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593A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593A
KR20050037593A KR1020057003289A KR20057003289A KR20050037593A KR 20050037593 A KR20050037593 A KR 20050037593A KR 1020057003289 A KR1020057003289 A KR 1020057003289A KR 20057003289 A KR20057003289 A KR 20057003289A KR 20050037593 A KR20050037593 A KR 2005003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ixing
movable
tape portion
movabl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603B1 (ko
Inventor
토루 사사키
교코 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1)의 몸통둘레 영역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착용 테이프편(14)이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편(14)은 외면 시트(3)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부(14a)와, 고정 테이프부(14a)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14e)로 이루어진다. 가동 테이프부(14e)는 선단 부분(24)과 기단 부분(28)을 가지며, 선단 부분(24)에는 적지 영역(14d)과 적지 영역(14d)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수단(16a)이 형성되고, 기단 부분(28)이 고정 테이프부(14a)의 일단부로 이어진다. 고정 수단(16a)은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몸통둘레 영역(5)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부위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된다.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PULL-ON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 제6-77719호 공보에는 더러워진 일회용 기저귀를 뭉치거나, 접어 두기 위해 사용하는 폐기 처리용 테이프 파스너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테이프 파스너를 사용하여 더러워진 기저귀를 뭉치면, 기저귀가 더러워진 부위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뭉친 기저귀의 사시도.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7과 동일한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8과 동일한 도면.
상기 공지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테이프 파스너는 그 길이 방향으로 Z자형 또는 역 Z자형으로 접어 개어져 있다. 이 테이프편을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킬 때에는 테이프편의 적지(摘持) 영역을 잡고 그 적지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적지 영역의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잡아당겨 점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접힌 테이프편들을 박리하고, 그 후에 적지 영역을 테이프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하다. 이와 같이, 이 테이프편은 적지 영역을 잡고 단순히 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만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이 몸통둘레 피복 영역과 가랑이부 피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고정 수단을 갖는 테이프편이 부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그 고정 수단이 기저귀에 대하여 임시 고정되어 있을 때에, 그 임시 고정을 푸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개량을 행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것은 몸통둘레 피복 영역과, 가랑이부 피복 영역과, 몸통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외면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피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고정 수단을 갖는 테이프편이 부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1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위를 가지며, 상기 부위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외면에 박리할 수 없도록 부착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기단 부분과 선단 부분을 갖고 있어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일단부로 이어지고,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에서의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는 대향 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상기 대향 단부 측으로 연장된 후에 되접어 꺾여 상기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중 어느 한 상태로 적지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외면과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적지 영역의 바로 앞에 상기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테이프부와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부위는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함으로써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상기 고정 테이프부 및 가동 테이프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부위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 근처의 내단부를 이루는 한편, 상기 대향 단부가 반대측 외단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선단 부분과 상기 기단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 부위에서 둘로 접어 포개어져 상기 적지 영역과 고정 수단을 갖는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상기 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가동 테이프부를 갖는다.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고정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기단 부분 근처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절곡 부위의 근방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내단부 근처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의 고정 수단이 임시 고정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2)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제2 가동 테이프부 및 고정 테이프부가 Z자형 및 역 Z자형 중 어느 한 형으로 접혀진 상태에 있다.
