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700A - 초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초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700A
KR20050029700A KR1020040075416A KR20040075416A KR20050029700A KR 20050029700 A KR20050029700 A KR 20050029700A KR 1020040075416 A KR1020040075416 A KR 1020040075416A KR 20040075416 A KR20040075416 A KR 20040075416A KR 20050029700 A KR20050029700 A KR 2005002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uide
lens holder
optical axi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417B1 (ko
Inventor
가메야마야스아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0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991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0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991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0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99147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는 렌즈를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의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미소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점조절장치는,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가, 렌즈(5)를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의 제 1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와, 렌즈(5)를 초점 미세조절영역에서 제 2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부를 아우터 캠(8)의 가이드 홈(8a1, 8a2)의 경사부(8a12, 8a22)에 의해서 구성하고, 제 2 가이드부를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에 의해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초점조절장치{FOCUS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를 구동시켜서 소형 카메라 등의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은 중공모터의 회전체를 형성하는 마그네트에 핀을 형성하고,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에 상기한 핀을 걸어맞추게 되어 있다. 또, 렌즈 홀더와 본체를 나사형상의 가이드 홈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중공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체, 즉 마그네트를 회전시키면 이 마그네트의 핀을 개재하여 렌즈 홀더가 회전한다. 즉, 이 렌즈 홀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한 나사형상의 가이드 홈을 개재하여, 렌즈 홀더에 유지된 렌즈가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전진하거나, 또는 본체에 수납되도록 후퇴한다. 이에 의하여, 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초점이 조절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51524호 공보(단락번호 0058, 0059 및 도 7 / 대응미국특허공개 2003/0178911A1)
그런데, 렌즈를 소정의 대기위치, 예를 들어 본체 내의 수납위치로부터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재빨리 이동시키고,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는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이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는 나사형상의 가이드 홈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특히 수납위치로부터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이동시키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요망에는 부응할 수 없다.
또한,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도 가이드 홈의 피치를 크게 설정하면, 렌즈 홀더의 회전수에 대한 렌즈 홀더의 이동량, 즉 렌즈의 이동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렌즈를 수납위치로부터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재빨리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이드 홈의 피치를 크게 설정해 버리면,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미소한 움직임이 불가능하게 되고, 즉 미세조절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실용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캠 홈을 개재하여 렌즈를 재빨리 이동시키는 것을 생각하였을 경우, 캠 홈에 걸어맞추는 돌기에 부가하여, 캠 홈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 등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작비가 비싸진다는 다른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는 렌즈를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의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미소 이동을 실현할 수 있는 초점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렌즈를 재빨리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초점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요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복수매의 렌즈편을 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렌즈(5)와, 이들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와, 이 렌즈이동기구를 구동하는 중공모터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중공모터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중공모터는 예를 들어 크로우 폴식의 PM(Permanent Magnet) 모터로 이루어지며, 통형상부(2)를 갖는 베이스(1)와, 통형상부(2)에 삽입되어 회전체, 다시 말하면 로터를 형성하는 자석, 즉 마그네트(9), 및 통부재를 형성하는 아우터 캠(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자극톱니(10a, 11a)를 가지며, 도시생략한 코일이 감겨져 스테이터를 형성하는 보빈(10, 11)과, 이들 보빈(10, 11)을 고정하고, 회전체인 마그네트(9) 및 아우터 캠(8)의 축심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그 회전동작을 허용시키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즉 어퍼 가이드(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통형상부(2), 아우터 캠(8), 마그네트(9), 보빈(10, 11) 및 어퍼 가이드(12)를 덮는 커버(13)를 구비하며, 이 커버(13)는 베이스(1)에 고정시켜져 있다. 상기한 각 구성 중 아우터 캠(8)은 자성재로 이루어지고, 백 요크를 형성하고 있다. 또, 커버(13)도 자성재로 이루어지며, 아우터 요크를 형성하고 있다. 또, 마그네트(9)는 원고리(圓環)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방향에 S극과 N극이 번갈아 착자되어 있다.
