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971A - 자주식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자주식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971A
KR20050043971A KR1020057004521A KR20057004521A KR20050043971A KR 20050043971 A KR20050043971 A KR 20050043971A KR 1020057004521 A KR1020057004521 A KR 1020057004521A KR 20057004521 A KR20057004521 A KR 20057004521A KR 20050043971 A KR20050043971 A KR 2005004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ool
boom
cylinder
mounting membe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026B1 (ko
Inventor
오사무 고키타
요시오 나마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7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신축 가능한 붐(12)의 선단측과 하역 작업구(35) 사이에, 작업구 이동 기구(20)를 설치한다. 상기 작업구 이동 기구(20)는, 헤드 부재(21), 요동 암(25), 스윙 실린더(29), 작업구 장착 부재(30), 링크(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이동 기구(20)는, 스윙 실린더(29)를 신축시킴으로써, 하역 작업을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하역 작업구(35)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의 위치와 소정의 언로드 장소가 좌,우 방향에서 상이한 경우라도, 작업구 이동 기구(20)에 의해 하역 작업구(35)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들어올려진 하물을 정해진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내릴 수 있다.

Description

자주식 작업 기계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리프트 트랙 등의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를 구비한 자주식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고소(高所)로의 하물(荷物)의 운반 작업(하역 작업)이나, 전선의 보수 작업 등의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기계로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설치된 붐 장치를 구비한 자주식 작업 기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559831호 공보 참조).
그리고, 이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트 트랙의 붐 장치는, 기단측이 차체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측이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는 다단식의 신축 가능한 붐과, 상기 신축 가능한 붐 중 가장 앞쪽 즉 최선의 붐에 설치된 포크 등의 작업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프트 트랙을 적재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언로드(unload) 장소의 근방까지 주행한 후, 신축 가능한 붐을 차체에 대하여 기립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작업구에 적재된 하물을 소정의 언로드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리프트 트랙에 설치된 붐 장치는, 통상, 차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기복할 수 있지만, 그 구조상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리프트 트랙은, 붐 장치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의 위치와 소정의 언로드 장소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는, 한번 붐을 내리고 다시 차체를 주행시킴으로써, 하물의 위치와 언로드 장소의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트 트랙으로서, 붐의 선단측을 차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영국 특허 출원 공개 제2121363호 명세서 참조).
그리고, 이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트 트랙은, 붐의 기단측이 장착된 섀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붐의 선단측을 좌,우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요동시켜, 붐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트 트랙은, 붐의 기단측이 장착된 섀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붐의 선단측을 좌,우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붐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는, 소정의 언로드 장소를 향해 좌,우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언로드 장소에 대한 작업구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작업구에 적재된 하물이 언로드 장소에 곧바로 대면하지 않게 되어, 들어올려진 하물을 정확한 장소에 언로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리프트 트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신축 가능한 붐,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신축 가능한 붐,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나타낸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신축 가능한 붐, 작업구 이동 기구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3 중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신축 가능한 붐,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하역 작업구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나타낸 도 4와 마찬가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신축 가능한 붐,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하역 작업구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나타낸 도 4와 마찬가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붐 기복 실린더, 제1단 붐 실린더, 제2단 붐 실린더, 스윙 실린더, 작업구 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나타낸 도 3과 같은 정면도이다.
도 9는,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이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8중 화살표 IX-IX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하역 작업구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작업구 이동 기구, 하역 작업구 등을 하역 작업구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작업구로서 굴삭 작업구를 사용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작업구를 신축 가능한 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붐 장치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을 소정의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언로드할 수 있도록 한 자주식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기복 가능하게 설치된 붐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붐 장치는, 기단측이 차체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다단식의 신축 가능한 붐과, 상기 신축 가능한 붐 중 최선의 붐에 설치된 작업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작업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최선의 붐과 작업구 사이에는 상기 작업구를 신축 가능한 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구 이동 기구를 설치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구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의 위치와 소정의 언로드 장소가 좌,우 방향으로 상이한 경우라도, 작업구 이동 기구에 의해 작업구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들어올려진 하물을 정해진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작업구 이동 기구는, 최선의 붐의 선단측에 설치된 헤드 부재와, 기단측이 제1 링크 핀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헤드 부재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암과, 헤드 부재와 요동 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 암을 헤드 부재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와, 요동 암의 선단측에 제2 링크 