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107A -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 - Google Patents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107A
KR20050029107A KR1020040054657A KR20040054657A KR20050029107A KR 20050029107 A KR20050029107 A KR 20050029107A KR 1020040054657 A KR1020040054657 A KR 1020040054657A KR 20040054657 A KR20040054657 A KR 20040054657A KR 20050029107 A KR20050029107 A KR 2005002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image signal
still
automatic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시마도시유키
이노쿠마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고 화질의 동영상 기록이 가능하며 또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이 기록될 경우에도 높은 정밀도로 초점이 맞추어진 정지화상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동영상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소정의 조작이 실행되면, 영상감지기로부터 9 화소별로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가 출력되며, 이에 기초하여 비교적 고속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어, 고 화질의 동영상이 기록된다. 셔터스위치가 반셔터가 되면, 영상감지기로부터 수직방향의 화소가 간축된 화상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기초하여 비교적 고 정밀이며 고속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며, 셔터스위치가 완전셔터가 되면 영상감지기로부터 모든 화소의 화상신호가 출력되어 정지화상이 기록된다.

Description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METHOD FOR AUTOFOCUSING AND AUTOFOCUS CAMERA}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초점을 조절하여, 동영상 및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및 이와 같은 카메라에 이용되는 자동초점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및 정지화상의 기록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DCT(이산 코사인변환)변환하여, 소정의 공간주파수 성분이 커지도록 자동초점조절을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복수 프레임의 화상신호에 대하여 DCT변환하여, 예를 들어 고주파성분이 최대가 되는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일특개평 6-245129호 공보).
그런데, 1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소 수가 많아지면,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신호의 판독이나 DCT에 필요한 시간이 증대되어, 촬상 후, 초점이 맞추어진 화상이 기록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화소가 간축된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초점조절을 행하는 동시에, 동영상의 해상도는 반드시 정지화상 해상도와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 점을 고려하여, 동영상의 기록에 대해서는, 상기 간축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한편, 정지화상의 기록에 대해서는, 자동초점조절된 상태에서 모든 화소의 화상신호를 촬상소자로부터 판독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소를 간축한 경우, 기본적으로 화상정보가 결락되므로, 동영상의 화질은 낮은 것이 된다. 그래서 복수의 화소별로, 화상신호를 혼합시킨 1 개의 혼합 화상신호를 촬상소자로부터 출력시켜 기록함으로써, 동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동영상을 기록할 때의 자동초점조절도 상기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한 자동초점조절에서는,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의 기록이 실행될 경우에, 높은 정밀도로 초점이 맞은 정지화상을 기록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혼합화상신호는, 모든 화소의 화상신호를 포함하는 한편 그 혼합에 의해 고주파성분이 저하되므로, 정지화상 기록에 적합한 높은 정밀도의 자동초점조절을 행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로는, 고 화질의 동영상 기록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높은 정밀도로 자동초점조절된 정지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고 화질의 동영상 기록이 가능하며, 더욱이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이 기록되는 경우라도, 높은 정밀도로 초점이 맞은 정지화상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초점조절방법은,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방법으로서, 상기 동영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정지화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 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혼합화상신호에는, 간축 화상신호와 같은 화상정보의 결락이 없으므로, 비교적 고 화질의 동영상 기록이 실행된다. 한편, 정지화상 기록용의 자동초점조절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된 화상신호, 또는 부분적인 영역의 화상신호에 의해 실행되며, 예를 들어 고주파성분이 적절하게 추출되어,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짐과 동시에, 상기 화상신호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다른 쪽 방향으로 간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절취되므로, 비교적 고속으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또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화상신호의 혼합과, 간축 또는 부분영역의 절취를 행하여, 상기 혼합화상신호와, 상기 간축 화상신호 또는 부분영역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화상신호 고주파성분 등의 추출만이 아닌,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신호 출력에 필요한 시간도 짧게 억제되므로, 신속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은, 제 1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진 경우, 또는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지고 또 상기 제 1 셔터조작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조작은 셔터의 반셔터 조작인 한편, 상기 제 2 셔터조작은 셔터의 완전셔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은,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상기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을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간단한 셔터조작으로 정지화상을 기록하거나, 확실하게 초점이 맞추어진 정지화상을 기록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동초점조절방법은,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방법으로서, 상기 동영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은,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은 광학적 파인더가 사용됐을 경우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동시에, 광학적 파인더가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파인더가 사용됐을 경우에는, 영역출력에 기초한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비교적 고속으로 또 높은 정밀도의 초점조절이 행해짐과 동시에,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될 화상을 보지 않으므로, 모니터에 부분적 영역의 화상만 표시되거나 표시가 정지되거나 해도 지장이 없으며, 또 파인더가 사용되지 않으면, 간축 화상신호에 의해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짐과 동시에, 모니터에 촬상범위 전체가 표시되므로, 파인더로 촬상범위를 확인하여 정지화상을 기록하기가 쉽다.