도 4, 5는 각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및 어퍼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아우터 캠, 마그네트 및 보빈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중공모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를 형성하는 아우터 캠(8) 및 마그네트(9)는 아우터 캠(8)에 마그네트(9)를 외측에 끼우게 한 장착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회전체가 수납되도록 보빈(10, 11)이 위치하고, 보빈(10, 11)을 고정하도록 어퍼 가이드(12) 및 커버(13)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이동기구]
도 8∼10은 각각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아우터 캠, 이너 캠, 렌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렌즈 홀더를 걸어 부착한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13은 각각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베이스, 스프링 및 렌즈 홀더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스프링, 렌즈 홀더 및 이너 캠을 걸어 부착한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베이스, 스프링, 렌즈 홀더 및 이너 캠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수매의 렌즈편으로 이루어지는 렌즈(5)는 제 1 초점위치와 제 2 초점위치의 두 개의 초점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와, 렌즈(5)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4)와, 이 렌즈 홀더(4)를 가세하는 스프링(3)과, 가이드 통을 형성하는 이너 캠(6)과, 통부재를 형성하는 아우터 캠(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렌즈이동기구는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상호간의 거리인 제 1 소정 거리 만큼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와, 제 1,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제 2 소정 거리 만큼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소정 거리는 제 1 소정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2 소정 거리의 상한값이 500㎛, 제 1 소정 거리가 2㎜로 설정되어 있다.
중공모터의 회전체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캠(8)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홈(8a1, 8a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가이드 홈(8a1, 8a2)은 축 대칭으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홈(8a1)은 내려가는 부분(8a11), 올라가는 부분(8a13), 이들 내려가는 부분(8a11)과 올라가는 부분(8a13)을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경사부(8a12)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가이드 홈(8a2)도 내려가는 부분(8a21), 올라가는 부분(8a23), 경사부(8a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제 1 가이드 홈(8a1, 8a2)의 구성 중 경사부(8a12, 8a22)는 상기한 제 1 이동기구에 포함되고, 렌즈(5)를 제 1,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사이의 제 1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 1 가이드 홈(8a1, 8a2)의 경사부(8a12, 8a22)의 고저차는 예를 들어 제 1 소정 거리에 상응하는 2㎜로 설정되어 있다.
아우터 캠(8)의 내부에 이너 캠(6)이 배치된다. 또, 렌즈(5)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4)가 스프링(3)에 의해서 가세되어 항상 이너 캠(6)에 맞닿게 되어 있다. 스프링(3)은 그 전체 형상이 원추의 상측 부분을 절단 제거한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베이스(1)의 통형상부(2) 내에 수납된다.
베이스(1)의 통형상부(2)에는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대칭으로 제 2 가이드 홈(2a1, 2a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 홈(2a1)은 렌즈(5)의 광축방향과 일치하는 축심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 1 가로홈부(2a11)와, 이 제 1 가로홈부(2a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2 가로홈부(2a13)와, 이들 제 1 가로홈부(2a11)와 제 2 가로홈부(2a13)를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세로홈부(2a12)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가이드 홈부(2a2)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세로홈부(2a12) 등은 예를 들어 상기한 제 1 소정 거리에 상응하는 2㎜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렌즈 홀더(4)에는 그 외주면에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대칭으로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체(4a1, 4a2)는 상기한 제 2 이동기구에 포함되고, 렌즈(5)를 제 2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 1 캠체(4a1, 4a2)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은 고저차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저차가 예를 들어 상기한 제 2 소정 거리의 상한값에 상응하는 500㎛로 설정되어 있다.
