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894A -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894A
KR20050025894A KR1020040061416A KR20040061416A KR20050025894A KR 20050025894 A KR20050025894 A KR 20050025894A KR 1020040061416 A KR1020040061416 A KR 1020040061416A KR 20040061416 A KR20040061416 A KR 20040061416A KR 20050025894 A KR20050025894 A KR 2005002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ding
guide light
dimens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329B1 (ko
Inventor
마츠시마다케시
와타베모토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Publication of KR2005002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Character Inpu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에어리어 센서의 촬상 시야(F)보다 작은 구형(矩形)의 판독 부분을 표시하는 가이드 광(G)이 판독 대상에 조사(irradiate)된다. 제어 장치는, 조사된 가이드 광(G) 하에서, 에어리어 센서가 제1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는 포착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이드 광(G)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 다음, 가이드 광(G)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제어 장치는 에어리어 센서가 제2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는 제2 이미지 내의 2-차원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한다. 제어 장치는 처리 대상으로서, 판독 부분 내에 전부 포함되는 코드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코드에 대해서만 디코드 처리를 실행한다. 판독 동작이 실패한 경우, 제어 장치는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여 디코드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Description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RELATED INFORMATION READING METHOD}
본 발명은 바코드 및 다른 1-차원 코드뿐만 아니라 QR 코드 및 다른 2-차원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2-차원 촬상 시야(imaging visual field)를 갖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정보 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품 판매 및 재고의 관리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에서 바코드 및 다른 1-차원 코드 또는 QR 코드 및 다른 2-차원 코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광학 정보 판독 장치는 일반적으로 에어리어 센서(area sensor)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수동 판독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디(handy) 타입의 2-차원 코드 판독 장치(즉, 핸디 단말기)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광학 정보 판독 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선단부(front end)에 판독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카탈로그, 전표 및 상품 라벨과 같은 판독 대상에 기록 또는 인쇄된 2-차원 코드의 근처에 이 판독부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는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를 조작하여, 판독 장치가 2-차원 코드 등을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촬영(image-pickup) 조작 및 코드의 촬영 이미지를 판독(디코딩)하기 위한 판독 조작을 시작하도록 한다.
최근에, 전술된 시스템은 제한된 작은 면적에 복수의 정보 코드를 기록할 수 있도록 고밀도화된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코드 판독 장치는 화소(pixel)수가 증가된 에어리어 센서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2-차원 코드가 소형화되면, 동일한 촬상 시야에서 복수의 코드가 동시에 포착될 수 있다는 문제가 생길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지 않는 다른 코드를 판독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판독 처리가 행해져야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디코드 처리는 에어리어 센서의 화소수가 크면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한편, 판독 장치가 에어리어 센서의 촬상 시야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 위치한 코드만을 판독하도록 하는 부분 영역 판독 모드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판독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장치에 따르면, 판독 대상에 다단 패턴(multi-stage pattern)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코드만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92542호 참조).
또한, 촬영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블록(block)으로 분할하여 촬영 이미지 내의 코드의 존재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존재 영역에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통상적인 판독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판독 장치에 따르면,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6,678,412호에 대응하는 일본특허공개공보 2000-353210호 참조).
그러나,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92542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부분 영역 판독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이 모드는 바코드가 종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2-차원 코드가 좌우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존재하는 경우, 2-차원 공간에서 판독될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처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러한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처리 시간 단축에 있어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2-차원 공간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는 코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및 다른 관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 수단, 가이드 광 조사(照射) 수단, 처리 수단 및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이미지 촬영 수단은 코드가 기록 및 인쇄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2-차원 촬상 시야를 갖는다. 가이드 광 조사 수단은 판독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을 조사하도록 제공된다. 처리 수단은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코드의 판독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가이드 광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emit)된 가이드 광은 촬상 시야보다 좁은 판독 부분으로서 2-차원 영역을 표시한다. 검출 수단은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처리 수단은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된 코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광 조사 수단은 판독 부분을 나타내는 2-차원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판독 대상의 근처에 판독 장치를 근접시켜서 판독 장치가 코드를 판독하게 한다. 사용자는 이미지를 포착할 때 판독 대상으로부터 판독될 코드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판독 장치의 위치를 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독 장치가 판독 대상으로부터 판독될 의도된 코드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광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가이드 광의 광축(optical axis)은 이미지를 포착할 때의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한 수광(受光) 광축과 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즉, 경사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는 장치와 판독 대상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에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독 장치가 가이드 광 조사 수단의 위치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위치한 코드를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수단은 촬상 시야보다 좁은 판독 부분으로서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할 때,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된 코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처리 대상이 되는 이미지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원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투사중일 때에 선, 선분 또는 점 형상을 갖는 광을 조사하거나, 혹은 2-차원 영역의 전체 영역을 향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판독 부분으로서 2-차원 영역을 표시하도록 가이드 광 조사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판독 부분으로서 표시된 2-차원 영역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전술된 검출 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이미지 촬영 수단은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제1 이미지를 포착하고, 후속하여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제2 이미지를 포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 수단은 제1 이미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획득하고, 제2 이미지 상의 동일 위치를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로서 판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판독 장치가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포착된 촬영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이미지 블록 내의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이미지 블록에 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할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도록 전술된 처리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판독 장치가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의 존재 영역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역할을 하는 영역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리 시간이 더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수단은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포함된 이미지만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처리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수단은 복수의 코드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되는 경우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2-차원 영역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독 장치는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는 코드를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코드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 그 실패의 원인이 코드의 일부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부터 비롯된 경우, 처리 수단은 2-차원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 다음에 확장된 처리 대상 영역으로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 광에 대한 코드의 사용자의 위치파악(positioning)이 부정확할지라도, 코드 판독 조작의 실패(즉, 에러)를 거의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 처리 수단은 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존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처리 대상 영역이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및 다른 관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7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을 제공한다.