또한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기록, 및 정지화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각각,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혼합화상신호, 부분영역 화상신호 또는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화상신호 고주파성분 등의 추출만이 아닌,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신호 출력에 필요한 시간도 짧게 억제되므로, 신속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또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서는, 제 1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며,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또는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지고 또 상기 제 1 셔터조작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을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된다.
또한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조작은 셔터의 반셔터 조작인 한편, 상기 제 2 셔터조작은 셔터의 완전셔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동초점조절방법에서는,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며, 상기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을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간단한 셔터조작으로 정지화상을 기록하거나, 확실하게 초점이 맞추어진 정지화상을 기록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는,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로서,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영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 또는 촬상범위 중의 부분적 영역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는,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로서,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영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과, 광학적인 파인더가 사용됐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파인더사용 검출수단과, 광학적인 파인더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에는, 촬상범위 중의 부분적 영역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시에, 광학적인 파인더의 비사용이 검출된 경우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한쪽에서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메커니즘에 의해, 비교적 고 화질의 동영상 기록이 실행되는 한편,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또 고속으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져, 정지화상 기록이 실행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구성)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자동초점조절 카메라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유닛(101)과, 영상감지기(102), 동기펄스발생기(103), ADC(104)(AD변환기), DCP(105)(디지털신호 처리기), 제어부(106), 모니터(107), 기록장치(108) 및 셔터스위치(109)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유닛(101)은, 광학렌즈와, 이 광학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초점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영상감지기(102)는, 예를 들어 CCD 고체촬상소자나 MOS형 고체촬상소자 등의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렌즈유닛(10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각 화소별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동기펄스발생기(103)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에 동기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영상감지기(102)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각 화소별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복수의 화소별로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나, 촬상화면의 예를 들어 수직방향의 화소가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상신호의 혼합이나 간축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ADC(104)는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디지털 화상데이터로 변환(AD변환)하도록 구성된다.
DSP(105)는, ADC(10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DCT에 의해 고주파성분을 추출하여 제어부(106)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SP(105)는 또, ADC(104)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모니터(107)에 대응한 화상신호로 변환시켜 모니터(107)로 출력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JPEG형식이나 MPEG형식의 데이터로 포맷변환시켜 기록장치(108)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영상감지기(102)에 화상신호의 출력형식(혼합화상신호 등)의 지시를 출력하거나, 렌즈유닛(10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DSP(105)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데이터의 고주파성분이 최대로 되도록 구동함으로써,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107)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기록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기록장치(108)는, DSP(105)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예를 들어 메모리카드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셔터스위치(109)는, 예를 들어 반셔터, 및 완전셔터의 2 단계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6)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화상신호의 혼합 및 간축)
상기 화상신호의 혼합이나 간축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도 2는 영상감지기(102)의 컬러화소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촬상소자의 앞면에 장착되는 컬러필터의 배열을, 예를 들어 베이어배열로 한다. 여기서 Gr과 Gb는 실제로는 같은 색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수평 양측이 R필터 사이에 끼이는 필터화소를 Gr, 수평 양측이 B필터 사이에 끼이는 필터화소를 Gb로 표기한다.
제어부(106)로부터 화상신호의 혼합을 지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영상감지기(102)에서는, Gr, B, Gb, R의 각 화소혼합단위영역(201∼204)별로, 각 영역 내의 Gr, B, Gb, 또는 R의 각 전 9 화소(즉, 중앙의 화소와 그 주위의 8 화소)에 대한 화상신호가 혼합된다. 혼합된 혼합화상신호는 각각,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혼합단위영역(201∼204)의 중심의 화소(211∼214) 등 1 개 화소의 화상신호로서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된다.(도 3 및 이하에 설명하는 도 4에서 각 화소의 색 구별은 생략하고 단순히 P로 기재한다.)
또 제어부(106)로부터 화상신호의 간축을 지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 라인(231∼234)의 화소가 간축되어, 라인(221∼225) 전체 화소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즉, 수직방향으로 절반의 화소가 간축된다.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동작)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01) 우선, 동영상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06)는 영상감지기(102)에 화상신호의 혼합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영상감지기(102)로부터는, 상기와 같이 각색 9 화소별로 혼합된 혼합화상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모니터(107)에의 표시가 행해진다.