또,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의 한쪽 끝의 각각에는 제 1 돌기(4a11), 제 2 돌기(4a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돌기(4a11), 제 2 돌기(4a21)의 각각은 도 3,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통형상부(2)에 한 쌍 형성되고, 광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구멍(2b1), 제 2 가이드 구멍(2b2)의 각각에 광축방향만의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들 캠체(4a1, 4a2)의 돌기(4a11, 4a21)와 통형상체(2)의 가이드 구멍(2b1, 2b2)의 각각에 의해서 렌즈 홀더(4)를,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시키는 동시에 그 회전을 저지시키는 규제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3, 10,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홀더(4)의 캠체(4a1, 4a2)의 도면에서 나타낸 하부의 각각에는 스프링(3)이 걸려 부착되는 노치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의 선단부는 이 노치부(4b)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렌즈 홀더(4)의 외측에 끼워맞춰지고, 이 렌즈 홀더(4)와 연동하는 이너 캠(6)에는 도 9의 도면에서 나타낸 아래쪽 부분에 축 대칭으로, 렌즈 홀더(4)의 캠체(4a1, 4a2)가 항상 맞닿는 제 1 걸어맞춤부(6a1), 제 2 걸어맞춤부(6a2)가 각각 형성시켜져 있다. 이들 걸어맞춤부(6a1, 6a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캠체(4a1, 4a2)의 맞닿는 면이 예를 들어 전사시킨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걸어맞춤부(6a1), 제 2 걸어맞춤부(6a2)의 면의 길이는 예를 들어 캠체(4a1, 4a2)의 2배로, 또한 고저차는 예를 들어 500㎛의 2배인 1㎜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이너 캠(6)에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이드 돌기(7a1)가 삽입되는 제 1 구멍(6b1)과, 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가이드 돌기(7a2)가 삽입되는 제 2 구멍(6b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구멍(6b1)과 제 2 구멍(6b2)은 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너 캠(6)의 제 1 구멍(6b1)에 삽입되고, 이너 캠(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통형상부(2)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에 걸어맞추는 형상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너 캠(6)의 제 2 구멍(6b2)에 삽입되고, 이너 캠(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2 가이드 돌기(7a2)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2)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2)에 걸어맞추는 형상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각 구성 중,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 2a2)을 형성하는 세로홈부(2a12) 등, 제 1 가이드 돌기(7a1), 제 2 가이드 돌기(7a2), 통부재인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 8a2)의 제 1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경사부(8a12, 8a22)에 의해서, 렌즈이동기구에 포함되는 상기한 제 1 이동기구, 즉 제 1,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사이의 거리인 제 1 소정 거리, 예를 들어 2㎜ 만큼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 구성 중,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 2a2)의 제 1 가로홈부(2a11), 제 2 가로홈부(2a13) 등,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 가이드 통인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 제 2 걸어맞춤부(6a2), 제 1 가이드 돌기(7a1), 제 2 가이드 돌기(7a2),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내려가는 부분(8a11), 올라가는 부분(8a13), 제 1 가이드 홈(8a2)의 내려가는 부분(8a21), 올라가는 부분(8a23)에 의해서, 렌즈이동기구에 포함되는 상기한 제 2 이동기구, 즉 제 1,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제 2 소정 거리, 예를 들어 500㎛를 상한으로 하는 거리 만큼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본 실시형태는 렌즈 홀더(4)의 이동시의 안정성, 즉 렌즈(5)의 이동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이동기구의 제 1 이동기구를 축 대칭이 되는 2세트의 부품요소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고, 또한 제 2 이동기구도 축 대칭이 되는 2세트의 부품요소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다.
즉, 제 1 이동기구 중 제 1 세트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을 형성하는 세로홈부(2a12), 제 1 가이드 돌기(7a1),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경사부(8a1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세트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2)을 형성하는 도시생략한 세로홈부, 제 2 가이드 돌기(7a2),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2)의 경사부(8a2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세트의 동작은 동등하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세트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마찬가지로 제 2 이동기구 중 제 1 세트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제 1 가로홈부(2a11), 제 2 가로홈부(2a13),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 제 1 가이드 돌기(7a1),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내려가는 부분(8a11), 올라가는 부분(8a1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세트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2)을 형성하는 도시생략한 제 1 가로홈부, 제 2 가로홈부, 렌즈 홀더(4)의 제 2 캠체(4a2), 이너 캠(6)의 제 2 걸어맞춤부(6a2), 제 2 가이드 돌기(7a2),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2)의 내려가는 부분(8a21), 올라가는 부분(8a2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세트의 동작도 동등하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세트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도 16∼20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6은 렌즈 홀더가 소정의 제 1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이다. 이 제 1 대기위치는 수납위치이고, 렌즈 홀더(4), 즉 렌즈(5)가 베이스(1)에 가장 접근하도록 수납되어 있고, 이너 캠(6)에 고정시킨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제 1 가로홈부(2a11)의 끝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내려가는 부분(8a11)에 위치하고 있다. 또, 여기서는 도시생략한 스프링(3)의 힘에 의하여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의 상단부(4a12)가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의 하단부(6a11)에 맞닿은 상태에 있다.
