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909A -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909A
KR20010002909A KR1019990022972A KR19990022972A KR20010002909A KR 20010002909 A KR20010002909 A KR 20010002909A KR 1019990022972 A KR1019990022972 A KR 1019990022972A KR 19990022972 A KR19990022972 A KR 19990022972A KR 20010002909 A KR20010002909 A KR 2001000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ata
auxiliary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336B1 (ko
Inventor
한기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2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3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이 가능한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착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보조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보조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선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하고, 클립을 부착하여 사람의 몸에 클립을 고정시키면, 상황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가방이나 핸드백등에 넣고도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uxiliary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사용비용이 저렴해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도 고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품질도 향상되고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다른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부,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display)와, 키 패드를 보호하기 위한 플립(flip),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사양으로 통화시 다른 사람에게 통화내용이 들리지 않도록 할 때 사용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과, 차량운전시 사용하는 핸즈프리 키트(kit),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Cable)로서 예를 들면 리셉터클(Receptacle)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통화 방법 그중에서도 발신 방법은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의 숫자를 조작하면 표시부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올바르가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통화 키(Send)를 누르면 상대방에게 호가 전달된다. 상대방과 호가 연결되면 이동 단말기에 구성된 음성 입출력부인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에 구성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 연결부에 마이크 겸용 이어폰을 연결한 다음 통화하는 방법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이동중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1)와, 이동 단말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데이터를 컴퓨터등 외부의 다른 장치와 송수신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와, 상기 이동 단말기(1)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1)와 리모콘(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3) 및 이어폰 케이블(4)과, 이어폰 케이블(4)을 통해 이동 단말기(1)와 연결되며, 통화시 음량 조절이 가능한 리모콘(5)과, 상기 리모콘(5)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이어폰 케이블(4)을 통해 이동 단말기(1)의 이어폰 연결부(3)로 입력시키는 마이크(6)와, 상기 리모콘(5)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을 출력시키는 이어폰(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패드 및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LCD ; Liquid Crystal Display)가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 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전화가 오면 플립을 열거나 복수개의 키 패드중 아무 키 패드를 누르면 통화 가능 상태가 되고, 발신 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방법은 목적하는 키 패드를 누른 후 통화 키(send)를 누르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을 통해 착신 측과 호가 설정되면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의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의 키 패드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표시부에 메시지 내용이 표시(display)되므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면서 계속해서 메시지를 입력하고 메시지 입력이 끝나면 목적지 전화 번호를 입력한 다음 통화 키를 누르면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이동 단말기를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는 경우나, 지하철이나 버스 등 사람이 많은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바지 주머니 등에 있을 경우 이동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이어폰을 통해 상대방과 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통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임의의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를 가방에서 꺼내거나 주머니에서 꺼내야 하므로 착신측 전화번호를 조작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에도 가방이나 바지 등에서 이동 단말기를 꺼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확인이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이 가능한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착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보조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보조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선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 패드와, 상기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도 발신측이나 착신측과 호의 설정이 가능하고, 메시지 역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잭 및 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는 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단말기 11 : 데이터 송수신부
12 : 데이터 송수신 잭 13 : 통신 회선
20 : 리모콘 21 : 표시부
22 : 마이크 23 : 키 패드
24, 25 : 음량 조절부 26 : 리모콘 클립
27 : 이어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키 패드 및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LCD)가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이동 통신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10)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와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신호세기 상태 배터리 상태 메시지 수신 상태나, 상대방에게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전화번호를 표시하는등 여러 가지를 표시하는 액정(LCD) 표시부(21),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로 착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키 패드(23),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27),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22)로 구성된 리모콘(20)과,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상기 리모콘(20)간에 여러 가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선(13)으로 구성된다. 이때, 미설명 부호 12는 이동 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부(11)와 통신회선(13)을 연결시켜주는 데이터 송수신 잭이고, 24, 25는 리모콘(20)에서 통화중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부이며, 26은 리모콘(20)을 이동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옷이나 임의의 위치에 적절히 고정시키는 리모콘 클립이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 잭(12) 및 통신 회선(13)은 각각 이동 단말기(10)와 리모콘(20)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이어폰(27) 역시 리모콘(2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27) 대신에 리모콘(20) 자체에 고성능의 소형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면 핸즈프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10)에 있어서는 리모콘(20)에 액정 표시부(21), 마이크(22), 키 패드(23)가 구성되고 또한 이어폰(27)이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회선(13)과 데이터 송수신 잭(1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와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10)의 키 패드를 조작하지 않고, 리모콘(20)에 부착된 키 패드(23)를 이용하여 착신측으로 호를 발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의 액정 표시부를 이용하여 확인하지 않고 리모콘(20)의 액정 표시부(21)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조 단말기의 역할을 한다. 또한, 액정 표시부(21)에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대기 상태에서는 액정 표시부(21)에 현재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해 시계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잭 및 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는 장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잭 및 핀과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와 리모콘(20)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회선(13)과, 이동 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부(11)와 통신 회선(13)을 연결하는 데이터 송수신 잭(12),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 잭(1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 전원을 리모콘(20)으로 공급하고, 이동 단말기(10)와 리모콘(20)간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펄스 코드 변조(PCM)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복수개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으로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10) 사용자가 리모콘(20)을 이용해 임의의 착신측 단말로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 리모콘(20)의 키 패드(23)중 임의의 숫자 키 패드를 연속적으로 누르면 복수개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을 통해 해당 키 패드에 해당하는 직렬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부(11)로 전송되고, 전송된 직렬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의 이동국 모뎀(MSM : Mobile Station Modem)에 의해 번호가 차례로 인식되어, 이동국 모뎀에서 데이터 송수신 핀(12a)중 다른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을 이용해 리모콘(20)으로 사용자가 누른 임의의 숫자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리모콘(20)을 이용해 이동 단말기(10)를 억세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10)와 리모콘(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직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각 제 1, 제 2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31)(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41)는 리모콘(20)의 마이콤(42)에서 제어한다.
