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058B1 -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058B1
KR100571058B1 KR1020030062324A KR20030062324A KR100571058B1 KR 100571058 B1 KR100571058 B1 KR 100571058B1 KR 1020030062324 A KR1020030062324 A KR 1020030062324A KR 20030062324 A KR20030062324 A KR 20030062324A KR 100571058 B1 KR100571058 B1 KR 10057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composition
skin
formula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716A (ko
Inventor
황재관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바이오케어
Priority to KR102003006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058B1/ko
Priority to PCT/KR2004/002254 priority patent/WO2005023214A1/en
Publication of KR2005002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이다.
프롤로그루시놀, 베키아 푸르트센스, 멜라닌, 피부미백

Description

피부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도 1은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들을 베키아 푸르트센스 잎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이다.
도 5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HMBC 스펙트럼이다.
도 6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HMQC 스펙트럼이다.
도 7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H-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8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NOESY 스펙트럼이다.
도 9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J)의 HMBC 및 HMQC 스펙트럼에서 얻어진 13C-1H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BF-2 및 BF-2J)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가 뛰어난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과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고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는 등 피부미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과 같이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피부 미백제로서 연고나 화장료 등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배합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는 등 피부미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미백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암을 유발하는 등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극히 제한된 양만 사용되고 있다. 아스코르빈산은 쉽게 산화되므로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문제를 야기하며, 코지산과 알부틴도 안전성과 안정성의 한계가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도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미백성분들은 안전성, 안정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고, 미백 효과 또한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업계에서는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안정성뿐 아니라 미백효과가 뛰어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미백제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가 뛰어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1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4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천연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미백제를 스크리닝(screening)한 결과,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추출물이 높은 미백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를 연구재료로 선정한 후, 생물검정 추적 분획법(bioassay-directed frationation)을 이용하여 미백활성물질을 분리하였고,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이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와 미백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화학식 1 및/또는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팩, 스킨, 로션, 파운데이션, 젤, 폼 클렌징, 비누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이나 피부외용 연고와 같은 약품 조성물 등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첨가하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강력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는 도금양과(Myrt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그 잎은 부드러운 바늘 모양으로 약간의 향을 가진다. 오래 전부터 이 식물은 동남아 등지에서 '티트리(tea tree)'라고 불렸는데, 잎 부분은 차 대체제로서 열병, 배뇨장애, 산욕, 월경불순, 복통 등의 해열 및 이완의 목적으로 널리 식용되어져 왔다(참조 : Jantan, I. 등,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3, 245, 1998).
베키아 푸르트센스, 특히 그 잎에는 주로 정유(essential oil)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몇몇 모노터펜노이드계(monoterpenoids)와 세스퀴터펜노이드계(sesquiterpenoids) 화합물로서 유게놀(eugenol),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1,8-시네올(1,8-cineole), 리모넨(limonene), 베타-카요필렌(β-caryophyllene), 알파-휴뮤렌(α-humulene) 등이 분리되었다고 보고되었다(참조 : Jantan, I. 등,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3, 245, 1998). 특히, 베키아 푸르트센스에서 분리된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 계열의 물질인 BF-1과 BF-2는 백혈병성 세포(leukaemia cell L 1210)에 대해 사멸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50229호에는 베키아 푸르트센스 추출 물이 구강 내에서 충치 및 치주염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생리활성 및 분리물질에 대한 보고는 본 발명의 미백활성과는 무관하며, 베키아 푸르트센스에서 분리, 정제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미백효과는 본 발명자들이 처음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인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 식물 잎에 함유되어 있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식물로부터 분리된 것과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인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유기용매 추출물이나 이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로는 정제수(water),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rol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ether)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추출물로부터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성분인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피부외용 연고와 같은 약품이나 화장료와 같은 다양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정제된 고순도의 화합물로 첨가되거나 또는 정제되지 않은 베키아 푸르트센스의 추출물의 상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미백효과와 경제성을 고려할 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 추출물의 상태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건조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0중량% 정도가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서 특별히 부피% 임을 명시하지 않은 %는 중량% 를 나타낸다.
