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399A - 포켓 공구 - Google Patents

포켓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399A
KR20050037399A KR1020040083331A KR20040083331A KR20050037399A KR 20050037399 A KR20050037399 A KR 20050037399A KR 1020040083331 A KR1020040083331 A KR 1020040083331A KR 20040083331 A KR20040083331 A KR 20040083331A KR 20050037399 A KR20050037399 A KR 2005003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ocket tool
pocket
housing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717B1 (ko
Inventor
엘세너칼
Original Assignee
빅토리녹스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토리녹스 에이쥐 filed Critical 빅토리녹스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05003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1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of the Swiss-knif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 B25F1/04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brought into working positions by a pivoting or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8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comprising electronic or electrical features, e.g. illuminating means, computing devic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26B1/04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Kniv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켓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0)를 구비한 하우징(2)과, 수용부(10;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2개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포함하는 포켓 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가위(16), 나이프(1) 등의 공구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하며, 읽고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지구성(持久性) 메모리와 인터페이스(24)가 장착된다.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45)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나 피봇 베어링(29)은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지지 베어링(25)과 하우징(2) 사이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포켓 공구 {POCKET TOOL}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 1항 및 제 2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포켓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80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기능성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포켓 나이프나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계된 포켓 공구는 국제특허공개공보 제 01/39629호와 스위스 특허공개 제 686 173 A5 호로부터 널리 알려져있다. 이러한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부의 작업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수많은 기능성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면에, 이러한 기능성 구성 요소들은 가위, 나이프, 나사 드라이버 및 그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공구들과 이쑤시개, 집게, 청소용 바늘(cleaning needle)과 같은 가정 용구(utensils)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지의 포켓 공구의 기능성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터리에 의하여 기억 가능한 램(Random Acess Memory; RAM) 주메모리나 롬(Read Only Memory; ROM) 메모리를 설치하는 것으로까지 확장된다. 상기 메모리들은 포켓 나이프내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배열된다. 메모리 안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이들을 불러들일 수도 있다. 상기 주메모리는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것들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비지구성(非持久性, volatile) 저장 장치라고도 불리운다. 하우징 내에 필요한 배터리를 배열하는 것은 포켓 공구의 크기를 전반적으로 확대시키게 된다. 또는, 포켓 공구의 외형 치수를 비교적 변화시키지 않고 하우징 내에 단지 몇몇의 기능성 구성 요소들만이 배열될 수 있을 뿐이다.
상기 메모리가 롬(ROM) 메모리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메모리에 어떠한 데이터도 기록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포켓 공구의 제조 업자가 미리 입력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에 국한시키며, 포켓 공구의 적용 분야를 상당히 제약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국제특허공개공보 제 99/56918 A1호로부터 공지된 다기능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입력하고 표시하는 기구를 그 안에 배열시키고 있다. 상기 표시 기구는 물리량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도록 엘씨디(LCD) 디스플레이로 형성된다. 상기 측정 및 표시 기구에는 배터리 및/또는 태양 전지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정 및 표시 기구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구 내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측정되거나 입력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표준화된 물리적 단위로 변환하는 변환기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기능 공구는 포켓 나이프나 매뉴얼 공구의 기능성을 사실상 학장한다. 그러나, 주로 감지 가능한 측정된 물리량을 처리하는 것에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포켓 공구들은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익숙한 기능의 범위 내에서 포켓 공구의 기능성의 범위를 추가적으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기능성은 나사 드라이버, 나이프, 가위와 같은 기능성 공구나 구성 요소들과 이쑤시개 등과 같은 가정 용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켓 공구의 외형 치수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포켓 공구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공구와 가정 용구를 이용함에 따른 기계적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에 관하여 포켓 공구의 기능 범위와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특징부로부터 얻어지는 장점은 전자 모듈 형태의 제2의 기능성 구성 요소는 상기 포켓 공구의 사용을 위하여 수용 영역의 외부 영역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특히 인터페이스에 우수한 접근성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지구성(持久性, nonvolatile) 저장 장치에서는, 문자 데이터나 동영상 데이터 및 언어 정보와 같은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도면들을 기록하고 읽어들일 수 있다. 여기서, 지구성 저장 장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읽혀질 수 있는 공지의 비지구성 저장장치와는 달리, 전기 에너지 공급이 불필요하며, 비지구성 저장장치인 경우에 하우징 내의 배터리를 수용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이, 추가적인 다른 저장 공간이나 추가적인 공구들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 용량이나 공구로서의 적용 범위와 같은 상기 포켓 공구의 기능성은 외형 치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가 기능성 구성 요소와 하우징의 사이에 배열되는 것은 무의식중에 기능성 구성 요소를 보관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최대 한도로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역시 유리하다. 제2 기능성 구성 요소의 지지 케이싱 사이의 길이 방향의 가이드나 피봇 마운트, 그리고 포켓 공구의 하우징은 제2 기능성 구성 요소가 수용부나 하우징 내에 배열된 베어링 축의 매끄러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2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해결된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장점은, 포켓 공구의 기능적 범위가 포켓 공구 내에 배열되고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된 제어 회로에 의하여 상당히 확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매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포켓 공구는 그동안 이용 가능하였던 기계적 기능성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를 모바일 처리를 위한 전자적 기능성도 역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포켓 공구는 이동 가능하며 작은 크기를 갖는다. 특히, 상기 포켓 공구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오디오, 비디오, 화상 정보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데이터 처리 기구를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정보 처리나 기계 작업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에 더이상 의존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 공구는 미디어 재생 기구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특히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나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정보에 의한 네비게이션 기구로 응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포켓 공구는 기능성 구성 요소들을 통해 모듈화된 공구의 유리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포켓 공구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각각의 기능성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 도구와, 제어 회로의 회로들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형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포켓 공구의 중간의 제어 기능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변경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능성 구성 요소를 재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기능성 구성 요소들을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5항에 따른 실시예는 메모리와 제어 회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전면이 밀폐되고 압축 응력에 잘 견디는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지지 케이싱 내에 배열되어, 습도나 먼지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와 외부 이디피(EDP) 시스템 사이의 연결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따르면, 종래에 공지된 포켓 공구의 표준화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항 및 제8항에는 제2 기능성 구성 요소의 유리한 순차 작용이 특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9항 및 제 10항에 따르면, 전자 모듈을 형성하는 제2 기능성 구성 요소는 작업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항공기 이용에 있어서 점점 강도높은 규제에 따라 탑승객이 비행기의 기내에서 나이프 블레이드나 가위 등과 같은 포켓 공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전자 모듈을 피봇 마운트의 결합 기구를 통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구의 하우징은 여행자 가방에 넣어두고, 전자 모듈을 분리하여 비행기의 기내에 가지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1항에 따른 실시예는, 우선, 하우징 내에 위치한 베어링 축이 제2 구성 요소의 결합부를 형성하며, 포켓 공구의 외형 치수를 더 크게 하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가 하우징에 배열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12항 및 제13항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성 요소의 결합부는 하우징 내의 베어링 축에 피봇 마운트된 어댑터로 형성된다. 이는, 전자 모듈이 간단하게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고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14항 및 제15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 공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이루는 측벽 및/또는 격벽이 길이 방향의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또한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포켓 공구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있는 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수용부와 마주보는 인터페이스와 함께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들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측벽과 포켓 나이프의 격벽 사이에 형성되거나, 서로 인접한 2개의 격벽 사이에 형성되어, 공구 카드의 베이스와 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간격을 두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16항 내지 제21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전자 모듈은 잠금 기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에 잠겨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자 모듈이 진동에 노출된 경우라도 무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 기구는 서로 맞물리는 플러그나, 멈춤쇠, 스냅 요소나, 마찰 집게 요소로 형성된다. 포켓 나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포켓 공구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나, 스냅 요소는 하우징 내의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2개의 측벽이나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그리고 하우징 내의 상기 지지 케이싱의 광측벽 및/또는 협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열된다. 공구 카드에 따르면, 플러그나, 멈춤쇠나, 스냅 요소는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와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및/또는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과, 상기 지지 케이싱의 광측벽과 협측벽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22항 내지 제 25항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른 장점을 갖는다. 포켓 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은 하우징 내에 배열된 베어링 축상에 피봇 마운트되어 광측벽에 수직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행한 광측벽 사이의 폭의 길이는 포켓 공구 전체의 폭을 결정하게 되며,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포켓 공구의 전체 높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의 폭은 높이의 약 절반만 차지하게 된다는 것과, 특히 약 5mm 내지 9mm (예를 들면, 7.5mm) 사이의 길이가 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별적인 공구들과 전자 모듈이 손 안에서 인간공학적으로 편리하게 조작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어느 경우에서든지 우선적으로 공구들과 전자 모듈을 지지하는 베어링 축으로서 각각의 측벽과 격벽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인 한도 내에서 포켓 공구의 전체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26항에 기재된 실시예는, 전자 모듈을 제2 결합 구성 요소로부터 낮은 힘을 가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한편으로는 제2 결합 구성 요소로 상기 전자 모듈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한편으로는 상기 제2 결합 구성 요소의 지지면 상을 자동적으로 잠그는 제1 결합 구성 요소로 상기 전자 모듈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27항에 기재된 실시예는, 포켓 공구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 모듈이 그 보관 위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선회되는 것을 최대 한도로 배제시키며, 전자 모듈이 보관 위치에 놓여진 경우에, 베어링 축상에 고정된 클램핑 아암을 통해 서로 지지되는 상기 결합 구성 요소 사이에 일정한 유지력이 가해지므로, 상기 전자 모듈의 멈춤쇠 아암 내의 스프링력과 상기 전자 모듈을 하우징에 결합, 분리하는 데 소요되는 힘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베어링 축이 클램핑 아암 상의 오목부(depression)로부터 들어올려져 멈춤쇠 노우즈를 지나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의 선회 반경을 갖는 원형 아크 형상의 활주로에 이르도록 이동한 경우에야 비로소 상기 유지력이 다시 풀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28항 내지 제40항에 기재된 실시예는, 포켓 공구가 이동되는 때에 밀폐용 캡에 의하여 전자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물질이나 더러운 물과 같은 유해한 영향과 기계적 스트레스로부터 전자 모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는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은 포켓 공구의 길이 축 방향으로 그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선회되도록 설치된 밀폐용 캡은 협측상의 인터페이스의 제1벽에 대한 지지면을 구비한 제2 단부 벽요소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밀폐용 캡을 밀폐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 조정함으로써 전자 모듈은 동시에 보광 위치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로 선회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추가적인 핸들 요소를 전자 모듈에서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밀폐용 캡이 의도하지 않게 선회됨으로써 전자 모듈이 바깥쪽으로 선회 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용 캡과 하우징 사이의 잠금 기구가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페용 캡은 포켓 공구의 하우징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부품의 수를 줄여 콤팩트한 포켓 공구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1항과 제42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지구적으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나 무선주파수 인식기구(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RFID)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재기록이 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한 이와 같은 지구적인 메모리는 반도체 기술에 기초한것으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3항과 제44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교환은 메모리나 제어 회로와 프린터, 스캐너 등의 주변기기나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사이에 접속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표준화된 유에스비(USB) 플러그 커넥터나, 화이어와이어(FireWireTM)플러그 커넥터와 이에 맞물리는 종래의 커넥터 부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결국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5항 내지 제47항에 한정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데이터나 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TM)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로 알려져 있다.
