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861A -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861A
KR20050036861A KR1020047005537A KR20047005537A KR20050036861A KR 20050036861 A KR20050036861 A KR 20050036861A KR 1020047005537 A KR1020047005537 A KR 1020047005537A KR 20047005537 A KR20047005537 A KR 20047005537A KR 20050036861 A KR20050036861 A KR 2005003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ommunication
transmission
network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496B1 (ko
Inventor
다꾸로 노다
사또마꼬또
다쯔야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및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기기 1(1)은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요구함과 함께,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취득하는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와,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와,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8)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신호를 출력하는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부터 주변 기기의 탐색(inquiry)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처리를 행하고 있었다.
마스터는, 예를 들면 312.5μsec마다 탐색(inquiry)을 위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송신(TX) 상태가 되고, 이 송신 시점으로부터 625μsec 후에 이 송신(TX) 상태로부터 탐색(inquiry) 응답을 위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RX) 상태로 이행한다.
슬레이브는, 예를 들면 11.25msec의 기간만큼 마스터로부터의 탐색(inquiry)을 위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RX) 상태가 되고, 이 수신 시점으로부터 1.28sec 후에 탐색(inquiry) 응답을 위한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TX) 상태 또는 다음의 수신(RX) 상태가 된다. 이 탐색(inquiry)에 의해,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네트워크 내의 어드레스 BDADDR을 취득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마스터가 복수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탐색(inquiry)을 행함으로써, 피코넷 또는 스캐터넷의 선택이나, 네트워크 내의 어드레스 BDADDR의 취득 동작에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스터가 복수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탐색(inquiry)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대 기기가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기기가 다른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네트워크 내의 어드레스 BDADDR을 취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및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장치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단계와,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단계와,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단계와, 인터페이스 단계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단계와, 시험 통신 단계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송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작용을 한다.
송신 장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을 요구한다.
수신 장치의 프로토콜 일람에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는 프로토콜 전송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송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을 전송한다.
송신 장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을 통하여,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을 취득한다. 송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송신 장치는 시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한다. 송신 장치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일람에 기술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또한, 수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수신 장치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프로토콜 일람에 기술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 정보에 의해 인터페이스 수단 중, 송신 장치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하였던 인터페이스 수단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인터페이스 수단과의 사이에서, 송신 장치는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기기 1이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재한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기기 2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재한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기기 2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재한 다른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6은 기기 1에 의한 기기 2의 프로토콜 일람의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기 1에 의한 기기 2의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기 1에 의한 기기 2의 로컬 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로컬 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로컬 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리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송수신 시스템은, 임의의 2개의 기기가 각각의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때, 각각의 기기가 우선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순서대로 프로토콜을 기술해 둠으로써, 자동적으로 최적의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기기 1(1)은 비접촉에 의해 프로토콜(8)을 취득 가능한 비접촉 IC(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2)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로 구성된다. 기기 2(4)는 비접촉에 의해 프로토콜(8)을 전송 가능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와,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 인터페이스(6)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7)로 구성된다.
또한, 이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 1(1)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기기 2(4)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여기서, 기기 1(1)은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요구함과 함께,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취득하는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와,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와,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기 2(4)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전송하는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와,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 및 IEEE802.11b 인터페이스(7)를 포함하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토콜 정보(8)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서, 기기 1(1)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는,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요구한다.
기기 2(4)의 기억 수단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기기 2(4)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는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전송한다.
기기 1(1)의 비접촉 lC 인터페이스(2)는,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8)를 취득한다. 기기 1(1)의 IEEE802.11b 인터페이스(3)는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시험 통신 수단은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한다. 기기 1(1)의 통신 수단은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기 2(4)의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 또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7)는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2(4)의 통신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토콜 정보(8)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 정보(8)에 의해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 및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기 2(4)의 IEEE802.11b 인터페이스(7)와의 사이에서, 기기 1(1)의 통신 수단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프로토콜의 기술(記述) 파일]
도 2 및 도 3은 기기 1(1)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 및 기기 2(4)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의 비접촉 IC 카드에 기술되는 각각의 기기의 대응하는 프로토콜의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기기 1(1)이 대응하는 프로토콜의 기술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protocol> 엘리먼트는, 그 안에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2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np(universal network protocol)> 엘리먼트는, 기기 1(1)이 IEEE802.3 규격에 준거한 이더넷(등록상표) 상에서 기능하는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uuid>1003d00-0040-0000-0000-000080000001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이 프로토콜 <upnp>를 이용하여, 이더넷(등록상표)을 통하여 IEEE802.3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기기 2(4)가 대응하는 프로토콜의 기술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protocol> 엘리먼트는, 그 안에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3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uetooth> 엘리먼트는, 기기 2(4)가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준거한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bd_addr>010000127b35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3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np> 엘리먼트는, 기기 2(4)가 IEEE802.3 규격에 준거한 이더넷(등록상표) 상에서 기능하는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uuid>0518003d00-030a-000a-1ec0-008700004000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이 프로토콜 <upnp>을 이용하여, 이더넷(등록상표)을 통하여 IEEE802.3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protocol> 엘리먼트 내의 먼저 기입되어 있는 참조 부호 31로 나타내는 <bluetooth> 엘리먼트가, 나중에 기입되어 있는 참조 부호 32로 나타내는 <upnp> 엘리먼트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토콜로부터 낮은 프로토콜로 순차 전환하여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참조 부호 31로 나타내는 <bluetooth>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bd_addr> 및 참조 부호 32로 나타내는 <upnp>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uuid>는,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기기의 동일성을 조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이다.