(3)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내단부와 외단부 사이에서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4)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는 내단부를 이루는 한편, 상기 대향 단부가 반대측의 외단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내단부로 이어지는 한편,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내단부로부터 외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점착 영역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외단부 근방의 부위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테이프부는 적어도 상기 부위가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상기 몸통둘레 영역 방향에서 만곡되어 있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외면을 포함하는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위를 가지며, 상기 부위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외면에 박리할 수 없도록 부착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기단 부분과 선단 부분을 갖고 있어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일단부로 이어지고, 상기 선단 부분에는 적지 영역과 상기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적지 영역보다도 상기 기단부 근처에서 상기 선단 부분의 상기 외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상기 적지 영역 근처의 부위가 상기 주름의 볼록한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점착제이거나 또는 훅 부재와 루프 부재로 이루어진 메커니컬 파스너의 상기 훅 부재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부분 파단 사시도로 도시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는 열가소성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된 액체 투과성 내면 시트(2)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액체 불투과성 외면 시트(3) 및 이들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되는 액체 흡수성 코어(4)에 의해 구성되고, 앞 몸통둘레 영역(5)과 뒤 몸통둘레 영역(6)으로 이루어진 몸통둘레 피복 영역과, 이들 양 영역(5, 6)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7)으로 이루어진 가랑이부 피복 영역을 갖는다. 내외면 시트(2, 3)는 액체 흡수성 코어(4)의 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5, 6)은 서로의 측연부(9a, 9b) 끼리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부위(10)에서 용착하여 일체가 되고, 몸통둘레 개구부(11)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부(12)를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개구부(11, 12)의 주연 부위에서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 탄성부재(11a)와 다리둘레 탄성부재(12a)가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있고, 이들 시트(2, 3)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몸통둘레 방향과 다리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5, 6)에서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 탄성부재(11a)의 아래쪽으로 복수 줄의 보조 탄성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재(8)는 기저귀(1)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는, 외면 시트(3)와 코어(4) 사이, 측연부(9a, 9b) 근방에서는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있어, 몸통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보조 탄성부재(8) 각각의 단부가 측연부(9a, 9b)에서, 내외면 시트(2, 3)의 적어도 한쪽에 접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재(8)는 또, 몸통둘레 방향에서, 측연부(9a)와 코어(4)의 측연 사이 및 측연부(9b)와 코어(4)의 측연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내외면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기저귀(1)는 각각의 탄성부재가 수축함으로써, 몸통둘레 개구(11)의 주연 부위, 다리둘레 개구(12)의 주연 부위, 앞뒤 몸통둘레 영역(5, 6)에서의 측연부(9a)와 코어(4)의 측연 사이 및 측연부(9b)와 코어(4)의 측연 사이 등에 몸통둘레 방향 또는 다리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미세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의 뒤 몸통둘레 영역(6)에는 측연부(9b) 근방의 외면에, 더러워진 기저귀를 뭉치거나 접거나 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점착성 테이프편(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과,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점착성 테이프편(14)은 몸통둘레 방향으로 Z자형 및 역 Z자형 중 어느 한 형으로 접혀 있는 것으로, 도 2에서는 그것이 Z 자형으로 접혀 있다. 