핀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구가 장착되는 작업구 장착 부재와, 헤드 부재와 작업구 장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를 헤드 부재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유지하는 링크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윙 실린더를 신축시켜 요동 암을 요동시켰을 때, 작업구 장착 부재는, 링크에 의해 헤드 부재에 대하여 항상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구 장착 부재에 장착된 작업구는, 하물을 적재한 채로 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작업구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을, 소정의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내릴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링크 핀은, 신축 가능한 붐을 지면 측으로 내려졌을 때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신축 가능한 붐이 지면 측으로 내려진 채로 스윙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것만으로, 작업구를 제1 링크 핀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켜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체는 도로 등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신축 가능한 붐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체를 조종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야가 신축 가능한 붐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주행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구는, 작업구 장착 부재에 장착핀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업구와 작업구 장착 부재 사이에는, 상기 작업구를 요동시키는 작업구 실린더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신축 가능한 붐의 기복 각도에 따라 작업구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작업구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붐 장치에 의해 하물을 소정의 언로드 장소로 들어올리는 동안, 작업구는 신축 가능한 붐의 기복 각도에 관계없이 하물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스윙 실린더와 링크는, 요동 암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함께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로써, 요동 암의 좌,우 방향의 타측의 시야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스윙 실린더와 링크는, 요동 암을 협지하여 좌,측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로써, 작업시나 주행시에 있어서의 차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구 실린더는, 요동 암의 앞면측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와 작업구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구 실린더는, 요동 암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와 작업구 사이에 설치하고, 바닥측 오일실 내의 압력에 의해 작업구로부터의 하중을 받아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구보다 작업구 실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작업구 실린더의 바닥측 오일실 내의 압력에 의해 받아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작업구보다 작업구 실린더에 대하여 큰 하중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 하중을 작업구 실린더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역 작업 등의 작업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작업구 실린더의 소형화(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구 장착 부재에는, 요동 암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서로 대면하면서 요동 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좌,우측 실린더 장착부를 설치하고, 작업구 실린더는, 이들 좌,측 실린더 장착 부재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와 작업구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의 좌,우측 실린더 장착부 사이에 작업구 실린더를 배치한 만큼, 작업구 이동 기구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작업구 장착 부재의 각 실린더 장착부에 의해 작업구 실린더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작업구 실린더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 가능한 붐은, 지면 측에 내려졌을 때 그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로써, 작업구 이동 기구에 의해 작업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작업구가 지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들어올렸졌다 해도, 붐을 신장시키는 것만으로 작업구를 지면에 접근 또는 접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건물 등의 벽 옆에 둔 하물을 작업구에 의해 들어올리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작업구를 벽 옆에 댄 상태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으므로, 이 벽 옆에서의 하역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주식 작업 기계의 실시예를 리프트 트랙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은 리프트 트랙이며, 상기 리프트 트랙(1)은, 자주 가능한 휠식의 차체(2)와, 후술하는 붐 장치(11)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차체(2)를 주행시키면서 붐 장치(11)를 사용하여 지상으로부터 고소로 하물을 운반하는 하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체(2)는, 두꺼운 강판 등에 의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 유압 모터 등의 구동원(모두 도시하지 않음)과, 후술하는 캡(6)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3)의 전방측에는 좌,우측의 전륜(4)(좌측만 도시)이 설치되고, 프레임(3)의 후방측에는 좌,우측의 후륜(5)(좌측만 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전륜(4)과 좌,우측의 후륜(5)은, 주행용의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되고, 이로써, 차체(2)는 4륜 구동 상태로 전진 주행, 후진 주행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6)은 좌측의 전륜(4)과 후륜(5)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3)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캡이며, 상기 캡(6)은 운전실을 구획하는 것이다. 그리고, 캡(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 전륜(4) 및 후륜(5)을 조타(操舵)하는 스티어링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3)의 전단측에는, 전륜(4)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좌,우측의 스태빌라이져(7)(좌측만 도시)가 설치되고, 이 스태빌라이저(7)는, 차체(2)의 주행시에는 접지판(7A)을 지면으로부터 이간시키고, 붐 장치(11)를 사용한 하역 작업시에는 접지판(7A)을 지면에 접지시킴으로써, 하역 작업시에 있어서의 차체(2)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11)은 차체(2)에 기복 가능하게 설치된 하역 작업용의 붐 장치이며, 상기 붐 장치(11)는, 후술하는 신축 가능한 붐(12), 붐 기복 실린더(17), 제1단 붐 실린더(18), 제2단 붐 실린더(19),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된 작업구 이동 기구(20), 하역 작업구(35), 작업구 실린더(37) 등에 의해 구성되고, 하역 작업구(35)에 적재한 하물을,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언로드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다.
(12)는 붐 장치(11)를 구성하는 다단식의 신축 가능한 붐이며, 상기 신축 가능한 붐(12)은,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각통형의 제1단 붐(13)과, 상기 제1단 붐(13)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 각통형의 제2단 붐(14)과, 상기 제2단 붐(14)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 최선의 붐로서의 제3단 붐(15)에 의해,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 붐(13)의 기단부(후단부)는, 차체(2)(프레임(3)의 후단 측에 지지핀(16)을 사용하여 기복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최선의 붐으로 되는 제3단 붐(15)의 선단측에 작업구 이동 기구(20)가 형성되어 있다.
