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042A -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042A
KR20010092042A KR1020000013945A KR20000013945A KR20010092042A KR 20010092042 A KR20010092042 A KR 20010092042A KR 1020000013945 A KR1020000013945 A KR 1020000013945A KR 20000013945 A KR20000013945 A KR 20000013945A KR 20010092042 A KR20010092042 A KR 2001009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all
information
tele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유창진
최창호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1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2042A/ko
Publication of KR2001009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과 이동 전화 단말기사이에 다이얼패드가 부착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 전화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동 전화 단말기(핸드폰)에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 리모콘에 다이얼 패드를 구비하여 발신 통화 및 전화 통화 종료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전화 단말기는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 수신 통화 정보를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고,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한 정보들을 표시기에 표시하고, 상대방의 음성은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사용자 음성은 이어폰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 통화시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MOBLE PHONE BY USING EARPHONE REMOTE CONTRLLOR}
본 발명은 이동 전화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에 다이얼패드가 부착된 이어폰 리모트 컨트롤러(Remotecontroller)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이동 전화 통화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이 대부분 소유하고 있는 이동 전화 단말기 예컨대, 핸드폰의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자가 핸드폰상의 소정 버튼을 누르거나 핸드폰을 오픈시켜 통화를 하기 때문에 핸드폰이 주머니에 있거나 또는 가방에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경우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전중인 경우에는 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핸드폰에 이어폰을 접속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자는 이어폰만을 귀에 꽂은 채 전화 통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운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로 하였다.
이 때, 상기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이동 통화를 시도함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신 통화를 시도할 때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할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편리함을 얻을 수 있으나, 상대방으로 발신 통화를 시도할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을 오픈시켜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발신 통화를 시도해야만 하기 때문에 핸드폰이 주머니에 있거나 가방에 있는 경우 직접 꺼내서 전화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 버튼 및 특수 버튼, 통화/종료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다이얼 패드가 부착된 이어폰 리모콘을 핸드폰에 접속시킴으로써, 이동 전화 통화 연결시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 전화 단말기(핸드폰)에 접속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에 다이얼 패드를 구비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이동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리모콘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다이얼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발신 통화 정보 및 전화 통화 종료 정보를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 상기 제 1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수단;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제 1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발신 통화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화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화 통화 종료 정보가 전송되면 전화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제어 수단; 상기 제 2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상대측 가입자로 출력시키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접속되는 이어폰에 다이얼 패드 및 표시기가 구비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다이얼 패드로부터 발신 통화를 위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발신 통화 정보를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로의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와 전화 연결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부터 종료 버튼 정보가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면 전화 연결을종료하고 전화 연결 종료 상태 정보를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과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어폰 리모콘 200 : 이동 전화 단말기
110, 210 : 키패드 120, 220 : 표시부
130, 230 : 제어부 140 : 이어폰
150, 280 : 마이크 240 : 메모리
250 : RF 모듈 260 : 오디오 처리부
270 : 스피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과 이동 전화 단말기 즉, 핸드폰 본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는 이어폰(10)과, 발신 통화 및 수신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숫자 버튼, 특수 버튼, 통화/종료 버튼의 다이얼 패드 및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를 구비한 이어폰 리모콘(20), 이어폰(10)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30) 및 이어폰 리모콘(20)에 접속되어 이어폰 리모콘(20)의 입력에 따라 이동 전화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40)로 이루어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리모콘을 통하여 이동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이어폰 리모콘(100)은 키패드(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이어폰(140) 및 마이크(150)로 구성되고, 이동 전화 단말기(200)는 키패드(210) 표시부(220), 제어부(230), 메모리(240), RF(Radio Frequency)모듈(250), 오디오 처리부(260), 스피커(270) 및 마이크(28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통화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폰 리모콘(100)의 키패드(110)는 0∼9까지의 숫자 버튼 그리고 * 및 # 버튼, 통화/종료 버튼 등의 전화 통화를 위한 입력 버튼 또는 ARS 관련 