베키아 푸르트센스로부터 화학식 1(BF-2) 및 화학식 2(BF-2J)로 표시되는 프롤로그루시놀계 화합물의 추출 및 정제방법을 도 1에 예시하였다.
추출 및 정제예 1
베키아 푸르트센스 분쇄물 1000g을 75% 메탄올 용액 4000ml에 넣고, 상온에서 이틀동안 교반하면서 2회 반복 추출한 후, 상온에서 화트만 여과지(Whatman No. 2)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은 진공 회전 농축기에서 50℃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하므로서 메탄올 추출물 210g을 얻었다.
이어서, 메탄올 추출물을 정제수 1000ml에 현탁한 다음 클로로포름 1000ml를 3회 반복 가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51g을 얻었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을 6×50㎝의 실리카겔 칼럼에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탄올을 각각 10 : 1 : 1 : 1(v/v)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분획 A를 얻었다. 활성 분획 A를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서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을 각각 12 : 0.2 : 0.4(v/v)로 혼합한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두 분획 A-Ⅱ와 A-Ⅳ를 각각 0.74g와 0.19g 얻었다.
이어서, 미백활성분획 A-Ⅱ 0.74g을 실리카겔 충진 컬럼에서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를 각각 12 : 0.2 : 0.2(v/v)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단일성분인 BF-2 420mg을 얻었다.
추출 및 정제예 1에서 분리된 BF-2의 구조분석을 위해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을 각각 150MHZ와 600MHz(용매 : CDCl3)에서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13C-NMR 1H-NMR(J, Hz)
2 83.4 -
3 33.7 α : 1.93 d (8.1, 16.2) / β : 1.31 brd (15.8)
4 32.1 2.76 m
5 187,8 -
6 117.9 -
7 171,5 -
8 42,8 -
9 169.7 -
10 112.3 -
11 52.9 2.01 dd (5.3, 5.7)
12 27.1 α : 1.63 m / β : 2.30 m
13 40.7 1.94 m
14 24.8 1.81-1.94 m
15 26.2 α : 1.69 m / β : 1.78 m
16 38.0 -
17 27.5 1.29
18 23.5 0.99
19 32.0 2.96 m
20 20.6 0.54 d (6.7)
21 15.6 0.94 d (6.7)
22 9.8 1.90
23 24.0 1.27
24 23.8 1.31
OCH3 61.9 3.85
표 1의 13C-NMR과 1H-NMR 스펙트럼 분석결과와 기존의 연구보고(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를 종합하여 결정된 BF-2의 구조는 전술한 화학식 1 같다.
추출 및 정제예 2
추출 및 정제예 1에서 얻은 활성분획 A-Ⅳ로부터 단일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분취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Preparative HPLC)를 이용하였다. 이때 사용한 분취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의 분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사용기기 : Recycling Prep HPLC(LC-908, JAI, Japan)
컬럼 : JAIGEL GS-310 컬럼
검출기 : 자외선 검출기(254nm)
펌프유속 : 3.5ml/min
용매 : 100% 메탄올
상기의 분리조건으로 활성분획 A-Ⅳ-2 73mg을 얻었다.
얻어진 활성분획 A-Ⅳ-2를 다시 1.5×50cm의 RP-18(LiChroprep, RP-18, Merck) 충진 컬럼에서 85% 메탄올의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단일성분인 BF-2J를 20mg 얻었다.
