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499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499A
KR20000021499A KR1019980040623A KR19980040623A KR20000021499A KR 20000021499 A KR20000021499 A KR 20000021499A KR 1019980040623 A KR1019980040623 A KR 1019980040623A KR 19980040623 A KR19980040623 A KR 19980040623A KR 20000021499 A KR20000021499 A KR 2000002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ost
digital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146B1 (ko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1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통 인터페이스(CI)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적응력를 높이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파 방송 수신용, 위성 방송 수신용, 케이블 방송 수신용 프론트 엔드부를 각각 CI 모듈화함으로써, 전송 방식에 따른 즉, 지상파인지, 위성인지, 케이블인지에 따른 각각의 프론트 엔드부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또는 각 셋트를 따로 개발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로 인해 셋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VOD와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CI 모듈로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장시에 해당 모듈만 교체하면 되므로 A/S가 용이해지며, 방송으로 SI를 전송하지 않고 추가로 SI 정보를 CI 모듈에 덧붙여서 손쉽게 네비게이션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통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 ; CI)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적응력(Adaptibility)를 높이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디지털 TV 방송에서는 시청자에게 좀더 나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본적인 엠펙(MPEG)-2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 외에 부가적으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 SI)를 전송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이러한 부가 정보(SI)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현재 방송하고 있는 서비스와 이벤트(event) 정보(=희망 프로그램)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의 방법으로 보여주고 또한, 서비스간 또는 이벤트간 네비게이션(navigation)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시청자는 신문이나 다른 안내 매체없이 화면상에서 직접 검색하면서 전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SI를 이용하여 TV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리스트 메뉴의 예를 보이고 있으며, 만일 ABC를 선택한다면 ABC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또다른 서비스 리스트 메뉴가 서브 메뉴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서브 메뉴에서 다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와같이 시청자는 네비게이션 과정으로 원하는 정보를 화면 상에서 얻을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 OFDM) 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디지털 방송인 지상파 방송에 대응하는 디지털 복조 회로는 미국의 경우 8 잔류측파대(VSB)를 채용하고, 일본이나 유럽에서는 OFDM을 채용한다.
도 2를 보면, 튜너(201-1)와 OFDM 복조기(201-2)를 포함하는 프런트-엔드(Front end)부(201)에서 튜너(201-1)는 안테나를 통해 OFDM 신호를 수신하여 OFDM 복조기(201-2)로 출력하고, 상기 OFDM 복조기(201-2)는 수신된 OFDM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수행한 후 에러 정정부(202)로 출력한다. 즉, 송신측에서 OFDM 방식에 의해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변조 방법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매핑하여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을 거친 후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주파수 상으로 전송을 하므로, 수신측에서는 FFT를 수행함으로써, 일반 전송 방식에서의 복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송/수신기 사이의 주파수 정렬(Frequency Alignment)이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OFDM 복조부(201-2)는 송/수신기 사이의 주파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자동 주파수 제어(Auto Frequency Control ; AFC) 신호와 이득을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 AGC) 신호를 튜너(201-1)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에러 정정부(202)는 비터비 복호, 동기 검출, 리드-솔로몬(Reed-Solomon) 복호, 디인터리빙 등을 행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추출한 후 엠펙 디멀티플렉서(MPEG DEMUX)(203)로 출력한다. 상기 MPEG 디멀티플렉서(203)는 MPEG 시스템 규격에 의하여 시간 다중화된 입력 스트림을 입력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역다중화란 패킷 ID(PID)를 확인하여 영상 신호열, 음성 신호열, SI 신호열로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MPEG 디멀티플렉서(203)에서 분리된 영상 신호열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기능을 갖는 MPEG 비디오 디코더(205)로 출력되고, 음성 신호열은 MPEG 오디오 디코더(207)로 출력된다. 또한, SI 신호열은 또 한 번의 필터(Section Filter)를 거쳐서 GUI에 의해 표시될 정보로 RAM(204)에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MPEG 비디오 디코더(205)는 압축된 영상 신호열을 MPEG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여 원래 신호로 복원하며, 디램(DRAM)(206)은 외부 메모리로서 상기 영상 신호열을 디코딩하는데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MPEG 비디오 디코딩된 신호는 아날로그 엔코더(208)로 출력되고, 아날로그 엔코더(208)는 MPEG 비디오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예컨대, PAL) 신호로 엔코딩한 후 RGB 신호 또는 일반 TV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로 출력한다.
