나머지 P-프레임과 B-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MPEG-4 방식으로 인코딩된 영상 정보에 있어서는, I-프레임이 원래의 영상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딩 정보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원래의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는, 상기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는,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버(110)는 유무선통합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110)의 운영 주체는, 상기 방송 센터(100)의 운영 주체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기 방송 센터(100)의 운영 주체와는 별개의 주체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수신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원래의 데이터로 디코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다[S200].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 과정[S200]은, 실시간 시청과 예약 시청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 과정[S200]은, 수신 품질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품질 모드는, 프리미엄(premium) 모드, 미디엄(medium) 모드 및 스피드(spee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미엄 모드는 최상의 수신 품질을, 상기 미디엄 모드는 일반적인 수신 품질을 위한 모드이고, 상기 스피드 모드는 빠른 수신 속도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신 품질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수신 품질 모드에 따라,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획득하는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에 따라, 디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S210]. 상기 디코딩 정보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원래의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이동통신 채널, 즉 상기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획득한다[S220]. 즉, 상기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코딩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110)에 접속하여, 상기 디코딩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은, 수동 방식과 자동 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3은, 자동으로 디코딩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첫째,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의 키 조작 등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수동 방식이 있다.
둘째,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 전송하면[S300], 상기 데이터 서버(110)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검색하여 전송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310]. 즉, 자동 방식의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 조작 등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 접속할 필요없이,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디코딩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은,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상기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디코딩 정보를 스트리밍(steaming) 방식으로 획득할 수도 있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에 필요한 모든 디코딩 정보를 한꺼번에 획득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디코딩 정보 획득은,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의 접속을 계속 유지하여야 하지만, 한번에 모든 디코딩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의 접속을 한 번만 수행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을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 과정[S210]보다 후순위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 과정[S210]보다 선행하여 수행되는 경우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230]. 상기 에러 검출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방송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에러 검출 방식의 예를 들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에러 검출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방송 프로그램 선택 과정[S200]에서, 상기 수신 품질 모드까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수신 품질 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획득한다. 즉, 미디엄 모드가 선택된 경우보다 프리미엄 모드가 선택된 경우, 획득하여야 하는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이 많아질 것이다. 수신 품질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발생할 수 있는 에러에 대비하여 좀더 다양한 디코딩 정보를 좀더 많이 수신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러 검출 여부 판단[S230] 결과,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한다[S240].
그리고, 상기 에러 검출 여부 판단[S230] 결과,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상기 디코딩 가능 여부 판단[S250] 결과,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S240 단계를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였더라도,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한 디코딩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에러 발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 가능 여부 판단[S250] 결과, 디코딩 가능한 경우,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220]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한다[S260].
마지막으로,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수신을 완료하여야 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여[S270], 수신 완료 상황이 아니면 상기 S210 단계로 회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410]이 방송 프로그램 수신 과정[S420]보다 선행하여 수행되는 경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나머지 과정들은 모두 동일하고, 단지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410]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 과정[S420]의 순서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디코딩 정보 획득 과정[S410]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 과정[S420]보다 선행하는 경우로서,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예약 시청하는 경우이다. 즉, 사용자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예약 시청하면, 상기 시청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미리 획득해 놓은 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정보의 획득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동 혹은 수동 방식 모두 가능하다.
둘째, 사용자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서버(110)에 접속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미리 획득해 놓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나머지 과정들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20)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500), 유무선통합 인터넷망과 연동된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510), 제어부(520), 입력부(530) 및 메모리부 (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500), 이동통신 모듈(510), 입력부(530) 및 메모리부(540)를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530)는, 각종 키를 구비한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메모리부(540)는,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520)에 의해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530)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520)로 전달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530)를 통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530)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 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500)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디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상기 디코딩 정보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 구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프레임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MPEG 방식에 의한 I-프레임이 있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500), 이동통신 모듈(510), 입력부(530) 및 메모리부(540)를 제어하되,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500)을 통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530)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신호뿐만 아니라 수신 품질 모드에 대한 선택신호까지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해 상기 선택된 수신 품질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한 디코딩 정보의 획득은, 사용자의 키 조작 등에 의한 수동 획득 방식과 특정 방송 프로그램 의 선택에 따른 자동 획득 방식이 있다. 자동 획득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해 디코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디코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510)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에러 발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디코딩 정보를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별도로 획득함으로써,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방송신호의 전파 에러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 가능한 수신 품질 모드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송 수신 품질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a)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b) 상기 선택에 따라, 인코딩된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의 디코딩(decoding)을 위한 정보(이하 '디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수신 품질 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이동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코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코딩 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코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디코딩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한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2) 상기 (d-1) 단계의 판단 결과, 디코딩이 가능하면,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3) 상기 (d-1) 단계의 판단 결과, 디코딩이 불가능하면, 상기 에러 발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 구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9.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신호 및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 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인코딩된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의 디코딩을 위한 디코딩(decoding)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
    유무선통합 인터넷망과 연동된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통신 모듈; 및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디코딩 정보에 대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수신 품질 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디코딩 정보의 종류 및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획득함,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코딩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디코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디코딩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에러 발생한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14. 제 9 항, 제 11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 구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15. 제 9 항, 제 11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1020060000586A 2006-01-03 2006-01-03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10119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586A KR101199379B1 (ko) 2006-01-03 2006-01-03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586A KR101199379B1 (ko) 2006-01-03 2006-01-03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072A KR20070073072A (ko) 2007-07-10
KR101199379B1 true KR101199379B1 (ko) 2012-11-09

Family

ID=3850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586A KR101199379B1 (ko) 2006-01-03 2006-01-03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072A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85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CA2666861C (en) Reducing channel-change time
JP5043096B2 (ja) チャネル変更方法及びデジタル・ビデオ装置
US200801555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tream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s
US20060048193A1 (en) I-Picture insertion on request
US7650577B2 (en) Digital data receiv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lideshows
US20110110418A1 (en) Scalable video coding method for fast channel change to increase coding efficiency
US20110109810A1 (en) Method an apparatus for fast channel change using a scalable video coding (svc) stream
GB2490659A (en) Fast channel change using channel packs comprising independently decodable frame segments having differing qualities
US9137477B2 (en) Fast channel change companion stream solution with bandwidth optimization
JP2011519210A (ja) 時間的拡張機能を用いたスタッガキャスティング
JP2017520940A (ja) 階層符号化されたコンテンツを多重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138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zapping time
US7403563B2 (en)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utilizing the same
KR101420099B1 (ko) 방송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컨텐트 제공 방법및 장치
JP486613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005123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KR101199379B1 (ko)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 방법 및 방송 수신 중 에러 복구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JP2002135786A (ja) 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データ復号方法
US200601099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r propagation in a video sequence
WO2010014239A2 (en) Staggercasting with hierarchical coding information
KR20070006006A (ko) 워터마크와 에러은닉기법을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수신성능 개선시스템
US20090103819A1 (en) Moving image receiving apparatus
EP2733953A1 (en) Content compression system
KR2007006475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