이 점착성 테이프편(14)은 적지 영역(14d)을 잡고 도 2의 우측, 즉 화살표 A가 나타내는 측연부(9b)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점착성 테이프편(14)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외면 시트(3)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14a)와, 고정 테이프부(14a)에 기저귀(1)의 외측에서 중첩되어 있고, 사용할 때에는 실질적으로 변형 자유로운 가동 테이프부(14e)로 이루어진다. 고정 테이프부(14a)는 기저귀(1)의 외면을 형성하고 있는 외면 시트(3)와 마주보는 면의 거의 전체가 접착제(17)를 통해 외면 시트(3)에 대하여 박리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어, 기저귀(1)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P-P; 도 1 참조) 근처에 위치하는 내단부(21)와, 그 반대측 측연부(9b)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내단부(21)의 대향 단부를 이루는 외단부(22)를 갖는다. 가동 테이프부(14e)는 적지 영역(14d)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24)과 고정 테이프부(14a)의 외단부(22)로 이어지는 기단 부분(28)을 갖고 있고, 이들 양쪽 분분(24, 28) 사이에 형성된 절곡 부위(14f)를 통해 둘로 접어 포개진 상태에 있는 제1 가동 테이프부(14b)와 제2 가동 테이프부(14c)로 이루어진다. 제1 가동 테이프부(14b)는 선단 부분(24)과 중심선(P-P) 근처의 내단부(23)를 가지며,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절곡 부위(14f)를 통해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내단부(23)로 이어지는 내단부(27)와 고정 테이프부(14a)의 외단부(22)로 이어지는 기단 부분(28)을 갖는다. 제1 가동 테이프부(14b)는 제2 가동 테이프부(14c)와 마주보는 부분 중에서 적지 영역(14d)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분에 도포된 제1 점착제(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착 영역(16a)에서, 제2 가동 테이프부(14c)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다.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고정 테이프부(14a)와 마주보고 있는 내단부(27)에 도포된 제2 점착제(15)를 통해 고정 테이프부(14a)의 내단부(21) 근처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기저귀(1)를 폭 방향으로 신장시켜 측연부(9a, 9b)와 코어(4)의 측연 사이의 부위에 주름이 없는 상태로 하여 외면 시트(3)에 부착된다. 그 후에 보조 탄성부재(8)가 수축하면, 그 부위는 내외면 시트(2, 3)에 몸통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다수가 미세한 주름이 생겨 몸통둘레 방향으로 수축하는 동시에, 고정 테이프부(14a)도 수축한다. 한편,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그 내단부(27)가 제2 점착제(15)를 통해 고정 테이프부(14a)에 그 내단부(21) 근처에서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고, 기단 부분(28)이 고정 테이프부(14a)의 외단부(22)에 연결되지만, 내단부(27)와 기단 부분(28) 사이에서는 고정 테이프부(14a)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도 3 참조), 내외면 시트(2, 3)와 고정 테이프부(14a)와의 수축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내단부(27)와 기단 부분(28) 사이의 부분이 앞 몸통둘레 영역(5)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다. 이 제2 가동 테이프부(14c)에 임시 고정되어 있는 제1 가동 테이프부(14b)도 또 제2 가동 테이프부(14c)와 동일하게 만곡된다.
이러한 상태의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점착 영역(16a)이 임시 고정되어 있는 기단 부분(28) 근방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음에 따라,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적지 영역(14d)을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 즉 측연부(9b)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적지 영역(14d)의 바로 앞의 점착 영역(16a)과 만곡되어 있는 제2 가동 테이프부(14c)의 기단 부분(28) 사이에 박리력이 작용하여 제1 가동 테이프부(14b)가 제2 가동 테이프부(14c)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박리되기 시작하여 가상선으로 표시된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상태가 된다. 적지 영역(14d)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더욱 잡아당기면, 이윽고 제2 가동 테이프부(14c)의 내단부(27)가 고정 테이프부(14a)로부터 박리되도록 박리력이 작용하여 점착성 테이프편(14)을 측연부(9b)의 외측으로 곧바로 신장시켜 제1, 제2 가동 테이프부(14b, 14c)의 임시 고정을 풀 수 있다. 이러한 점착성 테이프편(14)에서는, 이것을 신장시킬 때에, 종래 기술과 같이 적지 영역의 방향을 한번 반전시켜 점착제를 통해 중첩되는 테이프들을 박리시킬 필요가 없다. 단, 이 점착성 테이프편(14)이 적지 영역(14d)의 방향을 반전시켜 제1 가동 테이프부(14b)를 제2 가동 테이프부(14c)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제2 가동 테이프부(14c)가 고정 테이프부(14a)로부터 박리되고, 그 후에 제1 가동 테이프부(14b)가 제2 가동 테이프부(14c)로부터 박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러한 박리 방법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인정할 수 있다. 점착성 테이프편(14)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제1 가동 테이프부(14b)와 제2 가동 테이프부(14c)에서 외면 시트(3)와 마주보는 면은 이들 가동 테이프부(14b, 14c)의 내면이다. 또, 도 2는 점착성 테이프편(14)이 적지 영역(14d)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약간 잡아당기고 있을 때의 상태의 일례이다. 