도 17은 렌즈 홀더를 제 1 대기위치로부터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 이동시켜서 미세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이다. 상기한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중공모터를 구동하여 회전체, 즉 아우터 캠(8)을 도 16의 화살표 2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내려가는 부분(8a11)의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제 1 가이드 돌기(7a1)가 눌러짐으로써, 이너 캠(6)이 아우터 캠(8)과 일체로 화살표 20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안,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제 1 가로홈부(2a11) 내를 이동하므로, 이너 캠(6)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 이너 캠(6)의 회전에 의하여,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의 상단부(4a12)가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의 하단부(6a11)로부터 중앙부(6a12)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동안, 스프링(3)의 힘에 의하여, 또한 제 1 돌기(4a11), 제 2 돌기(4a21)가 통형상부(2)의 제 1 가이드 구멍(2b1), 제 2 가이드 구멍(2b2)에 의해서 회전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렌즈 홀더(4)는 도 16의 화살표 3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500㎛ 전진하여 도 17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 동안에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의 렌즈(5)의 미세조절이 행해진다. 도 16에 나타낸 베이스(1)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 렌즈 홀더(4)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의 거리를 L1, 도 17에 나타낸 베이스(1)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 렌즈 홀더(4)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의 거리를 L2라 하면
L1 - L2 = 500 (㎛)
가 된다.
도 17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이너 캠(6)에 고정되는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세로홈부(2a12)의 최하부에 도달한다. 또, 이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경사부(8a12)의 가장 아래쪽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의 상단부(4a12)는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의 중앙부(6a12)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도 18은 렌즈 홀더를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계속해서 아우터 캠(8)이 그 도 17의 화살표 2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면, 이너 캠(6)에 고정한 제 1 가이드 돌기(7a1)가,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세로홈부(2a12) 내를 상승하는 동시에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경사부(8a12) 내를 상승한다. 이 제 1 가이드 돌기(7a1)의 상승에 연동하여 스프링(3)의 힘에 의하여 렌즈 홀더(4)는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을 향하여 도 17의 화살표 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하여 도 18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동안,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와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가 생기지 않도록 렌즈 홀더(4)와 이너 캠(6)이 유지된다.
도 19는 렌즈 홀더를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이다. 상기한 도 1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아우터 캠(8)이 계속해서 그 도 18의 화살표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면, 이너 캠(6)에 고정된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세로홈부(2a12)의 최상부에 도달한다. 또, 이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경사부(8a12)의 가장 위쪽 위치를 거쳐 올라가는 부분(8a13)에 도달한다. 즉, 제 1 가이드 돌기(7a1)를 개재하여 이너 캠(6)이 도 18의 화살표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하고, 이에 따라서 스프링(3)의 힘에 의하여 렌즈 홀더(4)는 전술한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2㎜ 전진하여,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도달한다. 이 도 19에 나타낸 베이스(1)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 렌즈 홀더(4)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의 거리를 L3이라 하면, 도 17에 나타낸 거리 L2와의 관계로부터
L2 + L3 = 2 (㎜)
가 된다.
도 20은 렌즈 홀더를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미세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이 도 19의 화살표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해서 아우터 캠(8)이 회전하면, 이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의 올라가는 부분(8a13)의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제 1 가이드 돌기(7a1)가 눌러짐으로써, 이너 캠(6)이 아우터 캠(8)과 일체로 도 19의 화살표 23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안, 제 1 가이드 돌기(7a1)는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2 가이드 홈(2a1)의 제 2 가로홈부(2a13) 내를 이동하므로, 이너 캠(6)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 이너 캠(6)의 회전에 의하여,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의 상단부(4a12)가,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의 중앙부(6a12)로부터 상단부(6a13)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하여, 스프링(3)의 힘에 의해서 렌즈 홀더(4)는 도 19의 화살표 33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500㎛ 전진하여 도 20에 나타낸 상태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동작 동안에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의 렌즈(5)의 초점 조절이 행해진다. 도 20에 나타낸 렌즈 홀더(4)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 베이스(1)의 도면에서 나타낸 상면과의 거리를 L4라 하면, 전술한 도 19에 나타낸 거리 L3과의 관계로부터
