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43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438A
KR20050034438A KR1020030070352A KR20030070352A KR20050034438A KR 20050034438 A KR20050034438 A KR 20050034438A KR 1020030070352 A KR1020030070352 A KR 1020030070352A KR 20030070352 A KR20030070352 A KR 20030070352A KR 20050034438 A KR20050034438 A KR 2005003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ata
persona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413B1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413B1/ko
Priority to CNB2004100692329A priority patent/CN1294505C/zh
Publication of KR2005003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와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장비를 연결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 접속 상태를 알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속에 의한 초기화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장비를 통해 확인해야 하므로, 숙련자가 아닌 경우 원인을 찾기 어려우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인 경우라도 고장을 의심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상 제품의 고장을 신고하는 경우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며 사용자 불편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포트가 외부 장비와 연결되는 경우 각 초기화 단계 별로 소정의 제한 시간을 두고, 해당 제한 시간 내에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지를 통해 단계별 성공 여부를 파악 하면서, 그 결과에 따라 접속 초기화 성공 여부와 이상 발생 단계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 유무와 오류 발생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상태가 표시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오해로 인한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의 불편함과 추가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DATA PORT CONNECTION STATUS INDIC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 포트를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연결하는 경우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른 초기화 단계별로 제한 시간을 두어 오류가 발생한 단계나 접속 성공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 상태 및 오류 원인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장이 확대 되었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기능들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높은 성능의 제어기, 많은 용량의 메모리, 화려한 표시부등은 이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이들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개인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및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수 많은 정보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인용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많은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서는 USB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USB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게 되면, 즉시 사용 가능해 지는 것은 아니며 개인용 컴퓨터의 물리적인 USB 장치와 내부 운영체제에 설치된 구동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장치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면서 초기화를 완료해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운영 체제를 사용하며,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혼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간혹 정상적인 USB 구동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하드웨어적으로도 USB 장치(전용칩)나 메인 보드 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의 보드 설정(바이오스 셋업)에서 보드에 내장된 USB 포트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 동작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USB 장치를 사용하기위해 무분별한 더미허브를 장착하여 USB의 포트 수를 늘린 경우에도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조작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많은 개인용 컴퓨터 환경은 초기화 절차가 필요한 USB 통신 방식(혹은 다수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컴퓨터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는 알기 어려우며, 컴퓨터 사용이 능숙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부분적인 상태 확인만이 가능할 뿐이다. 즉, 접속이 안되는 경우 제어판을 이용하여 드라이버의 설치 상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며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했지만 USB 포트를 사용할 수 없다면 우선적으로 그 원인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으로 간주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특히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통신 포트 연결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적으로 이상 유무의 확인을 개인용 컴퓨터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구동 드라이버 상태 정도만을 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정확인 원인을 찾기 어렵게 된다. 특히, 구동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나 컴퓨터측 하드웨어의 고장이라면 컴퓨터 제어판(혹은 다른 운영 체제의 관리자 모드)의 상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심하기 쉽다. 또한,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 더욱 복잡하거나 부정확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접속 불량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일반 사용자에게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리를 의뢰하여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을 의심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와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장비를 연결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 접속 상태를 알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속에 의한 초기화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장비를 통해 확인해야 하므로, 숙련자가 아닌 경우 원인을 찾기 어려우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인 경우라도 고장을 의심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상 제품의 고장을 신고하는 경우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며 사용자 불편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포트가 외부 장비와 연결되는 경우 각 초기화 단계 별로 소정의 제한 시간 동안 단계별 데이터 송수신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 초기화 성공 여부와 이상 발생 단계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접속 유무와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장비의 통신 포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소정의 초기화 단계별로 기 설정된 제한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계별 초기화 데이터 송수신이 해당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모든 초기화 단계가 각 단계별 제한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접속 성공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각 단계별 제한시간을 초과할때까지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단계에 따른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초기화 단계는 USB 통신 방식의 초기화 단계이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기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데, 초기 연결시 정보 요청 데이터 수신여부를 판단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웨어 이상을 검사하고, 해당 정보 요청 데이터 수신에 따른 정보를 전송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구동 드라이버 설치 오류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초기화 단계별로 기 설정된 제한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초기화 데이터 송수신이 해당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통신을 실시하는 전용 칩 상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며, 상기 단계별 오류 여부는 소정의 출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를 USB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당연히 일반 직렬 통신 방식이나 IEEE 1394,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등의 다른 종류의 통신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초기화 과정이 복잡하며 개인용 컴퓨터에서 빈번하게 오동작이 발생하는 USB 통신 방식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포트를 USB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한다. 당연히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다른 장비일 수 있으며 특히, USB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비일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은 켜져 있어야 하며, 개인용 컴퓨터는 정상적으로 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보드나 모니터 등에 내장된 USB 장치가 정상 동작 중이어야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용 USB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USB 통신용 케이블이 연결되면 개인용 컴퓨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결 여부를 즉시 알 수 있게 되고(내부 인터럽트 발생), 그에 따라 소정의 초기화 절차가 진행된다. 상당히 복잡한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하지만, 여기서는 간략화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장 처음, 케이블이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인식하여 내부 타이머를 구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타이머는 소정의 제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상적인 연결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정보 수신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제한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제한 시간 동안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정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했다면, 현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며, 이는 대부분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웨어 이상에 의한 것이다. 즉, 케이블의 오류, 개인용 컴퓨터의 USB 장치 오류(보드 설정, 물리적 손상, 전기적 손상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오류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한 시간 내에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표시부에 오류 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초기화 단계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정상적인 정보 요청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경우, 사용중인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에 대한 정보(descriptor 등)를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하여 통신 방식, 기기 종류 등의 내용을 개인용 컴퓨터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롭게 타이머를 구동하면서 자신이 송신한 정보에 대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대기 한다. 상기 타이머 역시 정상 적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으로 제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제한 시간내에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주된 원인은 개인용 컴퓨터에 정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USB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된 드라이버에 오류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표시부에 나타내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정상적인 응답 신호를 제한된 시간 내에 수신했다면 사용 중인 타이머를 정지시킨 후 정상 동작임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제공되는 메세지들을 확인하는 것 만으로 접속 상태와 오류 정보 및 원인을 규명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서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나, USB 통신 프로토콜과 물리적 드라이버가 장착된 USB 전용칩에서 실시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 오류 발생을 이동통신 단말기 주 제어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알려주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LED 등의 표시 수단을 통해 단계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독립적으로 접속 상태 표시가 가능해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의 부담을 덜 수 있으며, 다양한 응용 제품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개인용 컴퓨터의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에 이상이 있는 경우라면 그 원인에 대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아무런 정보가 표시되지 않거나 표시 상태가 불량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측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품 양산 시 제품 검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포트가 외부 장비와 연결되는 경우 각 초기화 단계 별로 소정의 제한 시간을 두고, 해당 제한 시간내에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지를 통해 단계별 성공 여부를 파악 하면서, 그 결과에 따라 접속 초기화 성공 여부와 이상 발생 단계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 유무와 오류 발생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상태가 표시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오해로 인한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의 불편함과 추가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순서를 보인 순서도.