곤포된 기저귀(1)에서의 제1 가동 테이프부(14b)와, 제2 가동 테이프부(14c) 및 고정 테이프부(14a)는 서로 밀착하도록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도 4는 뭉친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더러워진 기저귀(1)는, 도 2에 있어서 가상선과 같이 길게 연장된 점착성 테이프편(14)을 그 제1 점착제(16)를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하여 기저귀(1)의 적절한 부위에 고정시킴으로써, 펼쳐지는 일이 없도록 뭉쳐 놓을 수 있다. 단, 점착성 테이프편(14)의 용도는 기저귀(1)를 뭉치는 것만은 아니다. 착용한 기저귀(1)의 몸통둘레에 느슨함이 있는 경우에는, 점착성 테이프편(14)을 몸통둘레를 따라 잡아당겨 그 느슨함을 없앨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제1 점착제(16)로 이루어진 고정 수단을 서로 결합·이탈시키는 훅 부재와 루프 부재로 형성되는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 수단으로 바꿀 수 있다. 그 훅 부재는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내면에 박리할 수 없도록 부착된다. 가동 테이프부(14e)는 적어도 제2 가동 테이프부(14c)의 부분을 루프 부재로서 작용하는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하여 그 부직포 등에 훅부를 임시 고정한다. 또한, 기저귀(1)의 외면 시트(3)는 그것에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또는 내측이 플라스틱 필름이고 외측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기저귀(1)에서는, 이들 부직포와 훅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4와 같이 뭉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이 점착성 테이프편(14)에서는, 고정 테이프부(14a), 제1, 제2 가동 테이프부(14b, 14c) 각각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성 테이프편(14)의 경우에도 점착성 테이프편(14)의 점착 영역(16a)의 근방에서,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몸통둘레 영역(5)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성 테이프편(14)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곧바로 신장시킬 수 있다.
도 6도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점착성 테이프편(14)은 각각이 별개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고정 테이프부(14a)와 제1 가동 테이프부(14b) 및 제2 가동 테이프부(14c)로 이루어지고, 고정 테이프부(14a)의 외단부(22)가 되접어 꺾여 제2 가동 테이프부(14c)의 기단 부분(28)에 제4 접착제(34)를 통해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제2 가동 테이프부(14c)는 내단부(27)가 되접어 꺾여 절곡 부위(14f)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 가동 테이프부(14b)에 제5 접착제(35)를 통해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제2 가동 테이프부(14c)의 기단 부분(28)의 선단(28a)은 몸통둘레 방향에서 고정 테이프부(14a)를 넘어서 외면 시트(3)에 제6 접착제(36)를 통해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 점착성 테이프편(14)에 있어서도, 고정 테이프부(14a)는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수축하는 한편, 제2 가동 테이프부(14c)가 만곡되어 있고, 제1 가동 테이프부(14b)의 적지 영역(14d)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점착성 테이프편(14)을 곧바로 신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 직포, 이들 중 적어도 2개를 라미네이트한 시트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점착성 테이프편(14)에 있어서, 고정 테이프부(14a)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비탄성적인 테이프가 사용되고, 가동 테이프부(14e)에는 이들 비탄성적인 테이프 이외에 우레탄 등의 탄성적인 테이프도 사용된다. 고정 테이프부(14a)와 가동 테이프부(14e)는 1조의 테이프를 접어 포개어 제작할 수도 있고, 복수 줄의 테이프를 서로 연결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들 테이프의 두께는 10∼100 마이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테이프부(14a)가 부착되는 기저귀(1)의 몸통둘레 영역에서, 도시예에서는 보조 탄성부재(8)의 수축에 의해 고정 테이프부(14a)의 치수를 줄였지만, 보조 탄성부재(8) 대신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내외면 시트(2, 3)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 그 경우에는 내외면 시트(2, 3)를 몸통둘레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외면 시트(3)에 대하여 점착성 테이프편(14)을 부착한다. 점착성 테이프편(14)을 부착하는 부위는 도시예 이외에 몸통둘레의 적절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점착성 테이프편(14) 중의 제1 가동 테이프부(14b)에 대한 제1 점착제(16)의 도포 영역은 적지 영역(14d)의 바로 앞의 극히 한정된 부위에만 설치할 수 있고, 그러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신장시키기가 용이하고, 또한 점착제(16)의 사용량이 적게 드는 것 외에, 적지 영역(14d)을 잡은 손끝을 사용하여 신장시킨 점착성 테이프편(14)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도 있다. 점착성 테이프편(14)은 보조 탄성부재(8)와 중첩되도록 외면 시트(3)에 부착시킴으로써 만곡의 정도를 현저하게 할 수 있다.
