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천연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미백제를 스크리닝(screening)한 결과,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추출물이 높은 미백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를 연구재료로 선정한 후, 생물검정 추적 분획법(bioassay-directed frationation)을 이용하여 미백활성물질을 분리하였고,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이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와 미백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화학식 1 및/또는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팩, 스킨, 로션, 파운데이션, 젤, 폼 클렌징, 비누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이나 피부외용 연고와 같은 약품 조성물 등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첨가하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강력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는 도금양과(Myrt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그 잎은 부드러운 바늘 모양으로 약간의 향을 가진다. 오래 전부터 이 식물은 동남아 등지에서 '티트리(tea tree)'라고 불렸는데, 잎 부분은 차 대체제로서 열병, 배뇨장애, 산욕, 월경불순, 복통 등의 해열 및 이완의 목적으로 널리 식용되어져 왔다(참조 : Jantan, I. 등,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3, 245, 1998).
베키아 푸르트센스, 특히 그 잎에는 주로 정유(essential oil)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몇몇 모노터펜노이드계(monoterpenoids)와 세스퀴터펜노이드계(sesquiterpenoids) 화합물로서 유게놀(eugenol),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1,8-시네올(1,8-cineole), 리모넨(limonene), 베타-카요필렌(β-caryophyllene), 알파-휴뮤렌(α-humulene) 등이 분리되었다고 보고되었다(참조 : Jantan, I. 등,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3, 245, 1998). 특히, 베키아 푸르트센스에서 분리된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 계열의 물질인 BF-1과 BF-2는 백혈병성 세포(leukaemia cell L 1210)에 대해 사멸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50229호에는 베키아 푸르트센스 추출물이 구강 내에서 충치 및 치주염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생리활성 및 분리물질에 대한 보고는 본 발명의 미백활성과는 무관하며, 베키아 푸르트센스에서 분리, 정제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미백효과는 본 발명자들이 처음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인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 식물 잎에 함유되어 있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식물로부터 분리된 것과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인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유기용매 추출물이나 이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로는 정제수(water),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rol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ether)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추출물로부터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성분인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피부외용 연고와 같은 약품이나 화장료와 같은 다양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정제된 고순도의 화합물로 첨가되거나 또는 정제되지 않은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추출물의 상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미백효과와 경제성을 고려할 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추출물의 상태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건조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0중량% 정도가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서 특별히 부피% 임을 명시하지 않은 %는 중량% 를 나타낸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로부터 화학식 1(BF-2) 및 화학식 2(BF-2J)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추출 및 정제방법을 도 1에 예시하였다.
추출 및 정제예 1
베키아 푸르트센스 분쇄물 1000g을 75% 메탄올 용액 4000ml에 넣고, 상온에서 이틀동안 교반하면서 2회 반복 추출한 후, 상온에서 화트만 여과지(Whatman No. 2)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은 진공 회전 농축기에서 50℃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하므로서 메탄올 추출물 210g을 얻었다.
이어서, 메탄올 추출물을 정제수 1000ml에 현탁한 다음 클로로포름 1000ml를 3회 반복 가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51g을 얻었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을 6×50㎝의 실리카겔 칼럼에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탄올을 각각 10 : 1 : 1 : 1(v/v)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분획 A를 얻었다. 활성 분획 A를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서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을 각각 12 : 0.2 : 0.4(v/v)로 혼합한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두 분획 A-Ⅱ와 A-Ⅳ를 각각 0.74g와 0.19g 얻었다.
이어서, 미백활성분획 A-Ⅱ 0.74g을 실리카겔 충진 컬럼에서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를 각각 12 : 0.2 : 0.2(v/v)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단일성분인 BF-2 420mg을 얻었다.