분리된 BF-2J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을 각각 150MHz와 600MHz(용매 : CDCl3)에서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스펙트럼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13C-1H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한 HMBC와 HMQC 스펙트럼을 도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이 화합물의 13C-NMR 스펙트럼과 13C-1 H의 상관관계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DEPT 13C-NMR HMBC(H)
2 C 58.61 H-11, H-13, H-3, H-12α, H-15
3 CH2 36.01 H-4, H-11
4 CH 65.13 H-19, H-11, H-20, H-21
5 C 201.05 H-22, H-4
6 C 120.35 H-22
7 C 173.27 O-CH3, H-23, H-24, H-22
8 C 49.43 H-23, H-24
9 C 217.06 H-23, H-24, H-4
10 C 65.62 H-4, H-19, H-11, H-3
11 CH 78.97 H-3, H-12, H-13, H-17, H-18, H-15
12 CH2 40.20 H-14, H-11
13 CH 55.04 H-12, H-17, H-18
14 CH2 25.49 H-13, H-12, H-15
15 CH2 25.43 H-14, H-13, H-3, H-11
16 C 35.12 H-17, H-18, H-11, H-12
17 CH3 33.63 H-18, H-11, H-13
18 CH3 22.15 H-17, H-11, H-13
19 CH 28.52 H-4, H-21, H-20, H-3
20 CH3 22.50 H-21, H-19, H-4
21 CH3 21.97 H-20, H-19, H-4
22 CH3 11.48 -
23 CH3 24.79 H-24
24 CH3 27.57 H-23
OCH3 - 61.60 -
13C-NMR 스펙트럼에서 C-11과 C-4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이 BF-2(참조 : Fujimoto, Y. 등, Phytochemistry, 41(3), 923-5, 1996)에 비해 각각 ㅿ25.9ppm과 ㅿ32.9ppm씩 저자장으로 이동한 것은 carbonyl carbon C-9의 등방성 작용(isotropic effect) 때문이었으며, 같은 영향으로 H-14의 β proton이 심하게 저자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질량분석을 위해 FAB-MS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FAB-MS에 의하여 활성물질의 분자식은 C24H36O3(M += 372)으로 결정되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입체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H-H COSY와 NOESY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스펙트럼을 도 7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스펙트럼에서 얻어진 1H-1H 상관관계 및 입체구조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포지션 1H-NMR(J, Hz) COSY NOESY
3 1.66-1.68 m H-4 H-21, H-15, H-19, H-11, H-14
4 3.16 m H-3, H-19 H-20, H-21, H-3, H-14β
11 2.15 brd. s - H-17, H-12, H-3
12 α : 1.20 m β : 1.30 m H-13 α: H-15, H-14α β: H-20, H-17, H-12α, H-11
13 1.76 brd. s H-12 H-18, H-17, H-12α, H-12β, H-14
14 α : 1.56 m β : 2.58 m H-15 α: H-18, H-12α, H-14β β: H-18, H-15, H-14α, H-4
15 1.08 m H-14 H-14β
17 0.86 s - H-18, H-23, H-24, H-13, H-11
18 0.70 s - H-17, H-14α, H-22, H-14β
19 1.61 m H-4, H-20, H-21 H-20, H-21
20 0.38 d (6.5) H-19 H-21, H-23, H-19, H-4
21 0.78 d (6.5) H-19 H-20, H-19, H-4
22 1.85 s - H-18
23 1.39 s - H-20, H-17, H-12α, H-11
24 1.28 s - H-17, H-23
OCH3 3.81 s - H-22, H-23, H-24
전술한 모든 분석결과를 검토한 결과, 분리된 BF-2J의 구조는 전술한 화학식 2과 같다. 이 화합물은 추출 및 정제예 2에 따라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로 판단되는데, 이를 BF-2J로 명명하였다.
HMBC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진 BF-2J의 C-H의 상관관계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상기 추출 및 정제예 과정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 물, 단일 활성성분인 BF-2 및 BF-2J를 쥐의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참조 : Loten, R., Lotan, D., Cancer Research. 40, 3345-3350, 1980).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각각 10㎍/㎖, 20㎍/㎖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때 비교물질로서는 기존의 미백제인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를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세포들을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낸 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들에 대해 냉동-해동 과정을 3회 반복하고, perchlonic acid를 최종농도가 0.5N이 되도록 첨가하고 2회 추출하였다. 이후, 차가운 에탄올과 에테르(ether)를 3:1(v/v) 비율로 1ml씩 넣어 2회 씻고, 마지막으로 에테르로 1회 씻었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1N농도) 1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여내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0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단위 세포수당(106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시료(반복수n=3) 최종농도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
대조군(DMSO) 0.3% 0.056±.03 -
메탄올추출물 10ppm 0.039±.04 30
메탄올추출물 20ppm 0.032±.02 42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10ppm 0.035±.02 38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획물 20ppm 0.027±.03 52
BF-2 10ppm 0.029±.03 49
BF-2 20ppm 0.021±.02 62
BF-2J 10ppm 0.015±.03 73
BF-2J 20ppm 0.006±.01 89
알부틴 300ppm 0.024±.02 57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용해성 분 획물 및 유효성분 BF-2와 BF-2J는 10ppm과 20ppm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다. 한편, 현재 미백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은 300ppm의 고농도에서 57%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이는 반면에, 유효성분 BF-2와 BF-2J는 20ppm의 휠씬 낮은 농도에서 각각 62%와 89%로서 알부틴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10은 BF-2와 BF-2J의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알부틴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BF-2와 BF-2J는 각각 20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300ppm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BF-2와 BF-2J는 높은 미백활성을 보이면서도 세포증식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효성분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안전한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및 팩에 첨가하여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처방하여 나타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살펴 본다.