도 7도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이 형태의 점착성 테이프편(14)도 고정 테이프부(14a)와 가동 테이프부(14e)로 이루어진다. 고정 테이프부(14a)는 내단부(21)가 외단부(22) 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가동 테이프부(14e)는 되접어 꺾이지 않고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단 부분(28)이 고정 테이프부(14a)의 내단부(21)에 제7 접착제(47)를 통해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는 동시에, 내단부(21)보다도 중심선(P-P; 도 1 참조) 근처에서 외면 시트(3)에 제8 접착제(48)를 통해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가동 테이프부(14e)의 선단 부분(24)은 비점착성의 적지 영역(14d)과, 적지 영역(14d)의 바로 앞에 도포된 제1 점착제(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착 영역(16a)을 가지며, 제1 점착제(16)를 통해 고정 테이프부(14a)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테이프부(14a)와 가동 테이프부(14e)는 제1 점착제(16)와 제7 점착제(47) 사이에서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고정 테이프부(14a)로서 내외면 시트(2, 3)보다도 강성이 높은 것이 사용되고 있으면, 고정 테이프부(14a)는 내외면 시트(2, 3)가 수축되면 고정 테이프부(14a)도 약간 주름이 생겨 수축되지만, 이들 시트(2, 3)만큼은 수축되지 않고, 몸통둘레 영역(5)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다. 특히 도시예와 같이 고정 테이프부(14a)가 몸통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도포된 접착제(17)에 의해 외면 시트(3)에 부착되어 있으면, 접착제(17, 17) 사이에서 볼록하게 만곡되기 쉽다. 가동 테이프부(14e)는 적지 영역(14d)의 바로 앞에 형성된 점착 영역(16a)이 만곡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14a)에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적지 영역(14d)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거의 곧바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가동 테이프부(14e)를 고정 테이프부(14a)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박리후의 가동 테이프부(14e)는 제1 점착제(16)를 사용하여 기저귀(1)를 도 4와 같이 뭉치거나 착용한 기저귀(1)의 몸통둘레의 느슨함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이 경우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점착성 테이프편(14)의 고정 테이프부(14a)는 간헐적이지 않게 연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17)에 의해 외면 시트(3)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예시된 점착성 테이프편(14)은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기저귀(1)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 테이프부(14b)에 도포되어 있는 제1 점착제(16)를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로 바꿀 수 있다. 훅 부재를 갖는 제1 가동 테이프부(14b)와 마주보는 가동 테이프부 또는 고정 테이프부는 루프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부직포 등으로 제작함으로써, 제1 가동 테이프부(14b)를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8과 동일한 도면이다. 단, 이 기저귀(1)에서는, 점착성 테이프편(14) 대신에 테이프편(114)이 사용되고, 그 테이프편(114)이 가동 테이프부(114e)만으로 이루어진다. 이 가동 테이프부(114e)는 기단부(128)가 제8 접착제(48)를 통해 외면 시트(3)에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가동 테이프부(114e)의 선단 부분(124)은 적지 영역(114d)과, 적지 영역(114d)의 바로 앞에 형성된 고정 수단인 훅 부재(116)를 가지며, 훅 부재(116)를 통해 외면 시트(3)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다. 훅 부재(116)가 임시 고정되는 부위의 근방에서, 외면 시트(3)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외면 시트(3)는 훅 부재(116)를 임시 고정할 수 있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에서는, 고정 수단을 갖고 있어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이프편이 기저귀의 외면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부와, 고정 테이프부의 일단부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로 이루어지고, 가동 테이프부의 선단 부분에는 적지 영역과 적지 영역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테이프부는 그 고정 수단을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지 영역을 테이프편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가동 테이프부의 그 임시 고정을 풀 수 있다.