서비스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키패드(1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신호를 데이터 통신 케이블인 직렬(Serial) 또는 병렬(Parrell) 케이블을 통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 전송하고, 또한 제어부(130)는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부터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또는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이 때, 표시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LCD로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및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어폰(140)은 전화 통화시,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오디오 처리부(260)에 의해 처리되어 전송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고, 마이크(150)는 입력되는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오디오 처리부(26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키패드(210)는 0∼9까지의 숫자 버튼, 그리고 * 및 # 버튼, 통화/종료 버튼 등의 전화 통화를 위한 입력 버튼 또는 ARS 관련 서비스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키신호를제어부(230)로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키패드(210)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따른 전화 통화 연결 및 전화 통화 종료를 위한 동작을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행하며, 또한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로부터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키신호 예를 들어, 발신 통화를 위한 전화 번호 입력에 따른 키신호 또는 수신 통화 및 전화 종료에 따른 키신호가 제공되면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화 통화 연결 및 종료 동작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제공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RF 모듈(250)로 제공하거나 또는 RF 모듈(25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26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어부(230)에 연결되는 RF 모듈(250)은 제어부(230)를 통하여 제공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공중파 형태로 상대측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공중파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30)로 제공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60)는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마이크(2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 또는 이어폰 리모콘(100)의 마이크(150)로부터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or)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압축하여 제어부(230)로 제공하고, 또한 제어부(230)를 통하여 RF 모듈(250)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 후 D/A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or)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스피커(270) 또는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의 이어폰(140)으로 전송한다.
즉,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이어폰 리모콘(100)으로부터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화 번호 입력에 따른 키신호가 제공되면 이어폰 리모콘(100)의 마이크(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260)를 제어하고,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키패드(210)로부터 전화 통화 연결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이동 전화 단말기(200)에 부착된 마이크(2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260)를 제어한다.
또한,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부터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화 통화 종료에 따른 키신호가 제공되면 전화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전화 통화 종료 상황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이 때,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전화 통화 종료 상황 정보를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부(120)를 통하여 표시한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이어폰 리모콘(100)에 의한 발신 통화의 경우, 이어폰 리모콘(100)에 부착된 마이크(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이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제어부(230)를 통하여 RF 모듈(250)로 제공하고, 수신 통화의 경우는 RF모듈(250)에서 제어부(230)를 통하여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100)의 이어폰(14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전화 단말기(200)에 의한 발신 통화의 경우, 오디오 처리부(260)는 이동 전화 단말기(200)에 부착된 마이크(2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제어부(230)를 통하여 RF 모듈(250)로 제공하고, 수신 통화시는 제어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스피커(27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의 이동 통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 이동 전화 단말기(200) 즉, 핸드폰 본체에 구비된 버튼에 따른 전화 통화 연결 및 종료 동작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스텝 S301에서 키패드(110)로부터 발신 통화를 위한 전화 번호 및 통화 버튼에 대한 키신호가 제공되면(S301∼S302) 스텝 S303을 진행되어 발신 통화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 전송하고, 수신 통화 즉,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부터 수신 통화에 해당하는 정보가 전송되면 스텝 S314로 진행된다.
다음,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 가입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로 전송한다(S304∼S305).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표시부(120) 즉, LCD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전화 연결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S306).
그리고,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스텝 S307에서 입력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과 전화 연결이 이루어졌으면 이어폰 리모콘(100)의 마이크(15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의 음성을 이어폰 리모콘(100)의 이어폰(140)에 음성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260)를 제어한다(S308).
다음,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스텝 S309에서 키패드(110)를 통하여 종료 버튼에 대한 키신호가 제공되면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화 통화 종료 정보를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 전송하고(스텝 S310),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전화 연결 동작을 종료하고(스텝 S311) 전화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로 전송한다(스텝 S312).
