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517A - 상품 포장체 - Google Patents

상품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517A
KR20050035517A KR1020047011721A KR20047011721A KR20050035517A KR 20050035517 A KR20050035517 A KR 20050035517A KR 1020047011721 A KR1020047011721 A KR 1020047011721A KR 20047011721 A KR20047011721 A KR 20047011721A KR 20050035517 A KR20050035517 A KR 2005003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ortions
battery
receiving surf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나카츠
노리코 히메다
후토시 다다
지로 오카모토
나오코 마에다
유카 시미즈
마사야 후지무라
신스케 다니오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49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7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490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89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4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72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2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691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and having several recesses to accommodate a series of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24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by peeling off the non-rigid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상품(4)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21)가 형성된 상품수용면부(17)와, 상품수용면부(17)에 접속된 덮개면부(18)와, 상품수용면부(17) 및/혹은 덮개면부(18)에 굽힘선(25)을 개재하여 이어나온 절단편 형성면부(19)를 구비하도록 경질시트재로 구성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부(19)에 복수의 절단편(16)을 각각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각 절단편(16)의 선단부에 상품(4)를 보유하고 상품수용면부(17) 상에 각 상품(4)을 각 수용오목부(21)에 수용하도록 반환한 절단편 형성면부(19)를 끼우도록 하여 덮개면부(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피복하여 상품 포장체(1)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상품 포장체{COMMODITY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소형 상품을 수용하여 판매 혹은 휴대용으로 제공하는 상품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복수의 공기전지를 수용하여 판매 혹은 휴대용으로 제공하는 공기전지 포장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공기구멍을 봉입하는 시일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보청기 등을 기기에 장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구비한 공기전지를 복수개 수용하여 수송이나 휴대시에 공기전지를 확실하게 보유하는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보청기의 주류는 귀걸이형에서 귓속형으로 소형화가 진전되고, 그것에 이용하는 전지도 소형화가 요구되며, 일상적으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므로 보다 수명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구를 만족하는 보청기용 전지로서 버튼형의 공기아연전지(공기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공기전지는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활물질로서 사용하므로,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전지(50)의 양극캔(51)에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구멍(52)이 형성되고,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할때까지는 공기구멍(52)이 시일필름(56)에 의하여 막혀있다. 보청기 등의 기기에 장전하여 사용할 때에는 시일필름(56)을 박리하여 공기구멍(52)을 개방함으로써 공기구멍(52)으로부터 도입된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활물질로 하여 공기전지(50)는 발전기능을 시작한다.
귓속형 보청기와 같이 극소화된 기기에 적용하는 공기전지는 매우 작기 때문에 전지교환작업이 매우 어렵다. 특히 공기전지(50)는 기기에 장전할 때 공기구멍(52)을 개방하기 위한 시일필름(56)을 박리하는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소형화된 공기전지(50)로부터 작은 시일필름(56)을 벗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보청기의 주된 사용자가 고령자인 것을 생각하면 손끝의 움직임이나 시력이 저하된 고령자가 작은 공기전지(50)로부터 시일필름을 벗겨 작은 전지를 작은 보청기에 장전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
시일필름(56)의 박리작업 및 기기에 장전하는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게 경질로 형성한 시일필름(53)의 일단을 양극캔(51)에 부착한 시일면(53a)으로부터의 연장부분에 절단면(53b)을 설치한 공기전지(50)가 개발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 6,329,095호 참조). 상기 절단면(53)을 손끝으로 떼어내면 시일필름(53)의 끝에 공기전지(50)가 매달린 상태가 되므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의 전지수용구멍(55) 내에 공기전지(50)를 수용하고, 시일필름(53)을 경사상방으로 끌어올려 공기전지(50)로부터 시일면(53a)을 박리하면 기기에의 전지의 장착과 시일필름의 박리를 행할 수 있다.
공기전지(50)는 양극활물질인 산소를 대기중으로부터 공급에 의해 조달할 수 있으므로 음극활물질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전지용량은 같은 사이즈의 다른 전지의 약 2배가 되고 수명도 약 2배가 되지만, 보청기와 같이 계속 사용하는 기기는 전지수명이 다한 상태가 되면 갑자기 자유롭지 못한 상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항상 교환용 예비전지를 상비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전지를 하나의 패키지로 하여 판매되며, 사용자는 그것을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형태이다.