Claims (8)

  1. 몸통둘레 피복 영역과, 가랑이부 피복 영역과, 몸통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외면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피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고정 수단을 갖는 테이프편이 부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위를 가지며, 상기 부위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외면에 박리할 수 없도록 부착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기단 부분과 선단 부분을 갖고 있어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일단부로 이어지고,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에서의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는 대향 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상기 대향 단부 측으로 연장된 후에 되접어 꺾여 상기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중 어느 한 상태로 적지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외면과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적지 영역의 바로 앞에 상기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테이프부와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부위는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함으로써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상기 고정 테이프부 및 가동 테이프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부위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 근처의 내단부를 이루는 한편, 상기 대향 단부가 반대측 외단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선단 부분과 상기 기단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 부위에서 둘로 접어 포개어져 상기 적지 영역과 고정 수단을 갖는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상기 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가동 테이프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고정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의 상기 기단 부분 근처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절곡 부위의 근방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내단부 근처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의 고정 수단이 임시 고정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상기 제1 가동 테이프부와 제2 가동 테이프부 및 고정 테이프부가 Z자형 및 역 Z자형 중 어느 한 형으로 접혀진 상태에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내단부와 외단부 사이에서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는 내단부를 이루는 한편, 상기 대향 단부가 반대측의 외단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내단부로 이어지는 한편,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내단부로부터 외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점착 영역이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외단부 근방의 부위에 박리할 수 있도록 임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테이프부는 적어도 상기 부위가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몸통둘레 피복 영역과, 가랑이부 피복 영역과, 몸통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의 외면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피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고정 수단을 갖는 테이프편이 부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외면을 포함하는 상기 몸통둘레 피복 영역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위를 가지며, 상기 부위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 요철을 반복하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편은 상기 외면에 박리할 수 없도록 부착되어 있는 고정 테이프부와, 상기 고정 테이프부로 이어지는 가동 테이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테이프부는 기단 부분과 선단 부분을 갖고 있어 상기 기단 부분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 테이프부의 일단부로 이어지고, 상기 선단 부분에는 적지 영역과 상기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적지 영역보다도 상기 기단부 근처에서 상기 선단 부분의 상기 외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상기 적지 영역 근처의 부위가 상기 주름의 볼록한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점착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훅 부재와 루프 부재로 이루어진 메커니컬 파스너의 상기 훅 부재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057003289A 2002-08-30 2003-08-29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066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5986 2002-08-30
JP2002255986 2002-08-30
JP2003208458A JP4336540B2 (ja) 2002-08-30 2003-08-22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3-00208458 2003-08-22
PCT/JP2003/011090 WO2004024045A1 (ja) 2002-08-30 2003-08-29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52A Division KR100718526B1 (ko) 2002-08-30 2003-08-29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593A true KR20050037593A (ko) 2005-04-22
KR100662603B1 KR100662603B1 (ko) 2007-01-02

Family

ID=319961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289A KR100662603B1 (ko) 2002-08-30 2003-08-29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067016152A KR100718526B1 (ko) 2002-08-30 2003-08-29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52A KR100718526B1 (ko) 2002-08-30 2003-08-29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552801B1 (ko)