다음,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화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14에서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수신 통화 발생의 경우 수신 통화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로 전송하고(스텝 S315),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된 전화 수신 정보를 표시부(120)인 LCD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어폰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키패드(110)로부터 통화 버튼에 대한 키신호가 제공되면(스텝 S317) 통화 버튼 정보를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을 통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로 전송하고, 이동 전화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스텝 S308로 진행되어 상기한 과정을 수행하는 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는, 0∼9까지의 숫자 버튼 그리고 * 및 # 버튼, 통화/종료 버튼 등의 전화 통화를 위한 입력 버튼 또는 ARS 관련 서비스 버튼으로 구성되는 다이얼패드 및 표시기가 부착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이동 전화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이동 전화 단말기의 버튼을 일일이 누르지 않고도 전화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 전화 단말기(핸드폰)에 접속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에 다이얼 패드를 구비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이동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리모콘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다이얼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발신 통화 정보 및 전화 통화 종료 정보를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
    상기 제 1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수단;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제 1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발신 통화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화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화 통화 종료 정보가 전송되면 전화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제어 수단;
    상기 제 2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상대측 가입자로 출력시키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은 직렬 또는 병렬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3.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접속되는 이어폰에 다이얼 패드 및 표시기가 구비된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다이얼 패드로부터 발신 통화를 위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발신 통화 정보를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로의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통하여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전화 연결 진행 상황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발신 통화 정보에 해당하는 상대측 가입자와 전화 연결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상대측 가입자의 음성을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부터 종료 버튼 정보가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면 전화 연결을 종료하고 전화 연결 종료 상태 정보를 상기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전화 연결 종료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수신 통화가 발생하면 수신 통화 정보를 상기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이어폰 리모콘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 리모콘은 상기 수신 통화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방법.
KR1020000013945A 2000-03-20 2000-03-20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10092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45A KR20010092042A (ko) 2000-03-20 2000-03-20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45A KR20010092042A (ko) 2000-03-20 2000-03-20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42A true KR20010092042A (ko) 2001-10-24

Family

ID=196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945A KR20010092042A (ko) 2000-03-20 2000-03-20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0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345A (ko) * 2000-06-28 2002-01-09 윤종용 수신감도 표시방법
KR20040034742A (ko) * 2002-10-15 2004-04-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폰
KR100841305B1 (ko) * 2002-02-15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CN111696537A (zh) * 2020-06-05 2020-09-2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和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234A (ko) * 1996-05-22 1997-12-12 김광호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11122675A (ja) * 1997-10-20 1999-04-30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話および音声応答メッセージ録音再生装置
KR19990046770A (ko)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KR20000000029A (ko) * 1999-04-29 2000-01-15 박춘식 이어폰형무선전화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234A (ko) * 1996-05-22 1997-12-12 김광호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11122675A (ja) * 1997-10-20 1999-04-30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話および音声応答メッセージ録音再生装置
KR19990046770A (ko)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KR20000000029A (ko) * 1999-04-29 2000-01-15 박춘식 이어폰형무선전화기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345A (ko) * 2000-06-28 2002-01-09 윤종용 수신감도 표시방법
KR100841305B1 (ko) * 2002-02-15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20040034742A (ko) * 2002-10-15 2004-04-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폰
CN111696537A (zh) * 2020-06-05 2020-09-2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和介质
CN111696537B (zh) * 2020-06-05 2023-10-3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US20020042288A1 (en) Multiple-channel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92042A (ko)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JPH04306944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194772Y1 (ko)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KR10039866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100270372B1 (ko) 이어폰을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원격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193178Y1 (ko) 오디오를 이용한 핸즈프리
KR10082054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0072A (ko)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20010011056A (ko) 원격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KR200164205Y1 (ko) 핸즈프리형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
KR20030029283A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화상통화 장치
KR20020091644A (ko) 무선 통신기기
JPH0321204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KR2004003738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방법
KR20030055558A (ko) 단말기의 링착신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