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479A -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479A
KR20050040479A KR1020030075697A KR20030075697A KR20050040479A KR 20050040479 A KR20050040479 A KR 20050040479A KR 1020030075697 A KR1020030075697 A KR 1020030075697A KR 20030075697 A KR20030075697 A KR 20030075697A KR 20050040479 A KR20050040479 A KR 2005004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wists
mountain
string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
Original Assignee
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 filed Critical 박균
Priority to KR102003007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0479A/ko
Publication of KR2005004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를 끈으로 묶고, 이 양쪽 단부(11,12) 중 한쪽 단부의 소정 위치(11a,12a)를 감는 기계(20)의 고리(21)에 끼워서 회전시킴으로써 직물(10A)에 다수의 꼬임부(15)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소정 위치(11a, 12a)를 끈으로 서로 묶어 다수의 꼬임부(15)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묶여진 직물(10B)을 만들고, 이 직물(10B)을 고온, 고압으로 소정 시간 찌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구김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에 따라 다수의 꼬임부(15)에 의해 산의 꼭대기(13a) 및 골짜기(13b)를 갖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모양 구김(13)이 형성되고, 끈으로 묶인 상기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b)에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모양 구김(13)을 가로지르는(직교하는) 선 구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WRINKLE FORMING PROCESS ON THE WOVEN GOODS}
본 발명은 직물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주름이 형성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형성 방법이 자동화되고, 직물 표면에 형성된 주름이 수려하고, 장시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한 주름 형성 방법 및 주름이 형성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 제품은 그 특성상 디자인적인 요소가 중요하다. 이러한 직물의 디자인적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직물에 주름을 넣는 방법이 종래 개시되고 있었다. 그런데, 당업자에 있어서는 이러한 주름이 형성된 직물의 주름 형성 모양을 개선할, 예컨대 다양한 주름 형상을 만들 필요가 있어왔고, 주름 형성 직물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만들 필요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직물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직물의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를 끈으로 묶고, 이 양쪽 단부(11,12) 중 한쪽 단부의 소정 위치(11a,12a)를 감는 기계(20)의 고리(21)에 끼워서 회전시킴으로써 직물(10A)에는 다수의 꼬임부(15)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소정 위치(11a, 12a)를 끈으로 서로 묶어 다수의 꼬임부(15)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묶여진 직물(10B)을 만들고, 이 직물(10B)을 고온, 고압으로 소정 시간 찌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구김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 단부(11,12) 사이의 다수 위치를 끈으로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꼬임부(15)에 의해 산의 꼭대기(13a) 및 골짜기(13b)를 갖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모양 구김(13)이 형성되고, 끈으로 묶인 상기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b)에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모양 구김(13)을 가로지르는(직교하는) 선 구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방법에 따른 직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형성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길이가 2m이고 폭이 1.1m인 직물(이러한, 직물은 스카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을 준비한다. 직물(10)의 종류는 비스코사, 실크, 면, 아크릴, 폴리에스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의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위치(11a,12a)를 끈으로 묶는다. 여기서, 상기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는 단부(11,12)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cm 이내로 묶지만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양쪽 단부(11,12) 중 한쪽 단부의 소정 위치(11a,12a)를 감는 기계(20)의 고리(21)에 끼운다. 이 감는 기계(20)는 회전 축에 고리(21)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직물(10A)이 끼워진 상태에서 다른쪽 단부를 고정시킨 후 30∼60회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직물(10A)에는 다수의 꼬임부(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꼬임부(15)는 감는 회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고, 그에 따라 나중에 직물(10) 표면 상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30∼60회 꼬여진 직물(10A)을 감는 기계(20)로부터 제거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정 위치(11a, 12a)를 끈으로 서로 묶어 다수의 꼬임부(15)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묶여진 직물(10B)이 된다.
그 다음, 상기 다수의 고리형상 직물(10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함께 고압 멸균기(30)에 넣어져서 재질에 따라 116∼120℃에서 8∼10분 정도 찌어진다.
그 다음, 고압 멸균기(30)에서 꺼내진 직물(10C)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데 상기 소정 위치(11a,12a)의 끈 묶임이 풀리고, 건조된 후, 펼쳐지게 된다.
건조된 후의 직물(10D)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의 꼭대기(13a) 및 골짜기(13b)를 갖는 산모양 구김(13)이 형성되고, 끈으로 묶였던 상기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에는 상기 산모양 구김(13)을 가로지르는(직교하는) 선 구김(14)이 형성된다.
상기된 내용에 있어서, 직물(10)의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를 묶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부(11,12)사이의 다양한 위치, 예컨대 2∼5 위치를 묶을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서 다수개의 선 구김(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직물(10)의 양 단부(11,12) 중 한쪽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 감아 나가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감기가 끝난 최종적인 직물(10)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어져 나온 부분(16)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비어져 나온 부분(16)이 의미하는 것은 감기 작업이 대칭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생산된 직물(10) 표면의 산모양 구김(13)이 대칭적이지 않고 비대칭적이라는 것으로 된다. (예컨대, 도 7의 산모양 구김(13)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좌측 단부 하단 또는 상단에서 우측 단부 상단 또는 하단을 향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비대칭적 구김은 디자인적으로는 손해가 되는 것으로, 제품 품질에 결함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양 단부(11,12)를 끈으로 묶음으로써, 대칭적인 산모양 구김(13)이 발생되는 장점도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직물에 주름을 형성하는데, 그 주름 형상이 산모양 및 선모양 구김을 가지므로 디자인적으로 수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직물의 평면도,
도 2는 직물의 양쪽 단부 내의 소정 위치를 끈으로 묶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직물의 양쪽 단부 중 한쪽 단부의 소정 위치를 감는 기계의 고리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소정 위치를 끈으로 서로 묶어 다수의 꼬임부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묶여진 직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직물을 찌는 고압 멸균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소정 위치의 묶임이 풀어진 직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직물이 건조 후,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 직물의 감기 공정에 따라 비어져 나온 부분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

