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147A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147A
KR20070024147A KR1020050078775A KR20050078775A KR20070024147A KR 20070024147 A KR20070024147 A KR 20070024147A KR 1020050078775 A KR1020050078775 A KR 1020050078775A KR 20050078775 A KR20050078775 A KR 20050078775A KR 20070024147 A KR20070024147 A KR 20070024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unic
ascidian
cosmetic composition
ascidian tu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779B1 (ko
Inventor
종 택 전
영 주 김
주 용 김
영 수 경
Original Assignee
(주)스피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어테크 filed Critical (주)스피어테크
Priority to KR102005007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7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에 효과 있는 항산화 활성(자유라디칼 소거), 엘라스티네이즈 활성억제에 유용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약물전달체계가 우수한 리포좀 기술에 응용하여 리포좀으로 안정화 시킨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우렁쉥이, 주름방지, 주름개선,

Description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liposomised Asidian Tunic extract, having Anti-Aging Effect and Anti-Wrinkle Effect}
본 발명은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에 효과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사람의 피부는 스트레스, 운동부족, 음주, 흡연,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요인에 의해 각종 병원 및 질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요인과, 연령이 높아짐 따라 신진대사, 생체방어기능, 각 구성 기관 및 조직의 기능 저하 등은 노화의 원인이 된다. 피부 노화 현상은 피부의 거칠어짐, 늘어짐, 피부얼룩, 주름 등으로 신체의 생리적 변화에 의한 피부조직의 변화이다. 소실로 피부 탄력을 감소 시킬 뿐만 아니라, 멜라닌 형성 과정에 관여하여 주근깨 및 주름을 생성한다. 또한 인체의 각 구성 기관 및 조직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노화는 인간의 생명 현상과 연관된다.
이와 같이 자유 라디칼 소거 및 활성 억제는 superoxide dismutase(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 BHT, BHA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 vitamin A, B, C 혹은 비타민 유도체와 같은 천연 항산화제를 사용함으로 피부 노화(주름, 피부염, 피부탄력) 억제, 예방 및 치료를 하였다. 그러나 항산화 효소와 항산화 물질은 인체 내의 항산화 시스템의 한계가 있으며, 합성 항산화제와 천연 항산화제는 피부 독성 및 안정성의 문제로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항산화제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 감잎, 국화, 드릅나무, 은행잎, 녹차 등 민간과 한방에서 사용하는 각종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이러한 천연 식품 추출물 외에도 그 효용 가치가 커져가고 있는 해조류는 다양한 유용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조류의 화려한 색상을 표출하는데 관여하며, 비타민 A 전구체, 일광으로 발생하는 홍반 및 피부암을 예방하는 효과, 자유 라디칼 소거제 등 다양한 생리학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에 대한 연구는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껍질에 함유 되어 있는 성분 분석(Bull. Korean Fish. Soc. 27(4), 344~350,1994), 식품 첨가물로서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껍질 추출물 활용 가능성 연구(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ol.40, NO6, 519~524, 1997)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껍질 추출물에서 황산화다당 분리 및 생리학적 활성 검토(J. Korean Fish, Soc. 31(3), 447~451, 1998)가 있었다. 그리고 우렁쉥이 추출물이 약리학적으로 항 혈전(등록특허 10-0405132)및 항 콜레스테롤(등록특허 10-0406184), 그리고 항균 작용(등록특허 10-0406773) 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우렁쉥이는 의약품, 식 품, 식품 첨가보조제, 건강보조 식품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고부가 가치의 천연 생물학적 제제임을 밝혔다. 그러나 응용 분야에 있어서는 의약품 및 식품에 국한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생리학적, 약리학적 효능이 매우 우수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화장품 분야에 응용하여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이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주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30%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여 리포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50%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에 물 또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같은 유기 용매를 각각 또는 혼합한 것을 용매로 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화장료, 즉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에 대하여 효소아용법 및 DPPH법을 이용하여 주름 효능 실험(in vitro)으로 항산화 효능,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 본 발명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리포좀화 시키기 위하여 레시틴 2~4 중량%, 콜레스테롤 2~5 중량%, 베타시토스테롤 1.0~2.5중량% 사용하였다.