도 4는 기기 2(4)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의 비접촉 IC 카드에 기술되는 각각의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의 다른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기기 2(4)가 대응하는 프로토콜의 다른 기술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참조 부호 4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rotocol priority=1> 엘리먼트는, 그 안에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우선 순위 1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4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uetooth> 엘리먼트는, 기기 2(4)가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준거한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bd_addr>010000127b35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4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rotocol priority=2> 엘리먼트는, 그 안에 두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우선 순위 2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4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np> 엘리먼트는, 기기 2(4)가 IEEE802.3 규격에 준거한 이더넷(등록상표) 상에서 기능하는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uuid>0518003d00-030a-000a-1ec0-008700004000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이 프로토콜 <upnp>을 이용하여, 이더넷(등록상표)을 통하여 IEEE802.3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 4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rotocol priority=3> 엘리먼트는, 그 안에 세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우선 순위 3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4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 엘리먼트는, 기기 2(4)가 … 프로토콜에 대응한 기기로, 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로서 <…>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protocol priority=n(양의 정수: 1, 2, 3 …)>엘리먼트 중의 n에 기입되어 있는 숫자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토콜로부터 낮은 프로토콜로 순차 전환하여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참조 부호 42로 나타내는 <bluetooth>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bd_addr> 및 참조 부호 43으로 나타내는 <upnp>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uuid>는,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기기의 동일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라미터이다.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5는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5에서, 기기 1(1)은 T1 시점에서, 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일람을 기기 2(4)에 요구한다. 기기 2(4)는 T2 시점에서, 기기 1(1)로부터 프로토콜 일람 요구를 취득한다. 기기 2(4)는 T3 시점에서, 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일람을 기기 1(1)로 전송한다. 기기 1(1)은 T4 시점에서, 프로토콜 일람을 기기 2(4)로부터 취득한다.
기기 1(1)은 T5 시점에서, C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upnp>로 기기 2(4)에 대하여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시험 통신을 행함으로써 조사한다. 기기 2(4)는 T6 시점에서, 기기 1(1)로부터의 프로토콜 <upnp>에 의한 시험 통신을 수신한다. 기기 2(4)는 T7 시점에서, C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 1(1)로부터의 프로토콜 <upnp>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OK)하였음을 나타내는 수령 신호(ACK)를 기기 1(1)에 반송한다. 기기 1(1)은 T8 시점에서, 수령 신호(ACK)를 기기(1)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T8 시점 이후에, C5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 1(1)은 기기 2(4)와의 사이에서, 프로토콜 <upnp>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기기 1(1)에 의한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의 취득]
도 6은 기기 1(1)에 의한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의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기기 1(1)은 기기 1(1)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1)와, 기기 1(1)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62)과, 기기 1(1)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63)과, 비접촉에 의해 후술하는 프로토콜 일람(70)을 기기 2(4)로부터 취득 가능한 RF(Radio Frequency) 리더(64)와, 버스(65)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로 구성된다.
기기 2(4)는 기기 2(4)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66)와, 기기 2(4)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67)과, 기기 2(4)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68)과,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70)과, 비접촉에 의해 프로토콜 일람(70)을 기기 1(1)에 전송 가능한 RF 태그(69)와, 버스(71)와,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7)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기 1(1)의 RF 리더(64)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에 대응한다. 또한, 기기 2(4)의 RF 태그(69)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기 1(1) 및 기기 2(4)에 있어서의, 기기 1(1)에 의한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의 취득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에서, 기기 1(1)의 CPU(61)는 ROM(6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63)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고, 기기 2(4)의 CPU(66)는 ROM(67)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68)을 이용하여 동작시키며, 이하와 같다.
기기 1(1)의 CPU(61)는 RF 리더(64)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70)을 요구한다.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70)에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 2(4)의 CPU(66)는 RF 태그(69)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70)을 전송한다.
기기 1(1)의 CPU(61)는 RF 리더(64)를 통하여,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술한 프로토콜 일람(70)을 취득한다. 기기 1(1)의 CPU(61)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시험 통신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RF 리더(64)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일람(70)에 기술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기 2(4)의 CPU(66)는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 및 IEEE802.11b 인터페이스(7)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2(4)의 CPU(66)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프로토콜 일람(70)에 기술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 정보에 의해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6) 및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CPU(61)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하였던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기 2(4)의 IEEE802.11b 인터페이스(7)와의 사이에서, 기기 1(1)의 CPU(61)는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단계 S1에서, 기기 1(1)이 상대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을 취득한다. 단계 S2에서, 기기 1(1)이 상대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이 아직 발견되고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단계 S2에서 기기 1이 상대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이 발견하였을 때에는, 단계 S3에서, 상대 기기 2(4)의 프로토콜 일람으로부터 상대 기기 2(4)가 자신(기기 1(1))과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단계 S4에서, 자신(기기 1(1))이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4에서 자신(기기 1(1))이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일 때에는, 단계 S5에서, 기기 1(1)은 시험 통신을 해 보고 확인한다. 단계 S6에서, 자신(기기 1(1))이 대응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에서 자신(기기 1(1))이 대응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일 때에는, 단계 S7에서, 기기 1(1)은 기기 2(4)와의 사이에서 발견된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한다.