다른 형태의 설계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제48항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상술된다. 저장 요소로 형성된 주변 기기를 이용하는 것은, 저장 요소가 전자 모듈과 통합되어 있어 저장 요소를 항상 휴대할 수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형성된 주변 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제어 회로와 함께 큰 저장 용량을 구비한 저장 유닛을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의하여, 종래에 알려진 컴퓨터 구조가 포켓 공구에 유용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구조는 컴팩트하게 구조적으로 포켓 공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제어 성능은 제어 수단에 따라 매우 유연하고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2항은 한정된 제어 수단을 제공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로 형성된 제어 로직에 의하여 제어 회로의 제어 인스트럭션 시퀀스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도 제어 인스트럭션 시퀀스를 변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확장되거나 교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포켓 공구의 하드웨어 구조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3항에 기재된 다른 형태의 구성도 역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다른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지구성 읽기 전용 메모리, 특히 ROM 메모리를 구비한 추가적인 저장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저장 영역에서는, 제어 로직은 변경 불가능한 초기 프로그램의 형태, 소위 펌웨어(firmware)로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의 제어 기능들은 사용자나 승인받지 않은 사람에 의하여 직접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 회로의 기능상 에러가 발생될 위험성은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저장 요소는 삭제 가능하며, 새로운 제어 로직이 제조업자나 서비스업자에 의하거나 제어 회로와 연결되어 교신하는 외부 컴퓨터용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불러들이는 것과 같은 부가적인 수단을 통한 사용자에 의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4항 및 제55항에 기재된 장점에 의하여, 저장 요소에 큰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매우 긴 동영상등을 제공하는 미디어 파일이 압축되지 않은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정하여진 MP3나 WMA와 같은 포맷도 제어 회로를 통해 포켓 공구에서 처음으로 재생되거나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6항의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 주변 기기들이 포켓 공구나 제어 회로의 다른 기능성 구성 요소에 배열된 주변 기기들 사이에 에너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7항에서 한정된 특징에 의하여, 모듈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구성 요소와 구조적으로 무관하게 포켓 공구의 하우징 내의 수용 위치나 작업 위치에서, 개별 구성 요소 사이에 신호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 요소를 통하여 서로 다른 전자 모듈이나 기능성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버스 인터페이스의 다른 형태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리한 점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8항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59항에 기재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포켓 공구 내에 수직으로 위치한 리벳핀은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의 별도의 회선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특징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회로에 의하여 계산되고 전송된 신호들을 공지의 오디오 비디오 출력 기기와 같은 터미널 장치에, 특히 외부 스피커나 비디오 화면이나 프로젝터 등의 공지된 기기에 의하여 판독가능하고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마이크로폰, 동영상이나 정화상 촬영 카메라와 같은 기록 기기로부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회로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디지널 데이터 기록으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신호 증폭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63항 내지 제65항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특징은, 음향, 화상 입출력 기기에 의하여 포켓 공구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에 관하여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별도의 외부 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포켓 공구 내에 통합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그래픽 및/또는 음향 형태로 미디어 정보를 출력하고 기록하는 것과, 이와 같은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 요소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입출력 기기는 다양한 파라미터나 제어 회로의 처리 모드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66항 내지 제69항의 각각은 포켓 공구의 유리한 변경 실시예를 기술한다. 즉, 제어 회로는 사용자에게 간단한 형태로 파라미터화된다. 특히, 제어 기기에 할당된 사용자 화면을 통해, 교육적이며 친사용자 환경이 구현된다. 또한, 전자위치 감지 시스템, 특히 터치 스크린에 의하여, 몇개의 개별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 제어 회로, 디스플레이, 제어 기기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0항 내지 제72항은 각각 제어 회로의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포켓 공구의 유용한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3항에 따른 특징은 주변 기기의 유용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즉, 제73항에 따른 자급자족형 에너지 저장원으로 형성된 에너지 공급 기구에 의하여, 포켓 공구의 이동성은 제약을 받지 않으며, 제어 회로는 실질적으로 장소에 관계없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리튬-이온, 리튬-고분자 축전지나 원웨이 배터리와 같은 화학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과 특히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5항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전도체의 형태로 포켓 공구 내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는 전기 전도체를 통해 제어 회로와 주변 기기에 공급되므로, 포켓 공구는 자체 에너지 저장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거나, 포켓 공구 내에 배열된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전기 전도체를 통해 재충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6항과 제77항은 각각 제어 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다르게 배열하는 유리한 구조를 기재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78항과 제79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하여, 저장 요소와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전술하고 후술할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문제점을 독립적으로 해결하는 해결책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80항에 기재된 기능성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장점은, 주로 다른 결합 구성 요소와 연결을 위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구성 요소의 제1결합 구성 요소는 동시에 피봇 마운트된 베어링 위치를 형성하는 베어링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사실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포켓 공구의 하우징 내의 수용부로부터 기능성 구성 요소를 선회시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은 제1 결합 구성 요소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는 선회되어 노출된 상태에서 포켓 공구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실시예별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고 번호 및 동일한 도면으로 제공되며, 명세서에 포함된 사항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한 참고 번호와 동일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캡, 바닥면, 측면 같이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는 직접적으로 묘사된 도면과 일치하고, 같은 방법으로 바뀐 새 위치에 적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개시되고, 묘사된 각각의 특징이나 특징의 조합들은 독립적이고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그 해결책은 본 발명에 한정된 바와 같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 공구의 첫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 공구는 폭(3)과, 폭(3)에 대하여 직각인 길이 (4)로 형성된 하우징(2)을 포함하는 포켓 나이프로 구성된다. 하우징(2)은 두개의 외부 측벽(6)과, 각각 반대편에 장착된 외부 플레이트와 마주보지 않는 측벽(6)의 외부 측면(7)에 고정되어 있는 두개의 커버 플레이트(8)를 구비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수용체(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8)는 불투명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격벽(9)이나 중앙 플레이트는 두개의 외부 측벽(6) 사이에 장착되고, 다른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수용하기 위한 두 수용부(10)는 두개의 측벽(6)과 격벽(9)과,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장착된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다. 두개의 수용부는 측벽과 격벽(6,9)에 의하여 한정되고, 서로 인접한 수개의 평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배열되며, 외부 측벽(6)의 측면(7)에 평행하게 뻗어있고, 포켓 나이프(1)의 전방 끝단부(12, 13) 사이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용부(10)에는 두 개의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 플레이트(8)는 측면(7)을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에 우묵하게 위치한 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어는 베어링 축(14a 내지15b), 특히 도 6과 도 9에 도시된 리벳핀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보어에 삽입될 베어링 축(14a 내지 15b)은 각각의 측벽과 격벽(6,9)과 상기 벽 사이에 장착된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연결한다.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베어링 축(14a내지 15b)에 피봇 고정된다.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하고 측면(7)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베어링 축(14a, 14b)과 베어링 축(15a, 15b)은 각각 포켓 나이프의 끝단부(12, 13)에 장착되어 있다.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하는 베어링 축(14a, 14b)와 베어링 축(15a, 15b)의 중심축은 합치되고 서로 결합된다. 하우징(2)은 베어링 축(14a, 14b, 15a, 15b)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 중 하나는 제1 수용부(10) 내의 제1 끝단부(12)의 외부 측벽과 격벽(6,9)의 사이의 제1 수용부(10)에 배열된 전자 모듈(19)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자 모듈(19)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부(10)나 수용체(5) 내부에 있는 보관 위치로부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 같은 수용부(10)나 수용체(5)의 외부의 작업 위치로까지, 바람직하게는 180°까지, 선회되도록 피봇 고정된다.
다른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제1 수용부(10) 내의 제1 끝단부(12)의 외부 측벽과 격벽(6,9) 사이의 제1 수용부(10) 내에 배열된 가위(16)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부(10)나 수용체(5) 내부의 보관 위치로부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 같은 수용부(10)나 수용체(5)의 외부의 작업 위치로까지, 바람직하게는 90°나 180°까지, 선회되도록 피봇 고정된다.
두개의 추가적인 기능성 구성 요소(11)은 나이프(17)와 파일(18)로 형성되고, 이 두 요소는 제2 수용부(10) 내의 제2 끝단부(13)의 외부 측벽과 격벽(6,9)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1 베어링 축(15)에 피봇 마운팅된다.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수용부 내의 수용체(5)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이나 수용체(5)에 위치한 도 3과 도 4의 작업 위치로까지, 바람직하게는 90°나 180°까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력에 의하여 선회되도록 피봇 고정된다.따라서, 이와 같은 가위(16), 나이프(17), 파일(18)은 공구를 형성한다.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기술될 밀폐용 캡은 제2 끝단부(13)에 위치한 제2 베어링 축(15b)에 피봇 마운팅되어 있다. 상기 밀폐용 캡은 제1 수용부(10)의 외부 측벽과 격벽(6,9)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더욱이, 각각의 도면에서는, 펜(20) 형태의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두개의 커버 플레이트(8)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펜은 커버 플레이트(8) 내의 길이 방향의 슬롯(미도시)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드(21)(도 7 참조)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와 같이, 펜(20)은 가정 용구로도 사용된다. 상기 슬라이드(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넣을 수 있는 끝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21)가 연결된 끝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작동을 위해서 슬라이드는 커버 플레이트(8)의 외곽에 돌출되어 있는 작용 요소(2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펜과, 길이 방향의 슬롯의 구성과, 커버 플레이트(8)와, 작용 요소(22)는 종래 기술에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국제특허공개공보 제 99/07247호에 공개되어 있다. 반면에,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가정 용구는 이쑤시개, 집게, 청소용 바늘과 같은 것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커버 플레이트(8)의 적어도 하나는 필요에 따라 가정 용구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길이 방향의 슬롯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와 함께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하여,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인터페이스(14)와 메모리, 편장(偏長, oblong)형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한 상기 모듈을 포함한 전자 모듈(19)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싱(25)은 서로 사이에 공간을 두고 마주보는 광측면(26)과 상기 광측면(26)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있는 협측벽(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의 확대도에서는, 피봇 베어링(29)이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과 포켓 나이프(1)의 하우징(2) 사이에 결합 기구(30)를 구비하여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피봇 베어링(29)은 서로 풀리고 결합할 수 있는 두개의 결합 구성 요소(31, 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제1 협측벽(28)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2 결합 구성 요소(32)는 포켓 나이프(1)의 하우징(2)에 위치하거나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결합 구성 요소(32)는 포켓 나이프(1)의 제1 끝단부(12) 내의 제1 베어링 축(14a)으로 형성된다. 지지 케이싱(25)의 제1 끝단부의 일면에 위치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지지 케이싱(25)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33)과 오프셋을 이루며 배열된 축(34)을 형성하고, 상기 축(34)은 측벽(6)의 측면(7)에 수직하거나 광측벽(26)에 수직하게 뻗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끝단부와 함께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은 제1 베어링 축(14a) 상에 피봇 마운팅되고, 제1 결합 구성 요소(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제1 협측벽(28)의 일면에 외팔보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스프링 탄성을 갖는 멈춤쇠 아암(35)과 베어링 구성 요소(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멈춤쇠 아암(35)은 멈춤쇠나 스냅 요소로 형성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접하는 두개의 아암부로 구성된다. 멈춤쇠 아암(35)은 베어링 구성 요소(36)와 제1 아암부와 연결된 제2 아암부를 직접 연결하며, 제1 아암부의 반대 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다. 상기 멈춤쇠 아암(35)의 자유단, 특히 제2 아암부의 자유단은 멈춤쇠 아암(35)의 탄성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스프링력이나 지지력으로 제2 결합 구성 요소(32)의 베어링 면(39)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지지된다. 이에 반하여, 베어링 구성 요소(36)는 제2 결합 구성 요소(32)와 같은 축으로 장착된 반셸(half shell) 형상이나 스플릿 베어링 부시(37)를 통하여 제2 결합 구성 요소(32)상으로 가이드된다. 베어링 구성 요소(36)나 베어링 부시(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결합 구성 요소(32)의 베어링 면(39)을 보완하도록 사용된 베어링 면(38)을 형성한다. 멈춤쇠 아암(35)는 보통 자유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결합 구성 요소(32)의 베어링 면(39)에서 작동하는 멈춤쇠 아암(35)을 구비한 전자 모듈(19)은 하우징(2)에 대하여 견고하게 피봇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0은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이 추가적으로 제1 협측벽(28)의 일면에 외팔보로 형성된 약간 유연한 클램핑 아암(40)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 아암(40)은 제1 결합 구성 요소(31)를 마주보는 방향의 지지 케이싱(25)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33)에 대하여 오프셋을 갖고 장착된다. 제2 베어링 축(14b)을 받는 수용 슬롯(41)은 제1 결합 구성 요소(31)와 클램핑 아암(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슬롯(41)은 지지 케이싱(25)의 대략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다. 제1 결합 구성 요소(31)의 일면에는, 클램핑 아암(40)이 수용 슬롯(41)로 튀어나온 멈춤쇠 노우즈(42)를 제공하고, 상기 멈춤쇠 노우즈와 베어링 축(14b)은 필요시 풀림이 가능한 잠금 기구(45)를 구성하며 하우징(2)에 장착된다. 멈춤쇠 노우즈(42)는 축(34)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지지 케이싱(25)의 일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클램핑 아암(40)은 각각 베어링 축(14b)를 마주보는 오목부(43)와 둥근 호 형태의 활주로(46)를 구비한다. 오목부(43)와 활주로(46)는 멈춤쇠 노우즈(4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멈춤쇠 노우즈(42)는 활주로(46)로 돌출되어 있다. 활주로(46)의 반경(48)은 지지 케이싱(25)의 회전 고리의 반경과 일치한다. 보관 위치에서의 전자 모듈(19)과 베어링 축(14b)은 오목부(43)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사용자의 손에 용이하게 잡히도록 외곽으로부터 적절히 돌출되어 있는, 전자 모듈(19)의 예정된 분리 위치로부터 돌출된 베어링 축(14b)은 활주로(46)에 놓여 있으며 그 위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회전 운동 경로에서 클램핑 아암(40)은 베어링 축(14b) 위의 활주로와 미끄러진다. 베어링 축(14b)이 오목부(43)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 케이싱(25)는 제1 협측벽(28)에서 돌출된 홀딩 노우즈(47)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클램핑 아암(40)을 장착하는 것은 포켓 나이프(1)가 이동하는 경우나, 전자 모듈(19)이 완전하게 보관 위치에 피봇되어 지지 케이싱(25)과 포켓 공구의 길이 방향의 축이 일치되어 뻗어있는 경우에, 제1 결합 구성 요소(31)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지력으로 제2 결합 구성 요소(32)를 압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우징(2)으로부터의 어떠한 우발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 모듈(19)은 하나의 구조적 유닛 형태로 포켓 나이프(1)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 아암(40)은 전자 모듈(19)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2)은, 특히 도 9와 도 11에 상세히 도시된 포켓 공구의 제2 끝단부(13)에 장착된 제2 베어링 축(15b)에 피봇 고정된 밀폐용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끝단부(13)는 제1 끝단부(12)와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밀폐용 캡(50)은 서로 평행하게 놓여진 측벽과 격벽(6,9)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밀폐 위치와 도 3과 도 9의 도시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마찬가지로 하우징(2)에 대해서 조정되며, 특히 피봇 고정되어 사용된다. 전자 모듈(19)이나 지지 케이싱(25) 및 밀폐용 캡(50)은 보관 위치와 밀폐 위치 내의 제1 수용부(10)내에 동일하게 배열된다.