실시예 1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5 ~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5 ~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1-1 비교예 1-1
메탄올 추출물 10 -
디에틸 세바게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1-2 비교예 1-2
BF-2 1 -
디에틸 세바게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1-3 비교예 1-3
BF-2J 1 -
디에틸 세바게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실시예 2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8 ~ 10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8 ~ 10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2-1 비교예 2-1
메탄올 추출물 1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0.1
카보머 0.3 0.3
트리에탄올아민 0.4 0.4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2-2 비교예 2-2
BF-2 0.5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0.1
카보머 0.3 0.3
트리에탄올아민 0.4 0.4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2-3 비교예 2-3
BF-2J 0.5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0.1
카보머 0.3 0.3
트리에탄올아민 0.4 0.4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3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1 ~ 1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1 ~ 1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3-1 비교예 3-1
메탄올 추출물 0.5 -
유동파라핀 6.0 6.0
스쿠알란 4.0 4.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밀랍 10.0 10.0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농 글리세린 6.0 6.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3-2 비교예 3-2
BF-2 0.1 -
유동파라핀 6.0 6.0
스쿠알란 4.0 4.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밀랍 10.0 10.0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농 글리세린 6.0 6.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3-3 비교예 3-3
BF-2J 0.1 -
유동파라핀 6.0 6.0
스쿠알란 4.0 4.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밀랍 10.0 10.0
카프필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농 글리세린 6.0 6.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4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4 ~ 1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4 ~ 1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4-1 비교예 4-1
메탄올 추출물 0.05 -
글리세린 3.0 3.0
1,3-부틸렌글리콜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에탄올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4-2 비교예 4-2
BF-2 0.01 -
글리세린 3.0 3.0
1,3-부틸렌글리콜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에탄올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4-3 비교예 4-3
BF-2J 0.01 -
글리세린 3.0 3.0
1,3-부틸렌글리콜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에탄올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5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17 ~ 1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17 ~ 1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5-1 비교예 5-1
메탄올 추출물 0.01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적량 적량
글리세린 6.0 6.0
1,3-부틸렌글리콜 5.0 5.0
카보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3 0.3
프로필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5-2 비교예 5-2
BF-2 0.001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적량 적량
글리세린 6.0 6.0
1,3-부틸렌글리콜 5.0 5.0
카보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3 0.3
프로필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5-3 비교예 5-3
BF-2J 0.001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적량 적량
글리세린 6.0 6.0
1,3-부틸렌글리콜 5.0 5.0
카보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3 0.3
프로필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6
메탄올 추출물, BF-2 및 BF-2J를 각각 미백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20 ~ 2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미백 유효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20 ~ 2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6-1 비교예 6-1
메탄올 추출물 0.5 -
알란토인 0.2 0.2
에탄올 5.0 5.0
노닐페닐에테르 0.3 0.3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0.2
폴리비닐알코올 13.0 1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6-2 비교예 6-2
BF-2 0.1 -
알란토인 0.2 0.2
에탄올 5.0 5.0
노닐페닐에테르 0.3 0.3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0.2
폴리비닐알코올 13.0 1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조성물 중량%
실시예 6-3 비교예 6-3
BF-2J 0.1 -
알란토인 0.2 0.2
에탄올 5.0 5.0
노닐페닐에테르 0.3 0.3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0.2