  1. 직물의 양쪽 단부(11,12) 내의 소정 위치(11a,12a)를 끈으로 묶고,
    이 양쪽 단부(11,12) 중 한쪽 단부의 소정 위치(11a,12a)를 감는 기계(20)의 고리(21)에 끼워서 회전시킴으로써 직물(10A)에 다수의 꼬임부(15)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소정 위치(11a, 12a)를 끈으로 서로 묶어 다수의 꼬임부(15)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묶여진 직물(10B)을 만들고,
    이 직물(10B)을 고온, 고압으로 소정 시간 찐 후,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쳐서,
    다수의 꼬임부(15)에 의해 산의 꼭대기(13a) 및 골짜기(13b)를 갖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산모양 구김(13)이 형성되고, 끈으로 묶인 상기 양쪽 단부(11,12)내의 소정 위치(11a,12b)에는 상기 구김(13)을 가로지르는 선 구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구김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11,12) 사이의 다수 위치를 끈으로 묶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75697A 2003-10-28 2003-10-28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KR20050040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97A KR20050040479A (ko) 2003-10-28 2003-10-28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97A KR20050040479A (ko) 2003-10-28 2003-10-28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479A true KR20050040479A (ko) 2005-05-03

Family

ID=3724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697A KR20050040479A (ko) 2003-10-28 2003-10-28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04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5650A (zh) * 2020-05-13 2020-07-28 吴江极地纺织有限公司 一种布料绳状起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5650A (zh) * 2020-05-13 2020-07-28 吴江极地纺织有限公司 一种布料绳状起皱装置
CN111455650B (zh) * 2020-05-13 2023-12-08 苏州极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布料绳状起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9084B (en) Method of knitting stripe pattern of tubular knitting fabric and the knitting fabric
RU1834941C (ru) Сукно машин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
KR970000315B1 (ko) 의류의 플리팅방법 및 주름의류
KR20050040479A (ko) 주름을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
US4058241A (en) Covered garment hanger
KR102179477B1 (ko) 포장용 보자기를 이용한 포장 방법
US5356055A (en) Method of pleating garments
KR101291730B1 (ko)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11153394A (ja) 織物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7068688B2 (ja) タオルの製造方法
US5333765A (en) Method of pleating garments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JP6175204B1 (ja) 装身用布材の作製方法
CA2067543C (en) Method of pleating garments
JP2005522595A (ja) 少なくとも一つの、パーマネント加工を施した折り目を有する布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310902A (en) A firm comprising louis h
JP2010156084A (ja) 二重構造プリーツ布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55577B2 (ko)
JP2010106386A (ja) プリーツ織製品及びその織成方法
JP3180133U (ja) ストール類
JPS5953384B2 (ja) 手編物の立体花モチ−フ編上げ方法
JP3072611U (ja) カーテン
JP3120452U (ja) 垂れ紐状間仕切り、カーテン
KR101208094B1 (ko) 드레스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
JPH079814Y2 (ja) 食品梱包用ネット付きケーシ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