(17)은 차체(2)의 프레임(3)과 제1 단 붐 사이에 설치된 붐 기복 실린더이며, 상기 붐 기복 실린더(17)는, 바닥측이 프레임(3)에 핀 결합되고, 로드측이 제1단 붐(13)의 하면에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붐 기복 실린더(17)는, 지지핀(16)을 지점으로 하여, 신축 가능한 붐(12)을 지면 측에 내려진 위치(도 1 중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지면으로부터 기립된 위치(도 1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기복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붐(12)은, 도 1 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 측에 내려진 상태에서, 제3단 붐(15)의 선단측이, 지지핀(16)에 의해 프레임(3)에 지지된 제1단 붐(13)의 기단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지면 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18)은 제1단 붐(13)과 제2단 붐(14) 사이에 설치된 제1단 붐 실린더이며, 상기 제1단 붐 실린더(18)는, 제1단 붐(13)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바닥측이 제1단 프레임(13)의 기단측(후단측)에 장착되고, 로드측이 제2단 붐(14)의 선단측(전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 붐 실린더(18)는, 제2단 붐(14)을, 제1단 붐(13) 내에 축소된 위치와, 제1단 붐(13)으로부터 돌출한 위치 사이에서 신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9)는 제2단 붐(14)과 제3단 붐(15) 사이에 설치된 제2단 붐 실린더이며, 제2단 붐 실린더(19)는, 제3단 붐(15) 내에 배치되고, 바닥측이 제2단 붐(14)의 후단측에 장착되고, 로드측이 제3단 붐(15)의 전후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단 붐 실린더(19)는, 제1단 붐 실린더(18)와 동기하여 작동하고, 제3단 붐(15)을, 제2 붐(14) 내에 축소한 위치와, 제2단 붐(14)으로부터 돌출된 위치 사이에 신축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20)은 제3단 붐(15)의 선단측과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35) 사이에 설치된 작업구 이동 기구이며, 상기 작업구 이동 기구(20)는, 하역 작업구(35)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구 이동 기구(20)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헤드 부재(21), 요동 암(25), 스윙 실린더(29), 작업구 장착 부재(30), 링크(34) 등의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21)은 제3단 붐(15)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설치된 헤드 부재이며, 상기 헤드 부재(21)는, 코끼리의 코와 같이 제3단 붐(15)보다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부재(21)의 선단측은, 후술하는 요동 암(25)의 기단측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는 2각부(21A)로 되어 있다. 또, 헤드 부재(21)의 좌측면에는, 3개의 판형 브래킷(22, 23, 24)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브래킷(22, 23) 사이에는, 후술하는 링크(34)의 기단측이 핀 결합되고, 브라켓(23, 24) 사이에는, 후술하는 스윙 실린더(29)의 바닥측이 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5)는 헤드 부재(21)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 암이며, 상기 요동 암(25)의 기단측은, 헤드 부재(21)의 2각부(21A)에 협지된 상태로, 이 2각부(21A)에 제1 링크 핀(26)을 사용하여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또, 요동 암(25)의 좌측면에는, 2개의 판형 브래킷(27, 28)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이 브래킷(27, 28) 사이에는 후술하는 스윙 실린더(29)의 로드측이 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암(25)은, 스윙 실린더(29)를 신장시킴으로써, 제1 링크 핀(26)을 지점(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5에 나타낸 우측 요동 위치로 우방향으로 요동하고, 스윙 실린더(29)를 축소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좌측 요동 위치로 좌측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링크 핀(2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으로 내려졌을 때, 그 축 중심선 O1-01이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신축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진 채, 스윙 실린더(29)에 의해 요동 암(25)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켰을 때는, 요동 암(25)의 선단측을 지면에서 윗쪽으로 이간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요동 암(25)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35)를 지면으로부터 높이 H만큼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29)는 요동 암(25)의 좌측에 위치하여 헤드 부재(21)와 요동 암(25) 사이에 설치된 스윙 실린더이며, 상기 스윙 실린더(29)는, 바닥측이 헤드 부재(21)에 설치된 브래킷(23, 24) 사이에 핀 결합되고, 로드측이 요동 암(25)에 설치된 브래킷(27, 28) 사이에 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 실린더(29)를 신축시킴으로써, 요동 암(25)은 제1 링크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0)은 요동 암(25)의 선단측에 제2 링크 핀(31)을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 장착 부재이며,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30)는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35)가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작업구 장착 부재(30)는, 요동 암(25)의 선단측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는 2각부(30A)를 가지고, 이 2각부(30A)가, 요동 암(25)의 선단측에 제2 링크 핀(31)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또, 작업구 장착 부재(30)의 좌측면에는, 2개의 판형 브래킷(32, 33)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이 브래킷(32, 33) 사이에는, 링크(34)의 선단측이 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핀(3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졌을 때, 그 축 중심선 O2-O2가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핀(31)의 축 중심선 O2-O2와, 제1 링크 핀(26)의 축 중심선 O1-O1는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34)는 헤드 부재(21)와 작업구 장착 부재(30) 사이에 설치된 봉형(棒形)의 링크이며, 상기 링크(34)는, 스윙 실린더(29)와 함께 요동 암(25)의 좌측에 모여져 배치되고, 이로써, 요동 암(25)의 우측에 큰 시야가 확보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34)의 기단측은, 헤드 부재(21)에 설치한 브래킷(22, 23) 사이에 핀 결합되고, 링크(34)의 선단측은,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설치한 브래킷(32, 33) 사이에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34)는, 헤드 부재(21), 요동 암(25), 작업구 장착 부재(30)와 함께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 실린더(29)에 의해 요동 암(25)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했을 때, 작업구 장착 부재(30)의 자세를 헤드 부재(21)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35)는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대하여 장착핀(36)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역 작업구이며, 상기 하역 작업구(35)는, 그 앞면측에 포크(35A, 35A)가 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체로 이루어지고, 각 포크(35A) 상에 하물을 적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역 작업구(35)의 배면측에는,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35B)과 실린더 장착판(35C)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35B)은 하역 작업구(35)의 하단 측에 배치되고, 실린더 장착판(35C)은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35B)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35B)은, 장착핀(36)을 지점으로 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구 이동 기구(20)의 스윙 실린더(29)를 신장시켰을 때는, 요동 암(25)은 제1 링크핀(26)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5에 나타낸 우측 요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때 요동 암(25)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 장착 부재(34)에 의해 헤드 부재(2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요동 암(25)과 함께 우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의해 지지된 하역 작업구(35)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구 이동 기구(20)의 스윙 실린더(29)를 축소시켰을 때는, 요동 암(25)은 제1 링크핀(26)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좌측 요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때, 작업구 장착 부재(30)는, 헤드 부재(2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요동 암(25)과 함께 좌방향으로 요동하고, 이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의해 지지된 하역 작업구(35)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요동 암(25)이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에 있을 때는,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가 가장 낮아져,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 실린더(29)에 의해 요동 암(25)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킬 때는,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가 증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7)은, 요동 암(25)의 앞면측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30)와 하역 작업구(35) 사이에 설치된 작업구 실린더(37)이며, 상기 작업구 실린더(37)는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대하여 하역 작업구(3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작업구 실린더(37)의 튜브에는 핀(38)이 돌출되고, 상기 핀(38)은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작업구 실린더(37)의 로드측은, 핀(39)을 사용하여 하역 작업구(35)의 실린더 장착판(35C)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역 작업구(35)는, 작업구 실린더(37)를 신축시킴으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대하여 장착핀(36)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 중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을 기복시킬 때, 이 신축 가능한 붐(12)의 기복 각도에 따라 하역 작업구(35)를 요동시켜, 포크(35A)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하역 작업구(35)(포크(35A))에 적재된 하물을 안정된 상태로 지상으로부터 언로드 장소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붐 기복 실린더(17), 제1단 붐 실린더(18), 제2단 붐 실린더(19), 스윙 실린더(29), 작업구 실린더(37) 등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 (4O)은 탱크(41)와 함께 유압원을 구성하는 유압 펌프이며, 상기 유압 펌프(4O)의 토출 측은 센터 하이패스 관로(4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펌프(40)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탱크(41) 내의 작동유를 고압의 압유로서 센터 하이패스 관로(42) 등을 통하여 붐 기복 실린더(17), 제1단 붐 실린더(18), 제2단 붐 실린더(19), 스윙 실린더(29), 작업구 실린더(37) 등에 토출하는 것이다. 또, 센터 하이패스 관로(42)에는, 후술하는 각방향 제어 밸브(46, 47, 48, 49)의 입력측 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되는 펌프 관로(43)가 접속되어 있다.
