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062A -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062A
KR20050036062A KR1020030071607A KR20030071607A KR20050036062A KR 20050036062 A KR20050036062 A KR 20050036062A KR 1020030071607 A KR1020030071607 A KR 1020030071607A KR 20030071607 A KR20030071607 A KR 20030071607A KR 20050036062 A KR20050036062 A KR 2005003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ata
signal
digital
earphon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경
황규웅
박삼육
오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3007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062A/ko
Publication of KR2005003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외부 디지털장치를 하나의 연결장치로 간단히 연결함에 따라 통신용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이어폰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제작사의 모든 휴대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디지털장치와 휴대폰을 연결하여 상호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와, 휴대폰의 폰북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이어폰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DATA TRANSFERRING APPARATUS USING EAR-PHONE JACK OF MOBI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외부 디지털장치를 하나의 연결장치로 간단히 연결함에 따라 통신용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제작사의 모든 휴대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어느 장소에서든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으로서 그 사용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을 차내에서 한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통화를 하면서 반대측 한 손으로 운전을 하였을 경우에 운전을 완전히 실시할 수 없게 하여 사고의 위험이 증가되어 교통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됨에 따라, 휴대폰의 운전중 사용에 대해서 운전자가 한 손으로 직접 휴대폰을 들고 통화하는 것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에 의하여, 휴대폰을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들지 않고 두 손으로 운전을 실시하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외부 디지털장치가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외부 디지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지털장치(1)와 휴대폰(2)을 연결하는 케이블로는 외부 디지털장치(1)와 휴대폰(2) 사이에서 이어폰잭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상호 전달하게 되는 아날로그 통신용 케이블(3)과 외부 디지털장치(1)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휴대폰(2)으로 전달하는 디지털 데이터 케이블(4)이 각각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외부 디지털장치들은 전화번호 입력이나 단축키 조작을 위해 핸드폰 버튼을 손으로 조작해주어야 하므로 운전 중 전화걸기에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음성으로 전화번호나 이름을 말하여 원하는 상대의 전화번호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선보였으며, 이중 이름을 말하면 이를 인식하여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연결해주는 방식(name dialing)이 인식률 측면에서 유리하여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름과 이에 해당되는 전화번호(폰북 데이터)를 음성인식 외부 디지털장치에 입력해 주는 수단이 필요한데 가장 편리한 방법은 핸드폰에 입력되어 있는 폰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음성인식 외부 디지털장치로 내려받는 방법이다.
그러나, 휴대폰의 데이터 케이블은 제조사마다 그 형태가 다르고 통신 프로토콜도 다르기 때문에 외부 디지털장치를 제조사 별, 모델 별로 맞추어 제작해야 하고, 휴대폰이 교체되는 경우 외부 디지털장치도 같이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과 외부 디지털장치 간에 이어폰잭을 이용한 아날로그 통신용 케이블을 통해 통신용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제작사의 모든 휴대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외부 디지털장치와 휴대폰 간에 음향신호와, 외부 디지털장치 폰북 등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는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을 착탈시키는 외부 디지털장치 잭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 잭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복조기, 상기 복조기에서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변조기, 상기 변조기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은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을 착탈시키는 이어폰 잭과, 상기 이어폰 잭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복조기, 상기 복조기에 의해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변조기, 상기 변조기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에 내장된 이어폰 잭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외부 디지털장치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휴대폰의 폰북 데이터 및 그 변경여부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로의 전송 이상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폰에 상호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처리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제 사용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디지털장치(100), 휴대폰(200) 및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 등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외부 디지털장치(100)와 휴대폰(200)을 연결하여 상호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는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착탈시키는 외부 디지털장치 잭(140)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 잭(140)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130)와, 상기 A/D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복조기(150), 상기 복조기(150)에서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110)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11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변조기(151), 상기 변조기(151)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200)은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착탈시키는 이어폰 잭(240)과, 상기 이어폰 잭(240)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230)와, 상기 A/D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복조기(250), 상기 복조기(250)에 의해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210)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21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변조기(251), 상기 변조기(251)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0)에 내장된 이어폰 잭(240)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외부 디지털장치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휴대폰(200)의 폰북 데이터 및 그 변경여부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로의 전송 이상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폰(200)에 상호 전송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통하여 외부 디지털장치(100)와 휴대폰(200)을 연결하여 아날로그 음향신호와 폰북 등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와 휴대폰(200)으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종전과 같이 아날로그 음향신호가 그대로 전달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신호는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통하여 전송되고, 다시 디지털 데이터신호로의 변환 및 복조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휴대폰(200)의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21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변조기(251)에서 변조시킨 후, 휴대폰(200)의 D/A 변환부(220)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이어폰 잭(240)에 연결된 일체형 이어폰 케이블(400)을 통하여 외부 디지털장치(100)에 전송시킨다.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에서는 외부 디지털장치 잭(140)을 통하여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은 후 A/D 변환부(1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복조기(150)에서 복조시키고,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110)는 상기 복조기(15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폰(200)의 폰북 데이터 및 그 변경여부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로의 전송 이상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폰(200)에 상호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200)과 외부 디지털장치(100)를 하나의 연결장치로 간단히 연결함에 따라 통신용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제작사의 모든 휴대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하면, 휴대폰과 외부 디지털장치를 하나의 연결장치로 간단히 연결함에 따라 통신용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제작사의 모든 휴대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부 디지털장치(핸즈프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처리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제 사용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 디지털장치(핸즈프리) 110 :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
120 : D/A 변환부 130 : A/D 변환부
140 : 외부 디지털장치(핸즈프리)잭 150 : 복조기
151 : 변조기 200 : 휴대폰
210 :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 220 : D/A 변환부
230 : A/D 변환부 240 : 이어폰 잭
250 : 복조기 251 : 변조기
400 :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