도 14에 나타낸 공기전지(5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성형(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포장용기(60) 내에 복수개가 수용되고, 이 복수개의 공기전기(50)를 수용한 공기전지 포장체를 판매 또는 휴대용으로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관한 공기전지의 포장용기(60)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그것에 수용되는 공기전지(50)는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기기에 사용되고, 빈번한 교환이 요구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공기전지(50)를 수용한 포장용기(60)라도 비교적 단기간에 사용이 종료된다. 예를 들어, 보청기에 사용하는 공기전지(50)는 사용상태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0일 전후에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6개의 공기전지(50)를 수용한 포장용기(60)는 구입하고 나서 약 2개월이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포장용기(60)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폐기물이 되어, 쓸데없이 폐기물을 증가시키는 헛수고나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공기전지(50)는 포장용기(60)에 형성된 돌기부(61)에 의해 시일필름(53) 에서 지지되어, 공기전지(50)는 포장용기(6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전지(50)는 수송시나 휴대시에 받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시일필름(53)과의 접합강도가 저하되거나 박리, 탈락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결함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에 포장용기(60)에 고정된 시일필름(53)과 공기전지(50)에 가해지는 응력의 방향,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이 별개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한다. 공기전지(50)를 돌기부(61)로 지지한 경우에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시일필름(53)이 이동, 변형할 우려가 있어 시일필름(53)의 박리, 탈락이 발생한다. 시일필름(53)의 박리나 탈락이 발생하면 공기전지(50)는 포장용기(60)에 수용된 상태라도 공기구멍으로부터 전해액이 증발, 산일(散逸)하고, 장기간에 이르면 전해액이 고갈되어 공기전지(5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 박리나 탈락에 이르지 않은 경우라도 시일필름(53)의 공기전지(50)에 대한 접합상태가 저하되면 공기구멍을 막는 시일상태가 저하되어 전지특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공기전지와 같은 소형의 상품을 복수개 수용하여 판매 혹은 휴대용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상품의 취급이 용이하게 한, 저렴한 상품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전지를 용이하게 기기에 장전하는 시일필름구조를 구비한 공기전지를 복수개 수용하여 판매 혹은 휴대용으로 제공하는 공기전지수용의 상품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의 (A)는 표면측의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이면측의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봉입테이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의 덮개면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포장체를 전개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포장체의 ⅣA-ⅣA선 화살표시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5의 (A)는 평면도, 도 5의 (B)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상품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상품 포장체의 단면도,
도 9의 (A)∼(C)는 본 발명에서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9의 (A)는 표면측의 평면도, 도 9의 (B)는 이면측의 평면도, 도 9의 (C)는 봉입테이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의 덮개면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포장체를 전개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의 (A)는 도 11에서의 ⅦA-ⅦA선 화살표시 단면도, 도 12의 (B)는 도 11에서의 ⅦB-ⅦB선 화살표시 단면도,
도 13의 (A)∼(B)는 종래기술에 관한 공기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종래기술에 관한 공기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종래기술에 관한 공기전지를 전지수용구멍으로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기술에 관한 공기전지를 복수개 수용한 종래기술에 관한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품 포장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가 형성된 상품수용면부와, 상품수용면부에 접속된 덮개면부와, 상품수용면부 및/혹은 덮개면부에 접힘선을 개재하여 연장된 절단편 형성면부를 구비하도록 경질시트재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부에 복수의 절단편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절단편의 선단부에 상품이 유지되고, 상품수용면부 상에 각 상품이 각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도록 접혀진 절단편 형성면부를 끼우도록 하여 덮개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품 포장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가 형성된 상품수용면부와, 상품수용면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면부가 형성된 덮개면부와, 상품수용면부 및 덮개면부의 각각으로부터 접힘선을 개재하여 연장된 절단편 형성면부를 구비하도록 경질시트재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부에 복수의 절단편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절단편의 선단부에 상품이 유지되고,상품수용면부 위에 각 상품이 각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도록 접혀진 절단편 형성면부를 끼우도록 하여 덮개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 상품이 공기전지이며, 공기전지는 시일필름을 개재하여 절단편의 선단부에 유지되고, 시일필름은 공기전지에 그 공기구멍을 폐쇄하며,박리할 수 있도록 점착되는 시일부와, 이 시일부의 단변으로부터 시일부측으로 접혀서 연장되는 접힘부로 이루어지고, 이 접힘부가 절단편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기전지 수용의 상품 포장체로서 최적의 것을 제공할 수 있디.
상품 포장체의 각 절단편의 선단부에 유지되는 상품으로서는 상술한 공기전지나 손목시계용 전지를 포함하는 버튼형 전지(코인형 전지라고도 함), 약의 정제, 낚시바늘, 재봉바늘, 못, 소형정밀부품 등이 있고, 이들 상품을 절단편의 선단부에 접착제나 점착제 등으로 재부착해도 된다.
또, 시일재의 재질로서는 PET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면 적합하다. 특히, 시일재의 재질로서 폴리유산 등의 생분해성 플리스틱을 이용하면 환경에 이로운 것이 된다.