또한, MPEG 오디오 디코더(207)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열을 MPEG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여 원래 신호로 복원하며, D/A 컨버터(209)는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R,L)로 바꾸어 스피커등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 CPU)(200)는 램(210,2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 프로그램과 그래픽 데이터도 상기 램(210,211)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CPU(200)에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 IR 수신기, 전화 모뎀등이 연결될 수도 있고, RS232 시리얼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저속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전송 방식에 따라 즉, 지상파인지 위성인지 케이블인지에 따라 튜너를 포함한 프런트 엔드부(201)가 달라지므로 각각의 전송 방식에 따라 셋트(여기서, 셋트는 셋톱 박스 또는 TV 본체를 말함.)를 따로 마련하거나, 또는 전송 방식에 따른 각각의 프론트 엔드부를 구비한 전체 시스템을 새로이 개발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그리고, 방송으로 SI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추가로 SI를 덧붙여서 네비게이션을 할 경우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른 리소스(예를 들어,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 VOD))를 사용할 경우는 모듈화가 되어 있지 않아 수정(modularity)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 ; CI)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CI 모듈로 각 전송 방식에 따른 프론트 엔드부를 만들어 디지털 TV의 적응성을 높이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I 모듈을 이용하여 방송으로 전송하지 않는 SI 정보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CI 모듈로 다른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리스트 메뉴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개념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SI 정보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CI 모듈이 연결되었을 때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리스트 메뉴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TV 본체)와 CI 모듈 사이의 응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TV 본체)와 CI 모듈 사이의 응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TV 본체)와 CI 모듈 사이의 응용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서비스 리스트 요구를 위한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의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특정 서비스 리스트 요구를 위한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의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312,323 : CPU 201,320 : 프론트 엔드부
201-1,321 : 튜너 201-1,322 : OFDM 복조기
202 : 에러 정정부 203 : MPEG 디멀티플렉서
204,210,211 : 램 205 : MPEG 비디오 디코더
206 : DRAM 207 : MPEG 오디오 디코더
208 : 아날로그 엔코더 209 :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311,322 : 디멀티플렉서 314,325 : 메모리
313 : SI 엔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프론트 엔드부를 전송 방식에 맞게 각각 CI 모듈화한 후 각각의 전송 방식에 따른 CI 모듈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연결하여 해당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에 상기 CI 모듈이 제공하는 부가 정보를 덧붙여서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VOD와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CI 모듈로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CI 모듈과 호스트(즉, TV 본체) 사이의 단순화된 개략적 도면으로서, CI 모듈에는 튜너(321)와 복조부(322)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부(32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엔드부(320)는 지상파 방송 수신용, 위성 방송 수신용, 케이블 방송 수신용으로 각각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와 CI 모듈에는 각각의 CPU(312,323)와 메모리(314,325) 및, 디멀티플렉서(311,324)가 있다.
즉, 상기 CI 모듈의 튜너(321)는 CPU(323)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를 통해 OFDM 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기(322)로 출력하고, 상기 복조기(322)는 수신된 신호에 대해 OFDM 복조를 수행한 후 CPU(323)의 제어에 의해 CI 모듈의 디멀티플렉서(324)로 출력함과 동시에 CI를 통해 호스트의 디멀티플렉서(311)에도 출력한다.
상기 CI 모듈의 디멀티플렉서(324)는 CPU(323)의 제어에 의해 OFDM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역다중화된 신호 중에서 SI 정보만을 CPU(323)를 통해 메모리(325)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의 디멀티플렉서(311)는 도 2에서와 같이 MPEG 시스템 규격에 의하여 OFDM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영상 신호열, 음성 신호열, SI 신호열로 분리한 후 역다중화된 신호 중에서 SI 정보는 CPU(312)를 통해 메모리(3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열과 음성 신호열의 처리는 도 2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CI 모듈의 CPU(323)와 호스트의 CPU(312)는 서로 제어 정보와 SI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호스트의 SI 엔진(313)를 통해 SI 정보를 OSD 처리하여 TV 화면에 보여준다.