L4 - L3 = 500 (㎛)
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이 렌즈 홀더(4)의 제 2 대기위치가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는 제 2 소정 거리, 즉 500㎛를 상한값으로 하는 거리범위에서 렌즈 홀더(4)가 미소 이동하여 제 1 초점의 미세조절이 행해지고,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는 제 1 소정 거리, 즉 2㎜ 만큼 렌즈 홀더(4)를 전진시키며,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는 제 2 소정 거리, 즉 500㎛를 상한값으로 하는 거리범위에서 렌즈 홀더(4)가 미소 이동하여 제 2 초점의 미세조절이 행해진다. 제 1 소정 거리 2㎜의 렌즈 홀더(4)의 이동은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세로홈부(2a12) 내와 아우터 캠(8)의 경사부(8a12) 내, 즉 캠 홈 내를 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이드 돌기(7a1)가 이동하므로, 그 이동을 순간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렌즈(5)를 제 1 초점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제 2 대기위치, 즉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 렌즈 홀더(4)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전술한 것과 반대의 동작으로서, 도 2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아우터 캠(8)을 그 도 20의 화살표 24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중공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상호간에 있어서는 렌즈이동기구의 제 1 이동기구에 포함되는 제 1 가이드부, 즉 아우터 캠(8)의 제 1 가이드 홈(8a1, 8a2)의 경사부(8a12, 8a22)에 의해서 렌즈(5)를 재빨리 2㎜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렌즈(5)의 500㎛를 상한값으로 하는 미소 이동을, 렌즈이동기구의 제 2 이동기구에 포함되는 제 2 가이드부, 즉 렌즈 홀더(4)의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즉, 렌즈(5)의 미소 이동을 실현하면서도 초점 조절에 요하는 전체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 본 실시형태는 렌즈(5)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4)와, 중공모터의 회전체에 포함되는 통부재인 아우터 캠(8) 사이에, 아우터 캠(8)에 형성한 제 1 가이드 홈(8a1, 8a2)에 걸어맞추는 제 1 가이드 돌기(7a1), 제 2 가이드 돌기(7a2)를 구비한 가이드 통인 이너 캠(6)을 마련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렌즈 홀더(4)에 유지되는 렌즈(5)를 광축방향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중공모터의 회전체를 형성하는 아우터 캠(8)을, 제 1 가이드 홈(8a1, 8a2)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활용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밖에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비를 싸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중공모터를 구성하는 커버(13) 및 아우터 캠(8)이 각각 자성재로 이루어지고 요크를 겸하므로, 이 점에서도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작비를 싸게 하는 것에 공헌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렌즈 홀더(4)의 제 2 가이드부, 즉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의 형상 치수를 바꿈으로써, 렌즈(5)의 미세조절에 관계하는 제 2 소정 거리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제 2 가이드부, 즉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의 형상 치수가 다른 렌즈 홀더(4)를 복수개 준비해 두면, 렌즈 홀더(4)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렌즈(5)의 미세조절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렌즈(5)의 미세조절량의 변경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렌즈 홀더(4)의 제 2 가이드부인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와, 가이드 통인 이너 캠(6)의 제 1 걸어맞춤부(6a1), 제 2 걸어맞춤부(6a2)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렌즈 홀더(4)를 가세하는 스프링(3)을 설치함으로써, 스프링(3)의 가세력을 개재하여 렌즈 홀더(4)를 광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스프링(3)의 전체 형상이 원추의 상측 부분을 절단 제거한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는 수에 대한 큰 스프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렌즈 홀더(4)에 대한 큰 가세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4)의 광축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의 실현에 공헌하며, 이에 의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렌즈 홀더(4)에 스프링(3)이 걸려 부착되는 노치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4b)에 스프링(3)의 일부가 수용되기 때문에, 스프링(3)과 렌즈 홀더(4)를 포함시킨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어,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렌즈 홀더(4)를,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시키는 동시에 그 회전을 저지시키는 규제수단, 즉 렌즈 홀더(4)의 제 1 돌기(4a11), 제 2 돌기(4a21)와, 베이스(1)의 통형상부(2)의 제 1 가이드 구멍(2b1), 제 2 가이드 구멍(2b2)의 조합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중공모터의 구동에 의한 아우터 캠(8)을 포함하는 회전체의 회전시에 렌즈 홀더(4)가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며, 이에 의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크로우 폴식의 중공모터를 구비하고, 이 중공모터의 내부에 제 1 가이드부, 즉 경사부(8a12, 8a22)를 갖는 아우터 캠(8)과, 제 2 가이드부, 즉 제 1 캠체(4a1), 제 2 캠체(4a2)를 갖는 렌즈 홀더(4)를 포함하는 렌즈이동기구를 수납할 수 있어, 전체 형상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가이드부를 개재하여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는 렌즈를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2 가이드부를 