또, 본 발명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리포좀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50% 함량으로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30% 함량으로 함유된다.
이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의 제조.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은 동해안에 자생하는 3년 된 것으로, 수회 수세하고 2cm 이하로 절단한 다음 동결건조 한 것을 분말로 만들었다. 분말 된 우렁쉥이를 아세톤, 메탄올, 아세톤:메탄올(1:1, v/v)등 용매의 조건을 바꿔 추출한다. 추출액에 ether와 물로써 분액 조작하여 ether층으로 유효성분을 전용시킨 후 탈수하여 400℃이하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1.
1Kg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에 3.3L의 아세톤을 부어 하루 동안 담가 둔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과 아세톤 용액을 300메쉬 여과포로 분리한 후 소금물을 넣는다. 그리고 Separate Funnel을 이용하여 ether로 분리한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하고, 분리된 ether를 MgSO4로 말린 후 회전식 감압 농축기에서 ether를 감압 증발하여 검붉은색의 액체인 우렁쉥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1Kg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에 3.3L의 메탄올을 부 어 하루 동안 담가 둔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과 메탄올 용액을 300메쉬 여과포로 분리한 후 소금물을 넣는다. 그리고 Separate Funnel을 이용하여 ether로 분리한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하고, 분리된 ether를 MgSO4로 말린 후 회전식 감압 농축기에서 ether를 감압 증발하여 검붉은색의 액체인 우렁쉥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1Kg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에 3.3L의 아세톤:메탄올(1:1, v/v)을 부어 하루 동안 담가 둔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분말과 아세톤 용액을 300메쉬 여과포로 분리한 후 소금물을 넣는다. 그리고 Separate Funnel을 이용하여 ether로 분리한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하고, 분리된 ether를 MgSO4로 말린 후 회전식 감압 농축기에서 ether를 감압 증발하여 검붉은색의 액체인 우렁쉥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1-2, 1-3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의 최종 추출물의 건조감량 및 수율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 감량 (단위 : g ) 추출 수율 (중량 % )
실시예 1-1 아세톤 26.29 2.63 ± 0.2
실시예 1-2 메탄올 27.82 2.78 ± 0.5
실시예 1-3 아세톤:메탄올(1:1, v/v) 30.41 3.04 ± 0.3
실험 결과, 표 1에 따르면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 효율은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아세톤:메탄올(1:1, v/v)의 추출용매에서 최적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 예 1 : 엘라스티아제 활성 저해율
상기 실시 예 1-1, 1-2, 1-3에서 제조 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에 대하여 엘라스티아제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티아제는 돼지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췌장 엘라스티아제에 의한 합성 페티드 기질(Sigma)의 가수분해에 근거한 시험법으로 광 파장 410nm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4-니트로아닐린의 방출량의 증가를 엘라스티아제의 촉매 활성치로 하였다. 먼저 기질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고, 포타슘포스테트 완충액과 증류수를 가했다. 각 추출물 시료로는 에탄올 용액에 적당농도를 함유시킨 0.1mL의 추출물 시료액을 반응액에 넣은 뒤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겼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용매만을 0.2mL씩을 넣고 광전분광 분석계로 파장 41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엘라스티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1-(각 추출물시료 효소 활성도/대조군 효소 흡광도)] x 100 = inhibition %
[표 2]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의 엘라스니아제 활성 저해 효과
실험 물질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최종 농도(μg/mL) 엘라스티아제 활성 저해율(%)
실시예 1-1 100 50 100 76
실시예 1-2 100 50 100 81
실시예 1-3 100 50 100 83
실험 결과, 표 2의 결과를 보면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 출물은 피부의 엘라스틴에 작용하는 엘라스티아제 활성에 대한 높은 저해율을 보임으로서 주름 개선에 효과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실험 예 2 : 자유라디칼 소거율
실시 예 1-1, 1-2, 1-3에서 제조 한 우렁쉥이 추출물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DPPH)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메탄올에 용해된 시그마(Sigma)사의 0.1mM DPPH(1,1-diphenyl-2-picryhydrazyl)용액 1mL을 시험관에 넣고, 각 추출물 시료는 에탄올에 적당농도로 용해된 추출물 시료 0.1mL을 포함한 에탄올 1mL을 가한 뒤 37℃ 항온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용매만을 1mL씩을 넣고 광전분광 분석계로 파장 516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율은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1-(각 추출물 시료의 반응 흡광도/대조군 반응 흡광도)] x 100 = inhibition %
[표 3]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실험 물질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최종 농도(μg/mL) 자유 라다칼 소거율(%)
실시예 1-1 10 91
실시예 1-2 10 83
실시예 1-3 10 97
실험 결과, 표 3의 결과와 같이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의 우수한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유 라디칼에 의한 피부 조직의 손상 및 파괴를 막고, 자유 라디칼을 소거함으로 피부 노화 억제에 효과 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의 제조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외부 요인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인 효과를 보존하기 위하여 피부 친화력이 좋은 레시틴성분을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 하였으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플로다이저(microfludizer)를 이용하여 입자 사이즈를 20~50nm되도록 제조하였다.