도 4는 CI 모듈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상세 블록도로서, 프론트 엔드부가 CI 모듈 내부에도 존재한다.
즉,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송된 신호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인지, 위성 방송인지, 케이블 방송인지에 따라 프론트 엔드부만 달라지고 나머지 부분은 도 2와 같은 MPEG-2 규격과 DVB SI 규격을 따르기 때문에 CI 모듈을 지상파 방송 수신용, 위성 방송 수신용, 케이블 방송 수신용으로 각각 개발하여 도 2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연결시키면 각각의 방송에 대해 A/V를 수신 가능하게 또한, SI 정보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엔드부는 CI 모듈에만 존재할 수도 있고 호스트(TV 본체)와 CI 모듈에 모두 존재할 수도 있다. 즉, 호스트에는 디폴트로 하나의 전송 방식에 따른 프론트 엔드부를 구성하고, CI 모듈에는 이를 제외한 다른 전송 방식의 프론트 엔드부를 구성시켜 전송 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엔드부가 CI 모듈에만 존재하는 경우에,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지상파 방송 수신용 CI 모듈을,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위성 방송 수신용 CI 모듈,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방송 수신용 CI 모듈을 연결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신호는 CI를 통해 TV 본체의 MPEG 디멀티플렉서(203)로 출력한다. 이후의 동작은 도 2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지상파 방송 수신용 프론트 엔드부가 호스트에 존재하는 경우에, 지상파 방송은 상기 호스트의 프론트 엔드부를 통해 수신하거나 지상파 방송 수신용 CI 모듈을 연결하여 수신한 후 MPEG 디멀티플렉서(203)로 출력하고, 위성 방송은 위성 방송 수신용 CI 모듈을, 케이블 방송은 케이블 방송 수신용 CI 모듈을 통해 수신한 후 CI를 통해 TV 본체의 MPEG 디멀티플렉서(203)로 출력한다.
이때, 지상파 방송용 CI 모듈, 위성 방송용 CI 모듈, 케이블 방송용 CI 모듈을 모두 TV 본체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송 방식에 따라 하나의 CI 모듈만 연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성 방송에는 시청자 관리 및 요금 징수를 위해 제한 수신 시스템(Coditional Access System ; CAS)의 채택이 필수적이므로 CAS를 CI 모듈화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CI 모듈의 MMI(Man 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SI 정보의 네비게이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MMI란 CI 모듈이 연결되면 CI 모듈에 있는 SI 정보나 그래픽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고, CI는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에서 리소스를 어떻게 관리하고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규약을 말한다.
즉, 공중파로 전송되어온 SI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화면을 보고 있을 때 CI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CI 모듈이 제공하는 SI 정보들을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네비게이션하기 위해 상기 CI 모듈을 위한 MMI가 화면에 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MMI를 이용하여 CI 모듈의 정보를 찾아들어 갈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실시예로 3가지만 설명한다.
먼저, 첫 번째는 도 6과 같이 호스트에 네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navigation application)이 뜨면, CI 모듈의 서비스 게이트웨이 리소스(service gateway resource)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그에 따라 TV 서비스 스트림을 호스트의 TV 서비스 디코더로 보내서 디코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리스트가 뜬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요구하면 TV 서비스 디코더는 그 서비스의 스트림을 전송받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는 도 7과 같이 CI 모듈에 타입 특성 디코더(Type specific decoder)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호스트에 네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있고 호스트 MMI가 존재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호스트는 CI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CI 모듈의 서비스 게이트웨이 리소스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서비스 게이트웨이 리소스는 타입 특성 디코더에게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요구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을 받은 타입 특성 디코더는 그 서비스를 디코딩하여 호스트의 MMI에게 서비스 넘김(delivery)을 수행한다.