(S102) 상기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된다. 즉,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는 ADC(104)에 의해 디지털 화상데이터로 변환되며, DSP(105)에 의해 고주파성분이 추출되어 제어부(106)로 입력된다. 제어부(106)는 렌즈유닛(10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렌즈를 약간씩 움직여가면서, 상기 고주파성분이 최대로 되도록 자동초점조절을 행한다(더 상세하게는, 이 자동초점조절을 위해, (S101)의 화상신호 출력이 반복 실행된다.). 여기서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상기와 같이 9 화소별로 혼합된 것이므로 상기 출력에 요하는 시간이나 고주파성분의 추출에 요하는 시간이 짧게 억제되어, 고속의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S103)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면, 그 시점에서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되고, AD변환된 화상데이터가, MPEG형식 등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록장치(108)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 기록될 화상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혼합에 의해 화소 수는 감소되지만, 원래의 모든 화소 정보가 포함되므로, 화소가 간축된 화상데이터에 비해 높은 화질의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S104) 그 후 셔터스위치(109)가 반셔터로 됐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반셔터로 돼있지 않으면(또는 동영상의 기록종료 조작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상기 (S101) 이후가 반복되어, 동영상의 기록이 계속된다.
(S105) 한편, 상기 (S104)에서 셔터스위치(109)가 반 셔터인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06)는 영상감지기(102)에 화상신호의 간축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영상감지기(102)로부터는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의 화소가 간축된 화상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모니터(107)에의 표시가 행해진다.
(S106) 상기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102)와 마찬가지로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된다. 이 경우,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상기와 같이 간축된 것이므로, 출력에 요하는 시간이나 고주파성분의 추출에 요하는 시간은 비교적 짧게 억제되어, 고속의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지는 동시에,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연속된 화소의 화상데이터에 기초한 고주파성분이 추출되므로,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S107) 그 후, 셔터스위치(109)가 완전셔터로 됐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완전셔터가 아니면, 상기 (S105) 이후가 반복되어, 정지화상기록용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 셔터스위치(109)가 완전셔터로 돼도,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아니면, 자동초점조절동작이 계속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S104)에서 셔터스위치(109)의 완전셔터를 검출하고, 이 (S107)에서는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이하의 정지화상 기록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S108) 한편, 상기 (S107)에서 셔터스위치(109)가 완전셔터된 것이 검출되면, 영상감지기(102)는 제어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지시신호에 따라, 모든 화소의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S109) 그래서 상기 모든 화소의 화상신호에 기초한 정지화상의 화상데이터가, DSP(105)에 의해 예를 들어 JPEG형식 등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록장치(108)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제 2 실시예)
정지화상기록용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될 때,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상기와 같이 화소가 간축된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대신,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화면의 중앙부 등, 부분적 영역(301)의 화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정지화상기록용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영역(301) 이외 부분의 화상은 모니터(107)에 표시되지 않게 되지만, 예를 들어 셔터스위치(109)의 1 단계 조작으로 정지화상을 기록하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표시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로 (S101∼S103)에 의해 동영상의 기록이 행해짐과 동시에, (S104∼S107) 대신에 (S204∼S207)에서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즉, (S204)에서는 셔터스위치(109)가 완전셔터로 됐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완전셔터가 아니면 동영상의 기록이 계속된다. 한편, 완전셔터로 되면 (S205)에서 제어부(106)의 지시에 따라 영상감지기(102)로부터 영역(301)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S206)에서는, 자동초점조절이 상기 영역(301)의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S106)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그 후, (S207)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면, (S108, S109)에서 즉시 정지화상의 기록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부분적 영역(301)의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정지화상기록용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될 경우에도,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연속된 화소에 기초한 고주파성분이 추출되므로,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진다. 또 영역(301)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자동초점조절에 요하는 시간을 짧게 억제하여, 셔터스위치(109)가 완전셔터로 된 후, 단시간에(거의 시간차 없이) 정지화상 기록의 실행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영역(301)은, 일반적으로는 촬상범위 중심에서 동등거리의 복수 화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에 요구되는 사양이나 영상감지기(102)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크기나 위치로 설정되면 된다.
또한 정지화상기록용의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되는 동안, 모니터(107)에의 표시는 정지시키도록 하거나, 직전의 동영상기록용 화상데이터에 기초한 표시를 계속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터스위치(109)의 반셔터로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을 개시하고, 완전셔터, 또는 완전셔터이면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을 때에 정지화상이 기록되도록 해도 된다.