도 1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 캡(50)은 대체로 낫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의 축(51)에 대해 오프셋을 갖고 형성된 축(52)을 포함하며, 측면(7)이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더욱이, 밀폐용 캡(50)은 측면(7)이나 광측벽(26)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베어링 보어(54)와 함께 보스(boss)같이 형성된 피봇 베어링부(53)를 구비하고, 상기 보어는 수용부(10)를 마주 보는 내측의 제1 멈춤면(55)과 함께 베어링 축(15b)에 의해 관통된다. 도 6에 도시된 밀폐 위치에서, 밀폐용 캡(50)은 하우징(2)의, 특히 베어링 축 (15a)에 의해 형성된 멈춤면(56)위의 제1 멈춤면(55)에 의하여 지지된다.
베어링 보어(54)의 축(52)에 수직으로 측면에 솟아있는 벽 요소(57)는 베어링 보어(54)의 일단에서 형성되어 또 다른 멈춤면(58)을 구성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밀폐용 캡(50)은 하우징(2)의 특히, 베어링 축(15a)과 함께, 멈춤면(56) 위의 또 다른 멈춤면(58)으로 지지된다.
낫 모양 밀폐용 캡(50)의 외벽(59)은 둥근 호의 형태로 부분 영역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밀폐용 캡(50)의 끝단에 밀폐용 캡(50)에 연결된 제1 단부벽 요소(60)와 상기 밀폐용 캡(50)의 제2 끝단에 밀폐용 캡(50)과 연결된 제2 단부벽 요소(61)를 구비한다. 피봇 베어링부(53)는 외벽(59)의 제2 끝단을 연결한다. 단부벽 요소(61)는 벽(59)이 연장된 것으로, 제1 수용부(10) 방향으로 피봇 베어링부(53)와 마주보는 외팔보의 모서리면(62)을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모서리면(62)과 피봇 베어링부(53)의 사이에 뻗어있는 수평 지지면(63)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 지지면(63)은 제1 수용부(10)를 마주보고 있고, 전자 모듈(19)의 인터페이스 지지 역할을 하며, 전자 모듈은 보관 위치에 완전히 피봇 고정되어 있다.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하 에서 상술한다. 도 11은 모서리면(62)에서 제2 단부벽 요소(61)가 전자 모듈이 완전히 바깥으로 선회되어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전자 모듈(19)의 인터페이스(2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곡률이 형성된 지지면(64)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벽요소(57)는 멈춤면(63)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제1 작용 요소(60)와 제2 작용 요소(61)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뻗어있다. 제1 단부벽 요소(60)는 자유단부(66)와 함께 제1 단부벽 요소(60)에 의해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모서리면(62)위로 돌출 형성된 작용 요소(65)를 구비한다. 모서리면(62)에서 돌출된 단부(66)와 제2 단부벽 요소(61)와, 벽(59)은 전자 모듈이(19) 사용되지 않거나 수용 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 먼지나 기계적 압력으로부터 인터페이스(24)를 보호하는 보호 캡을 함께 구성한다.
벽(59)으로부터 돌출된 멈춤쇠 아암(67)은 제1 단부벽 요소(60)와 보스 형상의 피봇 베어링부(53)의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으로는, 상기 멈춤쇠 아암(67)은 제1 단부벽 요소(60)와 굽은 제1 연결벽(68)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 부분을 형성하는 굽은 제2 연결벽(69)를 통해 피봇 베어링부(53)와 연결된다.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 면에 의해 형성된 수용 슬롯(71)은 단부(66)나 제1 단부벽 영역(60)과 멈춤쇠 아암(67)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71)은 제1 수용부(10)의 방향으로 개방된 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면과 반대 위치 상에 형성된 제1연결벽(68)으로 한정된다. 연결벽(68)은 멈춤면(55)을 구성한다.
밀폐용 캡(50)은 가이드 슬롯(71)로 뻗어있는 멈춤쇠 노우즈(7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멈춤쇠 노우즈는 멈춤쇠 아암(67) 상에 몰딩 형성된다. 하우징(2)에 위치한 베어링 축(15a)와 함께 상기 멈춤쇠 노우즈(72)(도 6 참조)는 필요시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73)를 형성한다. 상기 잠금 기구(73)는 밀폐용 캡(50)과 하우징(2)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멈춤쇠 노우즈(72)는 밀폐용 캡(50)의 조정 방향, 특히, 축(52)의 방향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밀폐용 캡(50)은 잠금 기구를 통해(73) 밀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1은 밀폐용 캡(50)이 제1 수용부(10)로부터 반대 방향의 외부에 있는 플랜지(74)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뻗어있는 보어를 형성한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열쇠 고리(75)는 뻗어있는 보어를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플랜지(74)와 연결되어 있다.
전자 모듈(19)를 형성하는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와 밀폐용 캡(50) 사이의 협조 작용에 대하여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전자 모듈(19)이 제1 수용부(1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움직여야 할 경우에, 특히 제1 수용부(10) 내의 보관 위치에서 선회할 때, 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작용력을 작용 요소(65)에 가하여 밀폐 위치로부터 도 9의 개방 위치로 선회시킬 때에는 밀폐용 캡을 먼저 조절한다.
보관 위치 내로 선회된 전자 모듈(19)과, 먼지와 기계적 압력에 민감한 인터페이스(24)는, 2개의 측벽(6), 제1 단부벽 요소(60)나 단부(66)와 제2 단부벽 요소(61)나 이들 벽들 사이로 뻗어있는 곡률이 형성된 벽(59) 사이에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터페이스(24)는 제1 단부벽 요소(60)나 단부(66), 그리고 두개의 협측벽(76)상의 제2 단부벽 요소(61)와 오버랩되고, 협측벽(76)은 지지 케이싱(25)의 협측벽(27)에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뻗어있다. 전자 접속부가 배열된 면측(77)에서, 인터페이스(24)는 벽(59)으로 완전히 덮여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터페이스(24)의 면측(77) 부분에 위치한 전자 접속부는 포켓 공구가 운반될 때, 오염되거나 기계적 압력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모듈이 선회하여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전자 모듈(19)과 근접한 위치에 있는 측벽과 격벽(6,9)은 각각 먼지가 인터페이스(24)에 들어가는 것과 기계적 압력이 지지 케이싱(25)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관 위치에서의 전자 모듈(19)과 함께 인터페이스(24)는 부분적으로 지지면(63) 위의 제1 협측벽(76)에 위치한다.(도 6 참조)
전자 모듈(19)은 밀폐용 캡(50)의 피봇 운동에 의하여 보관 위치로부터 도 9의 분리 위치로 선회되며, 동시에 밀페용 캡(50)은 외부로 선회된다. 상기 분리 위치에서, 전자 모듈(19)은 일측이 잡힌 상태로 선회되어 수용부(10) 외부의 작업 위치에 이른다. 전자 모듈(19)이 분리될 수 있는 곳에서 피봇팅된 이후에, 필요시 작업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분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전자 모듈(19)을 작은 힘으로 잡고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전자 모듈(19)을 수용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위치에서, 인터페이스(24)는 제2 단부벽 요소(61)의 지지면(64) 상의 협측벽에 놓여지고, 수직으로 솟아있는 벽 요소(57)는 길이 방향의 축(15a)으로 형성된 멈춤면(56) 상의 멈춤면(58)을 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전자 모듈(19)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33)과 포켓 공구의 길이 방향의 축(51)은 함께 전자 모듈(19) 및/또는 인터페이스(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켓공구의 외부로부터 돌출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진 각도(78)를 감싸게 된다. 상기 각도(78)는 필요에 따라 멈춤면(58)과 함께 형성된 벽 요소(57)와 지지면(64)을 구비한 벽 요소(61)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한정될 수 있다.
전자 모듈(19)과 밀폐용 캡(50)은 함께 움직이기 위해 결합된다. 밀폐용 캡(50)이 밀폐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움직일 때, 전자 모듈(19)은 동시에 보관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움직인다. 이 과정에서, 멈춤쇠 노우즈(72)와 멈춤면(55)에 의하여 제한되는 오목부(88)내에 고정되는 베어링 축(15a)은, 오목부(88)로부터 멈춤쇠 노우즈(72) 이상으로 멈춤쇠 아암(67)의 자유단까지 들어올려진다. 반면에, 베어링 축(14b)은 멈춤쇠 노우즈(42)와 홀딩 멈춤쇠(47)로 한정되는 오목부(43)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멈춤쇠 요소(42)로부터 활주로(46)에 이르기까지 클램핑 아암(40)의 자유단 방향으로 조정된다. 상기 각각의 베어링 축(14b, 15a)이 멈춤쇠(42, 72)를 가로질러 미끄러지고, 탄력적으로 변형된 상기 멈춤쇠(42,72) 및/또는 클램핑과 멈춤쇠 아암(40,67)은 멈춤쇠 요소(42,67)의 길이 방향의 영역과 수직한 방향으로 약간 변형된다. 멈춤쇠 요소(42,72)를 가로질러 넘어간 이후에, 필요에 따라 휠 수 있는 클램핑과 멈춤쇠 아암(40,67)은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전자 모듈(19)이 분리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방향을 선회할 때, 상기 활주로(46)는 전자 모듈(19)이 하우징(2)과 마주보며 부드럽게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전자 모듈이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수용부(10) 외부의 작업 위치로부터 수용부 내의 보관 위치로 선회될 때, 먼저 인터페이스가 밀폐용 캡(50)의 지지면(64) 상의 제1 협측벽(76)에 다시 놓여지는 분리 위치로 되돌아 올 때까지 안 쪽으로 선회된다. 이 과정에서, 밀폐용 캡(50)은 바깥으로 선회되어 개방 위치가 되며, 이 때,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지지 케이싱(25)의 측벽(27) 및/또는 밀폐용 캡(50)의 작용 요소(65)에 각각 압력이 가해진다. 멈춤쇠 노우즈(42, 72)를 구비한 클림핑 아암(40)과 멈춤쇠 아암(67)은 베어링 축(14b, 15a)을 마주본 상태로 동일하게 조정된다. 이 때, 베어링 축(14b, 15a)은 자동적으로 오목부(43, 88)에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개방 위치로부터 밀폐용 캡(50)의 멈춤면(55)이 하우징(2) 내의 멈춤면(56) 상에 지지되는 밀폐 위치로 피봇 선회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된 포켓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피봇 베어링 (29)은 전자 모듈(19)을 형성하는 제2 기능 구성 요소(11)의 지지 케이싱(25)와 하우징(2)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 베어링(29)은 피봇 베어링부(79)와 이에 위치한 베어링 보어(80)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80)를 통해 하우징(2)의 베어링 축(14a) 상에 피봇 고정된다. 피봇 베어링(29)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결합 구성 요소(31,32)를 포함한 결합 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지지 케이싱(25)위에 위치하고, 제2 결합 구성 요소(32)는 베어링 축(14a)에 피봇 고정된 어댑터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81)와 지지 케이싱(25)은 제1, 제2 결합 구성 요소(31,32)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나 멈춤쇠 또는 스냅 요소를 구비한다. 플러그나 멈춤쇠 또는 스냅 요소는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된다.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플러그, 멈춤쇠 또는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와 결합 기구(30)를 구성하는 상기 어댑터(81) 사이의 스냅 연결구를 통해 어댑터(81)와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기구(30)는 플러그나 마찰 그립 연결구로 형성된다. 어댑터(81)를 마주보는 제1 끝단부에 있는 지지 케이싱(25)위에 위치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서로 마주보는 광측벽과 협측벽(26,27)의 일부 영역으로 유용하게 구성되고, 어댑터(81)에 의하여 구성된 제2 결합 구성 요소(32)는 플러그 소켓(82)으로 형성된다.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 및 협측벽(26,27)과 어댑터(81)의 플러그 소켓(82)의 내부 벽 사이의 마찰 그립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기구(30)는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전자 모듈(19), 그리고 지지 케이싱(25)이 분리 가능한 방법으로 멈춤쇠 요소에 의해 어댑터(81) 상이나 내부에 고정되는, 예컨대, 스프링 하중 볼(spring-loaded ball)과 같은 멈춤쇠 시스템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봇 베어링(29)은 이미 언급한 클램핑 아암(40)과, 베어링 축(14b)으로부터 피봇 베어링부(79)와 클램핑 아암(40) 사이의 베어링 축을 위하여 형성되고 이로 돌출된 멈춤쇠 노우즈(42)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멈춤쇠 노우즈(42)와 베어링 축(14b)은 함께 잠금 기구(45)를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한 잠금 기구를 통해,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적어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수용부(10) 내의 보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기구(30)에 의하여,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도 13에 도시된 포켓 나이프(1)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전자 모듈(19)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작업 위치는 전자 모듈이(19)이 포켓 나이프(1)에서 완전히 분리되고,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전자 모듈(19)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24)를 통하여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전자 모듈(19)이 하우징(2) 특히 베어링 축(14a)과 어떻게 결합되고 분리되는 지에 대하여 상술한다.
하우징(2) 내의 베어링 축(14a)에 전자 모듈(19)을 결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이 이루어진다. 밀폐용 캡(50)이 첫 번째로 개방 위치에 설정되고, 전자 모듈(19)은 베어링 축(14a) 상의 수용 슬릿(4)과 함께 직접적으로 포켓 나이프(1)의 길이 방향의 축(5)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그리고나서, 전자 모듈(19)은 길이 방향의 축(5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포켓 나이프(1)의 베어링 축(14a)을 향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제1 결합 구성 요소(31)의 멈춤쇠 아암(35)이 제2 결합 구성 요소(32)의 베어링면(39)에 잠겨질 때 까지, 밀폐용 캡(50)의 방향에 길이방향의 축(51)과 평행한 화살표(83)로 방향으로 베어링 축(14a)은 수용 슬릿(41)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결합 구성 요소(31, 32)는 각각 서로 유연하게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잠김에 의해 고정된 이후에, 전자 모듈(19)은 제1수용부(10) 내의 보관 위치에 피봇 연결된다.