개재하여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의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미소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렌즈의 미세조절을 실현하면서도 초점 조절에 요하는 전체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은 제 1 이동기구에 의해서 렌즈를 각각의 초점 미세조절영역 상호간에 있어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2 이동기구에 의해서 각각의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미소 이동을 실현할 수 있어, 즉 렌즈의 미소 이동을 실현하면서도 초점 조절에 요하는 전체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모터에 구비되는 회전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렌즈를 재빨리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부터의 요망에 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비를 억제할 수 있어 실용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점조절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및 어퍼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및 어퍼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아우터 캠, 마그네트 및 보빈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중공모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아우터 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이너 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렌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렌즈 홀더를 걸어 부착한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통형상부를 갖는 베이스, 스프링 및 렌즈 홀더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베이스, 스프링 및 렌즈 홀더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스프링, 렌즈 홀더 및 이너 캠을 걸어 부착한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통형상부를 갖는 베이스, 스프링, 렌즈 홀더 및 이너 캠의 짜맞춤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로서, 렌즈 홀더가 소정의 제 1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로서, 렌즈 홀더를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미세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로서, 렌즈 홀더를 제 1 초점 미세조절영역으로부터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로서, 렌즈 홀더를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전개도,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로서, 렌즈 홀더를 제 2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미세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통형상부(렌즈이동기구)
2a1 : 제 2 가이드 홈
2a11 : 제 1 가로홈부(제 2 이동기구)
2a12 : 세로홈부(제 1 이동기구)
2a13 : 제 2 가로홈부(제 2 이동기구)
2a2 : 제 2 가이드 홈
2b1 : 제 1 가이드 구멍(규제수단)
2b2 : 제 2 가이드 구멍(규제수단)
3 : 스프링(렌즈이동기구)
4 : 렌즈 홀더(렌즈이동기구)
4a1 : 제 1 캠체(제 2 가이드부) [제 2 이동기구]
4a11 : 제 1 돌기(규제수단)
4a12 : 상단부
4a2 : 제 2 캠체(제 2 가이드부) [제 2 이동기구]
4a21 : 제 2 돌기(규제수단)
4b : 노치부
5 : 렌즈
6 : 이너 캠(가이드 통) (렌즈이동기구)
6a1 : 제 1 걸어맞춤부(제 2 이동기구)
6a11 : 하단부
6a12 : 중앙부
6a13 : 상단부
6a2 : 제 2 걸어맞춤부(제 2 이동기구)
6b1 : 제 1 구멍
6b2 : 제 2 구멍
7a1 : 제 1 가이드 돌기(제 1 이동기구) (제 2 이동기구)
7a2 : 제 2 가이드 돌기(제 1 이동기구) (제 2 이동기구)
8 : 아우터 캠(통부재) (회전체) [렌즈이동기구]
8a1 : 제 1 가이드 홈
8a11 : 내려가는 부분(제 2 이동기구)
8a12 : 경사부(제 1 가이드부) (제 1 이동기구)
8a13 : 올라가는 부분(제 2 이동기구)
8a2 : 제 1 가이드 홈
8a21 : 내려가는 부분(제 2 이동기구)
8a22 : 경사부(제 1 가이드부) (제 1 이동기구)
8a23 : 올라가는 부분(제 2 이동기구)
9 : 마그네트(회전체)
10 : 제 1 보빈
10a : 자극톱니
11 : 제 2 보빈
11a : 자극톱니
12 : 어퍼 가이드
13 : 커버
L1 : 거리
L2 : 거리
L3 : 거리
L4 : 거리

Claims (21)

  1. 렌즈와, 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와, 이 렌즈이동기구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이동기구가, 상기 렌즈를 초점 미세조절영역까지의 제 1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렌즈를 상기 초점 미세조절영역에서 제 2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의 외측에 끼워맞춰지고 이 렌즈 홀더의 이동과 연동하는 가이드 통과, 이 가이드 통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통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걸어맞추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안내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통과 함께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 1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고,
    그 후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통과 함께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 2 소정 거리 만큼 미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에 상기 제 2 가이드부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 홀더를 가세하는 스프링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전체 형상을, 원추의 상측 부분을 절단 제거한 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 상기 스프링이 걸려 부착되는 노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시키는 동시에 그 회전을 저지시키는 규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거리를 상기 제 1 소정 거리에 비하여 짧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크로우 폴식의 중공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9. 2 초점을 갖는 렌즈와, 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와, 이 렌즈이동기구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이동기구가, 상기 렌즈를 각각의 초점 미세조절영역 사이의 제 1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와, 상기 렌즈를 각각의 초점 미세조절영역에 있어서 제 2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기구가, 상기 렌즈를 상기 제 1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동기구가, 상기 렌즈를 상기 제 2 소정 거리 만큼 광축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의 외측에 끼워맞춰지고 이 렌즈 홀더의 이동과 연동하는 가이드 통과, 이 가이드 통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통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걸어맞추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안내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통과 함께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 1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고,