단계 S4에서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이 아닐 때, 단계 S6에서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인터페이스가 아닐 때에는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1(1)이 기기 2(4)와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을 하고자 할 때에는 기기 1(1)이 기기 2(4)의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여, 기기 1(1)이 대응하고 있는 프로토콜의 <upnp> 엘리먼트를 검색한다. 기기 2(4)의 프로토콜 정보 중에 프로토콜의 <upnp> 엘리먼트가 발견되면, 기기 1(1)은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uuid>에 대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시도하여, 성공하면, 그 이후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기 1(1)은 기기 2(4)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만약, 프로토콜이 일치하고 있어도 인터페이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지만, 그 경우는 기기 1(1)이 다른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을 때에는 인터페이스를 바꾸어 시험 통신을 시도하고, 그래도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프로토콜을 순차 전환하여, 다른 프로토콜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시험 통신을 시도한다.
또, 여기서는 프로토콜의 <bluetooth> 엘리먼트 및 <upnp> 엘리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술하여 그것을 조사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프로토콜을 기동하는 구조를 준비함으로써, 프로토콜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으며, 기기가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때, 그 우선 순위를 기술해 둠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의 종류만을 기술하면 되므로,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세밀한 규약은 각각의 프로토콜에 맡길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RF 태그에 기술된 상대 기기 정보를 RF 리더를 이용하여 판독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접촉 I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 기기 정보를 판독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 기기 정보를 판독하는 실시 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기 1에 의한 기기 2의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에 의해 네트워크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는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는 임의의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모드이다.
도 8에서, 기기 1(1)은 기기 1(1)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61)와, 기기 1(1)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62)과, 기기 1(1)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63)과, 비접촉에 의해 후술하는 파라미터(83)를 기기 2(4)로부터 취득 가능한 적외선 인터페이스(81)와, 버스(65)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로 구성된다. 기기 2(4)는 네트워크(85)에의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와, 비접촉에 의해 후술하는 파라미터(83)를 기기 1(1)에 전송 가능한 적외선 인터페이스(82)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기 2(4)는 기기 1(1)과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로서의 주변 장치이어도 된다.
여기서, 기기 1(1)의 적외선 인터페이스(81)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에 대응한다. 또한, 기기 2(4)의 적외선 인터페이스(82)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기 1(1) 및 기기 2(4)에 있어서의, 기기 1(1)에 의한 기기 2(4)의 후술하는 파라미터(83)의 취득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에서, 기기 1(1)의 CPU(61)는 ROM(6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63)을 이용하여 동작시키며, 이하와 같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83)를 요구한다.
기기 2(4)의 파라미터(83)에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 2(4)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83)를 전송한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기기 1(1)의 CPU(61)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설정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3)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적외선 인터페이스(81)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술된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파라미터(83)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통신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기기 1(1)의 CPU(61)는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 대하여 통신을 행한다. 기기 2(4)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85)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에의 다이얼업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기기 2(4)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85)로서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의 내용을 열람 가능한 인터넷 익스플로러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CPU(61)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행하여,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기기 1(1)의 CPU(61)는 네트워크(85)에 대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
도 9는 기기 1(1)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 및 기기 2(4)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의 비접촉 IC 카드에 기술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accessPoint> 엘리먼트는, 그 안에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어, 타이틀이 로컬 네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9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802.11b> 엘리먼트는 기기 1(1)이,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IEEE802.11b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할 때에,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이 네트워크 상의 통신 그룹의 식별 번호로서 <e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0000, 및 전화선과 동등한 암호 설정·해독 키로서 <wep(wire equivalent privacy)key>sampl이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기기 1(1)은 이 파라미터(91)를 이용하여,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 접속하여 IEEE802.11b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동작의 주체는 기기 1(1)의 CPU(61)이다.
도 12에서, 단계 S11에서,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를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83)를 요구한다. 기기 2(4)의 파라미터(83)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단계 S12에서,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를 수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2(4)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83)를 전송한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계 S13에서, 수취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설정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3)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적외선 인터페이스(81)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술된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정보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단계 S14에서, 설정된 네트워크로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의 액세스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네트워크(85)에 대하여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CPU(61)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기기 2(4)의 IEEE802.11b 액세스 포인트(84)를 통하여, 기기 1(1)의 CPU(61)는 네트워크(85)에 대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기 1에 의한 기기 2의 로컬 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리미터 취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로컬 네트워크의 접속 기기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는 애드 훅(Ad-hook) 모드를 도시하는 것이다. 애드 훅 모드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등하며 주종 관계가 없도록 접속된 1대1의 기기 사이에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통신을 행하는 모드이다.
도 10에서, 기기 1(1)은 기기 1(1)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61)와, 기기 1(1)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62)과, 기기 1(1)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63)과, 비접촉에 의해 후술하는 파라미터(83)를 기기 2(4)로부터 취득 가능한 적외선 인터페이스(101)와, 버스(65)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로 구성된다.