전자 모듈(19)은 도 15에 도시된 예정된 결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하우징(2) 내의 베어링 축(14a)으로부터 분리된다. 우선, 전자 모듈(19)은 클램핑 아암(40)과 베어링 축(14b)이 서로 연결이 풀려지는 위치로 선회된다. 그 다음에, 전자 모듈(19)에 분리 하중이 가해진다. 역기서, 분리 하중은 멈춤쇠 아암(35)의 유지력에 대하여 전자 모듈(19)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33)과 수직인 화살표(85) 방향으로 전자 모듈(19)에 가해진다. 그 결과, 멈춤쇠 아암(35)의 제2영역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축(14a)에 대하여 바깥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고, 베어링 축(14a)의 베어링 표면(39)으로부터 풀려지게 된다. 여기서, 전자 모듈(19)이 이동함으로써, 포켓 공구의 길이 방향의 축(51)과 화살표(86)로 표시된 전자 모듈(19)의 길이 방향 중심축(33)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방향과의 사이에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제2 결합 구성 요소(32)나 베어링 축(14a)과 분리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 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공구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로 형성되며, 폭(91)과 길이(92)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길이측 면(93)은 폭(91)만큼 서로 떨어져 있으며, 길이(92)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세로측 면(94)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90)는 실질적으로 신용 카드나 전화 카드의 외형을 가지며, 케이싱(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구 카드(90)의 케이싱(95)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커버 플레이트(97)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플레이트(96, 97)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98)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에 각각 평행하게 뻗어있는 평면 내에, 케이싱(95)은 격벽(99)으로 서로 나뉘어진 영역인 복수개의 수용부(100)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00)는 수용부 개구부(1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수용한다. 수용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 사이의 케이싱(95)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실시예는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작업 위치에서는 완전히 케이싱(95)과 분리되어 케이싱(95)과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분리 가능한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예를 들면, 나이프(102), 소위 말하는 다용도 공구(103), 전자 모듈(19), 집게(105), 필립스 헤드 스크류를 위한 필립스 스크류 드라이버(106)와, 이쑤시개(107)로 형성된다. 이들 각각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수용부(100) 내의 보관 위치와 보관 위치(100)의 바깥에 위치한 작업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보관 위치에서 기능성 구성 요소와 함께 수용 개구부(101)로 돌출된 핸들(108)을 구비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길이측 면(93)의 하나는 커버 플레이트(97)의 외부 표면과 경사면을 통해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길이측 면(93)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있고, 길이측 면(93)으로부터 시작하여 외부 표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길이를 측정하는 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고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몇몇 격벽들(99)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 내측면에 각각 몰딩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부 표면에 걸쳐 분포된다. 각각의 격벽은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다. 격벽(99)은 베이스 플레이트(96)로부터 커버 플레이트(97)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커버 플레이트(97)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96)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내측면 사이의 전체 내부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96) 상에 마운팅된 커버 플레이트(97)를 통하여 격벽(99)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연결 요소를 통하여 격벽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모서리로 각각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개의 격벽을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의 내측면에 몰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격벽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내측면에 걸쳐 형성되고, 적어도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격벽(99)은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상에서 연결 요소를 통해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 사이의 내부 전체 높이에 걸쳐 뻗어있는 격벽(99)은 각각의 케이스에서 형성된다.
반면에, 베이스 플레이트(96)나 커버 플레이트(97)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수개의 격벽(99)을 몰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격벽(99)들은 적어도 서로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6) 사이의 내측 전체 높이에 걸쳐 뻗어있다. 이들의 모서리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 상의 격벽(99)은 반대측의 커버 플레이트(97)와 베이스 플레이트(96) 상의 내측면과 연결 요소를 통해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격벽(99)은 내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솟아있다.
연결 요소는 접착제 및/또는 용접 및/또는 멈춤쇠나 스냅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99)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를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유지하며, 적어도 몇 개의 구역으로 수용부(100)가 한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95)은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와, 이들 사이에 배열된 중간 평판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는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핸들(108)을 위한 수용 개구부(101)를 구비한다. 반면에, 수용부(100)는 중간판 내에만 형성되고, 리세스로 중간판 내에서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는 격벽(99)으로 한정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보완하는 외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에 따르면,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는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 사이에 배열된다.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는 공구 카드(90)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뻗어있고, 바람직하게는 공구 카드(90)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하다. 전자 모듈(19)이나 지지 케이싱(25)을 위한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2개의 격벽(99)과, 광측벽(26)을 향하는 하우징(95)의 내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측면으로 한정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2개의 가이드면(111)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면(111)은 지지 케이싱(25)의 협측벽(27)과 평행하게 뻗어있고, 공구 카드(90)의 길이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잠금 기구(45)는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과 케이싱(95) 사이에 배열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모듈(19)의지지 케이싱(25)과 하우징(95) 사이의 마찰 그립 연결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찰 그립 연결구에 대하여, 지지 케이싱(25)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그립 요소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그립 요소는 적어도 광측벽(26) 및/또는 협측벽(27)의 어느 하나의 일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95)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그립 요소를 또한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그립 요소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100)의 일부로 형성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는 2개의 가이드면(11)과 2개의 광측벽(26) 중 어느 하나를 마주 보는 내측면으로 형성된다.
마찰 그립 요소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 및/또는 지지 케이싱(25)의 일부 길이에 걸쳐 각각 뻗어있고, 전자 모듈(19)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보이는 전방 및/또는 끝단부나, 제1 및/또는 제2 끝단부나,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 및/또는 지지 케이싱(25)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0)나 전자 모듈(19)과 길이 방향의 가이드(111) 사이를 연결하는 마찰 그립 연결구는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케이싱(25)의 광,협측벽(26,27)의 표면부나, 가이드면(111)과 같은 맞물리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와,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의 내측면의 거칠기를 증가시거나, 공간 측면에서 맞물리는 표면 부분의 치수를변경시킴으로써 적당한 보유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위치에 삽입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공구 카드(90)의 전송 위치에서 마찰 그립에 의하여 신뢰성있게 잠가지게 되어,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우연히 수용부(1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잠금 기구(45)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는 잠금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100)에 삽입된 보관 위치에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전자 모듈(19)은,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과 선형 가이드(110)나 수용부(100) 사이에서, 특히 격벽(99)과 베이스 플레이트(96) 또는 커버 플레이트(97) 사이에서, 고정적인 연결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95),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는 수용부(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112)상에 탄성 항복점에 이르는 멈춤쇠 노우즈를 구비하고, 제2 기능성 구성 요소나 지지 케이싱(25)은 이들과 보완적인 멈춤쇠 노우즈(113)를 향하는 잠금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그 보관 위치에서는 전자 모듈(19)은 멈춤쇠 노우즈(113)와 잠금 깊이(114) 사이에서 잠겨지게 된다. 멈춤쇠 노우즈(113)와 잠금 깊이(114)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뻗어있다. 멈춤쇠 노우즈(113)와 잠금 오목부(114)로 형성된 잠금 기구(45)는 자연히 지지 케이싱(25)의 협측벽과 측벽들과 인접한 평행한 격벽들(90)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멈춤쇠 노우즈(113)는 수용부(100)로 돌출 형성된다.
기능성 구성 요소(11), 특히 전자 모듈(19)은 삽입된 보관 위치에서 고정식 잠금이나 마찰 그립에 의하여 기능성 구성 요소(11)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나 수용부(100), 특히 격벽(99)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96)와 커버 플레이트(97)의 내측면 사이에서 풀려질 수 있다.
전술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전자 모듈(19)은 메모리 카드(115),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메모리, 인터페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 카드(115)는 반도체(Semiconductor; SC)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고, 지구성이며, 무선 주파수 인식 기구(RFID)로 형성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인식 기구는 데이터가 수동적으로 저장되는 칩이므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송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릴리스한다. 메모리 카드(115)는 자연히 스마트 카드나, 칩카드, 플래시 카드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신호나 전자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전자 모듈(19)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24)가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는 유에스비(USB) 커넥터나, 유에스비 커넥터 부시나, 화이어와이어(FireWireTM) 커넥터나, 화이어와이어 커넥터 부시(IEEE 1394)나, 유니버셜 직렬 버스로 형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24)는 메모리와 컴퓨터나 주변 기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지구성 메모리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원 스위치를 OFF 시킨 경우에도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점과, 백만회까지 데이터를 다시 기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어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이나, 텍스트 데이터나 동영상, 음성 정보에 관한 데이터, MP3와 같은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의 데이터는 이와 같은 메모리에 지구적으로 저장 가능하다.
접속에 따라 데이터나 신호가 전송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24)와 별개로, 무선 방식, 특히 인덕터에 의하거나, 캐패시터에 의하거나, 광학적으로나, 순수하게 원격 방식으로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데이터를 읽고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24)는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적외선 인터페이스나 무선 신호 인터페이스 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24)는 종래 기술로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당해 기술의 당업자는 WLAN, 블루투스(BluetoothTM)라는 상표명으로 친숙하게 알고 있다. 인터페이스(24)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 없이도 메모리에 저장한 것을 유지할 수 있는 이동형 아암 디스크로서 유사 형성된다.
포켓 공구로부터 전자 모듈이 분리된 이후에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승인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에 생체 인식 접근 제어용 센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자 모듈(19)은 읽고 쓸 수 있는 지구성 메모리를 포함한 마이크로 칩 형태로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도 12a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피봇 베어링은 결합 기구(30)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전자 모듈(19)만이 베어링 축(14a)에 피봇 마운트되어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전자 모듈(19)은 수용부(10)나 수용체(5)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나 수용체(5) 외부의 작업 위치로, 바람직하게는 약 180°만큼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우징(2)과 교환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피봇 베어링(29)은 베어링 축(14a)과,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한 피봇 베어링부(79)와, 베어링 보어(80)로 형성된다. 동일한 설계안이 공구 카드(9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포켓 공구가 포켓 나이프(1)로 형성된 경우에는, 전자 모듈(19)은 피봇되어 선회되지는 않지만, 보관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를, 특히, 하우징(2)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지지되어 길이 방향의 축(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다. 길이 방향의 가이드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형성되며, 2개의 측면(7)이나 격벽(7, 9)으로 구성된다. 서로 향하는 측면은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지지 케이싱(25)이 조정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설계안으로, 밀폐용 캡(50)은 하우징(2)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인터페이스(24)를 향하는 길이 방향의 축(51) 방향으로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모듈(19)을 구비한 지지 케이싱(25)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고 보관 위치 내에 삽입되는 밀폐용 캡(50)은 하우징의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결합 구성 요소(31)와 밀폐용 캡(50)을 구비한 지지 케이싱(25)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하우징(2; 95)과, 수용부(10; 100)와, 수용부(10; 100) 내의 수용 위치로부터 수용부(10; 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구비한 포켓 나이프(1)나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90)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와 같은 기능성 구성 요소는 가위(16)나 칼(17)과 같은 공구나, 이쑤시개(107)나 집게(105), 청소용 바늘, 펜(20) 등의 가정 용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켓 공구는 전기 제어 회로(120)와 전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회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를 구비한다.
도 19 내지 도 21 및 도 23 내지 도 29는 제어 회로(120)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를 포함하는 포켓 공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의 실현 가능한 구성은 도 22에 개략적인 블럭 선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회로(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유닛(120a), 입출력 시스템(120b), 시스템 버스(120c)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조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는 디지털 저장 요소(122)나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로 형성되고, 여기서, 포켓 공구는 수개의 주변 기기(1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주변 기기는 특히 저장 요소(122) 및/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123) 및/또는 오디오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24) 및/또는 입출력 기기(125) 및/또는 작동 시스템(126) 및/또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변 기기(121)는 신호 전송을 위하여 입출력 시스템(120b)을 통해 제어 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는 입출력 시스템(120b)과 연결될 수 있으며, 주변 기기(121)와 제어 회로(120)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교신한다.