(제 3 실시예)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축 출력을 이용한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과, 영역출력을 이용한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이, 사용자가 광학적 파인더를 들여다보는지 여부에 따라 바뀌도록 해도 된다. 즉 렌즈유닛(101) 또는 별도 설치된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볼 수 있는 파인더가 설치돼있을 경우에, 추가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인더가 사용됐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파인더사용 검지부(401)를 구성시켜, 파인더가 사용됐을 경우에는 영상감지기(102)에 의해 영역출력이 실행되는 한편, 파인더가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간축 출력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도 7)에 있어서 셔터스위치(109)의 완전셔터 검출(S204)과, 영상감지기(102)로부터의 영역(301) 화상신호 출력(S205) 사이에서 파인더 사용의 유무가 판정되며, 사용됐을 경우, 영역출력에 기초한 자동초점조절 및 정지화상의 기록이 실행된다(S205∼S109). 즉, 파인더가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107)를 보지 않으므로, 모니터(107)에 영역(301)의 화상만이(전체 프레임에 걸쳐) 표시되거나 표시가 정지되거나 해도 지장이 없으며, 영역출력에 의한 자동초점조절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파인더가 사용되지 않으면, 제 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로 라인간축 출력에 기초한 자동초점조절이 행해져(S105, S106),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후에(S302), 정지화상의 기록이 실행된다(S108, S109). 즉,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모니터(107)를 보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촬상범위 전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자동초점조절이 실행된다.
또 상기와 같이 동영상 기록 중에서의 셔터스위치(109)의 완전셔터 검출(S204) 대신,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터스위치(109)의 반셔터를 검출하며, 또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 중에 있어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됐는지 여부의 판정(S207, S302) 대신에, 셔터스위치(109)의 완전셔터 검출, 또는 셔터스위치(109)의 완전셔터이면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제 3 실시예에서는, 혼합화상신호로서, 9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간축도 수직방향으로 1/2로 간축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간축시키거나, 1/2보다 큰 비율이나 작은 비율로 간축시키거나 해도 된다.
또한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모드로 동영상만을 기록하거나, 정지화상모드로 정지화상만을 기록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 화질의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이 기록될 경우에도, 높은 정밀도로 초점이 맞추어진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관한 자동초점조절방법은, 자동적으로 초점을 조절하여 동영상 및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및 이와 같은 카메라에 이용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감지기(102)의 컬러화소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간축될 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감지기(102)로부터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렌즈유닛 102 : 영상감지기
103 : 동기펄스발생기 104 : ADC
105 : DSP 106 : 제어부
107 : 모니터 108 : 기록장치
109 : 셔터스위치 210∼204 : 화소혼합단위영역
211∼214 : 화소 221∼225 : 라인
231∼234 : 라인 301 : 영역
401 : 파인더사용 검지부

Claims (12)

  1.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방법이며,
    상기 동영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정지화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 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화상신호의 혼합과, 간축 또는 부분영역의 절취를 행하여, 상기 혼합화상신호와, 상기 간축화상신호 또는 부분영역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진 경우, 또는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지고 또 상기 제 1 셔터조작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조작은, 셔터의 반셔터 조작인 한편,
    상기 제 2 셔터조작은, 셔터의 완전셔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상기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6.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방법이며,
    상기 동영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정지화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광학적 파인더가 사용됐을 경우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동시에,
    광학적 파인더가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기록, 및 정지화상 기록에서의 자동초점조절은 각각,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혼합화상신호, 부분영역 화상신호 또는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진 경우, 또는 제 2 셔터조작이 행해지고 또 상기 제 1 셔터조작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조작은, 셔터의 반셔터 조작인 한편,
    상기 제 2 셔터조작은, 셔터의 완전셔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에 따라,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며,
    상기 자동초점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
  11.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이며,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영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 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12.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의 기록 중에 정지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이며,
    복수 화소의 화상신호가 혼합된 혼합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영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과,
    광학적 파인더가 사용됐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파인더사용 검출수단과,
    광학적 파인더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에는, 촬상범위 중 부분적 영역의 화상신호인 부분영역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동시에,
    광학적 파인더의 비사용이 검출된 경우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연속되며 다른 쪽 방향으로는 간축된 간축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상 기록의 자동초점조절을 실행하는 정지화상기록용 자동초점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KR1020040054657A 2003-09-19 2004-07-14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 KR200500291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8339 2003-09-19
JP2003328339A JP4416462B2 (ja) 2003-09-19 2003-09-19 自動焦点調節方法、および自動焦点調節カメ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107A true KR20050029107A (ko) 2005-03-24

Family

ID=343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57A KR20050029107A (ko) 2003-09-19 2004-07-14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6896B2 (ko)
JP (1) JP4416462B2 (ko)
KR (1) KR20050029107A (ko)