Claims (4)

  1. 외부 디지털장치(100)와 휴대폰(200)을 연결하여 상호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와, 휴대폰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는
    핸즈프리 및 텔레메틱스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는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착탈시키는 외부 디지털장치 잭(140)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 잭(140)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130)와, 상기 A/D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150)와, 상기 복조기(150)에서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110)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11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변조기(151), 상기 변조기(151)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200)은
    상기 이어폰 잭용 아날로그 통신 케이블(400)을 착탈시키는 이어폰 잭(240)과, 상기 이어폰 잭(240)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230)와, 상기 A/D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조기(250)와, 상기 복조기(250)에 의해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210)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21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변조기(251)와, 상기 변조기(251)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200)에 내장된 이어폰 잭(240)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의한 외부 디지털장치 또는 텔레메틱스 단말기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휴대폰(200)의 폰북 데이터 및 그 변경여부를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지털장치(100)로의 전송 이상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폰(200)에 상호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030071607A 2003-10-15 2003-10-15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20050036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07A KR20050036062A (ko) 2003-10-15 2003-10-15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07A KR20050036062A (ko) 2003-10-15 2003-10-15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62A true KR20050036062A (ko) 2005-04-20

Family

ID=3723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607A KR20050036062A (ko) 2003-10-15 2003-10-15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0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76A (ko) * 2014-12-31 2016-07-12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잭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및 제어 신호 동시 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76A (ko) * 2014-12-31 2016-07-12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잭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및 제어 신호 동시 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65867A3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r mounted electronic device
KR100664095B1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무선 핸드셋 사용방법
KR20020046102A (ko)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50036062A (ko) 휴대폰의 이어폰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JP4434107B2 (ja) 宅内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加入者宅内装置
CN101127539A (zh) 蓝牙网络电话及其无线装置
CN107343086A (zh) 一种多模设备的通信方法、多模装置及通信终端
KR100377637B1 (ko) 컴퓨터 및 전화 무선 통합 시스템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CN2894101Y (zh) 蓝牙免提装置
JPH05110718A (ja) モデム
JPH08994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インターフェイス
KR200221221Y1 (ko) 컴퓨터 및 전화 무선 통합 시스템
JP2002158764A (ja) 自動車電話装置
JP2004147266A (ja) 電話機用ブルートゥースアダプタ
JP3104614B2 (ja) Phsを採用した簡易リピータ
KR20010002909A (ko)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20071538A (ko) 퍼스널컴퓨터와 유무선 전화기의 연동장치
KR200368356Y1 (ko)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4120126A (ja) Bluetooth音声通信装置
JP2003174501A (ja) 携帯型電話端末用通話装置
JPH07154496A (ja) 無線通信機能付き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