(44)는 각 방향 제어 밸브(46, 47, 48, 49)와 탱크(41) 사이를 접속하는 복귀 관로이며, 상기 복귀 관로(44)는, 유압 펌프(4O)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붐 기복 실린더(17) 등에 공급되었을 때, 상기 붐 기복 실린더(17) 등으로부터의 복귀 오일을 탱크(41)로 되돌리는 것이다.
(45)는 센터 하이패스 관로(42), 펌프 관로(43), 복귀 관로(44)에 접속된 제어 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어 밸브(45)는, 붐 기복 실린더(17)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붐 기복용의 방향 제어 밸브(46)와, 제1단 붐 실린더(18) 및 제2단 붐 실린더(19)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붐 신축용의 방향 제어 밸브(47)와, 스윙 실린더(29)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작업구 이동 기구용의 방향 제어 밸브(48)와, 작업구 실린더(37)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하역 작업구용의 방향 제어 밸브(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방향 제어 밸브(46, 47, 48, 49)는 패럴렐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방향 제어 밸브(46)는, 관로(50A)를 통하여 붐 기복 실린더(17)의 바닥측 오일실에 접속되는 동시에, 관로(50B)를 통하여 붐 기복 실린더(17)의 로드측 오일실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관로(50A)의 도중에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1)가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밸런스 밸브(51)는, 붐 기복 실린더(17)에 의해 신축 가능한 붐(12)을 기립된 위치로부터 지면측으로 이동(하강)시킬 때, 상기 신축 가능한 붐(12)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 방향 제어 밸브(47)는, 관로(52A)를 통하여 제1단 붐 실린더(18)의 바닥측 오일실에 접속되고, 제1단 붐 실린더(18)의 로드측 오일실은, 관로(52B)를 통하여 제2단 붐 실린더(19)의 바닥측 오일실에 접속되고, 제2단 붐 실린더(19)의 로드측 오일실은, 관로(52C)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4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40)로부터의 압유가, 방향 제어 밸브(47)로부터 관로(52A)를 통해서 제1단 붐 실린더(18)의 바닥측 오일실에 공급되었을 때는, 제1단 붐 실린더(18)의 로드측 오일실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관로(52B)를 통해서 제2단 붐 실린더(19)의 바닥측 오일실에 공급되고, 제2단 붐 실린더(19)의 로드측 오일실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관로(52C), 방향 제어 밸브(47), 복귀 관로(44)를 통해서 탱크(41)로 돌아온다. 또, 이와는 역으로 유압 펌프(40)로부터의 압유가, 방향 제어 밸브(47)로부터 관로(52C)를 통해서 제2단 붐 실린더(19)의 로드측 오일실에 공급되었을 때는, 제2단 붐 실린더(19)의 바닥측 오일실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관로(52B)를 통해서 제1단 붐 실린더(18)의 로드측 오일실에 공급되고, 제1단 붐 실린더(18)의 바닥측 오일실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관로(52A), 방향 제어 밸브(47), 복귀 관로(44)를 통해서 탱크(41)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제1단 붐 실린더(18)와 제2단 붐 실린더(19)는, 항상 동기하여 작동하고, 이로써, 제1단 붐(13)에 대한 제2단 붐(14)의 신축 동작과 제2단 붐(14)에 대한 제3단 붐(15)의 신축 동작이 동시에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관로(52A)의 도중에는, 제2단 붐(14)이 급격하게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3)가 설치되고, 관로(52B)의 도중에는, 제3단 붐(15)이 급격하게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관로(52C)의 도중에는, 제2단 붐(14), 제3단 붐(15)이 급격하게 신장(伸長)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방향 제어 밸브(48)는, 관로(56A)를 통하여 스윙 실린더(29)의 바닥측 오일실에 접속되는 동시에, 관로(56B)를 통하여 스윙 실린더(29)의 로드측 오일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향 제어 밸브(49)는, 관로(57A)를 통하여 작업구 실린더(37)의 바닥측 오일실에 접속되는 동시에, 관로(57B)를 통하여 작업구 실린더(37)의 로드측 오일실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관로(57A)의 도중에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8)가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밸런스 밸브(58)는, 작업구 실린더(37)에 의해 하역 작업구(35)가 급격하게 하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랙(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붐 장치(11)를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행할 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진 상태에서, 하역 작업구(35)의 포크(35A) 상에 하물(도시하지 않음)을 적재한다. 그리고, 리프트 트랙(1)을 작업 현장까지 자주(自走)시킨 후, 스태빌라이저(7)의 접지판(7A)을 지면에 접지시킴으로써, 차체(2)를 안정시킨다.