    그 후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통과 함께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 2 소정 거리 만큼 미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에 상기 제 2 가이드부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전체 형상을, 원추의 상측 부분을 절단 제거한 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 상기 스프링이 걸려 부착되는 노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시키는 동시에 그 회전을 저지시키는 규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거리를 상기 제 1 소정 거리에 비하여 짧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크로우 폴식의 중공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8. 렌즈와, 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기구와, 이 렌즈이동기구를 구동하는 중공모터를 갖는 동시에,
    상기 렌즈이동기구가, 상기 중공모터에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이 회전체의 내주면에,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모터는 크로우 폴식의 모터이고,
    상기 회전체는 원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방향에 S극과 N극이 번갈아 착자된 자석과, 이 자석이 외측에 끼워지는 통부재로 이루어지며,
    이 통부재에 상기 가이드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가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의 외측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통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과 연동하는 가이드 통과, 이 가이드 통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이 가이드 돌기가 상기 통부재의 상기 가이드 홈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중공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회전체에 포함되는 상기 통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통과 함께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조절장치.
KR1020040075416A 2003-09-22 2004-09-21 초점조절장치 KR100632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0134A JP2005099149A (ja) 2003-09-22 2003-09-22 焦点調節装置
JPJP-P-2003-00330134 2003-09-22
JPJP-P-2003-00330129 2003-09-22
JPJP-P-2003-00330118 2003-09-22
JP2003330129A JP2005099148A (ja) 2003-09-22 2003-09-22 焦点調節装置
JP2003330118A JP2005099147A (ja) 2003-09-22 2003-09-22 焦点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700A true KR20050029700A (ko) 2005-03-28
KR100632417B1 KR100632417B1 (ko) 2006-10-09

Family

ID=3468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416A KR100632417B1 (ko) 2003-09-22 2004-09-21 초점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46097B2 (ko)
KR (1) KR100632417B1 (ko)
CN (1) CN1296741C (ko)
TW (1) TWI2749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3019A1 (en) * 2006-11-23 2008-05-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634B2 (en) 2005-02-28 2010-10-12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Autofocus camera
US20060193620A1 (en) * 2005-02-28 2006-08-31 Darrell Harrington Lorentz actuator for miniature camera
US7469100B2 (en) * 2005-10-03 2008-12-23 Flextronics Ap Llc Micro camera module with discrete manual focal positions
KR100862303B1 (ko) * 2006-05-11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EP3584912A3 (en) 2006-05-11 2020-05-06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CN101079567B (zh) * 2006-05-24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步进马达及相机模组
JP2008033167A (ja) * 2006-07-31 2008-02-1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撮像ユニット
US7983556B2 (en) * 2006-11-03 2011-07-19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US8605208B2 (en) * 2007-04-24 2013-12-10 Digitalopt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modules using wafer level optics with bottom cavity and flip-chip assembly
CA2685083A1 (en) * 2007-04-24 2008-11-06 Harpuneet Singh Auto focus/zoom modules using wafer level optics
CN101350550B (zh) * 2007-07-18 2011-08-31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马达及其驱动方法
US7990463B2 (en) * 2008-02-05 2011-08-02 Power Gate Optical Inc Multi-stage lens driving device
TWI406026B (zh) * 2008-10-20 2013-08-21 Asia Optical Co Inc 接眼對焦裝置