기기 2(4)는 기기 2(4)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66)와, 기기 2(4)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67)과, 기기 2(4)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68)과, 비접촉에 의해 후술하는 파라미터(103)를 기기 2(4)로부터 취득 가능한 적외선 인터페이스(101)와, 버스(65)와,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기 1(1)의 적외선 인터페이스(101)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에 대응한다. 또한, 기기 2(4)의 적외선 인터페이스(102)는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에 대응한다. 기기 1(1) 및 기기 2(4)는 IEEE802.11b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기 1(1) 및 기기 2(4)에 있어서의, 기기 1(1)에 의한 기기 2(4)의 후술하는 파라미터(103)의 취득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에서, 기기 1(1)의 CPU(61)는 ROM(6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63)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고, 기기 2(4)의 CPU(66)는 ROM(67)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68)을 이용하여 동작시키며, 이하와 같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103)를 요구한다.
기기 2(4)의 파라미터(103)에는 대응하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 2(4)는 적외선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로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대응하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103)를 전송한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기기 2(4)로부터 대응하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기기 1(1)의 CPU(61)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설정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3)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적외선 인터페이스(101)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술된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파라미터(103)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통신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기기 2(4)의 CPU(66)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7)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2(4)의 CPU(66)는 통신 설정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7)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기 2(4)의 CPU(66)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적외선 인터페이스(102)에 의해 전송된 파라미터에 기술된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CPU(61)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행하여, 기기 1(1)의 CPU(61)는 로컬 네트워크의 접속 기기 2(4)와 IEEE802.11b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
도 11은 기기 1(1)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2) 및 기기 2(4)의 비접촉 IC 인터페이스(5)의 비접촉 IC 카드에 기술되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의 기술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accessPoint> 엘리먼트는, 그 안에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어, 타이틀이 로컬 네트워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1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802.11b> 엘리먼트는 기기 1(1)이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 2(4)와 IEEE802.11b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할 때에,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이 로컬 네트워크 상의 통신 그룹의 식별 번호로서 <e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0000, 및 전화선과 동등한 암호 설정·해독 키로서 <wep(wire equivalent privacy)key>sampl이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기기 1(1)은 이 파라미터(111)를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 2(4)와 IEEE802.11b 규격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 취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의 동작의 주체는 기기 1(1)의 CPU(61)이다.
도 13에서, 단계 S21에서, 로컬 네트워크의 위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를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2(4)에 대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103)를 요구한다. 기기 2(4)의 파라미터(103)에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단계 S22에서, 로컬 네트워크의 위기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를 수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2(4)는 적외선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로컬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기기 1(1)에 대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103)를 전송한다. 기기 1(1)의 CPU(61)는 적외선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기기 2(4)로부터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술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계 S23에서, 수취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IEEE802.11b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설정 수단을 통하여, IEEE802.11b 인터페이스(3)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적외선 인터페이스(81)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술된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접속을 위한 정보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단계 S24에서, 설정된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1(1)의 CPU(61)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2(4)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한다. 기기 1(1)의 CPU(61)는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2(4)와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2(4)가 대응하고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IEEE802.11b 인터페이스(7) 중, 기기 1(1)의 CPU(61)에 의해 시험 통신이 가능한 IEEE802.11b 인터페이스(3)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기기 2(4)와의 사이에서, 기기 1(1)의 CPU(61)는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외선 인터페이스 및 다른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음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종래는 IEEE802.11b 규격의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정보는 문자의 나열 등으로 알기 어려워, 그 때문에 입력 오류가 있어, 설정을 위한 동작이 번잡하여, 네트워크에 어느 정도의 지식을 필요로 하였지만, 이에 의해, 수작업으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의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기 위해서 그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나 조작법 등을 미리 학습할 필요가 없고,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기술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IEEE802.11b 규격의 통신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비접촉 IC 카드에 기술되는 정보가 적용되는 그 통신 규격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도록 변경되는 것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IEEE802.11에 의한 무선 LAN의 구성]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로 셀이 구성된다. 각각의 무선 단말 장치에는 IEEE802.11 형식의 고유의 ID 번호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가 공급되어 있다. 복수의 셀을 분산 네트워크로 접속하고, 그에 따라 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 장치의 집합을 확장 셀이라고 한다. 셀과 분산 네트워크는 집중 제어국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다른 IEEE802.11 규격의 LAN과의 통신은 접속 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IEEE802.11에 의한 무선 LAN의 프로토콜(통신 수순)의 계층 모델은 최하층의 물리층으로서는 직접 확산 방식(DS-SS), 주파수 호핑 방식(FH),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및 적외선(IR)의 사양이 규정되어 있다. 물리층의 상부에는 이들 4종류의 전송 매체에 대하여 동일한 액세스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전송 매체 흡수층을 갖는 액세스 제어층이 형성된다.
상술한 프로토콜 계층에서, 액세스 제어층은 분산 제어 및 집중 제어의 기능을 갖는다. 분산 제어의 주된 기능은 비동기 패킷 전송, 통신 제어, 시큐러티 등이다. 기본적인 액세스 제어 방식은 CSMA/CA를 이용한다. 데이터 전송의 수순은 RTS(request to send, 송신 요구), CTS(clear to send, 송신 가능), 데이터 전송, 그리고 ACK(acknowledgement, 송달 확인)이다. 집중 제어의 기능으로서는, 각 단말 장치의 송신 타이밍의 조정, 지연 시간 제한부 전송, 및 무선 단말 장치가 전지 동작인 경우를 고려한 전력 관리 등이 있다.