이 응용은 VOD와 같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데, TSD가 사용자에게 카탈로그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카탈로그를 선택하면 MPEG A/V 스트림이 CI 모듈로부터 호스트에 보내질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는 도 8과 같이 타입 특성 디코더가 호스트에 존재하는 경우로서, CI 모듈에 의해 주어지는 새로운 리소스 타입을 인식하고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런 응용이 사용되는 경우는 CI 모듈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DSM-CC 프로토콜에 의해 구현)을 지원하는 경우인데 CI 모듈의 타입 특성 확장은 DSM-CC API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TSD는 DSM-CC U-U API의 MHEG-5,6 엔진일 수 있다.
도 9는 실제로 EPG가 구동됐을 때의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의 서비스 게이트웨이 리소스를 이용한 제어 흐름도로서, 먼저 EPG가 구동되어 동작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보여지고 내부적으로는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즉, 호스트는 방송국 이름 리스트와 같은 서비스 리스트를 CI 모듈에 요구한다(단계 801). 그러면, CI 모듈은 호스트에게 서비스 리스트를 리턴한다(단계 802). 이때, 호스트가 서비스 리스트의 버전도 요구하면(단계 803), CI 모듈은 호스트에게 서비스 리스트의 버전도 리턴한다(단계 804). 상기 호스트는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리스트의 버전과 새로이 입력되는 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을 비교하여(단계 805), 두 버전 번호가 같다고 판별되면 CI 모듈에게 서비스 설명서(description)를 요구한다(단계 807). 그러면, CI 모듈은 호스트에 서비스 설명서를 리턴하고(단계 808), 호스트는 이 서비스 설명서를 입력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809). 만일, 상기 단계 805에서 두 버전 번호가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호스트는 CI 모듈에게 서비스 리스트 변화를 조사하도록 요구한 후(단계 806), CI 모듈에게 새로운 버전의 서비스 설명서를 요구한다(단계 807). 그러면, CI 모듈은 호스트에 서비스 설명서를 리턴하고(단계 808), 호스트는 이 서비스 설명서를 입력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809).
도 10은 특정 서비스 리스트를 요구하는 경우의 호스트와 CI 모듈 사이의 제어 흐름도로서, 호스트가 특정 서비스 리스트를 CI 모듈에 요구한다(단계 901). 그러면, CI 모듈은 호스트에게 특정 서비스 리스트를 리턴한다(단계 902). 상기 특정 서비스 리스트를 받은 호스트는 다시 CI 모듈에게 서비스 설명서를 요구하고(단계 903), CI 모듈은 호스트에 특정 서비스 설명서를 리턴한다(단계 904). 그러면, 호스트는 상기 특정 서비스 설명서를 입력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905).
이와 같이 CI 모듈은 여러 응용에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디지털 TV의 프론트-엔드부, 1394, 모뎀 등을 CI 모듈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지상파방송 수신용, 위성 방송 수신용, 케이블 방송 수신용 프론트 엔드부를 각각 CI 모듈화함으로써, 전송 방식에 따른 즉, 지상파인지, 위성인지, 케이블인지에 따른 각각의 프론트 엔드부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또는 각 셋트를 따로 개발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셋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장시에 해당 모듈만 교체하면 되므로 아프터 서비스(A/S)가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VOD와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CI 모듈로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정(modularity)이 용이해진다.
또한, 방송으로 SI를 전송하지 않고 추가로 SI 정보를 CI 모듈에 덧붙여서 손쉽게 네비게이션을 할 수 있다.

