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56Y1 -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56Y1
KR200368356Y1 KR20-2004-0024682U KR20040024682U KR200368356Y1 KR 200368356 Y1 KR200368356 Y1 KR 200368356Y1 KR 20040024682 U KR20040024682 U KR 20040024682U KR 200368356 Y1 KR200368356 Y1 KR 200368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all
signal
call module
wired tele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욱
배영곤
Original Assignee
(주)맨엔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엔텔 filed Critical (주)맨엔텔
Priority to KR20-2004-0024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5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에 무선헤드셋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된 무선모듈을 결합하여 유선전화기를 무선전화기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는 유선전화기와 결합되는 무선통화모듈 및, 무선통화모듈과 무선 결합되는 무선헤드셋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선전화기는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접속수단과, 제1 접속수단을 통해 무선통화모듈로부터 인가되는 통화키정보를 근거로 통화로접속부를 단속함과 더불어 제1 접속수단을 통한 음성신호 입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통화모듈은 상기 제1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접속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제2 접속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헤드셋으로 송출하고 무선헤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와 통화키정보에 대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접속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헤드셋은 통화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음성신호 및 통화키정보를 무선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Wireless conversation providing device using telephone}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에 무선헤드셋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된 무선모듈을 결합하여 유선전화기를 무선전화기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을 비롯하여 회사 및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그 전화기의 제조단계에서 유선통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전화기형태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전화기형태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형태의 전화기를 구입하여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유선전화기의 경우 유선상태로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 전화기가 위치한 곳까지 가서 전화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유선전화기나 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손에 든 상태로 상대방과 통화를 해야하므로 전화통화를 하는 동안 사용자는 자신의 양손을 이용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양손으로 작업하는 중에 전화를 받게 되는 경우 전화통화를 하던 일을 중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특히, 유선전화기의 경우 음성 입출력기능을 수행하는 송수화기가 유선전화기의 본체부분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화통화중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도 제약을 가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선전화기에 무선헤드셋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전화통화로 인한 활동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유선전화기(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무선통화모듈(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1와 도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접속부(109,201)간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무선헤드셋(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유선전화기, 101: 링발생부,
102 : 인터페이스회로, 103 : 제1 메모리,
104 : 제1 키입력부, 105 : 송수화기,
106 : 통화로접속부, 107 : 음성처리부,
108 : DTMF발생부, 109 : 제1 접속부,
110 : 제1 제어부, 200 : 무선통화모듈,
201 : 제2 접속부, 202 : 제1 무선처리부,
203 : 펄스발생부, 204 : 제2 제어부,
205 : 전원부, 300 : 무선헤드셋,
301 : 스피커, 302 : 마이크,
303 : 제2 무선처리부, 304 : 제2 키입력부,
305 : 제3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는 유선전화기와 결합되는 무선통화모듈 및, 무선통화모듈과 무선 결합되는 무선헤드셋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선전화기는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접속수단과, 제1 접속수단을 통해 무선통화모듈로부터 인가되는통화키정보를 근거로 통화로접속부를 단속함과 더불어 제1 접속수단을 통한 음성신호 입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통화모듈은 상기 제1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접속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제2 접속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헤드셋으로 송출하고 무선헤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와 통화키정보에 대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접속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헤드셋은 통화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음성신호 및 통화키정보를 무선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유선전화기에 무선통화모듈을 결합시켜 이 무선통화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헤드셋을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전화통화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는 유선전화기(100)와, 이 유선전화기(100)와 결합되는 무선통화모듈(200) 및, 무선통화모듈(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헤드셋(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선전화기(100)는 국선포트(P)로부터 인가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통화모듈(200)로 제공하고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국선포트(P)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화모듈(200)은 상기 유선전화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무선헤드셋(300)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유선전화기(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헤드셋(300)은 상기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통화모듈(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통화모듈(200)과 무선헤드셋(300)간은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유선전화기(100)와 무선통화모듈(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전화기(100)는 국선접속포트(P)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전화 