도 1의 (A)∼(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공기전지를 수용상품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공기전지(상품)(4)를 복수개 수용하여 판매 혹은 휴대용으로 제공하는 공기전지 포장체(상품 포장체)(1)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6개의 공기전지(4)를 1팩에 포장한 공기전지 포장체(1)로서 판매하고, 이것을 구입한 사용자는 공기전지 포장체(1)를 휴대함으로써 교환용 공기전지를 상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A)∼(C)는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1)의 표리(表裏)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포장체(10)는 경질시트,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이하(PET)의 시트를 가열성형(진공성형 및/또는 압공(壓空)성형)하여 필요한 요철형상을 형성하고, 개구부 및 외형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천공하여 형성한 것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표면측은 전지수용 오목부(수용오목부)(21)에 수용된 6개의 공기전지(4)를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하고, 도 1의 (B)에 나타내는 이면측을 포함하는 그 밖의 부위는 표리 면(表裏 面) 모두 인쇄가 되어서 불투명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인쇄는 상품명, 제품번호, 취급방법, 주의사항 등으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포장체(10)의 상방에는 현수(懸垂) 진열용 현수구멍(41)이 개구되고, 전체의 높이는 현수 진열대의 높이 규제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판매상태에서는 표면측에 위치하는 전지수용면(상품수용면부)(17)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덮개면(덮개면부)(18)과의 사이는,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버진시일(virgin seal)이라 불리우는 봉지(封止)시일(42)에 의해 공기전지 포장체(1)를 열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 공기전지 포장체(1)를 구입한 사용자는 봉입시일(42)을 그 중앙에 설치된 절취눈금(42a)으로부터 절단하면 전지수용면(17)으로부터 덮개면(18)을 열 수 있다. 덮개면(18)을 열려면 한쪽 손으로 전지수용면(17)을 지지하고, 다른쪽 손의 엄지손가락을 전지수용면(17)에 형성된 손가락걸이용 절개부(30)로부터 덮개면(18)에 걸어서 밀어서 열면 양면 사이의 끼워맞춤이 풀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수용면(17)의 내면을 전개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2는 공기전지 포장체(1)의 덮개면(18)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지수용면(17)의 길이방향으로 6개의 공기전지(4)가 전지수용 오목부(210에 수용되어 1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공기전지(4)에 각각 부착된 시일필름(15)의 접힘 편(접힘부)(15b)에는 전지수용면(17)의 길이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으로 접힌 절단편 형성면(절단편 형성면부)(19)에 분리선(29)으로 각각 분리된 절단편(16)의 선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전지(4)는 도 5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양극캔(5) 내에 음극활물질로서 아연을 이용한 발전요소가 수용되고, 양극캔(5)의 개구부에 개스킷을 개재하여 음극이 되는 봉입판(6)을 배치하며, 양극캔(5)의 개구단을 코킹 가공함으로써 봉입한 것이다. 상기 양극캔(5)의 저면에는 양극활물질인 산소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구멍(7)이 형성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공기구멍(7)은 시일필름(15)이 점착됨으로써 막혀 있고, 사용시에 양극캔(50으로부터 시일필름(15)을 박리함으로써 공기전지(40는 공기구멍(7)으로부터 도입한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활물질로 하여 발전을 시작한다. 상기 시일필름(15)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의 소요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후술하는 절단편(16)은 포장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공기전지(4)를 보청기 등의 기기에 장착하는 작업동작은, 절단편(16)이 경질시트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손가락 끝으로 절단편(16)을 떼어내어 공기전지(4)를 지지하고, 공기전지(4)를 기기의 전지수용부 내에 수납한 후, 절단편(16)을 당기면 접힘편(접힘부)(15b)이 시일면(시일부)(15a)으로부터 접혀있기 때문에 시일면(15a)을 양극캔(5)으로부터 박리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되어 박리에 따라 공기전지(4)를 기기의 전지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상기 각 공기전지(4)에 각각 부착된 시일필름(15)의 접힘 편(15a)에는 전지수용면(17)의 길이방향의 한변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으로 접힌 절단편 형성면(절단편 형성면부)(19)에 분리선(29)으로 개개로 따로 분리된 절단편(16)의 선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공기전지 포장체(1)로부터 하나의 공기전지(4)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분리선(29)이 원호형상으로 구부러진 부위에 손가락 끝을 대고 절단편(16)을 떼내면, 1매의 절단편(16)을 일으켜 세워서 전지(4)를 전지수용 오목부(21)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절단편(16)을 절취선(26)의 절취눈금으로부터 분리하면 공기전지(4)를 하나씩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포장체(10)를 전개상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PET의 시트재를 가열성형하여, 도 4에 ⅣA-ⅣA선 화살표시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프레스가공에 의해 외형 및 개구부가 천공되고, 동시에 접힘선 및 절취선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중앙의 전지수용면(17)에는 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오목부(22)가 얕게 형성되고, 그 보강 오목부(22) 내에 6개의 공기전지(4)를 1열로 수용하는 전지수용 오목부(21)가 공기전지(4)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면(18)을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23) 및 현수구멍(41)이 형성되고, 하부에 덮개면(18)을 위치결정하여 끼워맞추는 위치결정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수용 오목부(21)는 도 4에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단편(16)의 선단부에 연질의 시일필름(15)에 매달린 상태의 공기전지(4)가 절단편(16)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전지수용 오목부(21)에 기울기가 수정되어 수납된다.
전지수용면(17)의 길이방향의 일측 변에서 굽힘선(25)으로 하는 절취눈금을 개재하여 연장형성된 절단편 형성면(19)에는 손가락 끝으로 1매씩 들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호를 형성한 분리선(29)으로 절단된 6매의 절단편(16)이 형성되고, 각 절단편(16)은 절취선(26)으로 하는 절취눈금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립시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선(25)에서 전지수용면(17) 상으로 접힌다. 또, 각 절단편(16)에는 보강리브(38)가 형성되어, 선단부에 시일필름(15)을 개재하여 공기전지(4)를 매단 상태로 했을 때에 절단편(16)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고 있다.
전지수용면(17)의 길이방향의 타측 변에 제 1 접힘선(31)을 개재하여 폭이 좁은 힌지면(힌지면부)(20)이 형성되고, 이 힌지면(20)으로부터 제 2 접힘선(32)을 개재하여 덮개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31, 32)은 제 1 접힘선(31)의 절취눈금을 형성하는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을 짧게 하고, 제 2 접힘선(32)의 절취눈금을 형성하는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을 제 1 접힘선(31)에 비해 길게 형성하고 있다. 이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31, 32)의 절취눈금 구조에 의해 덮개면(18)을 전지수용면(17)에 대하여 개폐할 때에 절곡이 용이한 제 1 접힘선(31)이 주요한 힌지작용을 이루며, 제 1 접힘선(31)이 대략 직각으로 접힌 후, 제 2 접힘선(32)이 대략 직각으로 접혀 덮개면(18)은 전지수용면(17) 위를 폐쇄하기 때문에 힌지면(20)은 전지수용면(17) 및 덮개면(18)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어 포장체(10)의 변형이 없고,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상태가 된다.