다음에, 캡(6) 내의 오퍼레이터가, 붐 기복용의 방향 제어 밸브(46), 붐 신축용의 방향 제어 밸브(47), 하역 작업구용의 방향 제어 밸브(49) 등을 조작하고, 붐 기복 실린더(17), 제1단 붐 실린더(18), 제2단 붐 실린더(19), 작업구 실린더(37)에 유압 펌프(40)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한다.
이로써, 붐 기복 실린더(17)가 신장되고, 신축 가능한 붐(12)은, 도 1 중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한다. 또, 제1단 붐 실린더(18)에 의해, 제1단 붐(13)으로부터 제2단 붐(14)이 신장되고, 제2단 붐 실린더(19)에 의해, 제2단 붐(14)으로부터 제3단 붐(15)이 신장된다.
한편, 작업구 실린더(37)는, 신축 가능한 붐(12)의 기복 각도에 따라 하역 작업구(35)를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대하여 요동시켜, 하역 작업구(35)의 포크(35A)를 수평 자세로 유지한다. 이같이 하여, 하역 작업구(35)의 포크(35A) 상에 적재된 하물을,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언로드 장소로 안정된 상태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붐 장치(11)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의 위치와 소정의 언로드 장소가 좌,우 방향으로 상이한 경우에는, 붐 장치(1l)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을, 언로드 장소를 향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방향 제어 밸브(48)를 조작하여, 작업구 이동 기구(20)의 스윙 실린더(29)에 압유 펌프(40)로부터 압유를 공급한다.
그리고, 스윙 실린더(29)를 신장 시켰을 때는, 요동 암(25)은, 제1 링크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5에 나타낸 우측 요동 위치로 우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 암(25)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 장착 부재(30)는, 링크(34)에 의해 헤드 부재(2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우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의해 지지된 하역 작업구(35)는, 포크(35A) 상에 하물을 적재한 채, 신축 가능한 붐(12)의 선단측에서 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윙 실린더(29)를 축소시켰을 때는, 요동 암(25)은, 제1 링크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좌측 요동 위치로 좌측 방향으로 요동하고, 하역 작업구(35)는, 포크(35A) 상에 하물을 적재한 채, 신축 가능한 붐(12)의 선단측으로 좌측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붐 장치(11)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의 위치와 소정의 언로드 장소가 좌,우 방향으로 상이해도, 작업구 이동 기구(20)를 사용함으로써, 하역 작업구(35)를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오프셋)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언로드 장소에 대한 하역 작업구(35)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하역 작업구(35)에 적재한 하물을 정해진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내려놓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역 작업구(35)는, 신축 가능한 붐(12)의 선단측으로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구가 좌,우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요동되지 않고, 언로드 장소에 대한 하역 작업구(35)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하역 작업구(35)에 적재한 하물을 언로드 장소에 곧바로 대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역 작업구(35)로부터 언로드 장소로 하물을 내리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구 이동 기구(20)는, 신축 가능한 붐(12)(제3단 붐(15))의 선단측에 대하여 하역 작업구(3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신축 가능한 붐(12)의 길이에 관계없이, 하역 작업구(35)의 좌,우 방향의 이동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요동 암(25)을 헤드 부재(21)에 연결하는 제1 링크 핀(26)은,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졌을 때, 그 축 중심선 O1-01이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진 상태로 스윙 실린더(29)를 신축시키고, 요동 암(25)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요동 암(25)의 선단측을 지면으로부터 윗쪽으로 이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암(25)의 선단측에 작업구 장착 부재(30)를 통하여 설치된 하역 작업구(35)(포크(35A))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높이 H만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측에 내려진 상태인 채, 스윙 실린더(29)를 신축시키는 것만으로, 하역 작업구(35)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고, 리프트 트랙(1)은 도로 등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주행시에 하역 작업구(35)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신축 가능한 붐(12)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캡(6) 내에서 리프트 트랙(1)을 조종하는 오퍼레이터의 시계가 신축 가능한 붐(12)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주행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요동 암(25)이 좌,우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는,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가 가장 낮아져, 스윙 실린더(29)에 의해 요동 암(25)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켰을 때는,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가 증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하역 작업구(35)를 이용한 하역 작업시에 있어서, 요동 암(25)을 중간 위치에 유지하여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포크(35A)로의 하물의 적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포크(35A) 상에 하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차체(2)를 주행시켰을 때, 지면 상에 암석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요동 암(25)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하역 작업구(35)의 지상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어, 신축 가능한 붐(12)을 들어올리지 않고 용이하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구 이동 기구(20)를 구성하는 작업구 장착 부재(30)에, 장착핀(36)을 사용하여 하역 작업구(3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작업구 장착 부재(30)와 하역 작업구(35) 사이에는, 작업구 실린더(3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신축 가능한 붐(12)을 기복시킬 때, 이 신축 가능한 붐(12)의 기복 각도에 따라 작업구 실린더(37)를 신축시켜, 하역 작업구(3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신축 가능한 붐(12)의 기복 각도에 관계없이 하역 작업구(35)의 포크(35A)를 항상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포크(35A) 상에 적재된 하물을,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언로드 장소로 안정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졌을 때, 제3단 붐(15)의 선단측이, 지지핀(16)에 의해 프레임(3)에 지지된 제1단 붐(13)의 기단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지면 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로써,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역 작업구(35)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하역 작업구(35)가 지면에서 윗쪽으로 지상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올려져도, 신축 가능한 붐(12)을 신장시키는 것만으로 하역 작업구(35)를 지면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역 작업구(35)를 사용하여 우사(牛舍) 내의 꼴 등을 쳐내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하역 작업구(3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사의 벽 옆에 접근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라도, 신축 가능한 붐(12)을 신장시킴으로써, 하역 작업구(35)를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어 벽 옆에 존재하는 꼴 등을 확실하게 쳐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작업구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스윙 실린더와 링크를, 요동 암을 협지하여 좌측, 우측 양쪽으로 나누어 배치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6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 기구(120)에 대신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된 작업구 이동 기구이며, 상기 작업구 이동 기구(61)는, 신축 가능한 붐(12)의 제3단 붐(15)과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76) 사이에 설치되고, 하역 작업구(76)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 기구(61)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기구(20)와 대략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헤드 부재(62), 요동 암(67), 스윙 실린더(70), 작업구 장착 부재(71), 링크(7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 실린더(70)와 링크(75)는, 요동 암(67)을 협지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한 점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것과는 상이하다.