CN101750849A (zh) * 2008-12-22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230996A (zh) * 2009-10-07 2011-1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US8545114B2 (en) 2011-03-11 2013-10-01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TWI459069B (zh) * 2011-11-04 2014-11-01 Altek Corp 改良對焦準確率之鏡頭及其攝像裝置
CN103091812A (zh) * 2011-11-04 2013-05-0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改良对焦准确率的镜头及其摄像装置
KR101983169B1 (ko) 2014-04-18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709769B2 (en) 2014-12-10 2017-07-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for optically aligning light collection components and optically aligned light collection systems thereof
KR102351098B1 (ko) * 2015-01-16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렌즈 모듈
KR102399590B1 (ko) * 2015-02-04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WO2023213372A1 (en) * 2022-05-02 2023-1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system for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0211A (en) * 1980-08-22 1982-03-05 Canon Inc Construction of zoom lens capable of extreme proximity photographing
JPS59109005A (ja) * 1982-12-14 1984-06-23 West Electric Co Ltd レンズ移動装置
US4605286A (en) * 1983-05-20 1986-08-12 Canon Kabushiki Kaisha Motor built-in lens mounting
WO1986003600A1 (en) * 1984-12-04 1986-06-19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Automatic focus regulating method and camera with automatic focus regulator
JPS62195615A (ja) * 1986-02-22 1987-08-28 Canon Inc レンズ駆動装置を兼ねた中空型ステツピングモ−タ
JP3653773B2 (ja) * 1995-02-24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800747B2 (ja) * 1995-12-15 1998-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学系の焦点調整機構
JP2000266981A (ja) * 1999-03-19 2000-09-29 Canon Inc レンズ鏡筒
JP4521916B2 (ja) * 2000-02-10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用カム筒、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
JP3954332B2 (ja) * 2000-07-1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学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6798093B2 (en) * 2000-07-28 2004-09-28 Canon Kabushiki Kaisha Dual coil permanent magnet motor having inner annular member
US6529338B2 (en) * 2001-01-31 2003-03-04 Ping-Yim Cheung Zoom lens assembly with focus adjustment mechanism
JP2002228911A (ja) * 2001-02-06 2002-08-14 Canon Inc レンズ鏡筒、カメラおよび光学機器
US6522477B2 (en) * 2001-04-17 2003-02-18 Karl Storz Imaging, Inc. Endoscopic video camera with magnetic drive focus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3019A1 (en) * 2006-11-23 2008-05-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7885023B2 (en) 2006-11-23 2011-02-0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8451553B2 (en) 2006-11-23 2013-05-2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9921387B2 (en) 2006-11-23 2018-03-2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9939606B2 (en) 2006-11-23 2018-04-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10983298B2 (en) 2006-11-23 2021-04-2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11754800B2 (en) 2006-11-23 2023-09-1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3695A1 (en) 2005-03-24
TW200513703A (en) 2005-04-16
US7146097B2 (en) 2006-12-05
KR100632417B1 (ko) 2006-10-09
TWI274928B (en) 2007-03-01
CN1601316A (zh) 2005-03-30
CN1296741C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17B1 (ko) 초점조절장치
CN204101867U (zh) 小型化电磁致动器
KR100681589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1625818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US20110043933A1 (en) Rens moving module
US9310584B2 (en) Lens driving apparatus
JP2008287034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撮像機器、ならびに携帯電子機器
US20080285162A1 (en) Lens Drive Unit
KR100526242B1 (ko) 이송장치
KR101889835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JP2007072461A (ja) レンズ内蔵のモーター
KR101779817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US7728705B2 (en)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device
KR20110007951A (ko) 구동 장치
US8305675B2 (en) Light control apparatus
US8427729B2 (en) Light adjusting apparatus
CN1476147A (zh) 驱动装置、光量调节装置、以及镜头驱动装置
KR101185303B1 (ko) 렌즈 초점 구동장치
JP2005099149A (ja) 焦点調節装置
EP1895342A1 (en) Cam drive mechanism, lens barrel, and camera
JP2005099148A (ja) 焦点調節装置
KR20050093111A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JP4472433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WO2006106773A1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JP2002107600A (ja) レンズ鏡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