덮개면(18)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거의 전체면에 걸쳐 도면의 바로 앞쪽에 낮은 볼록형상면이 되도록 덮개면(18)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볼록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19)의 굽힘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단편 형성면(19)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볼록부의 높이를 감소시킨 단차부(35)가 형성되고, 또한 단변에는 덮개면(18)을 전지수용면(17)으로부터 열 때에 전지수용면(17)에 손가락이 걸리기 쉽게 하기 위한 손가락걸림용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강볼록부(33) 상에는 전지수용 오목부(21)에 수용된 전지(4)를 눌러주는 전지가압볼록부(28)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23)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오목부(36)와,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24)에 끼워맞추는 위치결정 볼록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포장체(10)는 인쇄한 PET 시트를 가열성형 및 프레스가공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전지수용 오목부(21)에 시일필름(15)이 점착된 공기전지(4)를 정렬 배치하고, 절단편 형성면(19)을 굽힘선(25)으로부터 전지수용면(17) 상으로 접어서, 각 절단편(16)의 선단부에 시일필름(15)의 접힘 편(15b)을 접합하면 도 2에 도시한 상태가 얻어진다. 또 덮개면(18)을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31, 32)에서 전지수용면(17) 상으로 접으면 장원형(長圓形)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볼록부(37)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24) 내에 길이방향으로부터 서서히 들어가므로 종방향의 맞춤위치가 결정되고, 전지수용면(17)과 덮개면(18)을 압축방향으로 압압(押壓)하면 위치결정 볼록부(37)는 위치결정 오목부(24)에 끼워맞추어진다. 또 포장체(10)의 상부에서 압축방향으로 압압하여 끼워맞춤 오목부(36) 내에 끼워맞춤 볼록부(23)를 끼워맞추면 전지수용면(17) 상에 절단편 형성면(19)을 수납하여 덮개면(18)으로 폐쇄된 도 1의 (A)∼(B)에 도시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전지수용면(17)과 덮개면(18) 사이의 끼워맞춤은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볼록부를 끼워 넣으므로 볼록부는 오복부의 둘레면에 복수의 점에서 점 접촉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서 끼워맞춤상태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6개의 공기전지(4)를 다 소비할 때까지 몇번이라도 덮개면(18)을 개폐하여도, 시트재로 간단하게 구성한 포장체(10)라고 하더라도 끼워맞춤 기능이 저하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6개의 공기전지(4)를 1팩에 포장하고 있지만 이 팩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직경이 큰 공기전지(4)에서는 수용 개수를 적게 하면, 공기전지 포장체(1)로서의 높이의 증가가 억제되고, 현수진열판매의 높이규제치수 내로 형성할 수 있어 휴대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공기전기를 수용상품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와의 주요 차이점은, 덮개면부에도 절단편 형성면부를 연장 형성한 점에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구조는 유사하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상품 포장체)(103)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포장체(131)에 12개의 공기전지(상품)(107)를 1패키지로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체(13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의 시트재를 가열성형가공 및 프레스 가공하여 전지수용면(상품수용면부)(132), 덮개면(덮개면부)(133), 제 1 절단편 형성면(제 1 절단편 형성면부)(134), 제 2 절단편 형성면(제 2 절단편 형성면부)(135)을 형성하고 있다. 전지수용면(132)에는 2열로 12개의 공기전지(107)를 수용하는 전지수용 오목부(수용오목부)(136)가 형성되고, 제 1 절단편 형성면(134)에 형성된 6조각의 절단편(140)의 각각의 선단부에 시일필름(105)을 개재하여 점착된 공기전지(107)와, 제 2 절단편 형성면(135)에 형성된 6편의 절단편(140)의 각각의 선단부에 시일필름(105)을 개재하여 점착된 공기전지(107)가 수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단편 형성면(134)을 접힘선(147b)으로부터 전지수용면(132) 위로 접고, 제 2 절단편 형성면(135)을 접힘선(147c)으로부터 덮개면(133) 상에 접고, 덮개면(133)을 접힘선(147a)으로부터 전지수용면(132) 위로 접어서, 덮개면(133)에 형성된 2개소의 끼워맞춤 볼록부(138, 138)에 전지수용면(132)에 형성된 2개소의 끼워맞춤오목부(137, 137)를 끼워 넣음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개의 공기전지(107)를 포장체(131)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공기전지(107)를 인출할 때에는 끼워맞춤 오목부(137)와 끼워맞춤 볼록부(138) 사이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면(133)을 열고, 임의의 절단편(140)을 절취선(150)으로부터 분리하면 절단편(140)의 선단부에 시일필름(105)을 개재하여 공기전지(107)가 점착된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다. 공기전지(107)가 손가락 끝으로도 취급하기 어려울 정도로 소형화된 것이어도 절단편(140)을 떼어내어 공기전지(107)를 보유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기기의 전지수용부에 공기전지(107)를 수용하고, 절단편(140)을 당기면 공기전지(107)로부터 시일필름(105)을 박리할 수 있다.
도 9의 (A)∼도 12의 (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공기전지를 수용상품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와의 주요한 차이점은 상품수용부 및 덮개면부의 각각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절단편 형성면부를 연장 형성한 점에 있고, 그 외의 다른 구조는 유사하다.