(62)는 제3단 붐(15)의 선단부에 고착하여 설치된 헤드 부재이며, 상기 헤드 부재(62)는, 대략 L형으로 굴곡된 중공통체로서 형성되고, 제3단 붐(15)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3단 붐(15)에 고착된 헤드 부재(62)의 기단측에는, 후술하는 작업구 장착 부재(71)를 피하도록 오목한 요함부(凹陷部)(6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 부재(62)의 선단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전,후의 암 장착부(62B, 62B)가 설치되고, 상기 각 암 장착부(62B) 사이에는 후술하는 요동 암(67)의 기단측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부재(62)의 좌측면에는, 후술하는 링크(75)의 기단측을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브래킷(63, 64)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한편, 헤드 부재(62)의 우측면에는, 후술하는 스윙 실린더(70)의 바닥측을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브래킷(65, 66)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67)은 헤드 부재(62)의 선단측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 암이며, 상기 요동 암(67)은 중공통체에 의해 형성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상단측)으로부터 선단측(하단측)을 향해 경사져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암(67)의 기단측은, 헤드 부재(62)의 각 암 장착부(62B) 사이에 제1 링크핀(68)을 사용하여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요동 암(67)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작업구 장착 부재(71)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암(67)의 우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브래킷(69)(1개만 도시)이 돌출되고, 이 브래킷(69)에는, 후술하는 스윙 실린더(70)의 로드측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핀(68)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으로 내려졌을 때, 그 축 중심선 O3-O3이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에 내려진 상태로 요동 암(67)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켰을 때는,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76)를 지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70)은 헤드 부재(62)와 요동 암(67) 사이에 설치된 스윙 실린더이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 실린더(70)는 요동 암(67)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윙 실린더(70)의 바닥측은, 헤드 부재(62)의 우측면에 설치한 브래킷(65, 66)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스윙 실린더(70)의 로드측은, 요동 암(67)의 우측면에 설치된 브래킷(69)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윙 실린더(70)는, 요동 암(67)을 헤드 부재(62)에 대하여, 제1 링크 핀(68)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71)은 요동 암(67)의 선단측에 장착된 작업구 장착 부재이며,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7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암(67)의 배면측(신축 가능한 붐(12)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요동 암(67)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구 장착 부재(71)는, 요동 암(67)의 선단측을 협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전,후의 암 장착부(71A, 71A)와, 상기 각 암 장착부(71A)를 협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여 요동 암(67)의 배면에 따라 연장되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좌,우측의 실린더 장착부(71B,71B)와, 암 장착부(71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각 실린더 장착부(71B)에 돌출된 좌,우측의 보스부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작업구 장착 부재(71)(실린더 장착부(71B))의 좌측면에는 후술하는 링크(75)의 선단측을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브래킷(72, 73)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암 장착부(71A)는, 제2 링크핀(74)을 사용하여 요동 암(67)의 선단측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또, 실린더 장착부(71B)의 선단측(상단측)에는, 후술하는 작업구 실린더(78)의 튜브(78A)가 장착되고, 좌,우의 보스부(71C)에는, 후술하는 하역 작업구(76)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핀(74)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붐(12)이 지면 측으로 내려졌을 때, 그 축 중심선 04-O4가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핀(74)의 축 중심선 O4-O4와, 제1 링크 핀(68)의 축 중심선 O3-O3는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75)는 헤드 부재(62)와 작업구 장착 부재(71) 사이에 설치된 봉형의 링크이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75)는 요동 암(67)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 실린더(70)와 링크(757)가, 요동 암(6)을 협지하여 좌, 우 양측으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75)의 기단측은, 헤드 부재(62)에 설치된 브래킷(63,64) 사이에 핀 결합되고, 링크(75)의 선단측은,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설치된 브래킷(72,73) 사이에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75)는, 헤드 부재(62), 요동 암(67), 작업구 장착 부재(71)와 함께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 실린더(70)에 의해 요동 암(67)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했을 때,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자세를 헤드 부재(6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한 것이다.