추출 및 정제예 1에서 분리된 BF-2의 구조분석을 위해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을 각각 150MHZ와 600MHz(용매 : CDCl3)에서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
13C-NMR |
1H-NMR(J, Hz) |
2 |
83.4 |
- |
3 |
33.7 |
α : 1.93 d (8.1, 16.2) / β : 1.31 brd (15.8) |
4 |
32.1 |
2.76 m |
5 |
187,8 |
- |
6 |
117.9 |
- |
7 |
171,5 |
- |
8 |
42,8 |
- |
9 |
169.7 |
- |
10 |
112.3 |
- |
11 |
52.9 |
2.01 dd (5.3, 5.7) |
12 |
27.1 |
α : 1.63 m / β : 2.30 m |
13 |
40.7 |
1.94 m |
14 |
24.8 |
1.81-1.94 m |
15 |
26.2 |
α : 1.69 m / β : 1.78 m |
16 |
38.0 |
- |
17 |
27.5 |
1.29 |
18 |
23.5 |
0.99 |
19 |
32.0 |
2.96 m |
20 |
20.6 |
0.54 d (6.7) |
21 |
15.6 |
0.94 d (6.7) |
22 |
9.8 |
1.90 |
23 |
24.0 |
1.27 |
24 |
23.8 |
1.31 |
OCH3
|
61.9 |
3.85 |
표 1의 13C-NMR과 1H-NMR 스펙트럼 분석결과와 기존의 연구보고(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를 종합하여 결정된 BF-2의 구조는 전술한 화학식 1 같다.
추출 및 정제예 2
추출 및 정제예 1에서 얻은 활성분획 A-Ⅳ로부터 단일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분취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Preparative HPLC)를 이용하였다. 이때 사용한 분취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의 분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사용기기 : Recycling Prep HPLC(LC-908, JAI, Japan)
컬럼 : JAIGEL GS-310 컬럼
검출기 : 자외선 검출기(254nm)
펌프유속 : 3.5ml/min
용매 : 100% 메탄올
상기의 분리조건으로 활성분획 A-Ⅳ-2 73mg을 얻었다.
얻어진 활성분획 A-Ⅳ-2를 다시 1.5×50cm의 RP-18(LiChroprep, RP-18, Merck) 충진 컬럼에서 85% 메탄올의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단일성분인 BF-2J를 20mg 얻었다.
분리된 BF-2J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을 각각 150MHz와 600MHz(용매 : CDCl3)에서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스펙트럼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13C-1H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한 HMBC와 HMQC 스펙트럼을 도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이 화합물의 13C-NMR 스펙트럼과 13C-1
H의 상관관계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
DEPT |
13C-NMR |
HMBC(H) |
2 |
C |
58.61 |
H-11, H-13, H-3, H-12α, H-15 |
3 |
CH2
|
36.01 |
H-4, H-11 |
4 |
CH |
65.13 |
H-19, H-11, H-20, H-21 |
5 |
C |
201.05 |
H-22, H-4 |
6 |
C |
120.35 |
H-22 |
7 |
C |
173.27 |
O-CH3, H-23, H-24, H-22 |
8 |
C |
49.43 |
H-23, H-24 |
9 |
C |
217.06 |
H-23, H-24, H-4 |
10 |
C |
65.62 |
H-4, H-19, H-11, H-3 |
11 |
CH |
78.97 |
H-3, H-12, H-13, H-17, H-18, H-15 |
12 |
CH2
|
40.20 |
H-14, H-11 |
13 |
CH |
55.04 |
H-12, H-17, H-18 |
14 |
CH2
|
25.49 |
H-13, H-12, H-15 |
15 |
CH2
|
25.43 |
H-14, H-13, H-3, H-11 |
16 |
C |
35.12 |
H-17, H-18, H-11, H-12 |
17 |
CH3
|
33.63 |
H-18, H-11, H-13 |
18 |
CH3
|
22.15 |
H-17, H-11, H-13 |
19 |
CH |
28.52 |
H-4, H-21, H-20, H-3 |
20 |
CH3
|
22.50 |
H-21, H-19, H-4 |
21 |
CH3
|
21.97 |
H-20, H-19, H-4 |
22 |
CH3
|
11.48 |
- |
23 |
CH3
|
24.79 |
H-24 |
24 |
CH3
|
27.57 |
H-23 |
OCH3
|
- |
61.60 |
- |
13C-NMR 스펙트럼에서 C-11과 C-4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이 BF-2(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에 비해 각각 ㅿ25.9ppm과 ㅿ32.9ppm씩 저자장으로 이동한 것은 carbonyl carbon C-9의 등방성 작용(isotropic effect) 때문이었으며, 같은 영향으로 H-14의 β proton이 심하게 저자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질량분석을 위해 FAB-MS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FAB-MS에 의하여 활성물질의 분자식은 C24H36O3(M
+= 372)으로 결정되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입체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H-H COSY와 NOESY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스펙트럼을 도 7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스펙트럼에서 얻어진 1H-1H 상관관계 및 입체구조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