도 9의 (A)∼(C)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공기전지 포장체(상품 포장체)(201)의 표리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포장체(210)는 투명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이하, PET)의 시트를 가열성형(진공성형 및/또는 압공성형)하여 필요한 요철형상을 형성하고, 개구부 및 외형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천공 형성한 것이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전지수용면(상품수용면부)(217)측은 4개의 공기전지(상품)(204)를 수납한 전지수용 오목부(수용오목부)(221a)를 외부로부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소재로 하고, 그 밖의 부위는 인쇄에 의해 불투명한 상태로 하고 있다. 또, 도 9의 (B)에 나타내는 덮개면(덮개면부)(218) 측은 상기 전지수용면(217)에 자유롭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피복함과 동시에, 이 면에도 공기전지(204)를 수용하는 2개의 전지수용 오목부(수용오목부)(221b)가 설치되고, 전지수용면의 전지수용 오목부(221a)와 마찬가지로 덮개면(218)의 전지수용 오목부(221b)도 투명소재로 하며, 그 밖의 부위에는 인쇄에 의해 불투명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인쇄는 상품명, 제품번호, 취급방법, 주의사항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포장체(210)의 상방에는 현수진열용 현수구멍(241)이 개구하고, 전체의 높이는 현수진열대의 높이규제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판매상태에서는 전지수용면(217)과 덮개면(218) 사이는,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버진시일이라 불리우는 절취눈금(242a)이 설치된 봉지(封止)시일(242)에 의해 공기전지 포장체(201)를 열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또, 봉지시일(242)이 설치된 공기전지 포장체(201)의 개봉방법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10은 공기전지 포장체(201)의 덮개면(218)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지수용면(217)의 길이방향으로 4개, 덮개면(218)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공기전지(204)가 각각 전지수용 오목부(221a, 221b)에 수용되어 있다. 각 공기전지(204)에 각각 부착된 시일필름(215)의 접힘 편(215b)에는 전지수용면(217) 및 덮개면(218)의 각각의 길이방향의 한변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으로 접힌 절단편 형성면(절단편 형성면부)(219, 227)에 분리선(229)으로 개별로 분리된 절단편(216)의 선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또 시일필름(215)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시일면(215a)과 상기 접힘 편(215b)으로 이루어진다.
공기전지 포장체(201)로부터 하나의 공기전지(204)를 인출하려면 분리선(229a)이 원호상으로 구부러진 부위에 손가락 끝을 대고 절단편(216)을 떼어내면, 1매의 절단편(216)이 일으켜 세워져서 공기전지(204)를 전지수용 오목부(221a, 221b)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절단편(216)을 절취선(226)의 절취눈금으로부터 분리하면 공기전지(204)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다.
도 11은 포장체(210)를 전개상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PET의 시트재를 가열성형하고, 도 12의 (A)에 ⅦA-ⅦA선 화살표시 단면, 도 12의 (B)에 ⅦB-ⅦB선 화살표시 단면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외형 및 개구부가 천공되고, 접힘선이나 절취선이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의 (A)∼(B)에서 전지수용면(217)에는 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오목부(222)가 얕게 형성되고, 그 보강오목부(222) 내에 4개의 공기전지(204)를 1열로 수용하는 전지수용 오목부(221a)가 공기전지(204)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면(218)을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223) 및 현수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수용 오목부(221a)는 도 12의 (A)에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단편(216)의 선단부의 연질의 시일필름(215)에 매달린 상태의 공기전지(204)가 절단편(216)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전지수용 오목부(221a)에 기울기가 수정되어 수납된다.
전지수용면(217)의 길이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접힘선(225)으로 하는 절취눈금을 개재하여 연장형성된 절단편 형성면(219)에는 손가락 끝으로 1매씩 끌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한 원호를 형성한 분리선(229)으로 절단된 4매의 절단편(216)이 형성되고, 각 절단편(216)은 절취선(226)으로 하는 절취눈금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립시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힘선(225)으로부터 전지수용면(217) 위로 접혀진다. 각 절단편(216)에는 보강리브(238)가 형성되어 선단부에 시일필름(215)을 개재하여 공기전지(204)를 매단 상태로 했을 때에 절단편(216)이 접히지 않도록 보강하고 있다.
상품 수용면부(217)의 하부에 제 1 접힘선(231)을 개재하여 폭이 좁은 힌지면(힌지면부)(220)이 형성되고, 이 힌지면(220)으로부터 제 2 접힘선(232)을 개재하여 덮개면(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231, 232)은 제 1 접힘선(231)의 절취눈금을 형성하는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을 짧게 하고, 제 2 접힘선(232)의 절취눈금을 형성하는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을 제 1 접힘선(231)에 비해 길게 형성하고 있다. 이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231, 232)의 절취눈금구조에 의해 덮개면(218)을 전지수용면(217)에 대하여 개폐할 때에 접힘이 용이한 제 1 접힘선(231)이 주요한 힌지작용을 이루고, 제 1 접힘선(231)이 대략 직각으로 접힌 후, 제 2 접힘선(232)이 대략 직각으로 접혀 덮개면(218)은 전지수용면(217)의 위를 폐쇄하므로 힌지면(220)은 전지수용면(217) 및 덮개면(218)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어 포장체(210)의 변형이 없으며,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상태가 얻어진다.