벨소리로 출력하는 링발생부(101)와,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102), 전화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무선통화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103),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제1 키입력부(104), 스피커(S0)와 마이크(M0)로 구성되는 송수화기(105), 이후에 설명할 제1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하는 통화로 접속부(106), 음성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107), 이후에 설명할 제1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번호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부(108), 상기 무선통화모듈(200)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접속부(109) 및, 유선전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로접속부(106)는 제1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정 폭을 갖는 하이레벨(High) 또는 로우레벨(Low)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 펄스발생부(106a)와, 베이스단이 펄스발생부(106a)의 출력단과 결합되어 펄스발생부(10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단과 콜렉터단 사이에 는 사용자가 송수화기(105)를 들고 놓음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른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SW)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109)는 음성처리부(107) 및 제1 제어부(110)와 결합되어, 음성처리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통화모듈(200)로 제공함과 더불어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예컨대 음성신호와 통화키정보를 제1 제어부(110) 및/또는 음성처리부(107)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일반적인 유선전화기 제어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제1 접속부(109)를 통해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펄스신호를 근거로 상기 통화로접속부(106)를 온/오프 단속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3은 도1에 도시된 무선통화모듈(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화모듈(200)은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제1 접속부(109)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 접속부(201)와, 제2 접속부(20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송출함과 더불어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헤드셋(300)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처리하여 제2 접속부(201) 및 제2 제어부(205)로 제공하는 제1 무선처리부(202), 이후에 설명할 제2 제어부(20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접속부(201)로 제공하는 제2 펄스발생부(203) 및, 무선통화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04)는 상기 무선헤드셋(300)으로부터 무선처리부(202)를 통해 소정 통화키정보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펄스발생부(203)를 통해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204)는 무선처리부(202)를 통해 음성신호와 무선신호간의 변환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화모듈(200)은 각 소자로 소정 구동전원(Vcc)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20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1에서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와 무선통화모듈(200)의 제2 접속부(20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단이 접지되면서, 음성처리부(107)와 송수화기(105)의 스피커(S0)간의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제1 접속부(109)의 스피커출력단(S1)은 제2 접속부(201)의 마이크입력단(M2)과 결합되고, 음성처리부(107)와 송수화기(105)의 마이크(M0)간의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제1 접속부(109)의 마이크입력단(M1)은 제2 접속부(201)의 스피커출력단(S2)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5는 도1에 도시된 무선헤드셋(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무선헤드셋(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01)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302), 통화키가 구비된 제2 키입력부(303) 및, 상기 마이크(30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이후에 설명할 제3 제어부(305)로부터 인가되는 기능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통화모듈(200)로 무선송출함과 더불어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처리하여 상기 스피커(301)로 제공하는 제2 무선처리부(304) 및, 스피커(301)와 마이크(302) 및 제2 무선처리부(304)를 통해 음성신호의 입출력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처리와 기능키에 대응되는 정보를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통화모듈(200)의 제2 접속부(201)를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착신처리동작과 발신처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1. 착신처리
국선포트(P)로부터 소정 링신호가 유선전화기(100)로 인가되면, 유선전화기(100)의 링발생부(101)를 통해 링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는 무선통화를 원하는 경우 무선헤드셋(300)을 자신의 귀에 장착하고 무선헤드셋(300)의 제2 키입력부(303)에서 통화키를 입력한다. 제2 키입력부(303)로부터 통화키정보가 제3 제어부(305)로 인가되면 제3 제어부(305)는 제2 무선처리부(304)를 통해 통화키정보를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무선헤드셋(300)으로부터 무선송출되는 통화키정보는 무선통화모듈(200)의 제1 무선처리부(202)를 통해 제2 제어부(204)로 인가된다. 제2 제어부(204)는 제2 펄스발생부(203)를 제어하여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제2 접속부(201)의 스피커출력단(S2)을 통해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 마이크입력단(M1)으로 제공하게 된다.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로 인가되는 펄스신호는 제1 제어부(110)로 인가되고, 제1 제어부(110)는 제1 메모리(103)의 현재 상태정보를 통화상태인 "1"로 설정함과 더불어 제1 펄스발생부(161)를 통해 하이레벨의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TR)로 제공하여 트랜지스터(TR)를 온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상대방과의 통화로를 온(ON)상태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후, 국선포트(P)로부터 인가되는 상대방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07) 및제1 접속부(109)를 통해 무선통화모듈(200)로 제공되고, 무선통화모듈(200)로부터 상대방 음성신호가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무선헤드셋(300)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무선헤드셋(300)의 스피커(301)를 통해 음성출력되게 된다.
한편, 무선헤드셋(300)의 마이크(30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무선통화모듈(200)로 인가된다.
무선통화모듈(200)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제2 접속부(201)의 스피커출력단(S2)을 통해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 마이크입력단(M1)으로 제공된다.