1H-NMR(J, Hz) |
COSY |
NOESY |
3 |
1.66-1.68 m |
H-4 |
H-21, H-15, H-19, H-11, H-14 |
4 |
3.16 m |
H-3, H-19 |
H-20, H-21, H-3, H-14β |
11 |
2.15 brd. s |
- |
H-17, H-12, H-3 |
12 |
α : 1.20 mβ : 1.30 m |
H-13 |
α: H-15, H-14αβ: H-20, H-17, H-12α, H-11 |
13 |
1.76 brd. s |
H-12 |
H-18, H-17, H-12α, H-12β, H-14 |
14 |
α : 1.56 m β : 2.58 m |
H-15 |
α: H-18, H-12α, H-14ββ: H-18, H-15, H-14α, H-4 |
15 |
1.08 m |
H-14 |
H-14β |
17 |
0.86 s |
- |
H-18, H-23, H-24, H-13, H-11 |
18 |
0.70 s |
- |
H-17, H-14α, H-22, H-14β |
19 |
1.61 m |
H-4, H-20, H-21 |
H-20, H-21 |
20 |
0.38 d (6.5) |
H-19 |
H-21, H-23, H-19, H-4 |
21 |
0.78 d (6.5) |
H-19 |
H-20, H-19, H-4 |
22 |
1.85 s |
- |
H-18 |
23 |
1.39 s |
- |
H-20, H-17, H-12α, H-11 |
24 |
1.28 s |
- |
H-17, H-23 |
OCH3
|
3.81 s |
- |
H-22, H-23, H-24 |
전술한 모든 분석결과를 검토한 결과, 분리된 BF-2J의 구조는 전술한 화학식 2과 같다. 이 화합물은 추출 및 정제예 2에 따라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로 판단되는데, 이를 BF-2J로 명명하였다.
HMBC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진 BF-2J의 C-H의 상관관계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상기 추출 및 정제예 과정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단일 활성성분인 BF-2 및 BF-2J를 쥐의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참조 : Loten, R., Lotan, D., Cancer Research. 40, 3345-3350, 1980).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각각 10㎍/㎖, 20㎍/㎖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때 비교물질로서는 기존의 미백제인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를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세포들을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낸 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들에 대해 냉동-해동 과정을 3회 반복하고, perchlonic acid를 최종농도가 0.5N이 되도록 첨가하고 2회 추출하였다. 이후, 차가운 에탄올과 에테르(ether)를 3:1(v/v) 비율로 1ml씩 넣어 2회 씻고, 마지막으로 에테르로 1회 씻었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1N농도) 1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여내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0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단위 세포수당(106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시료(반복수n=3) |
최종농도 |
멜라닌 생성량 |
저해율(%) |
대조군(DMSO) |
0.3% |
0.056±.03 |
- |
메탄올추출물 |
10ppm |
0.039±.04 |
30 |
메탄올추출물 |
20ppm |
0.032±.02 |
42 |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
10ppm |
0.035±.02 |
38 |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
20ppm |
0.027±.03 |
52 |
BF-2 |
10ppm |
0.029±.03 |
49 |
BF-2 |
20ppm |
0.021±.02 |
62 |
BF-2J |
10ppm |
0.015±.03 |
73 |
BF-2J |
20ppm |
0.006±.01 |
89 |
알부틴 |
300ppm |
0.024±.02 |
57 |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및 유효성분 BF-2와 BF-2J는 10ppm과 20ppm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다. 한편, 현재 미백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은 300ppm의 고농도에서 57%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이는 반면에, 유효성분 BF-2와 BF-2J는 20ppm의 휠씬 낮은 농도에서 각각 62%와 89%로서 알부틴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10은 BF-2와 BF-2J의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알부틴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BF-2와 BF-2J는 각각 20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300ppm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BF-2와 BF-2J는 높은 미백활성을 보이면서도 세포증식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안전한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및 팩에 첨가하여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처방하여 나타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살펴 본다.