폴리비닐알코올 13.0 1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및 팩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강한 남녀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 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l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 후 조사부위에 1일 3회씩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실시예 1∼6과 미백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6의 시료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 3주간 도포한 후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색소 침착도의 차이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현저한 효과, 유효, 무효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피부 부작용 발생여부를 관찰한 후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현저한 효과(명) 유효(명) 무효(명) 부작용
실시예 1-1 3 10 7 0
실시예 1-2 3 12 5 0
실시예 1-3 5 11 4 0
실시예 2-1 1 10 9 0
실시예 2-2 2 10 8 0
실시예 2-3 4 9 7 0
실시예 3-1 3 8 9 0
실시예 3-2 3 9 8 0
실시예 3-3 3 8 9 0
실시예 4-1 2 9 9 0
실시예 4-2 1 10 9 0
실시예 4-3 4 8 8 0
실시예 5-1 3 10 7 0
실시예 5-2 4 8 8 0
실시예 5-3 4 8 8 0
실시예 6-1 3 8 9 0
실시예 6-2 3 8 9 0
실시예 6-3 4 7 9 0
상기 표 2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최소 11명 이상에 대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1중량%의 BF-2와 BF-2J를 첨가한 실시예 1-2와 1-3의 시료는 각각 75%와 80%의 매우 뛰어난 색소침착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는 BF-2와 BF-2J가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효과가 매우 뛰어난 피부 미백제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3033448515-pat000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롤로그루시놀(phloroglucinol)계 화합물은 베키아 푸르트센스(Baeckea frutescens)로부터 메탄올,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 엣센스, 영양크림,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30062324A 2003-09-06 2003-09-06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57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24A KR100571058B1 (ko) 2003-09-06 2003-09-06 피부미백용 조성물
PCT/KR2004/002254 WO2005023214A1 (en) 2003-09-06 2004-09-06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24A KR100571058B1 (ko) 2003-09-06 2003-09-06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16A KR20050026716A (ko) 2005-03-16
KR100571058B1 true KR100571058B1 (ko) 2006-04-14

Family

ID=3427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24A KR100571058B1 (ko) 2003-09-06 2003-09-06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1058B1 (ko)
WO (1) WO20050232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0793A (zh) * 2017-10-11 2018-01-09 王亚君 天然植物精华液及制备方法
WO2019088596A1 (ko) * 2017-10-31 2019-05-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5684A (zh) * 2017-10-11 2018-01-26 王亚君 一种天然植物精华眼膜基底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835A (ja) * 1992-09-11 1994-04-05 Dai Ichi Seiyaku Co Ltd 化粧料
JPH0995436A (ja) * 1995-07-21 1997-04-0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6054137A (en) * 1997-12-19 2000-04-25 Societe L'oreal S.A. Promoting epidermal renewal with phloroglucino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028B2 (ja) * 1993-11-16 2002-10-07 第一製薬株式会社 スピロ化合物及びその製法
JPH11335256A (ja) * 1998-05-22 1999-12-07 Pola Chem Ind Inc 皮膚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835A (ja) * 1992-09-11 1994-04-05 Dai Ichi Seiyaku Co Ltd 化粧料
JPH0995436A (ja) * 1995-07-21 1997-04-0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6054137A (en) * 1997-12-19 2000-04-25 Societe L'oreal S.A. Promoting epidermal renewal with phloroglucino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chemistry 41(3), 923-925, Yasao fujimoto *
Phytochemistry 43(4), 871-876, Wing-yan Tsui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0793A (zh) * 2017-10-11 2018-01-09 王亚君 天然植物精华液及制备方法
WO2019088596A1 (ko) * 2017-10-31 2019-05-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3214A1 (en) 2005-03-17
KR20050026716A (ko)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3888B (en) Cosmetic composition
KR101835739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1058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70024147A (ko)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57130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베라진 및 에피-베라진을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09848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31271B1 (ko) 아레콜린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4866181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70124B1 (ko) 마칠린-에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85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77589B1 (ko) 피살린디카놀-에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47405B1 (ko) 병솔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894A (ko)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10057776A (ko) 피부미백제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