그리고, 리모콘(20)에서의 착신측 단말로의 호 발신으로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착신측 단말과 호가 설정되거나, 이동 단말기(10)에 착신된 호가 리모콘(20)을 통해 발신측과 호가 설정되면 상대방 단말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송수신 핀(12a)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을 통해 펄스부호변조(PCM) 데이터로 리모콘(20)으로 전송된다. 이때, 다른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인 펄스부호변조 클럭 단자로 기준 클럭이 전송되고 이와 동시에 다른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의 펄스부호변조 동기를 맞춰 리모콘(20)내에 내장된 음성 코덱(Audio Codec(coder/decoder))(도시하지 않음)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음성 변환 처리하여 이어폰(27)을 통해 리모콘(20)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의 송신은 리모콘(20)의 마이크(22)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리모콘(20)내의 음성 코덱에서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펄스부호변조하여 디지털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핀(12a)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전송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마이콤(42)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 UART) 기능을 갖는 8비트 마이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마이콤(42)은 리모콘(20)에서 조작되는 모든 키 패드(23)의 동작을 스캔하여 제 2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41)를 통해 제 1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31)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의 제 1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31)를 통해 제 2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41)로 전송되는 데이터 역시 마이콤(42)에서 인식하여 이를 리모콘(20)의 표시부(21)에서 표시(display)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음량 조절부(24,25)를 통해 음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 단말기(휴대폰)를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넣고도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으며 액정 표시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수신 신호 세기, 배터리 잔량, 메시지 수신 여부등 다양한 상태를 알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핸즈프리 키트를 구입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보조 단말기를 옷에 부착하여 통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전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착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보조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보조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 패드와, 상기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말기는 상기 송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말기의 일측에는 고정 클립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보조 단말기는 각각 제 1, 제 2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장치(UART)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9990022972A 1999-06-18 1999-06-18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100339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72A KR100339336B1 (ko) 1999-06-18 1999-06-18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72A KR100339336B1 (ko) 1999-06-18 1999-06-18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09A true KR20010002909A (ko) 2001-01-15
KR100339336B1 KR100339336B1 (ko) 2002-06-03

Family

ID=1959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972A KR100339336B1 (ko) 1999-06-18 1999-06-18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3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345A (ko) * 2000-06-28 2002-01-09 윤종용 수신감도 표시방법
KR20020014158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키패드가 있는 유/무선 해드셋 장치
KR100392063B1 (ko) * 1999-06-18 2003-07-22 주식회사 플로텍엔지니어링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321Y1 (ko) * 1993-05-04 1999-06-01 안정오 착탈식 무선 단말기를 갖는 휴대폰
JPH07222241A (ja) * 1994-01-28 1995-08-18 Sony Corp 携帯用電話機
JPH1174951A (ja) * 1997-06-27 1999-03-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KR100247199B1 (ko) * 1997-11-06 2000-10-02 윤종용 이동통신전화기장치및통화방법
KR100266275B1 (ko) * 1998-07-04 2000-09-15 정문식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63B1 (ko) * 1999-06-18 2003-07-22 주식회사 플로텍엔지니어링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20001345A (ko) * 2000-06-28 2002-01-09 윤종용 수신감도 표시방법
KR20020014158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키패드가 있는 유/무선 해드셋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336B1 (ko)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5955A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JPH09321848A (ja) 携帯通信機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20010092042A (ko)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00024291A (ko)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3004855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940017282A (ko) 키패드분리형 휴대폰 및 그것의 통화방법
JP2000049927A (ja)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1003978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62157B1 (ko) 기지국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
KR20020224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30040728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30065046A (ko) 분리형 휴대 전화 단말기
KR200600951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20080002701A (ko) 핫키를 갖는 유/무선 이어폰
KR20030056437A (ko) 통신단말기의 무선키보드
KR200000209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제어장치
JPH04369147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098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