실시예 1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5 ~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5 ~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1-1 |
비교예 1-1 |
메탄올 추출물 |
10 |
- |
디에틸 세바게이트 |
8 |
8 |
경납 |
5 |
5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
6 |
6 |
벤조산 나트륨 |
적량 |
적량 |
바셀린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1-2 |
비교예 1-2 |
BF-2 |
1 |
- |
디에틸 세바게이트 |
8 |
8 |
경납 |
5 |
5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
6 |
6 |
벤조산 나트륨 |
적량 |
적량 |
바셀린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1-3 |
비교예 1-3 |
BF-2J |
1 |
- |
디에틸 세바게이트 |
8 |
8 |
경납 |
5 |
5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
6 |
6 |
벤조산 나트륨 |
적량 |
적량 |
바셀린 |
to 100 |
to 100 |
실시예 2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8 ~ 10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8 ~ 10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2-1 |
비교예 2-1 |
메탄올 추출물 |
1 |
- |
프로필렌글리콜 |
10.0 |
10.0 |
글리세린 |
10.0 |
10.0 |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
5.0 |
5.0 |
에탄올 |
5.0 |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1 |
0.1 |
카보머 |
0.3 |
0.3 |
트리에탄올아민 |
0.4 |
0.4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2-2 |
비교예 2-2 |
BF-2 |
0.5 |
- |
프로필렌글리콜 |
10.0 |
10.0 |
글리세린 |
10.0 |
10.0 |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
5.0 |
5.0 |
에탄올 |
5.0 |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1 |
0.1 |
카보머 |
0.3 |
0.3 |
트리에탄올아민 |
0.4 |
0.4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2-3 |
비교예 2-3 |
BF-2J |
0.5 |
- |
프로필렌글리콜 |
10.0 |
10.0 |
글리세린 |
10.0 |
10.0 |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
5.0 |
5.0 |
에탄올 |
5.0 |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1 |
0.1 |
카보머 |
0.3 |
0.3 |
트리에탄올아민 |
0.4 |
0.4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3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1 ~ 1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1 ~ 1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3-1 |
비교예 3-1 |
메탄올 추출물 |
0.5 |
- |
유동파라핀 |
6.0 |
6.0 |
스쿠알란 |
4.0 |
4.0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0.5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밀랍 |
10.0 |
10.0 |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5.0 |
농 글리세린 |
6.0 |
6.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부틸렌글리콜 |
2.0 |
2.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3-2 |
비교예 3-2 |
BF-2 |
0.1 |
- |
유동파라핀 |
6.0 |
6.0 |
스쿠알란 |
4.0 |
4.0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0.5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밀랍 |
10.0 |
10.0 |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5.0 |
농 글리세린 |
6.0 |
6.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부틸렌글리콜 |
2.0 |
2.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3-3 |
비교예 3-3 |
BF-2J |
0.1 |
- |
유동파라핀 |
6.0 |
6.0 |
스쿠알란 |
4.0 |
4.0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0.5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밀랍 |
10.0 |
10.0 |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5.0 |
농 글리세린 |
6.0 |
6.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부틸렌글리콜 |
2.0 |
2.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4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4 ~ 1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4 ~ 1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4-1 |
비교예 4-1 |
메탄올 추출물 |
0.05 |
- |
글리세린 |
3.0 |
3.0 |
1,3-부틸렌글리콜 |
2.0 |
2.0 |
프로필렌글리콜 |
2.0 |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에탄올 |
10.0 |
10.0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4-2 |
비교예 4-2 |
BF-2 |
0.01 |
- |
글리세린 |
3.0 |
3.0 |
1,3-부틸렌글리콜 |
2.0 |
2.0 |
프로필렌글리콜 |
2.0 |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에탄올 |
10.0 |