유선전화기(100)의 제1 접속부(109)로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07) 및 국선포트(P)를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기(도시되지 않음)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헤드셋(300)의 통화키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선헤드셋(300)은 통화키정보를 무선통화모듈(200)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무선통화모듈(200)은 통화키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제2 펄스발생부(203)를 통해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제2 접속부(201)의 스피커출력단(S2)으로 제공한다.
제2 접속부(201)로 인가되는 펄스신호는 제1 접속부(109)의 마이크입력단(M1)을 통해 제1 제어부(110)로 인가된다. 제1 제어부(110)는 제1 메모리(103)의 현재 상태정보를 대기상태인 "0"으로 변경설정함과 더불어 제1 펄스발생부(161)를 통해 로우레벨의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TR)로 인가하여 트랜지스터(TR)를 오프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통화로를 오프(OFF)상태로 변경시키게 된다.
2. 발신처리
사용자가 무선헤드셋(300)을 자신의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무선헤드셋(300)의 통화키를 입력하게 되면, 무선헤드셋(300)은 통화키정보를 무선통화모듈(200)로 무선송출한다. 무선통화모듈(200)은 통화키정보 수신을 근거로 소정 펄스신호를 유선전화기(100)로 제공하여 제1 메모리(103)의 현재상태정보를 "1"로 설정함과 더불어 제1 펄스발생부(1061)를 통해 하이레벨신호를 트랜지스터(TR)로 제공함으로써 통화로를 온상태로 설정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유선전화기(100)의 제1 키입력부(104)를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상의 통화요구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대방이 착신을 하게 되면, 상기 착신처리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선전화기(100)와 무선통화모듈(200) 및 무선헤드셋(300)을 통한 음성신호 송수신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통화종료에 대해서도 상기 착신처리에서와 동일한 방법, 즉 무선헤드셋(300)의 통화키입력을 근거로 유선전화기(100)의 제1 메모리(103)의 현재 상태정보를 "0"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제1 펄스발생부(106a)를 통해 로우레벨신호를 트랜지스터(TR)로 제공함으로써 통화로를 오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무선헤드셋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화모듈을 유선전화기와 결합시키고, 무선헤드셋의 통화키입력을 근거로 유선전화기의 통화로를 온/오프제어함과 더불어 음성신호와 무선신호간 변환처리를 통해 무선헤드셋을 통한 통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하여 무선헤드셋을 통한 무선통화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통화에 따른 활동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무선통화모듈은 이 무선통화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수단이 구비된 단말기,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하여 무선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선전화기에 무선통화모듈을 결합시켜 이 무선통화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헤드셋을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전화통화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유선전화기와 결합되는 무선통화모듈 및, 무선통화모듈과 무선 결합되는 무선헤드셋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선전화기는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접속수단과, 제1 접속수단을 통해 무선통화모듈로부터 인가되는 통화키정보를 근거로 통화로접속부를 단속함과 더불어 제1 접속수단을 통한 음성신호 입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통화모듈은 상기 제1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접속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제2 접속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헤드셋으로 송출하고 무선헤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와 통화키정보에 대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접속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헤드셋은 통화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통화모듈과 음성신호 및 통화키정보를 무선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접속부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신호발생부와, 에미터단이 상기 펄스신호발생부의 출력단과 결합되어 펄스신호발생부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온(ON)되고 펄스신호발생부로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오프(OFF)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무선통화모듈로부터 인가되는 통화키정보 입력을 근거로 상기 펄스신호발생부를 통해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KR20-2004-0024682U 2004-08-28 2004-08-28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68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82U KR200368356Y1 (ko) 2004-08-28 2004-08-28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82U KR200368356Y1 (ko) 2004-08-28 2004-08-28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56Y1 true KR200368356Y1 (ko) 2004-11-18

Family

ID=4944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6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8356Y1 (ko) 2004-08-28 2004-08-28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6792291B1 (en) Interface device for control of a cellular phone through voice commands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359872B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의 제어방법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368356Y1 (ko)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GB2463610A (en) Integrated device for local telephone communication
KR20000000029A (ko) 이어폰형무선전화기시스템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CN101102338B (zh) 具有话筒功能的手机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KR20010070694A (ko)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KR19990014591A (ko)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KR20010001018A (ko) 이동 전화기의 원격 송수화 장치
WO2000072555A1 (en) Telephone headset without off-hook handset requirement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10034248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100434337B1 (ko) 키폰시스템에서 휴대폰 충전 및 핸드프리 기능을 구비한단말장치
KR200252094Y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