덮개면(218)에는 그 거의 전체면에 도면의 바로 앞쪽에 볼록형상면이 되도록 덮개면(218)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지수용 오목부(221a)에 수용된 공기전지(204)를 눌러주는 보강볼록부(233)가 형성되고, 그 보강볼록부(233) 내에 상품수용면부(217)의 전지수용 오목부(221a)의 오목부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으로 2개의 공기전지(204)를 수용하는 전지수용 오목부(221b)가 공기전지(204)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며, 하부에 전지수용면(217)에 설치된 끼워맞춤 볼록부(223)에 끼워맞추어져서 덮개면(218)으로 전지수용면(217)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끼워맞춤오목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수용 오목부(221b)는 도 12의 (B)에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수용면(217)에 형성된 전지수용 오목부(221a)와 마찬가지로 하강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단편(216)의 선단부에서 연질의 시일필름(215)에 매달린 상태의 공기전지(204)가 절단편(216)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라도 전지수용 오목부(221b)에 기울기가 수정되어 수납된다.
또, 덮개면(218)의 길이방향 한변측에는 상기 보강볼록부(233)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2개의 접힘선(225a, 225b)으로 하는 절취눈금을 개재하여 연장형성된 절단편 형성면(227)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편 형성면(227)은 전지수용면(217)측과 마찬가지로 손가락 끝으로 1매씩 끌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한 원호를 형성한 분리선(229)에서 절단된 2매의 절단편(216)이 형성되고, 각 절단편(216)은 절취선(226)으로 하는 절취눈금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립시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힘선(225a, 225b)으로부터 덮개면(218) 위로 접혀진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단편(216)에는 보강리브(238)가 형성되어 선단부에 시일필름(215)을 개재하여 공기전지(204)를 매단 상태로 했을 때에 절단편(216)이 접히지 않도록 보강하고 있다.
포장체(210)는 인쇄한 PET 시트를 가열성형 및 프레스 가공 함으로써 도 11,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내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전지수용 오목부(221a, 221b)에 시일필름(215)이 점착된 공기전지(204)를 정렬 배치하고, 절단편 형성면(219)을 접힘선(225)으로부터 전지수용면(217) 위로 접어거 각 절단편(216)의 선단부에 시일필름(215)의 접힘 편(215b)을 접합하고, 절단편 형성면(227)을 접힘선(225a, 225b)으로부터 덮개면(218) 위로 접어서 각 절단편(216)의 선단부에 시일필름(215)의 접힘 편(215b)을 접합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가 얻어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덮개면(218)을 제 1 및 제 2의 각 접힘선(231, 232)에서 접어서 전지수용면(217) 위에 배치하고, 전지수용면(217)과 덮개면(218)을 압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끼워맞춤 오목부(236)에 전지수용면(217)의 끼워맞춤 볼록부(223)를 끼워맞추면 전지수용면(217)을 덮개면(218)으로 덮은 도 9의 (A)∼(B)에 나타내는 상태가 얻어진다.
전지수용면(217)과 덮개면(218) 사이의 끼워맞춤은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볼록부를 끼워넣기 때문에 볼록부는 오목부의 둘레면에 복수점에서 점 접촉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끼워맞춤상태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6개의 공기전지(204)를 다 소비할 때까지 여러번 덮개면(218)을 개폐해도, 시트재로 간단하게 구성한 포장체(210)라도, 끼워맞춤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상품 포장체는 1매의 경질시트재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질시트재에 가열성형가공 및 프레스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품을 소비할 때까지의 유한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저렴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출성형품과 같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가의 포장체를 이용하는 낭비를 해소하는데에 적합하다. 또 포장체의 일부는 복수의 절단편으로 하여, 그 선단부에서 각각 복수의 상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하나의 상품은 하나의 절단편을 절취선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함으로써 경질 절단편의 선단부에 상품이 매달린 상태가 얻어져서 손가락 끝으로는 취급하기 어려운 소형 물품이라도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데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을 공기전지용 상품 포장체에 적용한 경우에는 포장체에 수용된 공기전지는 수용오목부 및 절단편에 의해 보유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포장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일이 없다. 특히 절단편은 그 선단부에서 전지를 보유하는 동시에 전지수용면부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전지의 이동을 방지하는데에 적합하다. 또 포장체의 일부는 복수의 절단편으로 하여, 그 선단부가 각각 복수의 공기전지에 점착된 시일필름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 하나의 공기전지를 하나의 절단편을 절취선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함으로써 경질의 절단편의 선단부에 공기전지가 매달린 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절단편으로 지지하여 공기전지를 기기의 전지수용부에 수납하여 절단편을 당기면 접힌 상태로 접합된 시일필름을 용이하게 벗기기에 적합하다.