IEEE802.11에 의한 패킷 형식은 무선 헤더와 액세스 제어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무선 헤더는 프리앰블, 프레임 동기, 신호, 서비스, MAC 프레임 길이, 헤더 검사(CRC16)로 구성된다. 액세스 제어 패킷은 제어 패킷(RTS, CTS)과, 일반적인 액세스 제어층의 패킷으로 구성된다. 제어 패킷(RTS)은 프레임 제어, 매체 점유 시간, 수신처 어드레스, 발신 어드레스, 프레임 검사(CRC32)로 구성된다. 제어 패킷(CTS)은 프레임 제어, 매체 점유 시간, 수신처 어드레스, 프레임 검사(CRC32)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액세스 제어층의 패킷은 프레임 제어, 매체 점유 시간, 셀 ID, 수신처 어드레스, 발신 어드레스, 시퀀스 번호, 플래그먼트 번호, 어드레스, 정보 필드, 프레임 검사(CRC32)로 구성된다.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부]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마스터는, 블루투스(Bluetooth)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슬레이브와 접속되어 있다. 마스터는 일반적으로, Bluetooth 송수신부로서, Bluetooth 규격에 따른 무선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수신하여 송신하는 Bluetooth 규격에 따른 무선 전송 신호를 고주파 신호 처리하는 RF부와, 링크 확립이나 제어를 행하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를 행하는 기저 대역 컨트롤러부와, 데이터의 분할 및 조립, 흐름 제어 등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CPU와,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SRAM이나 사양에 따른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또한, 이 밖에도, 마스터는 호스트 컨트롤러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패스 제어부와, 각종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입력 조작을 행하는 버튼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Bluetooth 송수신부는 송수신에 이용된다. 또, 슬레이브도 마찬가지의 Bluetooth 송수신부를 갖고 있다.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서의 Bluetooth 규격에서는, 예를 들면 2.4㎓대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64kbps∼1M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 사이의 전송을 Bluetooth 규격, IEEE802.11b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전송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IEEE1394 규격의 무선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해도 된다.
이하, RF 태그 및 RF 리더에 대하여 설명한다.
[RF 태그의 구성]
RF 태그에 적용되는 무선 태그는 13.56㎒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태그와 RF 리더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6층 또는 7층 구조의 태그 1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다.
플라스틱재에는 안테나 인덕턴스를 형성하는 코일부가 형성되고, 코일부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컨덴서부와 접속되고, 또한 컨덴서부에 IC(집적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컨덴서부는 플라스틱재로 보강되고, 플라스틱재의 장치의 기체에 점착하는 한쪽의 면측에 양면 접착제가 박리지에 의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RF 태그를 장치의 기체에 점착할 때에는 이 박리지를 박리함으로써, 양면 접착제에 의해 RF 태그가 장치의 기체에 점착된다.
또한, 플라스틱재의 양면 접착제(5)가 점착된 면과는 반대측의 다른 쪽의 면, 즉 장치의 기체에 점착했을 때 표면이 되는 면에는, 플라스틱재에 양면 접착제가 도포되고, 또한 이 양면 접착제가 코트지에 의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코트지면 상이 기입면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RF 태그의 구조는, 전체적으로는 6층 구조, 부분적으로는 7층 구조로 되어 있다.
[RF 태그의 블록 다이어그램]
안테나는 후술하는 RF 리더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한 전파에 대응하는 신호를 동조 회로 및 전원 회로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조 회로는 안테나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RF 태그와 RF 리더와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증폭 회로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 후,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복조 회로는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통신 제어 회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전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CPU는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통신 제어 회로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 중, 기억해 둘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EEPROM은 CPU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변조 회로는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증폭 회로는 변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통신에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안테나는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를 전파에 의해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태그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RF 리더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여, 그것을 EEPROM에 기억시키는 경우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RF 리더로부터의 전파는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동조 회로에 공급된다. 동조 회로는 안테나로부터 공급된 신호 중,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만 추출하여, 증폭 회로에 공급한다. 증폭 회로는 동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 후, 복조 회로에 공급한다.
복조 회로는 증폭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여, 통신 제어 회로에 공급한다. 통신 제어 회로는, 이 경우 수신 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며, 복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디지털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CPU에 공급한다.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CPU에 공급된 데이터는, CPU에 의해 기억해 두어야 하는 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EEPR0M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안테나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는 전원 회로에도 공급된다. 여기서는 RF 리더로부터 송신되는 반송파와의 전자 결합에 의해, 에너지가 추출되어, 필요한 전력이 각 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RF 태그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RF 리더로부터의 데이터(커맨드)가 EEPROM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전송 요구인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는 통신 제어 회로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커맨드)를 수신하면, EEPROM으로부터,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데이터를 통신 제어 회로에 공급한다. 통신 제어 회로는 동작 모드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CPU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변조 회로에 공급한다.
변조 회로는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하여, 증폭 회로에 공급한다. 증폭 회로는 변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통신에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한다.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RF 리더의 블록 다이어그램]
안테나는 RF 태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RF 태그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소정의 반송파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RF 태그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조 회로는 안테나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RF 태그와 RF 리더와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증폭 회로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 후,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복조 회로는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고,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통신 제어 회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전환할 수 있음과 함께, 통신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CPU는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통신 제어 회로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를 적절하게, RAM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RAM은 CPU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변조 회로는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증폭 회로는 변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통신에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안테나는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를 전파에 의해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RF 리더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RF 태그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RF 태그로부터의 전파는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동조 회로에 공급된다. 동조 회로는 안테나로부터 공급된 신호 중,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만 추출하여, 증폭 회로에 공급한다. 증폭 회로는 동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 후, 복조 회로에 공급한다.