도 1 내지 도 18과 관련하여, 저장 요소(122)는 전술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전술한 인터페이스(124)로 형성된다. 또 다른 설계안에서는, 포켓 공구의 하우징(2; 95) 내의 저장 요소를 영구적으로 분리할 수 없도록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 요소(122)에 저장된 데이터는 특히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여기서, 1방향 또는 2방향 데이터 교환은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이루어져, 어떠한 원하는 데이터도 그 형식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저장 요소에 저장되거나 읽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데이터 미디어,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는 신호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하여 제어 회로(120)나 저장 요소(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나 시디롬, 디브이디롬과 같이 포켓 공구에 비하여 큰 크기를 갖는 자기 데이터 미디어도 제어 회로(120) 및 저장 요소(122)와 데이터 교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된 실시예는 이하에서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제어 수단은 특히 저장 요소(122)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를 재생산하는 프로세싱을 위하여 형성된 제어 회로에 할당된다. 예컨대, 오디오, 화상, 동화상 정보는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의 형태로 저장 요소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제어 회로(120)를 구비한 포켓 공구는, 아날로그 측정값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숫자나 알파벳과 숫자가 조합된 형태로 계산 결과를 표시하는 것에 부가하여, 특별한 제어 수단을 통해 이전에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저장 요소(122)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그 기능의 범위가 확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는 데이터 기록의 형태로 디지털화된 오디오 정보로서 저장 요소(122)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회로(120)는 이러한 데이터 기록을 전송 가능한 형태, 특히 입출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잠겨질 수 있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나, 스피커와 같은 포켓 공구의 음향 입출력 기구(125)를 제어하는 신호로 전환한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화된 화상 또는 비디오 정보로서 데이터 기록 내의 저장 요소(1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제어 회로(120)에 의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나 포켓 공구의 시각적 입출력 기구(125), 특히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신호로 전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회로(120)가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은 실질적으로 측정된 값만을 처리하는 것보다 더 크게 된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정보도 처리될 수 있다. 이는, 포켓 공구에 대하여 보다 광범위한 응용 스페그럼이 가능하다는 것과, 사용자는 모든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향상된 재생 품질로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각적 입출력 기구, 특히 LCD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칼러나 흑백으로 고해상도의 화상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것과, 음향 입출력 기구, 특히 음향 발생기는 실제 음향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현재 상태가 입출력 기구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제어 회로(120)의 작동 조건이나 주변 기기(121)같은 것을 표시하거나, 필요에 따라 페이지를 넘기면서 ??어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저장 요소(122)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회로(120)의 프로세서 유닛(120a)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인 메모리, 특히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요소(122) 내에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응용 가능한 아날로그 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120)의 제어 수단은 프로세서 유닛(120a)의 중간 메모리 내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되거나 저장 가능한 제어 로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하드웨어에 대하여, 제어 회로(120)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변환기(DAC)와 그 반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로직은 읽기만 가능하고, 제1 저장 요소(122) 내의 메모리부로 형성되거나 추가적인 저장 요소(129)로 형성되는, 예컨대,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삭제 가능한 플레쉬 롬 메모리(Flash ROM Memory)나 이이피롬(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로직은 변경 불가능한 초기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부트스트랩 프로그램으로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는, 제어 로직을 갱신하는 등의 이유로 필요에 따라, 삭제되거나 재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는, 예컨대, MP3(MPEG-1 Layer 3- Expert Pictures Experts Groups)나 WMA 데이터 기록과 같은 코딩되거나 압축된 형태로 저장 요소(122)에 저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디어 정보의 처리에 있어서, 압축되거나 코딩된 정보를 다른 주변 기기(121)들에 인식될 수 있는 전송 가능한 출력 신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로직이나 제어 회로(120)의 제어 수단은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루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정보는 근본적으로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파일 형식이나 데이터 파일 구조로 저장 요소(122)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회로(120)의 제어 수단은 미디어 정보의 형식으로 전환되어, 미디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제어 회로(120)의 제어 로직은 필요에 따라는 갱신 가능하며 확장 가능하고 교환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 회로(120)는 저장 요소(122)에 저장되어 저장 요소(122)로부터 불러낼 수 있는 미디어 정보가 새롭게 변경된 경우에도, 새롭게 변경된 미디어 정보의 요구 사항을 쉽게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는 다양한 주변 기기(121)와 제어 회로(120) 사이에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정보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특히 작동 전압은 필요에 따라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을 통해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튬-이온 축전지, 버튼 셀 배터리, AA- 나 AAA- 크기의 배터리와 같이 재충전 가능한 자가 발전형 에너지원이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으로서 포켓 공구에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주변 기기(121)와 각각의 전자 모듈(19)은 자체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을 구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은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는 에너지 공급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켓 공구의 외부에 위치한 에너지원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에너지 공급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선과 별개로,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를 통해 작동 전압을 전송하거나 전송을 중단하는 에너지 공급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에너지 공급 인터페이스는 자신의 연결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전자 회로(120)를 구비한 전자 모듈이나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의 또 다른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편장형인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한다. 기능성 구성 요소(11)나 전자 모듈(19)은 수용부(10; 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하우징(2; 95)의 수용부(10; 100)의 외부의 작업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필요에 따라 통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기구(45)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나 피봇 베어링(29)은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지지 케이싱(25)과 하우징(2; 95)의 사이에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18을 통해 기능성 구성 요소(1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구성은 여기서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주변 기기(121) 및/또는 제어 회로(120)는 포켓 공구의 하우징(2; 95) 내에 배열되고, 이와 같은 주변 기기(121)와 제어 회로(120)는 신호 전송을 위하여 전자 모듈(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포켓 공구의 하우징(2; 95)에 할당된 수용부(10; 100) 내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어떠한 원하는 수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수는 포켓 공구의 크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0; 100)에 대한 공간 활용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주변 기기(121)와 제어 회로(120)는 각각 그 전자 모듈(19)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개의 주변 기기(121)과 제어 회로(120)는 하나의 전자 모듈(19)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저장 요소(122), 데이터 인터페이스(123) 및 제어 회로(120)는 공통 전자 모듈(19)을 함께 이루는 하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제어 회로(120)를 구비한 포켓 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포켓 공구는 포켓 나이프(1)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커버 플레이트(8)의 영역 내에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이미 전술한 기록용 펜(20)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록용 펜은 화살표가 표시된 길이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21)를 작용시킴으로써, 기록용 펜(20)의 형태의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저장부(1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 이외에도, 전술한 형태의 공구나 가정 용구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포켓 나이프(1)에 역시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하우징(2)의 길이측 상의 좁은 측면의 오목부로 형성된 또 다른 수용부(10) 내의 보관 위치에 수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광측벽(26)과 2개의 협측벽(27, 28)을 구비한 지지 케이싱(25)과 결합 기구(30)를 구비한 피봇 베어링(29)을 구비한다.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제어 회로(120)와 수개의 주변 기기(121)는 함께 전자 모듈(9)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지지 케이싱(25) 상이나 그 안에 배열된다. 상기 전자 모듈(19)은 전자 회로(120), 저장 요소(122), 데이터 인테페이스(123), 입출력 인터페이스(124), 입출력 기구(125), 작동 기구(126) 및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을 그 안에 장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모듈(19)은 자급 자족하며, 미디어 정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분리된 기능성 유닛을 형성한다. 여기서, 전자 모듈(19)은 결합 기구(30)를 통하여 하우징(2)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자 모듈(19)은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지지 케이싱(25) 상에 배열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포켓 나이프(1)의 하우징(2) 상에 배열된 결합 구성 요소(32)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 상의 전자 모듈(19) 내의 새로운 미디어 정보를 삭제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전자 모듈(19)은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을 배터리 충전기로 충전하는 것 등에 의하여 포켓 나이프의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은 포켓 나이프(1)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의 제어 회로(120)를 구비한 전자 모듈(19)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지지 케이싱(25)의 협측벽(28) 상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전기적 접속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소켓(131)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인터페이스(24)의 기재 부분에 따라, 인터페이스는 핀과 같은 형상의 플러그 요소로 형성된다.
더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와 같은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협측벽(28) 상에 배열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는 스피커, 외부 오디오 증폭기나 수신기와 같은 음향 발생기와 연결하기 위한 잭(132)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 또는 다중 채널 오디오 신호가 입출력 인터페이스(124)에서 출력된다. 잭(132)은 2.5mm, 3.5mm 잭 등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는 광학이나 동축 디지털 출력으로 형성된다. 특히, 헤드폰, 마이크로폰, 스피커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것들이 잭(132)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및/또는 시각 입출력 기기(125)는 지지 케이싱(125)의 광측벽(26)에 배열된다. 상기 입출력 기기(125)는 디스플레이(133), 특히 널리 알려진 액체 결정 디스플레이 장치(LCD)와 같은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3)은 적어도 숫자 정보 및 숫자와 문자가 결합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여기서, 화상이나 비디오 정보가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133)상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1비트의 흑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8비트의 그레이 레벨이나 16비트, 24비트, 32비트의 컬러로 시각화될 수도 있다. 더욱이, 조정 가능한 광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광원은, 필요에 따라, 표시 영역을 밝히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33)에 할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입출력 기구(125)는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발산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광발산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시스템(126)의 수개의 입력 요소(134)는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키 요소(135)가 광측벽(26)에 배열되고, 슬라이딩 키(136)과, 특히 무한적으로 가변하는 제어기(137)가 협측벽(27) 상에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 요소(134)는 각각 제어 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 요소(134)는 스위칭 접속부나 종래에 알려진 전위차계(potentiometer)와 같은 제어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요소(134)는 ON/OFF 스위치, 볼륨 조절 스위치, 재생/멈춤/타이틀/데이터 파일 선택 스위치; 키잠금/일시중지 스위치 등으로 제어 회로(120)의 오디오나 비디오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주변 기기들(121)의 하나는 전기 위치 감지 시스템, 특히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3)과 입력 요소(134)는 공통된 물리적 유닛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 요소(134)는 지지 케이싱(25)의 외면(139)부 내의 표시 영역(138) 내의 디스플레이(133)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디스플레이(133)의 표시 영역(138)에 접촉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작동된다. 디스플레이(133)의 표시 영역(138)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포켓 공구 내에 배열된 이쑤시개와 같은 공구나 가정 용구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들은 디스플레이(133) 상에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작동 펜의 형태로 포켓 공구의 하우징(2)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저장 요소(122) 내에 저장된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 요소(122)와 제어 회로(120)는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내에 배열된다. 작동 파라미터와 작동 조건은 작동 시스템(126)의 입력 요소를 통해 조절되고 제어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설계안에서는, 작동 화면이 디스플레이(133)에 시각적으로 표시되거나, 메뉴 제어와 같은 광방출 요소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작동 화면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 시스템(126)이 장착된다. 상기 작동 표면이나 메뉴 제어는 처리 및 재생 파라미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33)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택창과, 등록 카드나 이와 유사한 것들과, 재생 파라미터와, 재생할 미디어 데이터 파일과, 디스플레이 특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공지의 어떠한 메뉴 제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오디오, 화상, 비디오 정보와 같은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컴팩트한 작은 크기의 전자 모듈(19)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포켓 공구의 응용 범위을 실질적으로 넓힌 것이며, 이로써 상기 포켓 공구는 현대 정보 기술의 최근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3은 포켓 나이프(1)로 형성된 포켓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포켓 나이프(1)는 공구나 가정 용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회로(120)와 수개의 주변 기기(121)는 포켓 나이프(1)의 하우징(2) 내에 배열된다. 현재의 실시예를 변형시키면, 기능성 구성 요소(11)만이 나이프 (1)와 같은 공구나 가정 용구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는 하우징(2)과는 분리할 수 없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표시부(138)를 구비한 디스플레이(133)는 다시 말하면 하우징(2)의 광측(140)의 외면(139)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3)는 커버 플레이트(8)의 아래나 그 안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8)는 적어도 디스플레이(133)의 표시 영역(138)에 대해서는 적어도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제작된 투명한 윈도우가 커버 플레이트(8)나 다른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지지 케이싱(25) 내에 삽입된다. 상기 투명 윈도우나 커버 플레이트(8)는 그 아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33)에 대하여 적어도 구획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확대시키는 렌즈를 형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하우징(2)의 협측벽(141)에 배열되며, 전기적 접속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소켓(1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인터페이스(24)에 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숫커넥터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부(10)로부터 잡아당겨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4)의 잭(132)은 하우징(2)의 협측(141)상에 배열된다.
더욱이, 작동 시스템(126)의 입력 요소(134)는 하우징(2)의 끝단부(142)에, 필요에 따라, 광측(140)이나 협측(141)에 각각 배열된다.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이 전기 에너지 저장, 특히 배터리의 형태로 포켓 공구의 하우징(2)내에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의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는 외부 에너지 공급원으로부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나 별도의 에너지 공급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외부 에너지원은 공공 에너지 공급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변환된 충전 또는 작동 전원이 에너지 저장소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통형 AA- 또는 AAA- 크기의 배터리나 버튼 셀 형태의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포켓 공구의 하우징(2) 내에 형성된 배터리 저장 구획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4는 포켓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어 회로(12)와 1개 이상의 주변 기기(121)는 하우징(2)에 분리 불가능하게 영구적으로 배열되고, 1개 이상의 주변 기기(121) 및/또는 제어 회로(120)는 전자 모듈(19)의 지지 케이싱(25)에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 모듈(19)은 필요에 따라는 하우징(2)과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나이프(1)는 슬롯 형태의 모듈 프레임(143)을 구비하고, 그 안으로 모듈형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선형적으로 삽입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 항복이나, 스프링형 스냅이나, 멈춤쇠 요소나, 마찰 요소나, 기계적 잠금 수단의 형태의 결합 기구(144)의 결합 요소(145, 146)에 의하여 모듈형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모듈 프레임(143)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전기적인 전도성 접속 요소(147)는 모듈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인 형태의 모듈 프레임(143)과 접하는 하우징(2)의 영역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보관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버스 인터페이스(149)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 요소는 지지 케이싱(25) 상에 배열된 다른 전기적인 접속 요소(148)와 접속한다. 상기 접속 요소(147, 148)는 스프링이나 마찰력과 같은 것으로 상호 로딩된다.