표 4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은 리포좀내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안정화 시킨 제조표이다.
[표 4]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의 제조
성 분 실시 예 2
1 콜레스테롤 4.00
2 베타시토스테롤 1.50
3 글리세린 5.00
4 프로필렌글라이콜 2.50
5 세틸포스페이트 0.50
6 레시틴 3.50
7 실시 예 1-3 10.00
8 오일 10.00
9 방부제 미량
10 자외선 차단제 미량
11 정제수 To 100
비교 예 1 :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일반 화장료의 제조
[표 5]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일반 화장료의 제조
성 분 비교 예 1
1 실시 예 1-3 1.00
2 세토스테아레이트 3.20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0
4 스쿠알린 4.00
5 유동파라핀 5.30
6 트리옥타노인 7.00
7 폴리솔베이트60 1.10
8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0
9 싸이크로메치콘 2.00
10 글리세린 7.00
11 방부제 미량
12 정제수 To 100
실험 예 3 : 안정도 테스트
실시 예 2와 비교 예 1에서는 실시 예1-3에 의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과 일반 화장료를 제조 하였으며. 실시 예2와 비교 예1 에서의 안정도를 확인 하였다.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5, 10, 20, 30, 40, 50ppm으로 제조 한다. 이때 녹이는 용액은 분석 등급의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하여 용해 시켰다. 비교품은 100mL의 용량 플라스크에 1g을 정밀하게 측량하여 아세토나이트릴 50mL를 첨가 시켜 녹인 후 용량 플라스크의 눈금선 까지 채운다. 비교품내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완전히 녹이기 위하여 초음파기에서 10분간 두었다가 0.45μm필터를 이용하여 필터하여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Water, USA) 이용하여 분석을 행한다.
컬럼은 탄소체인이 18개 붙어있는 역상 컬럼(0.45×15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나이트릴:테트라하이드로퓨란:물을 50:38:12(v/v/v) 조성으로 하였고, 분당 1.2mL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검출은 자외선 가시광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436nm에서 행하여 졌다.
정량 방법은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표준액으로 하여 얻은 일차 방정식 Y=aX +b를 이용하여 정량을 하였다.