복조 회로는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통신 제어 회로에 공급한다. 통신 제어 회로는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복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CPU에 공급한다. CPU는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일단 RAM에 기억시킨다. 그 후, 통신선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외부 회로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요구가 발생하여, RF 리더로부터 RF 태그에 대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경우, 필요에 따라, 통신선을 통하여, 외부 회로로부터 CPU에 대하여, RF 태그에 기억시키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전송된다. CPU는 통신선을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 또는 RAM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신 제어 회로에 공급한다.
통신 제어 회로는 CPU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변조 회로에 공급한다. 변조 회로는 통신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하여, 증폭 회로에 공급한다. 증폭 회로는 변조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통신에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는 RF 태그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EEPROM에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RF 태그와 RF 리더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상호 전자 유도 결합의 설명]
RF 태그의 안테나가 코일로 구성되고, RF 리더의 안테나가 코일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RF 태그의 코일과 RF 리더의 코일은, 상호 전자 유도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RF 태그에 있어서는 코일로 직렬로 다이오드가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에는 또한 저항과 컨덴서가 코일과 공진 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공진 회로에 의해, 동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컨덴서에는 저항과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직렬 회로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FET의 게이트는 게이트 시퀀서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이오드의 일단은 또한, 컨덴서를 통하여 게이트 시퀀서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전원 회로에도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리더 라이터측에서는, 코일에 발진 회로와 복조 회로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본 구성예에서는, RF 태그측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발진 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데이터의 전송은 게이트 시퀀서가 FET의 임피던스를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화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코일의 양단으로부터, FET측을 향한 임피던스가 변화하고, 그 결과, 유도 결합하고 있는 RF 리더의 코일의 임피던스도 변화한다. 복조 회로는 이 코일의 양단의 전류 및 전압의 변동을 검출하여, RF 리더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한다.
RF 리더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대하여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 변화가 RF 리더의 코일로부터 RF 태그의 코일에 유도 결합에 의해 전달되어, 그 신호가 컨덴서를 통하여 게이트 시퀀서에 입력된다. 게이트 시퀀서는, 이에 따라 RF 리더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F 태그와 RF 리더와의 통신에는 전자 유도 및 상호 인덕턴스 결합의 원리가 이용되지만, 이것은 RF 태그에의 전력 공급 방법으로서 전자 유도에 의한 유도 전류가 RF 태그의 코일부에 유기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사용 상태의 설명]
상술한 RF 태그를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하고,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RF 리더 내의 IC에 대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지는 상태를 설명한다. RF 태그가 장착된 네트워크 내에서 임의의 프로토콜 및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에, RF 리더가 장착된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가 네트워크 내에서 근접하면,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RF 리더가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RF 태그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가 기술된 프로토콜 일람을 취득한다.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는 프로토콜 일람에 기술된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여, 시험 통신이 가능하다고 확인된 프로토콜로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는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적외선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irDA 통신 시스템]
irDA 통신 시스템은 적외선 인터페이스에 이용하는 것이다. irDA 표준 규격은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한 irDA Data 규격과,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가전 제품 등의 제어를 목적으로 한 irDA Control 규격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irDA Data 규격은 인접하는 정보 기기 사이의 1대1의 데이터 통신을 대상으로 한 규격이다. irDA Data 규격은 이들 기기 사이의 직렬·병렬 케이블을 쌍방향 적외선 통신으로 치환함으로써, 1m 정도의 짧은 통신 거리에서의 간단한 무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irDA Data 규격은 적외선 송수신부의 물리적인 사양이나 변복조 방식 등의 통신의 기본 부분을 규정한 물리층 규격, 기기 사이에서 투과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통신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링크층 규격, 그리고 여러가지의 응용을 실현하는 상위층 규격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몇 개의 통신 규약은, 데이터 링크층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irDA Data 규격의 데이터 링크층의 프로토콜에는 irLAP(infrared link access protocol)와 irLMP(infrared link management protocol)가 있으며, 이들 프로토콜의 실장이 필수적이다.
irLAP는 상대국의 발견, 반이중 불평형 통신(한쪽이 모국, 다른 쪽이 자국이 되어, 모국이 송신권을 제어하는 방식)의 제어, 통신 장해의 검출과 회복 수순, 양국 사이의 최적 통신 속도의 결정 수순, 통신 패킷 길이 등, 중요한 통신 제어의 대부분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irLMP은 확립한 1개의 전송로로, 상위층에 대하여 복수의 데이터 커넥션을 제공하는 다중 기능이나, 양국의 서비스 기능의 조회 방법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irDA Control 규격은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 퍼스널 컴퓨터 입력 주변 기기의 무선화나, 텔레비전 수상기나 비디오 레코더 등의 가전 제품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에 맞는 리모트 커맨더의 고기능화를 대상으로 한 규격으로, 기기의 제어나 소량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rDA Control 규격은 쌍방향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리모트 커맨더와 같은 장거리, 광범위한 통신 영역에서, 1대로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가전 제품에 복수대의 입출력 장치의 접속을 실현한다. irDA Data 규격과 irDA Control 규격의 통신 방식은 전혀 호환성이 없어, 상호 통신은 할 수 없다.