Claims (6)

  1.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장비의 통신 포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소정의 초기화 단계별로 기 설정된 제한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계별 초기화 데이터 송수신이 해당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모든 초기화 단계가 각 단계별 제한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접속 성공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각 단계별 제한시간을 초과할때까지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단계에 따른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비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통신 방식은 USB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초기화 단계는 USB 통신 방식의 초기화 단계이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기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데, 초기 연결시 정보 요청 데이터 수신여부를 판단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웨어 이상을 검사하고, 해당 정보 요청 데이터 수신에 따른 정보를 전송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구동 드라이버 설치 오류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성공 또는 단계별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성공 메세지 또는 단계별 오류를 통해 추정되는 상기 외부 장비의 이상 원인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성공 또는 단계별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단계별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소자를 부가한 후 해당 소자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초기화 단계별로 기 설정된 제한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초기화 데이터 송수신이 해당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통신을 실시하는 전용 칩 상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며, 상기 단계별 오류 여부는 소정의 출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KR1020030070352A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KR100548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52A KR100548413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CNB2004100692329A CN1294505C (zh) 2003-10-09 2004-07-15 移动通信终端的数据端口连接状态确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52A KR100548413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38A true KR20050034438A (ko) 2005-04-14
KR100548413B1 KR100548413B1 (ko) 2006-02-02

Family

ID=3479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352A KR100548413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8413B1 (ko)
CN (1) CN12945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92B1 (ko) * 2009-06-16 2013-11-08 인텔 코오퍼레이션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카메라 응용
CN103279410A (zh) * 2013-04-10 2013-09-04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一种外接设备提示装置及其方法
CN105446837B (zh) * 2015-04-02 2019-05-07 北京眼神智能科技有限公司 检测iic接口器件是否连接的方法、装置以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8352A (ja) * 1989-05-24 1990-12-21 Nec Corp 端末接続確認方式
JPH06324723A (ja) * 1993-05-14 1994-11-25 Sharp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548922A (en) * 1995-01-11 1996-08-27 S. C. Johnson & Son, Inc. Insect bait station
KR19990018681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컴퓨터와 무선전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000013526A (ja) * 1998-06-24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20035298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유에스비 포트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57066A (ja) * 2000-11-22 2002-05-31 Nec Corp 情報端末システム
JP2002229873A (ja) * 2001-02-02 2002-08-16 Seiko Epson Corp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監視方法
KR100395332B1 (ko) * 2001-02-0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5997A (zh) 2005-04-13
KR100548413B1 (ko) 2006-02-02
CN1294505C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iagnostic commands to a vehicle
JPH0817540B2 (ja) 家庭電化機器の集中制御装置
WO2014169645A1 (zh) 一种检测智能终端故障的方法以及智能终端
JP2006072962A (ja) 複数のターゲットコンピュータ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
CN107368219B (zh) 触摸响应方法、芯片及智能设备
US7334054B2 (en) Video detection using display data channel
KR1005484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접속 상태 확인 방법
CN106324420B (zh) 一种显示故障检测方法
US5610593A (en)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1211553A (zh) 显示设备以及显示设备的驱动方法
CN108427044B (zh) 一种故障保护功能的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6480909B1 (en) Computer system for selectively connecting IEEE 1394 internal peripheral devices to either 1394 physical layer ports or 1394 external ports in response to control signal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JP2000040040A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03139094A (ja) 車両用通信装置
US8443236B2 (en) Test apparatus for tes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11110333A (ja) 中央監視システム
US20030110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management of servers
KR20040060363A (ko) 입/출력 케이블 연결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529008B1 (ko) 순간 정전을 대비한 자동 리셋 장치
JP2001320391A (ja) 通信制御装置
TWM622474U (zh) 行車語音警示系統
JP3217080B2 (ja) 液晶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030475B2 (ja) 防災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表示コントローラ
KR20030033870A (ko) 세탁기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