10.0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4-3 |
비교예 4-3 |
BF-2J |
0.01 |
- |
글리세린 |
3.0 |
3.0 |
1,3-부틸렌글리콜 |
2.0 |
2.0 |
프로필렌글리콜 |
2.0 |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에탄올 |
10.0 |
10.0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5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7 ~ 1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7 ~ 1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5-1 |
비교예 5-1 |
메탄올 추출물 |
0.01 |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적량 |
적량 |
글리세린 |
6.0 |
6.0 |
1,3-부틸렌글리콜 |
5.0 |
5.0 |
카보머 |
0.2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3 |
0.3 |
프로필렌글리콜 |
5.0 |
5.0 |
에탄올 |
3.2 |
3.2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5-2 |
비교예 5-2 |
BF-2 |
0.001 |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적량 |
적량 |
글리세린 |
6.0 |
6.0 |
1,3-부틸렌글리콜 |
5.0 |
5.0 |
카보머 |
0.2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3 |
0.3 |
프로필렌글리콜 |
5.0 |
5.0 |
에탄올 |
3.2 |
3.2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5-3 |
비교예 5-3 |
BF-2J |
0.001 |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적량 |
적량 |
글리세린 |
6.0 |
6.0 |
1,3-부틸렌글리콜 |
5.0 |
5.0 |
카보머 |
0.2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3 |
0.3 |
프로필렌글리콜 |
5.0 |
5.0 |
에탄올 |
3.2 |
3.2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6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20 ~ 2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20 ~ 2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6-1 |
비교예 6-1 |
메탄올 추출물 |
0.5 |
- |
알란토인 |
0.2 |
0.2 |
에탄올 |
5.0 |
5.0 |
노닐페닐에테르 |
0.3 |
0.3 |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0.2 |
폴리비닐알코올 |
13.0 |
13.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6-2 |
비교예 6-2 |
BF-2 |
0.1 |
- |
알란토인 |
0.2 |
0.2 |
에탄올 |
5.0 |
5.0 |
노닐페닐에테르 |
0.3 |
0.3 |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0.2 |
폴리비닐알코올 |
13.0 |
13.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중량% |
실시예 6-3 |
비교예 6-3 |
BF-2J |
0.1 |
- |
알란토인 |
0.2 |
0.2 |
에탄올 |
5.0 |
5.0 |
노닐페닐에테르 |
0.3 |
0.3 |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0.2 |
폴리비닐알코올 |
13.0 |
13.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및 팩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강한 남녀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 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l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 후 조사부위에 1일 3회씩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실시예 1∼6과 미백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6의 시료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 3주간 도포한 후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색소 침착도의 차이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현저한 효과, 유효, 무효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피부 부작용 발생여부를 관찰한 후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
현저한 효과(명) |
유효(명) |
무효(명) |
부작용 |
실시예 1-1 |
3 |
10 |
7 |
0 |
실시예 1-2 |
3 |
12 |
5 |
0 |
실시예 1-3 |
5 |
11 |
4 |
0 |
실시예 2-1 |
1 |
10 |
9 |
0 |
실시예 2-2 |
2 |
10 |
8 |
0 |
실시예 2-3 |
4 |
9 |
7 |
0 |
실시예 3-1 |
3 |
8 |
9 |
0 |
실시예 3-2 |
3 |
9 |
8 |
0 |
실시예 3-3 |
3 |
8 |
9 |
0 |
실시예 4-1 |
2 |
9 |
9 |
0 |
실시예 4-2 |
1 |
10 |
9 |
0 |
실시예 4-3 |
4 |
8 |
8 |
0 |
실시예 5-1 |
3 |
10 |
7 |
0 |
실시예 5-2 |
4 |
8 |
8 |
0 |
실시예 5-3 |
4 |
8 |
8 |
0 |
실시예 6-1 |
3 |
8 |
9 |
0 |
실시예 6-2 |
3 |
8 |
9 |
0 |
실시예 6-3 |
4 |
7 |
9 |
0 |
상기 표 2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최소 11명 이상에 대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1중량%의 BF-2와 BF-2J를 첨가한 실시예 1-2와 1-3의 시료는 각각 75%와 80%의 매우 뛰어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는 BF-2와 BF-2J가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효과가 매우 뛰어난 피부 미백제임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