irDA Control 규격도, 적외선 송수신부의 물리적인 사양이나 변복조 방식 등의 통신의 기본 부분을 규정한 물리층 규격과, 1대N의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링크층 규격으로 구성된다.
irDA Control 시스템은 1대의 호스트와, 복수대의 주변 장치(최대 8대)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는 호스트로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 퍼스널 컴퓨터 입력 주변 기기는 주변 장치로서 동작한다.
irDA Control 규격의 데이터 링크층은 이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가 복수대의 주변 장치와 동시에 적외선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호스트는 각 주변 장치에 대하여 폴링을 행하여, 주변 장치의 통신을 제어한다. 각 주변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폴 패킷을 수신했을 때에만, 그 응답으로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허가된다.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장치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프로토콜을 기동하는 구조를 준비함으로써, 프로토콜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으며, 기기가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때, 그 우선 순위를 기술해 둠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프로토콜의 종류만을 기술하면 되므로,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세밀한 규약은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어,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및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정보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정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된 프로토콜 중의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정보는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 가능하므로,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단계와,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단계와,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단계와, 인터페이스 단계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단계와, 시험 통신 단계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계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프로토콜을 기동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프로토콜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어, 기기가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때, 그 우선 순위를 기술해 둠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프로토콜의 종류만을 기술하면 되므로,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세밀한 규약은 각각의 프로토콜에 맡길 수 있어,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및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정보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정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된 프로토콜 중의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정보는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 가능하므로,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송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 수단과,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프로토콜을 기동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프로토콜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어, 기기가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때, 그 우선 순위를 기술해 둠으로써, 최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프로토콜의 종류만을 기술하면 되므로, 각각의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세밀한 규약은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어,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 기기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및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신호를 출력하는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상기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2개 이상의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상기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4.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단계와,
    상기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2개 이상의 인터페이스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를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단계와,
    상기 시험 통신 단계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순서대로 접속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7. 네트워크 내의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에 송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을 행함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 내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에 수신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요구하는 프로토콜 요구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토콜 취득 수단과,
    상기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2개 이상의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시험 통신을 행하는 시험 통신 수단과,
    상기 시험 통신 수단에 의한 시험 통신이 가능했을 때에, 프로토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내의 소정 통신 에리어 내의 송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 수단과,
    상기 송신 신호 처리 및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는 2개 이상의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토콜 정보의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KR20047005537A 2001-10-16 2002-10-16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KR10100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8419 2001-10-16
JP2001318419 2001-10-16
JPJP-P-2002-00273812 2002-09-19
JP2002273812A JP2003198568A (ja) 2001-10-16 2002-09-19 送受信装置、送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963A Division KR101191607B1 (ko) 2001-10-16 2002-10-16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61A true KR20050036861A (ko) 2005-04-20
KR101007496B1 KR101007496B1 (ko) 2011-01-12

Family

ID=266239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05537A KR101007496B1 (ko) 2001-10-16 2002-10-16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KR1020097014963A KR101191607B1 (ko) 2001-10-16 2002-10-16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963A KR101191607B1 (ko) 2001-10-16 2002-10-16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68399B2 (ko)
EP (2) EP1445908B1 (ko)
JP (1) JP2003198568A (ko)
KR (2) KR101007496B1 (ko)
CN (2) CN101692741A (ko)
WO (1) WO20030346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42B1 (ko) * 2007-09-14 2009-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슬레이브 기기의 통신 프로토콜 설정방법
KR100978819B1 (ko) * 2005-12-23 2010-08-3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발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4230B2 (en) 2002-11-25 2009-12-15 Fujitsu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portable, wireless and multi-hop data networking
US20050152305A1 (en) 2002-11-25 2005-07-14 Fujitsu Limite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self-organizing multi-hop wireless access networks
JP3801996B2 (ja) * 2003-02-14 2006-07-26 株式会社東芝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利用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利用方法、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利用プログラム
JP4092692B2 (ja)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487224A1 (en) * 2003-06-11 2004-12-15 Sony France S.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US7451198B2 (en) * 2003-08-29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WAP XML extension for WiFi and desktop passthrough connections
JP4578917B2 (ja) * 2003-10-03 2010-11-10 富士通株式会社 自己組織化マルチホップ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用の装置、方法及び媒体
US7657612B2 (en) * 2004-01-07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XML schema for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US20050198221A1 (en) * 2004-01-07 2005-09-08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ing an ad hoc wireless network using a portable media device
US7546357B2 (en) 2004-01-07 2009-06-09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ing network settings using portable storage media
EP1560385B1 (en) * 2004-02-02 2010-04-14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 multi-standard network
US7243157B2 (en) * 2004-02-20 2007-07-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protocol construction