[표 6]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예 기 간 실시 예 2 비교 예 1
1주 100 100
2주 99.65 99.47
3주 99.53 95.79
4주 99.46 93.02
5주 98.95 90.66
6주 98.75 87.15
7주 98.23 82.58
8주 97.87 78.90
9주 97.21 74.62
10주 96.64 72.41
11주 96.18 69.35
실험 결과, 표 6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과 일반 제형의 사간에 따른 안정성은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 예 1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7]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1.00
1,3-부틸렌글리콜 6.0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00
글리세린 4.00
피이지4000 1.00
폴리솔베이트20 0.50
에탄올 10.00
방부제 적량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2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8]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3.00
스테아린산 0.40
잔탄검 0.10
1,3-부틸렌글리콜 6.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20
글리세린 4.00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1.00
트리에탄올아민 0.2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0
유동파라핀 5.00
스쿠알렌 3.0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00
폴리솔베이트60 1.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방부제 적량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3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로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9]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10.00
1,3-부틸렌글리콜 5.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탄올아민 1.20
유동파라핀 5.00
스쿠알렌 3.0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00
폴리솔베이트 60 1.50
싸이크로메치콘 5.00
솔비탄세이퀴폴리머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0
방부제 적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4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10]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15.00
프로필렌글리콜 2.00
글리세린 5.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30
트리에탄올아민 0.50
유동파라핀 9.00
스쿠알란 3.50
바세린 9.00
밀납 1.50
폴리솔베이트60 1.80
솔비탄세스퀘올레이트 2.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0
방부제 적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5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11]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20.00
1,3-부틸렌글리콜 3.00
글리세린 4.00
스테아릴알콜 2.00
트리에탄올아민 0.60
유동파라핀 35.00
밀납 2.00
디메치콘 3.20
스쿠알렌 3.50
폴리솔베이트60 2.00
솔비탄세스퀘올레이트 2.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0
방부제 적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6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엣센스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12]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5.00
글리세린 8.00
피이지1500 2.20
알란토인 0.15
잔탄검 0.05
DL-판테놀 0.30
이.디.티이.에이(EDTA) 0.02
벤조페논-9 0.03
히드록시에틸셀롤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0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25 0.60
에탄올 6.00
방부제 적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To 100
처방 예 7 :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표 13]
성 분 함 량 (%)
Ascidian Tunic추출물 리포좀 10.00
폴리비닐알코올 15.00
프로필렌글리콜 1.00
셀롤로오스검 0.15
글리세린 3.00
피이지 1500 2.00
판테놀 0.4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0
피이지40경화피마자유 0.30
방부제 적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To 100
상기 실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은 엘라스티아제 활성 저해 및 자유 라디칼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에 비해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은 그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추출물은 각종 피부 노화 현상을 개선 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리포좀화 하여 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 시켰으며,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화장료는 일반 화장료서의 작용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고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주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30%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함유하여 리포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Ascidian Tunic) 추출물을 0.01~50%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78775A 2005-08-26 2005-08-26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0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775A KR100708779B1 (ko) 2005-08-26 2005-08-26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775A KR100708779B1 (ko) 2005-08-26 2005-08-26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147A true KR20070024147A (ko) 2007-03-02
KR100708779B1 KR100708779B1 (ko) 2007-04-17

Family

ID=3809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775A KR100708779B1 (ko) 2005-08-26 2005-08-26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4988A1 (en) * 2007-03-20 2008-09-25 Handock Cosmetics Co. Ltd.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alocynthia species shell
WO2013176351A1 (ko) * 2012-05-22 2013-11-28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귀와 멍게껍질의 혼합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68B1 (ko) * 2011-06-14 2013-06-18 박시향 멍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941870B1 (ko) 2017-08-16 2019-01-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과일껍질 및 멍게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마스크팩
KR102627236B1 (ko) 2023-04-14 2024-01-19 인코스(주)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4988A1 (en) * 2007-03-20 2008-09-25 Handock Cosmetics Co. Ltd.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alocynthia species shell
WO2013176351A1 (ko) * 2012-05-22 2013-11-28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귀와 멍게껍질의 혼합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84587B1 (ko) * 2012-05-22 2015-01-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귀와 멍게껍질의 혼합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US9913867B2 (en) 2012-05-22 2018-03-1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ixture of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and ascidian shells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779B1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956B1 (ko) 효소 처리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11031839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olecular encapsulated fermented extract of rhus javanica l. as an active ingredient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8779B1 (ko)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515073B1 (ko)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59A (ja) 美白剤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441009B1 (ko) 인삼으로부터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EP3579929B1 (fr) Extraits de la lianemarsdenia cundurango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5023021A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KR100515419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6204B1 (ko) 이나무로부터 분리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가지는유효활성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969B1 (ko)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90725B1 (ko)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63894A (ko)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945868B1 (ko)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02096384A1 (en) Anti-aging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phenolic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