도 25는 포켓 공구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양한 전자 모듈(19)에 대한 수개의 수용부(1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모듈(19)은 각각 1개 이상의 주변 기기(121) 및/또는 제어 회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모듈(19)의 하나는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26) 상의 수개의 입력 요소(134)를 구비한 작동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요소(134)는 압력을 가함으로서 스위칭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키보드나 네비게이션 헤어라인 크로스나 그와 유사한 것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전자 모듈(19)은 제어 회로(120)와 다른 주변 기기(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전기 에너지 저장소로 형성된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은 그 자체로 전자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서로 교환 가능한 전자 모듈(19)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전자 모듈(19)을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저장 요소(122)는 자체의 전자 모듈(19)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때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보나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요소(122)만을 포켓 공구 내에 채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저장 요소(122)는 낮은 용량과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큰 저장 용량이 필요로 하는 때마다 저장 요소(122)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개의 전자 모듈(19)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 회로(120)는 자체의 전자 모듈(19)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듈화된 구성을 갖는 포켓 공구는, 다양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범위에 대하여 개별적인 주변 기기(121)나 제어 회로(120)를 필요에 따라 재장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별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정보나, 비디오 정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처리하는 전자 모듈(19)의 형태로 특정 정보를 처리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제어 회로(120)를 구비한 다른 형태의 전자 모듈(19)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전자 모듈(19)은 포켓 공구내에서 결합하여 작동될 수 있는 모듈이나 각각의 개별적인 모듈이나 분리 가능한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명료하게 표현하도록 일부가 생략된 도 2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전자 모듈(19)이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는 전술한 접속 요소(147, 148)이나 버스 인터페이스(1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요소는 하우징(2; 95) 내의 수용부(10; 100)로 한정되는 표면상에 배열될 수도 있으며, 지지 케이싱(25)의 외면(139) 상에 배열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요소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전선과 연결된다.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신호선은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피봇 고정되는 베어링 축(14)의 영역과 같은 하우징(2)에까지 확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가 전기 전도체의 리벳핀(150)으로 형성되어, 리벳핀(150)은 하우징(2)의 접속 요소(147)를 형성하여, 상기 접속 요소(147)가 제1 결합 구성 요소(31)의 베어링 요소(36) 상에 제공되는 접속 요소(148)를 통해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9)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의 양극(+)과 음극(-)을 형성하는 2개의 리벳핀(150)이 형성됨으로써,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는 리벳핀(150)을 통해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 회로(120)와 주변 기기(121)가 리벳핀(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6에 도시된 포켓 공구의 실시예에서는, 포켓 공구의 하우징(2)은 제어 회로(120)와, 데이터 인터페이스(123)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24)와, 필요에 따라 저장 요소(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 요소(134)나 제어 회로(120)를 제어하는 작동 시스템(126)은 외부 작동 유닛(151)상에 배열되고, 외부 작동 유닛(151)은 신호 전송선(152)을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로 연결된다. 출력측에서, 상기 작동 유닛(151)은 스피커(153), 특히 이어폰이나 그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시스템(126)의 입력 요소(13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133)가 작동 유닛(151) 상에 배열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를 통해 작동 유닛(151)과 제어 회로(120) 사이의 양방향으로 신호 전송되므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를 통해 출력 신호를 스피커(153)에 전송할 수 있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를 통해 작동 유닛(151)의 제어 신호는 제어 회로에 입력 신호로서 공급될 수 있다.
더욱이, 저장 요소(122)는 고정 디스크나 시디롬이나 디브이디롬과 같은 광학 디스크의 형태의 대용량 저장기(154)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제어 회로(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적외선, 유도 송수신기와 같은 송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124)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원거리 통신이나 데이터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기기나 인프라구조와 신호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기는 FM 라디오 수신기나 글로벌 위치 시스템(GPS)을 위한 네비게이션 송수신기와 같은 위치 검색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화된 지도 제작 정보는 디스플레이(133)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위치 검색을 위한 요소를 통해 포켓 공구의 실제 위치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133)에 표시하는 것과 관련한 미디어 정보의 처리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포켓 공구를 통해 경로가 계획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경로나 방향 데이터가 입출력 기구(125)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27에는 전자 모듈(19)의 하나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시스템(156)을 통해 포켓 공구의 하우징(2)과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포켓 공구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시스템(156)은 하우징(2)의 광측(140)의 리세스(158)와 맞물리는 스냅 아암(157)으로 형성된다.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외부 커버 요소나 커버 플레이트(8)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의 측벽(6)에 걸쳐 물려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 접속 요소(147, 148)는 하우징(2)에 배열된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와 연결될 수 있다.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특히 에너지 저장소로 형성된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8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 감지 시스템의 형태로 입출력 기구(125)를 포함하는 포켓 공구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마이크로폰과 같은 이어폰(160) 형태의 입출력 기구(125)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작동 시스템(126)의 입력 요소(134)는 지지 케이싱(25)이나 하우징(2)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입력 요소(134)는 카메라 형태의 화상 감지 시스템이나 이어폰(160)에 대한 트리거의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화상 감지 시스템(159)를 통하여 얻어진 화상이나 비디오 정보는 도면에 상세히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 요소(122)에 저장될 수 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를 통하거나,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를 통하여 디지털 형태로 호출될 수 도 있다. 더욱이, 음향 정보는 이어폰(160)을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120)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정보는 저장 요소(124)에 저장된다.
도 29는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켓 카드(90)의 형태로 구현된 포켓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포켓 카드(90)는 전술한 수개의 주변 기기(121)와 제어 회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구 카드(90)의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구성과 공구 카드(90)의 하우징(2)이나 지지 케이싱(25) 내의 주변 기기(121)의 배열은 전술한 것과 대응되므로, 여기서는 이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포켓 공구에 관하여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가르치고 있는 기술적 응용예를 기초로 하여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보호 범위는 이들의 기재들을 조합한 것에 의하여 실현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구성에 대해서도 미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포켓 공구의 구성에 관한 이해를 돕는 측면에서는, 포켓 공구와 그 구성 요소들은 일정 한도 만큼 변경하거나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16 내지 도 29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해결책을 독립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현한 것이라는 점을, 무엇보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포켓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0)를 구비한 하우징(2)과, 수용부(10;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2개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포함하는 포켓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켓 공구의 외형 치수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포켓 공구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기초하여, 공구와 가정 용구를 이용함에 따른 기계적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에 관하여 포켓 공구의 기능 범위와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포켓 공구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수용부 내의 보관 위치에 놓여진 전자 모듈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켓 나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포켓 나이프의 공구들과 전자 모듈이 사용 위치로 선회되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포켓 나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포켓 나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포켓 나이프의 전자 모듈이 분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포켓 나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과 포켓 나이프의 하우징 사이의 피봇 마운트와 결합 구성 요소의 제1 설계안에 따른 결합 기구를 구비한 도 9의 포켓 나이프의 부분 절개 확대도이다.
도 11은 전자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밀폐용 캡으로서 보관 위치로 완전히 선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피봇 베어링의 결합 기구의 결합 구성 요소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2a는 피봇 베어링의 또 다른 설계안 을 구비한 포켓 나이프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형태의 전자 모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전자 모듈이 케이싱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포켓 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하우징의 제2 결합 구성 요소와 결합하기 이전의 위치를 도시한 포켓 나이프와 전자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제2 결합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하기 이전의 위치를 도시한 포켓 나이프와 전자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매우 단순화하여 도시된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절단선 ⅩⅦ-ⅩⅦ에 따른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전자 모듈의 지지 케이싱과 공구 카드의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 또 다른 형태의 잠금 기구의 단순화된 길이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전자 회로와 주변 기기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을 구비한 포켓 나이프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전자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따른 전자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된 다른 주변 기기들을 구비한 제어 회로의 블럭 선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하우징 내에 통합된 전자 구성 요소를 구비한 또 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포켓 나이프의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전자 모듈을 구비한 또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평판 형상의 전자 모듈을 구비한 또 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어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유닛과 외부 데이터 매체를 구비한 또 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복수개의 전자 모듈이 다른 방식으로 장착된 또 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입출력 기구를 포함하는 또 다른 형태의 포켓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전자 모듈을 포함하는 또 다른 형태의 공구 카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포켓 나이프 2: 하우징
3: 폭 4: 길이
5: 수용체 6: 측벽
7: 측면 8: 커버 플레이트
9: 격벽 9: 수용부
11: 기능성 구성 요소 12: 끝단부
13: 끝단부 14a: 베어링 축
14b: 베어링 축 15b: 베어링 축
16: 가위 17: 나이프
18: 파일 19: 전자 모듈
20: 펜 21: 슬라이드
22: 작용 요소 24: 인터페이스
25: 지지 케이싱 26: 광측벽
27: 협측벽 28: 협측벽
29: 피봇 베어링 30: 결합 기구
31: 결합 구성 요소 32: 결합 구성 요소
33: 길이 방향 중심축 34: 축
35: 멈춤쇠 아암 36: 베어링 구성 요소
37: 베어링 부시 38: 제1 결합 요소의 베어링면
39: 제2 결합 요소의 베어링면 40: 클램핑 아암
41: 수용 슬롯 42: 멈춤쇠 노우즈
43: 오목부 45: 잠금 기구
46: 활주로 47: 홀딩 노우즈
48: 반경 50: 밀폐용 캡
51: 길이 방향 축 52: 축
53: 피봇 베어링부 54: 베어링 보어
55: 밀폐용 캡의 멈춤면 56: 베어링 축의 멈춤면
57: 벽요소 58: 밀폐용 캡의 멈춤면
59: 벽 60: 단부벽 요소
61: 단부벽 요소 62, 62': 모서리면
63, 64: 지지면 65: 작용 요소
66: 면단부 67: 멈춤쇠 아암
68,69,70: 연결벽 71: 수용 슬롯
72: 멈춤쇠 노우즈 73: 잠금 기구
74: 플랜지 75: 열쇠 고리
76: 협측벽 77: 면측
78: 각도 79 : 피봇 베어링부
80: 베어링 보어 81: 어댑터
82: 플러그 소켓 83, 84, 85, 86: 화살표
88: 오목부 90 : 공구 카드
91: 폭 92 : 길이
93: 길이측 면 94: 세로측 면
95: 하우징 96: 베이스 플레이트
97: 커버 플레이트 98: 측면
99: 격벽 100: 수용부
101: 수용 개구부 102: 나이프
103: 다용도 공구 105: 집게
106: 필립스 나사드라이버 107: 이쑤시개
108: 핸들 109: 자
110: 길이 방향의 가이드 111: 가이드면
112: 측면 113: 멈춤쇠 노우즈
114: 멈춤쇠 수용부 115: 메모리 카드
120: 제어 회로 121: 주변 장치
122: 저장 요소 123: 데이터 인터페이스
124: 입출력 인터페이스 125: 입출력 기구
126: 작동 시스템 127: 에너지 공급 시스템
128: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 129: 저장 요소
130: 길이 방향의 가이드 131: 플러그 소켓
132: 잭 133: 화면부
134: 입력 요소 135: 키 요소
136: 슬라이드 키 138: 표시 영역
39: 외부 표면 140: 광측
142: 협측 143: 모듈 프레임
144,145,146: 결합 기구 147,148: 접속 요소
149: 버스 인터페이스 150: 리벳핀
151: 작동 유닛 152: 신호 전송선
153: 스피커 154: 대용량 저장기
155: 송수신부 156: 연결 시스템
157: 스냅 아암 158: 리세스
159: 영상 감지 시스템 160: 이어폰

Claims (80)

  1.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0;100)를 구비한 하우징(2;95)과, 수용부(10;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2개의 기능성 구성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 중에 제1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가위(16), 나이프(17;102) 등의 공구나 이쑤시개, 집게, 청소용 바늘, 펜(20) 등의 가정 용구로 형성된, 포켓 나이프(1)나 판 형상의 공구 카드(90)와 같은 포켓 공구로서,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하며, 읽고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지구성(持久性) 메모리와 인터페이스(24)를 장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45)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나 피봇 베어링(29)이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지지 베어링(25)과 하우징(2; 95)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 수용부(10;100)를 구비한 하우징(2;95)과, 수용부(10;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구성 요소(11)와, 전기 제어 회로(120)와,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제어 회로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가위(16), 나이프(17;102) 등의 공구나 이쑤시개, 집게, 청소용 바늘, 펜(20) 등의 가정 용구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기기는 제1 디지털 저장 요소(122)나 데이터 인터페이스(123)으로 형성된, 포켓 나이프(1)나 판 형상의 공구 카드(90)와 같은 포켓 공구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 오디오,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를 재생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회로(120)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 제 2항에 있어서,
    수용부(10;100) 내의 보관 위치로부터 수용부(10;100) 외부의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편장(偏長, oblong)형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제어 회로(12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풀림 가능한 잠금 기구(45)와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 또는 피봇 베어링(29)은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상기 지지 케이싱(25)과 상기 하우징(2; 95)의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상기 편장(偏長, oblong)형 지지 케이싱(25)은 2개의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는 광측벽(26)과; 2개의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광측벽(26)의 사이에 수직으로 뻗어있고 서로 마주보는 한 협측벽(27)과; 2개의 서로 마주보는 면측(face side)에 협측벽(2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지지 케이싱(25) 내에 배열되고, 상기 인터페이스(24)는 협측벽(28)의 일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상기 하우징(2; 95)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피봇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8.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외부로 뽑아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9.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하우징(2;95)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0.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베어링(29)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맞물려있는 결합 구성 요소(31, 32)를 포함하는 결합 기구(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싱(25)은 하나의 끝단에 제1 결합 구성 요소(31)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은 그 끝단면의 하나에 제2 결합 구성 요소(3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구성 요소(32)는 베어링 축(14a)으로 형성되고, 특히, 상기 하우징(2)에 배열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연결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요소(32)는 상기 하우징(2)에 배열되고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베어링 축(14a)에 피봇 결합된 어뎁터(8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81)와 상기 지지 케이싱(25)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멈춤쇠, 스냅 요소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플러그, 멈춤쇠, 스냅 연결부를 통해 상기 어댑터(81)와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4.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는 상기 수용부(10; 100)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측벽들 및/또는 격벽들(6, 9; 99)의 영역으로 한정되며, 여기서, 상기 측벽 및/또는 격벽들은 서로 마주보고 평행하며,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상기 광측벽(26) 및/또는 상기 협측벽들(27)과 평행한 가이드면(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5.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는 상기 포켓 공구의 길이축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6.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45)는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45)는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의 길이의 일부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45)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드(110)의 적어도 하나의 끝단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19. 제 1항, 제 3항, 제4항 또는 제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45)는 상기 하우징(2; 95) 내의 상기 지지 케이싱(25)에 배열된 맞물림이 가능한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나, 멈춤쇠나, 스냅 요소나, 마찰 그립 요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0.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45)는 상기 결합 기구(30)의 상기 결합 구성 요소(31,32)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성 요소(31, 32)는 각각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나, 멈춤쇠나, 스냅이나, 마찰 그립 요소로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포켓 공구.