(76)은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역 작업구이며, 상기 하역 작업구(76)는, 그 앞면측에 포크(76A, 76A)가 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체로 이루어지고, 각 포크(76A) 상에 하물을 적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역 작업구(76)의 배면측에는,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76B)과 실린더 장착판(76C)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76B)은,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보스부(71C)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실린더 장착판(76C)은,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76B)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하역 작업구(76)의 하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76B)은,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각 보스부(71C)에, 장착핀(77)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 실린더(70)을 축소시켰을 때는, 요동 암(67)은 제1 링크 핀(68)을 중심으로 하여, 도 9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우측 요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때, 요동 암(67)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 장착 부재(71)는, 링크(75)에 의해 헤드 부재(6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요동 암(67)과 함께 우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의해 지지된 하역 작업구(76)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높이 H1만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윙 실린더(70)을 신장시켰을 때는, 요동 암(67)은 제1 링크 핀(68)을 중심으로 하여, 도 9에 나타낸 중간 위치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좌측 요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때, 요동 암(67)의 선단측에 설치된 작업구 장착 부재(71)는, 링크(75)에 의해 헤드 부재(6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요동 암(67)과 함께 좌측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의해 지지된 하역 작업구(76)를, 신축 가능한 붐(12)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높이 H2만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요동 암(67)을 우측 요동 위치로 요동시켰을 때의 하역 작업구(76)의 지상 높이 H1과, 요동 암(67)을 좌측 요동 위치로 요동시켰을 때의 하역 작업구(76)의 지상 높이 H2는, 스윙 실린더(70)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킴으로써,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78)은 요동 암(67)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71)와 하역 작업구(76) 사이에 설치된 작업구 실린더이며, 상기 작업구 실린더(78)는, 작업구 장착 부재(71)와 하역 작업구(76)의 장착 부위(장착핀(77)의 위치)보다 신축 가능한 붐(12) 측에 위치하고,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좌,우측 실린더 장착부(71B, 7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구 실린더(78)는, 튜브(78A)와, 상기 튜브(78A)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78B)과, 기단측이 피스톤(78B)에 장착되고 선단측이 튜브(78A)로부터 돌출된 로드(78C)에 의해 구성되며, 튜브(78A) 내에는 바닥측 오일실(78A1)과, 로드측 오일실(78A2)이 구획되어 있다. 또, 작업구 실린더(78)의 튜브(78A)는 작업구 장착 부재(71)를 구성하는 실린더 장착 부재(71B)의 선단측(상단측)에 핀(79)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작업구 실린더(78)의 로드(78C)는, 하역 작업구(76)의 실린더 장착판(76C)에 핀(80)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실린더(78)는, 하역 작업구(76)를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대하여 장착핀(77)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하물이 적재된 하역 작업구(76)의 포크(76A)를, 신축 가능한 붐(12)의 기복 각도에 관계없이 수평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다. 또, 작업구 실린더(78)는, 하역 작업구(76)로부터 작업구 실린더(78)에 작용하는 하중을, 작업구 실린더(78)의 바닥측 오일실(78A1)내의 압력에 의해 받아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 기구(6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작업구 이동 기구(61)를 사용하여 하역 작업구(76)를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오프셋)시킬 수 있어 하역 작업구(76)에 적재한 하물을 정해진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언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구 이동 기구(61)는, 스윙 실린더(70)와 링크(75)를, 요동 암(67)을 협지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작업구 이동 기구(61)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붐 장치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하역 작업시에 있어서의 리프트 트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신축 가능한 붐(12)을 가장 축소시킨 리프트 트랙의 주행시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구 실린더(78)를, 요동 암(67)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작업구 장착 부재(71)와 하역 작업구(76) 사이에 설치하고, 하역 작업구(76)로부터 작업구 실린더(78)에 작용하는 하중을, 작업구 실린더(78)의 바닥측 오일실(78A1) 내의 압력에 의해 받아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역 작업구(76)에 적재하는 하물의 중량이 증대한 경우라도, 이 하역 작업구(76)로부터 작용하는 큰 하중을 작업구 실린더(78)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지지할 수 있고, 하역 작업구(76)에 의해 대량의 하물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작업구 실린더(78)를 소경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구 장착 부재(71)에, 서로 대면하면서 요동 암(67)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좌,우측의 실린더 장착부(71B, 71B)를 설치하고, 이들 좌,우측의 실린더 장착부(71B, 71B) 사이에 작업구 실린더(78)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작업구 장착 부재(71)의 각 실린더 장착부(71B, 71B)에 의해 작업구 실린더(78)를 덮을 수 있어 상기 작업구 실린더(78)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작업구로서 포크(35A)(76A)를 가지는 하역 작업구(35)(76)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앞면측에 패킷(81A)이 설치되고, 배면측에 작업구 스테이 장착판(81B)과 실린더 장착판(81C)이 설치된 굴삭 작업구(81)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차체(2)의 전방측에 스태빌라이저(7)를 구비한 리프트 트랙(1)을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리프트 트랙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붐(12)을, 제1단 붐(13), 제2단 붐(14), 제3단 붐(15)으로 이루어지는 3단식의 붐으로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단식의 붐, 또는 4단 이상의 다단식 붐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붐(12)의 선단측에 하역 작업구(35)가 설치된 리프트 트랙(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붐의 선단측에 작업원이 탑승하는 작업대가 설치된 고소 작업차 등의 다른 자주식 작업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구를 신축 가능한 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붐 장치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물을 소정의 언로드 장소에 정확하게 언로드할 수 있다.