Claims (3)

  1. 튜너를 통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 후 에러 정정을 통해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는 프론트 엔드부와,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부가 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은 엠펙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부가 정보(SI)는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프론트 엔드부를 전송 방식에 맞게 각각 공통 인터페이스(CI) 모듈화한 후 각각의 전송 방식에 따른 CI 모듈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연결하여 해당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에 상기 CI 모듈이 제공하는 부가 정보를 덧붙여서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CI 모듈로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19980040623A 1998-09-29 1998-09-29 디지털방송수신장치 KR10057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23A KR100577146B1 (ko) 1998-09-29 1998-09-29 디지털방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23A KR100577146B1 (ko) 1998-09-29 1998-09-29 디지털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99A true KR20000021499A (ko) 2000-04-25
KR100577146B1 KR100577146B1 (ko) 2006-08-30

Family

ID=1955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23A KR100577146B1 (ko) 1998-09-29 1998-09-29 디지털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14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13A (ko) * 2002-09-10 2004-03-18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콤보형 셋톱박스의 방송신호 전환방법
KR100724856B1 (ko) * 2004-03-19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735691B1 (ko) * 2001-03-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화된 디지털 티브이
KR100826165B1 (ko) * 2001-04-11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저장/재생을 위한 ci 모듈, 상기 ci 모듈을 이용한 프로그램 저장/재생 방법 및 수신 시스템
KR100870125B1 (ko) * 2002-01-23 2008-11-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i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 수신 방법
KR100879574B1 (ko) * 2002-04-04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Ci 모듈을 이용한 방송 정보 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1011A1 (en) * 2009-01-08 2010-07-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mount-accessible components
US9974142B2 (en) 2011-02-03 2018-05-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a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isplays
US10269156B2 (en) 2015-06-05 2019-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lending order confirmation over menu board background
US10313037B2 (en) 2016-05-31 2019-06-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remote im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319408B2 (en) 2015-03-30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US10319271B2 (en) 2016-03-22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yclic redundancy check for electronic displays
US10510304B2 (en) 2016-08-10 2019-12-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or LCD array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218A (ko) * 1990-08-30 1992-03-28 이헌조 새도우마스크 서포트 후레임과 스프링과의 조립측정 보정콘트롤러
EP0700205A3 (en) * 1994-08-31 1997-04-02 Toshiba Kk Multimedia television receiver and initialization process therefor
KR100238024B1 (ko) * 1996-12-09 2000-01-15 윤종용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691B1 (ko) * 2001-03-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화된 디지털 티브이
KR100826165B1 (ko) * 2001-04-11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저장/재생을 위한 ci 모듈, 상기 ci 모듈을 이용한 프로그램 저장/재생 방법 및 수신 시스템
KR100870125B1 (ko) * 2002-01-23 2008-11-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i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 수신 방법
KR100879574B1 (ko) * 2002-04-04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Ci 모듈을 이용한 방송 정보 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2913A (ko) * 2002-09-10 2004-03-18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콤보형 셋톱박스의 방송신호 전환방법
KR100724856B1 (ko) * 2004-03-19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장치 및 방법
US10185352B2 (en) 2009-01-08 2019-01-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dular system for controlling a liquid crystal display
US9648270B2 (en) 2009-01-08 2017-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mount-accessible components
US10185353B2 (en) 2009-01-08 2019-01-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mount-accessible components
WO2010081011A1 (en) * 2009-01-08 2010-07-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mount-accessible components
US11042183B2 (en) 2009-01-08 2021-06-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mount-accessible components
US9974142B2 (en) 2011-02-03 2018-05-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a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isplays
US10319408B2 (en) 2015-03-30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US10467610B2 (en) 2015-06-05 2019-11-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 redundant multi-panel electronic display
US10269156B2 (en) 2015-06-05 2019-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lending order confirmation over menu board background
US10319271B2 (en) 2016-03-22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yclic redundancy check for electronic displays
US10313037B2 (en) 2016-05-31 2019-06-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remote im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756836B2 (en) 2016-05-31 2020-08-2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remote im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510304B2 (en) 2016-08-10 2019-12-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or LCD array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146B1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102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US7644428B2 (en) Receiv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program guide that integrates program information received from plural transmission media
KR100573787B1 (ko) 패킷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패킷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JP2940638B2 (ja) マルチサービ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仮想サービス選択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63143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04461B2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of the same
KR100577146B1 (ko)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4364318A (ja) Mpeg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論理的複合チャネル・マッピング
JP2002517959A (ja) Atsc/ntscテレビ受信機におけるチャンネル選択方法
KR20020002504A (ko)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US2006009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service information in open cable system
JP200412011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32892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69370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2009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reen size of real-time video
EP2458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23532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028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10057717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KR101678433B1 (ko) 방송 수신기 및 매뉴얼 채널 튜닝 방법
US20240137607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KR100285588B1 (ko) 위성방송시스템의다중앵글서비스방법
EP1887793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1650382B1 (ko) 채널 탐색/접근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