JP4042723B2 (ja) * 2004-06-01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4660180B2 (ja) * 2004-12-15 2011-03-30 テックファー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読み書き装置、読み書き方法、及び読み書きプログラム
JP4241681B2 (ja) * 2005-07-05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60430A (ja) * 2005-08-25 2007-03-08 Ntt Docomo Inc 赤外線通信装置及び赤外線通信方法
JP2007074598A (ja) * 2005-09-09 2007-03-22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80022097A1 (en) * 2006-06-15 2008-01-24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email
JP2008098893A (ja) * 2006-10-11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946429B2 (ja) * 2006-12-27 2012-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09550B2 (ja) 2008-08-20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47403B2 (ja) * 2008-09-22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P2299656A1 (en) * 2009-09-21 2011-03-23 Alcatel Lucent A method, a system, a device, a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ng a network de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1625930B1 (ko) * 2009-10-30 2016-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US11295603B2 (en) 2011-10-28 2022-04-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10937308B2 (en) 2011-10-28 2021-03-0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9215394B2 (en) * 2011-10-28 2015-12-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9449500B2 (en) 2012-08-08 2016-09-2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10593195B2 (en) 2011-10-28 2020-03-17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JP2015516728A (ja) * 2012-03-23 2015-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JP6019881B2 (ja) * 2012-07-25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JP5945961B2 (ja) 2012-12-26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332768B2 (ja) * 2013-03-18 2018-05-30 華為終端(東莞)有限公司 Nfcデバイスのための通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のnfcデバイス
JP2015060278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機器管理方法
JP6220211B2 (ja) * 2013-10-01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7241B2 (ja) * 2013-12-24 2017-08-3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252172B2 (ja) 2013-12-27 2017-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6465438A (zh) * 2014-01-30 2017-02-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支持国家安全通信和公共安全通信的装置的预配置
JP5815064B2 (ja) * 2014-03-27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x線センサ、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953314A1 (en) * 2014-06-06 2015-12-09 Alcatel Lucent Method, network de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US10477372B2 (en) * 2014-12-24 2019-11-12 Abb Schweiz Ag Inter-operable remote terminal unit
CN104618793B (zh) * 2015-02-28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881981A (zh) * 2015-05-04 2015-09-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按键指令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JP2015228711A (ja) * 2015-09-24 2015-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57739B (zh) * 2016-01-29 2019-03-22 深圳市极致汇仪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综测仪蓝牙信号帧同步检测方法
US11151856B2 (en) * 2016-11-29 2021-10-19 Jerry M. Miniard Distributed security system using position tracking
US20200204392A1 (en) * 2018-12-20 2020-06-25 Ming-Tsung Ch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10574303B1 (en) * 2018-12-28 2020-02-25 Nxp B.V. System and method to test and calibrate card-detection using active tag emulation
WO2020167216A1 (en) * 2019-02-14 2020-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apability information
TWI770855B (zh) * 2021-03-04 2022-07-11 凌華科技股份有限公司 裝置測試排序方法、裝置組態生成方法及其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5832C (en) * 1989-04-21 1995-06-06 Wing-Man Chan Remote test access system for isdn testing
JP2930257B2 (ja) * 1991-04-22 1999-08-03 株式会社東芝 携帯可能電子装置
US5546211A (en) * 1995-06-13 1996-08-1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rotocol infrared data transmission
JP3630971B2 (ja) 1997-02-14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EP0859323B1 (en) 1997-02-14 2007-03-21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223028B1 (en) * 1997-03-17 2001-04-24 Nortel Networks Ltd Enhanced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a mobile telephone over the air within a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US6128490A (en) * 1997-05-08 2000-10-03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selection of operation from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multiple protocol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H11164357A (ja) * 1997-11-26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003323A (ja) * 1998-06-15 2000-01-07 Toshiba Corp 通信速度等が自動設定されるデータ通信装置とこのデータ通信方法
US6101398A (en) * 1998-08-26 2000-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supporting data/fax connection with a dual mode mobile telephone
US6990082B1 (en) * 1999-11-08 2006-01-24 Intel Corporation Wireless apparatus having a transceiver equipped to support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US6539030B1 (en) * 2000-02-07 2003-03-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figurable layers and protoco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19B1 (ko) * 2005-12-23 2010-08-3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발명
US8134949B2 (en) 2005-12-23 2012-03-13 Nokia Corporation Efficient use of the radio spectrum
KR100917542B1 (ko) * 2007-09-14 2009-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슬레이브 기기의 통신 프로토콜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4686A1 (fr) 2003-04-24
KR101007496B1 (ko) 2011-01-12
EP2228966A2 (en) 2010-09-15
EP2228966A3 (en) 2010-12-15
CN101692741A (zh) 2010-04-07
JP2003198568A (ja) 2003-07-11
EP1445908A1 (en) 2004-08-11
US20040252715A1 (en) 2004-12-16
CN1593049A (zh) 2005-03-09
EP1445908A4 (en) 2008-11-26
US6968399B2 (en) 2005-11-22
CN100571251C (zh) 2009-12-16
EP1445908B1 (en) 2011-12-14
EP2228966B1 (en) 2015-05-27
KR20090092838A (ko) 2009-09-01
KR101191607B1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496B1 (ko)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US997410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US774721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RE48425E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ower save control for tethering connections
US8462734B2 (e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US7356347B1 (en) Efficient discovery of devices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8095071B2 (en) Method for pair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7715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6950645B1 (en) Power-conserving intuitive device discovery technique in a bluetooth environment
CN101884178B (zh) 用于在近场通信网络中的通信的方法和系统
KR100389820B1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간 링크 설정방법
EP1584163B1 (en)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over a first communication channel
KR100684031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 데이터통신단말기 및 데이터통신방법
US20040085941A1 (en)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 system
Kaur Survey Paper on Bluetooth and Its Applications
KR20120092769A (ko) 이종 네트워크간 프로토콜 변환기 및 이를 구비한 개인단말기
Mäkelä Use of Bluetooth in automation technology
Song et al. The Study abou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18

Effective date: 201010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