Claims (8)

  1.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설치된 붐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붐 장치는, 기단측이 상기 차체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는 다단식의 신축 가능한 붐과, 상기 신축 가능한 붐 중 최선의 붐에 설치된 작업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최선의 붐과 작업구 사이에는, 상기 작업구를 신축 가능한 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구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구 이동 기구는, 상기 최선의 붐의 선단측에 설치된 헤드 부재와, 기단측이 제1 링크 핀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헤드 부재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암과, 상기 헤드 부재와 요동 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 암을 헤드 부재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와, 상기 요동 암의 선단측에 제2 링크 핀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구가 장착되는 작업구 장착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와 작업구 장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를 헤드 부재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유지하는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주식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핀은, 상기 신축 가능한 붐이 지면 측으로 내려졌을 때 지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는,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에 장착핀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작업구와 작업구 장착 부재 사이에는, 상기 작업구를 요동시키는 작업구 실린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실린더와 상기 링크는, 상기 요동 암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실린더와 상기 링크는, 상기 요동 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 실린더는, 상기 요동 암의 앞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와 상기 작업구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 실린더는, 상기 요동 암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와 상기 작업구 사이에 설치되고, 바닥측 오일실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작업구로부터의 하중을 받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에는, 상기 요동 암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서로 대면하면서 상기 요동 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좌,우측의 실린더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구 실린더는, 상기 좌,우의 실린더 장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구 장착 부재와 상기 작업구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KR1020057004521A 2003-03-18 2004-03-08 자주식 작업 기계 KR100583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3819 2003-03-18
JP2003073819 2003-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971A true KR20050043971A (ko) 2005-05-11
KR100583026B1 KR100583026B1 (ko) 2006-05-23

Family

ID=330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521A KR100583026B1 (ko) 2003-03-18 2004-03-08 자주식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63191A1 (ko)
EP (1) EP1604941A4 (ko)
JP (1) JPWO2004083099A1 (ko)
KR (1) KR100583026B1 (ko)
CN (1) CN1701036A (ko)
WO (1) WO2004083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8781B (zh) * 2007-12-29 2012-09-12 中国重型汽车集团泰安五岳专用汽车有限公司 叉车
CN102180428B (zh) * 2011-04-29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建筑工程研究所 小型多功能越野叉车
CN103508384B (zh) * 2013-10-18 2015-11-11 朱红蔚 装卸机器人的圆弧槽型可伸缩插腿装置
CN104150376B (zh) * 2014-08-25 2016-08-24 哈尔滨工程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挑杠摆动机构
CN105329814A (zh) * 2015-12-12 2016-02-17 陕西中汽专用汽车有限公司 油田小型抓举车
CN107777627A (zh) * 2017-11-27 2018-03-09 湖北江威智能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一体化叉车吊
CA3090540A1 (en) * 2018-02-20 2019-08-29 Kevin M. O'neill Lightweight transport, storage and delivery system
CN109279545B (zh) * 2018-11-30 2020-12-22 中联重科安徽工业车辆有限公司 多功能叉车
CN112429679B (zh) * 2020-11-16 2022-06-21 江苏海迪威液压有限公司 厂区风力发电设备安装辅助用支撑架
CN112919330A (zh) * 2021-02-07 2021-06-08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操纵室变位机构及工程机械
CN113233389B (zh) * 2021-06-25 2022-09-13 中国人民解放军63653部队 一种叉车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7637A (en) * 1962-11-05 1965-03-31 Lansing Bagnal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dustrial lift trucks
US4402645A (en) 1981-03-30 1983-09-06 Deere & Company Load support assembly
US4674944A (en) * 1985-12-27 1987-06-23 Kidde, Inc. Forklift variable reach mechanism
JPS6337100A (ja) * 1986-08-01 1988-02-17 株式会社クボタ リフト装置のサイドシフト構造
IT212207Z2 (it) * 1987-07-27 1989-07-04 Merlo Ind Metalmecc Carrello elevatore a braccio telescopico
US4964778A (en) * 1989-07-27 1990-10-23 Kidde Industries, Inc. Forklift truck having a telescopic auxiliary boom articulated to a telescopic main boom
BE1003344A4 (fr) * 1990-01-24 1992-03-03 Manitou Bf Sa Chariot elevateur a bras telescopique.
JPH04126944U (ja) * 1991-05-13 1992-1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ブーム付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3099A1 (ja) 2004-09-30
CN1701036A (zh) 2005-11-23
KR100583026B1 (ko) 2006-05-23
EP1604941A4 (en) 2007-01-24
JPWO2004083099A1 (ja) 2006-06-22
US20060263191A1 (en) 2006-11-23
EP1604941A1 (en)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464A (en) Lift boom assembly for a loader machine
JP4687152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リフトアーム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車両
US5807061A (en) Linkage arrangement for a skid-steer loader
KR100583026B1 (ko) 자주식 작업 기계
CA3011992A1 (en) Vehicle wheel positioning and steering apparatus
CN111247057B (zh) 作业车
EP2319995B1 (en) Apparatus for moving a platform
US7013983B2 (en) Blade mounting structure of bulldozer
JP2004203553A (ja) 自走式作業機械
US5584643A (en) Working tool unit of construction machine
KR0162497B1 (ko) 적하기 조립체 및 적하기의 리프트 붐 조립체
JP3730590B2 (ja)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JP2022088775A (ja) 高所作業車
JP4174309B2 (ja) 伸縮ブーム
JP2023150116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US7083002B2 (en) Blade mounting structure of bulldozer
JP4198860B2 (ja) リフトキャブを有する作業機
US20240010479A1 (en) Handling machine with telescopic arm
JPH1171100A (ja) 荷捌き車両
JP3958607B2 (ja) 作業装置
JP4328476B2 (ja) 高所作業車
JPS59179412A (ja) 車輌
JP2023012596A (ja) 高所作業装置
JP2003095589A (ja) 荷役運搬車両
WO2017038223A1 (ja) フロント作業機及び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