Claims (15)

  1. 상품(4, 107)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21, 136)가 형성된 상품수용면부(17, 132)와, 상품수용면부(17, 132)에 접속된 덮개면부(18, 133)와, 상품수용면부(17, 132) 및/혹은 덮개면부(18, 133)에 접힘선(25, 147b, 147c)을 개재하여 연장된 절단편 형성면부(19, 134, 135)를 구비하도록 경질시트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부(19, 134, 135)에 복수의 절단편(16, 140)을 각각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각 절단편(16, 140)의 선단부에 상품(4, 107)이 유지되며,
    상품수용면부(17, 132)의 위에, 각 상품(4, 107)이 각 수용오목부(21, 136)에 수용되도록 접혀진 절단편 형성면부(19, 134, 135)를 끼우도록 하여, 덮개면부(18, 133)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2. 상품(204)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221a)가 형성된 상품수용면부(217)와, 상품수용면부(217)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품(204)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오목부(221b)가 형성된 덮개면부(218)와, 상품수용면부(217) 및 덮개면부(218)의 각각으로부터 접힘선(225)을 개재하여 연장된 절단편 형성면부(219, 227)를 구비하도록 경질시트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편 형성면부(219, 227)에 복수의 절단편(216)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각 절단편(216)의 선단부에 상품(204)이 유지되며,
    상품수용면부(217)의 위에 각 상품(204)이 각 수용오목부(21a, 221b)에 수용되도록 접혀진 절단편 형성면부(219, 227)를 끼우도록 하여, 덮개면부(218)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경질시트재를 가열성형 및 프레스가공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경질시트재로서 합성수지시트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경질시트재로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트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수용면부(17, 217)가 힌지면부(20, 220)를 개재하여 덮개면부(18, 218)에 접속되고, 상기 힌지(20, 220)면부의 접힘선(31, 32, 231, 232)으로 덮개면부(18, 218)측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힌지면부(20, 220)는,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 길이를 짧게 형성한 연질 접힘 절취눈금(31, 231)으로 상품수용면부(17, 217)에 접속되고, 덮개면부(18, 218)와 절단선 사이의 연결선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경질 접힘 절취눈금(32, 232)으로 덮개면부(18, 218)에 접속된 사이에 필요한 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수용면부(17, 217) 및 덮개면부(18, 218)에 보강용 요철부(22, 33, 222, 2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절단편(16, 216)의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38, 23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절단편(16, 216)은, 절단편 형성면부(19, 219, 227)를 원호가 형성된 분리선(29, 229)으로 절단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수용면부(17, 132, 217) 및 덮개면부(18, 133, 218)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36, 137, 236)에 타측에 형성된 볼록부(23, 138, 223)를 끼워넣어 상품수용면부(17, 132, 217)와 덮개면부(18, 133, 218) 사이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구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수용면부(17, 217) 및 덮개면부(18, 218)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36, 236)에 타측에 형성된 볼록부(23, 223)를 끼워넣어 상품수용면부(17, 217)와 덮개면부(18, 218) 사이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구조는, 원형의 볼록부(23, 223)와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36, 236)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측단 측에 현수용 개구부(41, 241)가 형성되고, 개구부로부터 타측 단까지의 길이가 현수진열의 허용높이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4, 107, 204)이 버튼형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품(4, 107, 204)이 공기전지이고, 공기전지는 시일필름(15, 105, 215)을 개재하여 절단편(16, 140, 216)의 선단부에 보유되고, 시일필름(15, 105, 215)은 공기전지에 그 공기구멍(7)을 폐쇄하며, 박리가 가능하도록 점착되는 시일부(15a)와, 이 시일부(15a)의 단변으로부터 시일부(15a)측으로 접혀져서 연장되는 접힘부(15b)로 이루어지고, 이 접힘부(15b)가 절단편(16, 140, 216)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체.
KR1020047011721A 2002-09-11 2003-09-11 상품 포장체 KR20050035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4907A JP4197243B2 (ja) 2002-09-11 2002-09-11 商品保持部材及び商品包装体
JPJP-P-2002-00264911 2002-09-11
JPJP-P-2002-00264907 2002-09-11
JP2002264908A JP4298981B2 (ja) 2002-09-11 2002-09-11 空気電池
JP2002264911A JP4197244B2 (ja) 2002-09-11 2002-09-11 空気電池包装体
JPJP-P-2002-00264908 2002-09-11
JPJP-P-2002-00352461 2002-12-04
JP2002352461A JP4156912B2 (ja) 2002-12-04 2002-12-04 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17A true KR20050035517A (ko) 2005-04-18

Family

ID=3199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721A KR20050035517A (ko) 2002-09-11 2003-09-11 상품 포장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0059B2 (ko)
EP (1) EP1541492B1 (ko)
KR (1) KR20050035517A (ko)
CN (1) CN100369791C (ko)
AT (1) ATE486022T1 (ko)
DE (1) DE60334705D1 (ko)
WO (1) WO20040245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700A1 (ko) * 2015-11-13 2017-05-18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레독스 흐름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1350A1 (en) * 2005-01-12 2006-07-13 Tilton Christopher R Printed plastic packaging
US7571810B2 (en) * 2005-09-08 2009-08-11 One Source Industries, Llc Printed packaging
US20080142385A1 (en) * 2006-12-18 2008-06-19 Stein Michael J Twist tip cleaning devices for ear wax removal
WO2008098222A1 (en) * 2007-02-08 2008-08-14 One Source Industries, Llc Printed packaging
US7621405B2 (en) 2007-06-20 2009-11-24 Eveready Battery Co., Inc. Lithium battery package