  21.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적어도 상기 수용부(10; 100) 내의 저장 위치에서 상기 잠금 기구(45)를 통해 고정 및/또는 비고정 방식으로 잠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2.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특히 연결핀들과 같은 베어링 축(14a, 14b, 15a, 15b)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측벽(6)과, 상기 측벽(6) 사이에 배열된 축 형상의 수용부(10)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측벽(6)의 바깥면(7)에 고정되는 2개의 커버 플레이트(8)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케이싱(25)은 상기 하우징(2)의 베어링 축(14a)에 피봇 결합되어, 측면(7)이나 그 광측벽(26)에 수직인 축(34)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3.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5)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평평한 베이스와 커버 플레이트(96, 97)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96, 97)가 평행하게 뻗어있는 하나의 평면 내에서, 공구와 제2의 기능성 구성 요소를 수용하도록, 격벽들(95)에 의하여 여러 구획으로 서로 분리된 수용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커버 플레이트(96, 97)는 서로 바라보는 측벽들(98)을 형성하고 있고, 적어도 상기 구획들에 의하여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연결 요소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외부 측벽(6)과, 필요에 따라, 상기 측벽(6)들 사이에 놓여진 적어도 하나의 격벽(9)은 2개의 베어링 축(14a, 14b, 15a, 15b)을, 특히 다른 하나의 위에 또 다른 하나가 배열된 리벳핀과 같은 연결핀을 통해 상기 포켓 공구의 끝단부(12, 13)의 상기 수용체(5)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5. 제 10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끝단부의 상기 지지 케이싱(25) 상에서 고정되는 상기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33)에 대한 오프셋을 갖고 축(3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측벽(7)이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6. 제 10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멈춤쇠 아암(35)과 베어링 구성 요소(36)를 구비하고, 상기 멈춤쇠 아암(35)은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제1 끝단부의 표면에 외팔보로 결합되고, 탄성 항복점에 이르는 제1 끝단 영역으로 상기 제2 결합 구성 요소(32)에 대하여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구성 요소(36)는, 제2 결합 구성 요소(32)와 동축상에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반셸(half-shell)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부시(37)를 통해 상기 제2 커플링 구성 요소(32) 상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7.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결합 구성 요소(31)에 부가하여, 상기 지지 케이싱(25)은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제1 끝단부의 일면에 외팔보로 결합되고 약간 탄성 항복점을 초과한 클램핑 아암(40)과, 상기 베어링 축(14b)을 수용하도록 상기 클램핑 아암과 상기 멈춤쇠 아암(35)이나 베어링 구성 요소(36)의 사이에 뻗어있는 수용 슬롯(41)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슬롯(41) 내로 뻗어있는 멈춤쇠 노우즈(42)와 하우징(2)을 구비한 베어링 축(14b)은 잠금 기구(4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8.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95)의 일부 영역, 특히 수용체(5)나, 베이스 및 커버 플레이트(95, 96)나, 커버 플레이트(95, 96)의 격벽들(99)의 일부 영역은 인터페이스(24)에 할당된 고정 밀폐용 캡(50)이나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끝단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24)나 상기 수용부내의 보관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끝단부(13)는 상기 밀폐용 캡(50)을 마주보고 있는 적어도 측면부(77) 내에서,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의 전기적 접속 위치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50)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29.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95)은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제2 끝단부(13)에 배열된 인터페이스(24)나 측면부(77)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10; 100)에 대하여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밀폐용 캡(50)을 구비하고;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가 상기 수용부(10; 100) 내의 보관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24)나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끝단부(13)는 적어도 측면부(77)의 영역 내에서, 특히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50)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는 상기 포켓 공구의 제1 끝단부(12)에 배열된 베어링 축(14a)상의 피봇 베어링(29)을 통해 피봇 마운트되고,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포켓 공구의 제2 끝단부(13)에 배열된 베어링 축(15b)들 중 어느 하나에 피봇 마운트되고, 상기 제1 끝단부(12)와 상기 제2 끝단부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1. 제 29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대략 낫(sickle)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 공구의 길이 방향의 축(51)에 대하여 오프셋을 갖고 배열된 축(5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측면(7; 98)이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2. 제 29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측면(7; 98)이나 광측벽(26)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내측면과, 상기 수용부(10; 100)와 마주보는 상기 내측면 상의 제1 멈춤면(55)과 베어링 축(15b) 상에 지지되는 베어링 보어(54)를 구비한 보스와 유사한 형상의 피봇 베어링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밀폐 위치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하우징(2; 95)에 위치한 멈춤면(56)과 맞물리는 제1멈춤면(5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3. 제 29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밀폐 위치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50)은 추가적인 잠금 기구(73)를 통하여 고정적으로 및/또는 비고정적으로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4. 제 29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보어의 길이 방향의 영역의 측면에 상기 베어링 보어(54)의 끝단에 수직으로 솟아있는 적어도 하나의 벽 요소(5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 요소는 또 다른 멈춤벽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용 캡(50)의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하우징(2; 95) 내의 멈춤면(56)에 대하여 맞물리는 멈춤면(58)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5. 제 29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서로 양 끝에 배열된 제1 및 제2 단부 벽요소(60, 61)와 상기 단부 벽요소(60, 61) 사이에 배열된 멈춤쇠 아암(67)을 구비한 원형 아크 형상의 벽(59)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단부 벽요소(60)와 상기 멈춤쇠 아암(67)은 상기 베어링 축(15a)을 수용하는 수용 슬릿(71)으로 한정되고, 상기 멈춤쇠 노우즈(72)는 상기 수용 슬롯(71) 내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6. 제 29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상기 하우징(2; 95)의 외형으로부터 돌출된 작용 요소(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7. 제 29항 내지 제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은 관통하여 뻗어있는 보어를 구비한 플랜지(74)를 상기 수용부(10; 100)로부터의 바깥면에 포함하고, 열쇠 고리는 상기 플랜지(74)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38. 제 29항 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잠금 기구(73)는 상기 밀폐용 캡(50)과 상기 하우징(2; 95) 사이에 배열되고, 멈춤쇠 노우즈(72)와 베어링 축(15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포켓 공구.
  39. 제28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캡(50)과 상기 하우징(2; 95)은, 특히 베어링 축(15a)은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림이 가능한 플러그나, 멈춤쇠나, 스냅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73)는 플러그나, 멈춤쇠나, 스냅이나, 마찰 그립 연결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1.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11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2.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무선 주파수 인식 기구(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RFID)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4)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기록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4)는 유에스비(USB) 플러그 커넥터나 유에스비 커넥터 부시나 화이어 와이어(FireWireTM) 플러그 커넥터나, 화이어 와이어(FireWireTM) 커넥터 부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4)는 무선 데이터나 신호의 송수신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4)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7.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무선(raido) 신호 인터페이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는 상기 제1 저장 요소(122)나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미디엄상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49. 제2항 또는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유닛(120a)과, 입출력 시스템(120b)과, 시스템 버스(120c)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0. 제 4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주변 기구(121)는 상기 제어 회로(120)의 입출력 시스템(120b)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1.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20)의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특히 아날로그 출력 신호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2.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a)의 메인 메모리 내의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된 제어 로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3.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20)는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RAM)와, 특히 삭제 가능하고 프로그램이 가능한 플래쉬 이피롬(EPROM)이나 이이피롬(EEPROM)을 구비한 추가적인 디지털 저장 요소(12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로직은 바람직하게는 초기 프로그램 장착의 형태로써 변경되지 않도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4.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는 MPEG(Movie Pictures Experts Group)-1 레이어 3나 WMA(Window Media Audio)와 같이 코딩된 형태나 압축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5.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20)의 상기 제어 로직은 디지털화된 미디어 정보, 특히 MP3나 WMA 데이터 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루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6.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와 상기 제어 회로(120)는 상기 하우징(2; 95) 내에 배열된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을 하는 포켓 공구.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는 상기 하우징(2; 95)상에 제1 접속 요소(147)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인터페이스(149)를 포함하고;
    추가적인 접속 요소(148)가 상기 추가적인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상기 지지 케이싱(25)상에 배열되고;
    상기 기능성 구성 요소가 상기 하우징(2; 95) 내의 보관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추가적인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접속 요소와 교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8. 제 56항 또는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전선이나 신호선은 상기 하우징(2; 95)의 커버 플레이트(8)나 베이스 플레이트(96)의 측벽들이나 격벽들(6, 9)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전선과 연결된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의 상기 접속 요소(147)는 상기 수용부(10; 100) 내의 하우징(2; 95) 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배열되거나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59. 제 56항 내지 제 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의 전선이나 신호선은 수용체(5)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들이나 격벽들(6, 9)을 연결하는 전기 전도체의 리벳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0.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하나는 특히 아날로그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로 형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124)에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와 같은 전기 신호들이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24)는 헤드폰이나 마이크로폰 잭과 같은 잭 및/또는 비디오 입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2.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24) 및/또는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는 무선 송수신기(155), 특히 무선, 적외선 또는 유도 송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3.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하나는 디스플레이(133)와 같은 음향, 화상 입출력 기기 및/또는 화상 감지 시시템(159)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화상 입출력 기기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나 LED 등의 광원과 같은 디스플레이(133)로 형성되거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 감지 시스템(159)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5.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입출력 기기는 스피커(160)나 이어폰(153), 특히 마이크로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6.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하나는 상기 제어 회로(120)의 작동 파라미터나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134)를 구비한 작동 시스템(12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7. 제 6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134)는 키 요소(135)나 슬라이드 요소(136)와 같이 제어 회로(120)와 결합된 전기적 스위치 접속 수단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입력 요소(134)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와 같은 무한 가변 제어기(infinite variable controller, 137)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8. 제 6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3)에 표시되는 메뉴 제어와 같은 작동 화면은 상기 작동 시스템(126)과 연관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333)는 상기 입력 수단(134)을 통하여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69.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9항 또는 제65항 내지 제 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하나는 전자 위치 감지 시스템, 특히 하나의 공통 물리적 유닛에서 디스플레이(135)와 작동 시스템(126)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0. 제 1항 내지 제 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 및/또는 상기 작동 시스템(126)의 상기 입력 요소(134) 및/또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24)의 상기 잭(132)은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26) 및/또는 협측벽(27, 28)의 하나에 배열되어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1. 제 1항 내지 제 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33)의 상기 노출된 표시 영역(140)은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광측벽들(26)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2. 제 1항 내지 제 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3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134)는 상기 하우징(2; 95)의 안이나 그 표면에, 특히 상기 커버 플레이트(8; 97)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6)의 위, 안, 아래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3. 제2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하나는 전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은 자급자족형 에너지 저장형, 특히 상기 하우징(2; 95)의 내부나 기능성 구성 요소(11)의 상기 지지 케이싱(25)의 내부에 배열되거나 배열 가능한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5. 제 73항 또는 제 7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127)은 외부 전기 에너지원과 연결 가능한 신호 및/또는 데이터 버스(128) 내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6. 제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2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21)는 상기 하우징(2; 95) 내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7. 제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121)의 몇몇은 상기 제2 기능성 구성 요소(11) 및/또는 추가적인 기능성 구성 요소(11) 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8. 제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특히 상기 저장 요소(122)는 제41항 또는 제 42항에 따라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79. 제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48항 내지 제 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123)은 제43항 내지 제 47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인터페이스(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공구.
  80. 가위(16), 나이프(17;102) 등의 공구, 또는 이쑤시개, 집게, 청소용 바늘, 펜(20) 등의 가정 용구, 또는 포켓 나이프(10)나 평판 형상의 공구 카드(90)용 모듈형 포켓 공구 등에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편장형 지지 케이싱(25)을 구비한 전자 모듈과 같은 기능성 구성 요소(11)로서, 포켓 공구의 제2 결합 구성 요소(3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 구성 요소(31)를 포함하는 기능성 구성 요소(1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상기 포켓 공구 상의 제2 결합 구성 요소(32), 특히 피봇 베어링(29)을 형성하기 위한 리벳핀을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면(39)을 구비한 베어링 구성 요소(36)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구성 요소(31)는 멈춤쇠 요소, 특히 상기 베어링 구성 요소(36) 내에서 다른 결합 구성 요소(32)를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도록 형성된 멈춤쇠 아암(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성 요소.
KR1020040083331A 2003-10-17 2004-10-18 포켓 공구 KR10111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65003A AT500097B9 (de) 2003-10-17 2003-10-17 Taschenwerkzeug
ATA1650/2003 2003-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399A true KR20050037399A (ko) 2005-04-21
KR101118717B1 KR101118717B1 (ko) 2012-03-12

Family

ID=3345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331A KR101118717B1 (ko) 2003-10-17 2004-10-18 포켓 공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146667B2 (ko)
KR (1) KR101118717B1 (ko)
CN (2) CN101890728B (ko)
AT (2) AT500097B9 (ko)
CH (1) CH700252B1 (ko)
DE (2) DE102004048116B4 (ko)
FR (2) FR2861007B1 (ko)
GB (2) GB2407056B (ko)
HK (2) HK1073625A1 (ko)
TW (1) TWI301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3024A5 (de) * 1998-05-06 2003-01-31 Flytec Ag Multifunktionales Werkzeug.