CN (1) CN10046098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21B1 (ko) * 2005-05-30 2007-09-06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783982B1 (ko) * 2005-09-08 2007-12-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KR101510098B1 (ko) * 2007-12-2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3361B2 (ja) * 2004-09-22 2010-03-31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4914021B2 (ja) * 2005-04-08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150439A (ja) * 2005-11-24 2007-06-14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61800B2 (ja) * 2006-03-31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121470B2 (en) * 2006-07-25 2012-02-21 Canon Kabushiki Kaisha Focusing device,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4616392B2 (ja) * 2006-08-22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218065B2 (en) 2006-08-22 2012-07-10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device
JP4986588B2 (ja) * 2006-11-29 2012-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07799B2 (ja) * 2007-06-14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405759B2 (en) * 2007-09-27 2013-03-26 Olympus Imagining Corp. Imaging device with contrast AF,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with contrast AF
JP5025532B2 (ja) * 2008-03-12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207853B2 (ja) * 2008-07-02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止画像及び動画像撮像装置
JP5369606B2 (ja) * 2008-10-23 2013-12-1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US9047531B2 (en) * 2010-05-21 2015-06-02 Hand Held Products,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a document in an image signal
JP5982749B2 (ja) * 2011-08-04 2016-08-31 株式会社ニコン 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173156B2 (ja) * 2013-10-02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731616B2 (ja) * 2016-06-10 2020-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ーチャルメイク装置、バーチャルメイク方法、およびバーチャルメイク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418B2 (ja) 1993-12-27 2002-04-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US5668597A (en) * 1994-12-30 1997-09-1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rapid automatic focus of an image upon a progressive scan image sensor
US5828406A (en) * 1994-12-30 1998-10-27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having a processor for mapping image pixel signals into color display pixels
JP3977906B2 (ja) * 1997-09-26 2007-09-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JP3909930B2 (ja) * 1997-09-30 2007-04-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単板カラー固体撮像装置
US6906751B1 (en) * 1998-07-22 2005-06-14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893424B2 (ja) * 1998-11-06 2007-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信号読出し方法
JP2001141988A (ja) * 1999-08-31 2001-05-25 Canon Inc 焦点調節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供給する媒体
JP3302003B2 (ja) * 2000-03-08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US6453124B2 (en) * 2000-03-27 2002-09-17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1296470A (ja) 2000-04-14 2001-10-26 Hitachi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358980A (ja) * 2000-06-14 2001-12-26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2023049A (ja) * 2000-07-06 2002-01-23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JP2002094862A (ja) 2000-09-12 2002-03-29 Chinon Ind Inc 撮像装置
JP4013026B2 (ja) 2001-03-16 2007-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及び自動焦点調節時の画像表示方法
JP2002277730A (ja) * 2001-03-22 2002-09-25 Ricoh Co Ltd 電子カメラの自動焦点制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664123B2 (ja) * 2001-10-03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質補正方法
JP4083437B2 (ja) 2002-02-05 2008-04-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25927B2 (ja) * 2002-08-16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
US6747808B2 (en) * 2002-10-04 2004-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imaging device focu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21B1 (ko) * 2005-05-30 2007-09-06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783982B1 (ko) * 2005-09-08 2007-12-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KR101510098B1 (ko) * 2007-12-2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2872A1 (en) 2005-03-24
JP4416462B2 (ja) 2010-02-17
CN100460984C (zh) 2009-02-11
US7456896B2 (en) 2008-11-25
CN1598683A (zh) 2005-03-23
JP2005092081A (ja)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9107A (ko) 자동초점조정방법, 및 자동초점조정 카메라
JP6248412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
KR100871639B1 (ko) 카메라 및 카메라의 화상처리방법
JP2014222801A5 (ko)
US7589778B2 (en) Digital camera
KR100781172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자동초점 조절 방법
JP2013008004A (ja) 撮像装置
US792514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photographing capability
JPH1121542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20120274825A1 (en) Imaging apparatus
JP2009296075A (ja) 撮像装置
JP2011091602A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5269130A (ja) 手振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6094032A (ja)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US20090244358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utofocus Camera Function
JP4013026B2 (ja) 電子カメラ及び自動焦点調節時の画像表示方法
KR101544742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08113466A (ja) 電子カメラ
JP2004085964A (ja) 自動合焦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及び携帯情報入力装置
US20070188630A1 (en) Imaging apparatus
KR20100027943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201009357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6094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H09326954A (ja) 画像入力装置
JP2001024931A (ja) 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