JP (1) JP4336540B2 (ko)
KR (2) KR100662603B1 (ko)
CN (1) CN100479794C (ko)
AT (1) ATE526924T1 (ko)
AU (1) AU2003257596B2 (ko)
BR (1) BR0314416A (ko)
CA (1) CA2496284C (ko)
MY (1) MY138471A (ko)
WO (1) WO2004024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0863B2 (ja) * 2007-11-15 2013-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557558B2 (ja) * 2010-03-05 2014-07-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JP6132556B2 (ja) * 2012-03-30 2017-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82105B2 (ja) * 2012-03-30 2016-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980054B2 (ja) * 2012-08-31 2016-08-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10299970B2 (en) * 2013-03-15 2019-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rticles comprising folded fastening tab members
JP5466328B1 (ja) * 2013-09-10 2014-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92043B2 (ja) * 2013-11-19 2017-09-0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88590B2 (ja) * 2014-01-16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2015195801A (ja) * 2014-03-31 2015-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495710B2 (ja) * 2015-03-26 2019-04-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532725B2 (ja) * 2015-03-26 2019-06-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946581B1 (ja) * 2015-12-28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924295B2 (ja) * 2018-04-24 2021-08-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724063B2 (ja) 2018-04-24 2020-07-1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8202A (en) * 1981-01-29 1982-08-09 Uni Charm Corp Connecting tape structure of diaper
JPS6485254A (en) * 1987-09-25 1989-03-30 Yamada Chem Co Crystal modification of 3,3-bis(2,2-bis(p-pyrrolidinophenyl) ethenyl)-4,5,6,7-tetrachlorophthalide and color-forming recording material containing same
JP2589578Y2 (ja) * 1991-11-01 1999-0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US5531732A (en) * 1994-06-14 1996-07-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JP3271909B2 (ja) * 1996-09-12 2002-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H11178853A (ja) * 1997-12-24 1999-07-06 Ykk Corp 使い捨ておむつ用留め具と、同留め具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組合せと、同留め具が装着された使い捨ておむつ
JP4079614B2 (ja) * 2001-09-11 2008-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4336541B2 (ja) * 2002-08-30 2009-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96284A1 (en) 2004-03-25
KR100718526B1 (ko) 2007-05-16
KR100662603B1 (ko) 2007-01-02
WO2004024045A1 (ja) 2004-03-25
JP2004141641A (ja) 2004-05-20
AU2003257596A1 (en) 2004-04-30
BR0314416A (pt) 2005-07-19
CN100479794C (zh) 2009-04-22
KR20060095581A (ko) 2006-08-31
AU2003257596B2 (en) 2008-01-10
EP1552801B1 (en) 2011-10-05
EP1552801A1 (en) 2005-07-13
MY138471A (en) 2009-06-30
CN1684651A (zh) 2005-10-19
ATE526924T1 (de) 2011-10-15
JP4336540B2 (ja) 2009-09-30
EP1552801A4 (en) 2009-10-21
CA2496284C (en)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526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0530946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물품
JP492094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US6264644B1 (en)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having disposable securing means
US8034040B2 (en) Pull-on disposable diaper
JPS6237123B2 (ko)
JPH0884746A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H0743075U (ja) 使い捨てアンダーガーメント
KR10063672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4034B1 (ko) 일회용 기저귀
JP2589578Y2 (ja)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JP4849923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SE508164C2 (sv) Adhesiv fastsättningsanordning samt alster försett med en sådan fastsättningsanordning
KR100619552B1 (ko) 테이프 파스너를 구비한 일회용 착용 물품
JP4309594B2 (ja) 紙おむつ
JP4235479B2 (ja) 後処理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JP2003275246A (ja) 使い捨ておむつ用ファスニングテープ
JPH0565319U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3275244A (ja) 使い捨ておむつ用ファスニングテープおよびそのファスニングテープの製造方法
JP4308173B2 (ja) ウイング付吸収性物品
JP5747139B1 (ja) 吸収性物品
TWI233797B (en)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JP2008148799A (ja)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JPS6332085Y2 (ko)
JP649571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