DE102009025471A1 (de) * 2009-06-12 2010-12-16 Varta Microbattery Gmbh Verkaufs- und Vorratspackung für Zink/Luft-Knopfzellen
US20120230806A1 (en) * 2011-03-09 2012-09-13 Donald Rumpel Hearing aid battery handler
CN103826988B (zh) * 2011-04-01 2016-03-09 曼金德公司 用于药物药盒的泡罩包装
US9027270B2 (en) * 2011-05-04 2015-05-12 The Hillman Group, Inc. Point of sale device
CN102815456A (zh) * 2011-06-10 2012-12-12 曹家豪 包装容器结构
EP2607262B1 (en) * 2011-12-22 2014-10-01 Renata AG Multiple blister pack for button batteries
CN103424356B (zh) * 2012-05-21 2015-12-09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分析卡匣及其分析系统
CA2985176A1 (en) * 2015-05-08 2016-11-17 Spectrum Brands, Inc. Hearing aid battery packaging
US9954208B2 (en) 2015-05-08 2018-04-24 Spectrum Brands, Inc. Hearing aid battery packaging
US9783353B2 (en) * 2015-06-03 2017-10-10 Peng-Yi Kuo Saf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ackage for tiny battery
USD879601S1 (en) 2016-05-06 2020-03-31 Energizer Brands, Llc Hearing aid battery package
US11101514B2 (en) 2017-05-26 2021-08-24 Duracell U.S. Operations, Inc. Removable tab and battery assembly having the same
USD878295S1 (en) 2017-05-26 2020-03-17 Duracell U.S. Operations, Inc. Battery tab
US11038229B2 (en) * 2017-05-26 2021-06-15 Duracell U.S. Operations, Inc. Texturized removable tab and battery assembly having the same
JP6991930B2 (ja) * 2018-06-07 2022-01-13 相互印刷株式会社 プレススルーパックの包装体
USD883801S1 (en) * 2018-11-01 2020-05-12 Redhill Biopharma Ltd. Bliste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709A (en) * 1876-02-15 Improvement in reciprocating diamond-saw machines
US3976195A (en) * 1974-04-18 1976-08-24 Modern Medical Concepts, Inc. Sealed package of swab or applicator stick and medicinal material to be applied thereby
US4015708A (en) * 1975-11-21 1977-04-05 Gould Inc. Button cell storage and merchandising package
JPS5837833Y2 (ja) * 1979-04-27 1983-08-26 凸版印刷株式会社 アンプル収納容器
JPS5837833A (ja) 1981-08-31 1983-03-05 Sony Corp 薄膜磁気ヘツド
US4693371A (en) * 1981-11-16 1987-09-15 Berlex Laboratories, Inc. Medication dispenser and container
US4860890A (en) * 1988-08-31 1989-08-29 Beltone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holder
JPH0361986U (ko) * 1989-10-24 1991-06-18
US5611433A (en) * 1996-05-29 1997-03-18 Levy; Abner Medical specimen slide mailer with improved specimen protection
SE515129C2 (sv) * 1996-07-01 2001-06-11 Astrazeneca Ab Blisterförpackning, apparat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blisterförpackning samt användning av en blisterförpackning
US6006911A (en) * 1998-10-13 1999-12-28 Levy; Abner Specimen slide holder with integral closure fastener
JP3061986U (ja) * 1999-03-09 1999-09-28 株式会社三邦 ブリスタ―パック
EP1057750B1 (de) * 1999-06-02 2003-03-26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Kindersichere Verpackung für Tabletten
US6364115B1 (en) * 2000-06-16 2002-04-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package with rotation prevention
US6329095B1 (en) * 2000-10-19 2001-12-11 The Gillette Company Tab for zinc/air cell
DE60142077D1 (de) 2000-10-20 2010-06-17 Panasonic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usbildung eines gehäusekörpers eines batteriepacks
CN2478962Y (zh) * 2001-03-09 2002-02-27 欧阳伟 一种包装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700A1 (ko) * 2015-11-13 2017-05-18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레독스 흐름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10059B2 (en) 2008-08-12
CN1639023A (zh) 2005-07-13
EP1541492A1 (en) 2005-06-15
WO2004024589A1 (ja) 2004-03-25
EP1541492A4 (en) 2008-12-17
DE60334705D1 (de) 2010-12-09
US20050103680A1 (en) 2005-05-19
EP1541492B1 (en) 2010-10-27
ATE486022T1 (de) 2010-11-15
CN100369791C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5517A (ko) 상품 포장체
JP4171237B2 (ja) 包装容器
US6244444B1 (en) Peggable reclosable battery package
NL7905899A (nl) Knoopcelverpakking en werkwijze om deze te vervaardigen.
US5647506A (en) Readily openable pop-up dispenser for moist tissues
US7648024B2 (en) Pocket-sized, hand-held container for consumer items having a receptacle for used product, sealed tray, and thumb ridge on lid
US20110042243A1 (en) Duo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using a substrate
JPH05213368A (ja) 亜鉛・空気電池のための販売・貯蔵用包装
US20070170087A1 (en) Blister package with thumb recess and self dispensing features
US8100261B2 (en) Dental floss package
US7918340B2 (en) Battery packaging
WO2002038470A1 (en) Battery display package
JP4166287B2 (ja) 包装
KR20030078026A (ko) 판매 및 보관용 버튼전지 패키지
JP4197244B2 (ja) 空気電池包装体
JP2004214047A (ja) 空気電池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4156912B2 (ja) 包装体
JP4986221B2 (ja) ウエットティシュペーパー収納容器
JPH0642976Y2 (ja) 卵容器
JP4932469B2 (ja) 綿棒包装容器
JP4197243B2 (ja) 商品保持部材及び商品包装体
US20080067087A1 (en) Small item dispenser attachable to a cigarette pack
TWI432153B (zh) 使用基材之用於拋棄式軟式隱形眼鏡之雙重包裝
JPH09240759A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JPH11165779A (ja) 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