US6874188B2 (en) * 2001-08-13 2005-04-05 Wampum Multi-tasking utility tool
US7774941B2 (en) * 2001-08-13 2010-08-17 Wampum Llc Multi-tasking utility tool
US7237340B2 (en) * 2001-08-13 2007-07-03 Wagic, Inc. Multi-tasking utility tool
DE10209748C1 (de) * 2002-03-06 2003-08-21 Ctech Ag Chur Mehrzweck-Handgerät
US20050278865A1 (en) * 2004-06-15 2005-12-22 Michael West Fishing tool
US20060087845A1 (en) * 2004-10-21 2006-04-27 Ming-Hsiang Yeh Knife structure
DE102004063585A1 (de) * 2004-12-30 2006-07-13 Vodafone Holding Gmbh Kommunikationssystem, Zwischenelement für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US7540754B2 (en) * 2006-01-06 2009-06-02 Apple Inc. Universal Serial Bus plug and socket coupling arrangements
US7409765B2 (en) * 2005-03-03 2008-08-12 Perception Digital Limited Combination cooking utensil
DE102005013415A1 (de) * 2005-03-23 2006-10-12 Bechir Bedouihech Fotoschlüsselanhänger mit farbigem LCD/TFT Display der JPG Bilder anzeigen und speichern kann
CN2809969Y (zh) * 2005-06-07 2006-08-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20070058295A1 (en) * 2005-09-09 2007-03-15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UFD on a ring
US7525411B2 (en) * 2005-10-11 2009-04-28 Newfrey Llc Door lock with protected biometric sensor
US20070221140A1 (en) * 2006-03-22 2007-09-27 Radio Systems Corporation Pet collar having a digital pet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US20070268688A1 (en) * 2006-05-22 2007-11-22 Chung-Yang Chen USB powered electric torch
AT504384B1 (de) 2006-10-16 2011-12-15 Victorinox Ag Taschenwerkzeug, insbesondere taschenmesser
US8087330B2 (en) * 2006-12-05 2012-01-03 Chih-Ching Hsieh Hand tool with warning effect
US20080127786A1 (en) * 2006-12-05 2008-06-05 Chih-Ching Hsieh Hand tool with earphone
US7568942B1 (en) * 2007-02-07 2009-08-04 Michael G. Lannon Sleeve and coupler for electronic device
US7673357B1 (en) * 2007-05-11 2010-03-09 Stump John R Bottle opening and portable data storage apparatus
US20090053920A1 (en) * 2007-08-24 2009-02-26 Novatel Wireless, Inc. Electronic card arrangement
US8631722B1 (en) 2008-02-15 2014-01-21 James C. Davis Multi-functional bartender's tool and related methods
US7676982B1 (en) * 2008-03-19 2010-03-16 San Fu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fish
US8087115B2 (en) * 2008-04-25 2012-01-03 Elemental Tools, Llc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removable tools
US20100027974A1 (en) * 2008-07-31 2010-02-04 Level 3 Communications, Inc. Self Configuring Media Player Control
US20100087947A1 (en) * 2008-10-07 2010-04-08 Bor-Yann Chuang Electric control device in an engraving marchine with a usb interface
DE202009018505U1 (de) * 2008-12-01 2011-11-17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Akkumulatoreinheit und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US7997170B1 (en) * 2008-12-11 2011-08-16 RJ Inventions, Inc. Firefighter multi-tool
US7984804B2 (en) * 2008-12-12 2011-07-26 Lebauer Ian F Portable protective container for electronic devices in conjunction with a multifunction pocket tool
US8047878B2 (en) * 2009-01-29 2011-11-01 Motorola Mobility, Inc. Hybrid connector jack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47702Y1 (ko) * 2009-07-20 2010-02-12 주식회사 보노텍 회전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
US8726439B2 (en) * 2009-07-31 2014-05-20 Geyser Ventures Llc Multi tool stand for digital device method and apparatus
WO2011040967A1 (en) * 2009-09-30 2011-04-07 Palmer David H Oblong object holder
WO2011040962A1 (en) * 2009-09-30 2011-04-07 Palmer David H Oblong object holder
US8322523B2 (en) * 2009-09-30 2012-12-04 Palmer David H Oblong object holder
CN102053731B (zh) * 2009-10-30 2015-03-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笔
CN102270050A (zh) * 2010-06-01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笔
CN102270049B (zh) * 2010-06-01 2014-10-22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触控笔
USD652046S1 (en) 2010-07-16 2012-01-10 Pny Technologies, Inc. USB drive with a label
US8388361B2 (en) 2010-07-19 2013-03-05 Pny Technologies,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retractable connector
KR101684970B1 (ko) * 2010-08-1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378515A (zh) * 2010-08-27 2012-03-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681676A (zh) * 2011-03-07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具有调节结构的触控笔
US8522795B2 (en) * 2011-05-04 2013-09-03 Elc Management, Llc Universal docking station compact
US8651874B2 (en) * 2011-05-04 2014-02-18 YFC-Boneagel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line with rotatable connector
AU2011253731B1 (en) * 2011-07-05 2012-07-19 Keypa Pty Ltd Improved Key Holder
WO2013019171A1 (en) * 2011-08-03 2013-02-07 Interdesign, Inc. Multi-tool with solar-powered light
WO2013028147A1 (en) 2011-08-25 2013-02-28 Interdesign, Inc. Multi-tool with artificial key and led
JP6119764B2 (ja) * 2011-11-29 2017-04-26 キーパ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改良型キーホルダ
US20130305935A1 (en) * 2012-05-16 2013-11-21 Mustapha Abdulhusein Ebrahim Peeler
US20130327183A1 (en) * 2012-06-08 2013-12-12 Hsieh Tai-Kao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a bottle opening function
US9427858B2 (en) * 2012-08-28 2016-08-30 Leatherman Tool Group, Inc. Multipurpose tool
US8902713B2 (en) 2012-08-29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evice with acoustic user input and method for same
US10327488B2 (en) * 2013-03-21 2019-06-25 Brian Chumbler Race bib protective pocket
US20150008148A1 (en) * 2013-07-08 2015-01-08 TaskLab, LLC Protective case with tool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48194S1 (en) * 2015-04-17 2016-01-26 Tracy St. John Book jacket
DE102015211686A1 (de) * 2015-06-24 2016-12-29 Robert Bosch Gmbh Identifikationsmodul
USD806313S1 (en) * 2015-08-27 2017-12-26 Ronald Joseph Penna Smoker's combination tool
US10307916B2 (en) * 2016-01-18 2019-06-04 Richard D. Hinderer Interchangeable backspacer assembly for a knife
USD794792S1 (en) * 2016-02-04 2017-08-15 Joel William Wolfe Multifunctional orthodontic tool
USD782893S1 (en) * 2016-05-20 2017-04-04 Kenneth Mimlitch Pocket tool with tape measure
US10471580B1 (en) * 2016-11-22 2019-11-12 Shelby Lies Multi-purpose tool
CN106799749B (zh) * 2017-02-21 2019-09-27 泉州台商投资区双艺商贸有限公司 一种梳子和水果刀一体的生活用品
WO2019032508A1 (en) 2017-08-07 2019-02-1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AL TOOL WITH IRREVERSIBLY LOCKABLE COMPARTMENT
CH714259B1 (fr) * 2017-10-20 2021-08-16 Helvetica Brands Sa Instrument tire-tique pour un couteau de poche multifonctionnel.
WO2019108621A1 (en) 2017-11-29 2019-06-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xternally attachable tracking module for a power tool
EP3496003B1 (en) * 2017-12-06 2022-03-16 Visottica Industrie S.p.A. Tag assembly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and/or storage of information
JP7256611B2 (ja) 2018-07-11 2023-04-12 任天堂株式会社 タッチペンアタッチメント、操作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11213960B2 (en) * 2018-09-17 2022-01-04 John AMBIELLI Multi-tool and storage device
WO2020163450A1 (en) 2019-02-06 2020-08-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tool with shared terminal block
WO2021102289A1 (en) 2019-11-21 2021-05-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Inse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 power tool
US20210282451A1 (en) * 2020-04-15 2021-09-16 Geneva Fund Partners, LLC Cone filler
CN116171212A (zh) * 2020-06-29 2023-05-26 西雅图食品极客应用科学有限责任公司 电动刀及相关系统和方法
US20220379450A1 (en) * 2021-06-01 2022-12-01 Jennifer Ingianni Multitool survival device
US20220388186A1 (en) * 2021-06-03 2022-12-08 SoloSecure, Inc. Safety knife
US11665412B2 (en) * 2021-08-16 2023-05-30 Lenovo (Singapore) Pte. Ltd. Mountable display camera assembly with arm
US11763537B1 (en) * 2023-04-18 2023-09-19 Identification International, Inc. Chassis for precision optic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963A (en) * 1933-06-19 1935-08-20 Altenbach Otto Pocket implement
US4612706A (en) * 1984-09-24 1986-09-23 Yunes Yamil R Folding knife
CH686173A5 (de) * 1985-01-01 1996-01-31 Wenger Sa Modulares Taschenmesser.
JPS62501749A (ja) * 1985-01-01 1987-07-16 ウェンゲル・ソシエテ・アノニム モジュ−ル式ポケットナイフ
US5815927A (en) * 1996-01-11 1998-10-06 Collins; Walter W. Folding knife with actuatable safety locking mechanism
US5765247A (en) * 1996-01-11 1998-06-16 Buck Knives, Inc. Hand tool with multiple locking blades controlled by a single locking mechanism and release
CN1494993A (zh) * 1997-10-16 2004-05-12 ���˻�˹�����̩�˹ɷ����޹�˾ 多用途手持器具
US6009584A (en) * 1997-11-26 2000-01-04 Padden; Stephen J. Multi-purpose tool with brush
CH693024A5 (de) * 1998-05-06 2003-01-31 Flytec Ag Multifunktionales Werkzeug.
US6273582B1 (en) * 1999-05-12 2001-08-14 Swiss Army Brands, Inc. Compact multiple function tool
DE19827513A1 (de) * 1998-06-22 1999-12-23 Helmuth Seyboth Gehäuse für ein Taschenwerkzeug
EP1113904A1 (en) * 1998-06-23 2001-07-11 Swiss Army Brands, Inc. Multiple purpose automobile tool
AT410644B8 (de) * 1999-12-02 2003-07-25 Victorinox Ag Taschenmesser
US6394813B1 (en) * 2000-09-08 2002-05-28 3Com Corporation Rotating connector adaptor
EP1428635A1 (de) * 2001-04-02 2004-06-16 Nemerix SA Messer mit GPS Empfänger
US7774941B2 (en) * 2001-08-13 2010-08-17 Wampum Llc Multi-tasking utility tool
IE20010943A1 (en) * 2001-10-26 2003-04-30 Seamus Duffy A Fold-away Wrench Set, Comprising of Two Wrench Headsets for Applying Torque to Known Bits and Fasteners
US6561421B1 (en) * 2001-12-14 2003-05-13 Li-Ya Yu Universal serial bus card reader
US6675419B2 (en) * 2002-01-30 2004-01-13 Leatherman Tool Group, Inc. Removable tool element for inclusion in a folding tool
TWM248624U (en) * 2002-10-28 2004-11-01 Walton Advanced Eng Inc Pen featuring with memor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8940B (zh) 2010-06-09
US7373681B2 (en) 2008-05-20
GB2407056B (en) 2007-09-12
AT500097A1 (de) 2005-10-15
FR2891179A1 (fr) 2007-03-30
GB2436939B (en) 2008-06-04
HK1073625A1 (en) 2005-10-14
US20070050911A1 (en) 2007-03-08
GB2407056A (en) 2005-04-20
AT500097B9 (de) 2007-08-15
FR2861007A1 (fr) 2005-04-22
DE102004048116B4 (de) 2011-12-08
US7146667B2 (en) 2006-12-12
DE202004020457U1 (de) 2005-06-02
AT500097B1 (de) 2007-07-15
CN1628940A (zh) 2005-06-22
GB2436939A (en) 2007-10-10
CN101890728A (zh) 2010-11-24
FR2891179B1 (fr) 2010-07-30
KR101118717B1 (ko) 2012-03-12
HK1148709A1 (en) 2011-09-16
TW200529993A (en) 2005-09-16
GB0422725D0 (en) 2004-11-17
CN101890728B (zh) 2013-05-01
AT500428A1 (de) 2005-12-15
DE102004048116A1 (de) 2005-05-12
TWI301790B (en) 2008-10-11
US20050081302A1 (en) 2005-04-21
CH700252B1 (de) 2010-07-30
GB0705643D0 (en) 2007-05-02
FR2861007B1 (fr) 2009-05-22
GB2436939A8 (en) 2007-11-30
AT500428B1 (de) 2011-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717B1 (ko) 포켓 공구
US7462044B1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US6979210B2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US7566231B2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WO2006063137A1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KR101475054B1 (ko) 분리 가능한 어댑터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US8139781B2 (en) Bluetooth headset with a retractable structure
EP1856613A2 (en)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10216225B2 (en)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a mobile device
US200801535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JP2022511379A (ja) ポールおよびスティックのハンドル
KR101754892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040130657A1 (en) Digital camera
CN211506480U (zh) 一种手写装置
JP2001057481A5 (ko)
CN115904098A (zh) 一种触控装置和电子设备
US11662068B2 (en) Hand-held spotlight
CN215341017U (zh) 一种多功能鼠标
CN209994529U (zh) 一种双侧开无线耳机收纳盒
KR100946777B1 (ko) 유에스비 연결플러그용 뚜껑 구조
JP3101064U (ja) 開閉機構
CN117762265A (zh) 一种充电宝鼠标
KR100693678B1 (ko) 일체형 암수 커넥터를 구비한 플래시메모리
US20040042618A1 (en) Battery structure for a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