판독 대상에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보다 작은 2-차원 판독 부분을 표시하는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제1 단계가 제공된다. 가이드 광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판독 대상의 제1 이미지를 포착하는 제2 단계가 제공된다. 포착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이드 광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3 단계가 제공된다. 가이드 광의 조사를 중단한 후에 판독 대상의 제2 이미지를 포착하는 제4 단계가 제공된다. 제2 이미지에서 정보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는 제5 단계가 제공된다.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전부 포함되는 정보 코드만을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제6 단계가 제공된다. 그리고, 선택된 정보 코드에 대해서만 디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제7 단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광은 투사중일 때에 선, 선분 또는 점 형상을 갖고 2-차원 판독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광이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광은 2-차원 판독 부분의 전체 영역을 조사하는 광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은 제1 이미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상 시야에서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이미지 상의 동일 위치를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로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은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포착된 촬영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각의 이미지 블록 내의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이미지 블록에 정보 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할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정보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은 복수의 정보 코드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전부 포함되는 경우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2-차원 판독 부분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정보 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방법은 정보 코드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와 그 실패의 원인이 정보 코드의 일부가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판독 부분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부터 비롯된 경우, 2-차원 판독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 다음에 확장된 처리 대상 영역으로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존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작식(hand-operated type)(즉, 핸디 타입) 2-차원 코드 판독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이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정보 판독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2-차원 코드 판독 장치(1)의 기계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차원 코드 판독 장치(1)는 케이스(2) 내에 통합된 판독 기구(3) 및 제어 장치(4)(도3 참조)를 포함한다. 판독 기구(3)는 카탈로그, 전표 및 상품 라벨 또는 다른 판독 대상에 기록된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C)(도2a 및 도2b 참조)를 판독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 장치(4)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고,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판독 기구(3)(즉, 에어리어(area) 센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2-차원 코드(C)의 판독 처리(및 디코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2)는 기단측(proximal end)(즉, 도면의 우측)에 그립부(grip portion)로 구성되고 선단측(front end)에서 약간 넓어진다. 케이스(2)의 선단측은 또한 경사각을 이루어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약간 하향하여 구부러진다. 케이스(2)의 선단 부분은 판독 개구부(2a)를 갖는다. 복수의 키 스위치(5a)로 구성된 키 입력부(5)가 이 케이스(2)의 상면부에 제공된다. 키 입력부(5)는 사용자가 판독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코드 타입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키 스위치(5a) 외에도, 케이스(2)는 케이스(2)의 외면부(즉, 측면부)에 판독 지시용 트리거 스위치(6)(도3에만 도시됨)를 갖는다. 트리거 스위치(6)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눌렀을 때 2-단계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사용자에 의한 제1단 누름 조작(first stage depressing action)(즉, 소위 스위치의 반 누름 상태(half depressed condition))은 시스템이 가이드 광의 조사 동작을 개시하게 하고, 사용자에 의한 제2단 누름 조작(second stage depressing action)은 시스템이 판독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LCD(즉,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7)가 케이스(2)의 상면부에 제공된다. 이들 키 스위치(5a) 및 표시부(7)는 케이스(2)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8)상에 부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 장치(4) 역시 인쇄 회로 기판(8)상에 부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차 전지가 케이스(2) 내에 통합된다.
판독 기구(3)는 에어리어 센서(9), 이미지 촬영 렌즈(10), 복수개의 조명용 LED(즉, 발광소자(light-emitting diode))(11) 및 복수개의 조명용 렌즈(12)를 포함한다. 에어리어 센서(9)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미지 촬영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CCD(즉,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촬영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이미지 촬영 렌즈(10)는 에어리어 센서(9)의 앞에 위치한다. 각각의 조명용 LED(11)는 코드 판독 조작 동안 발광하는 조명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각의 조명용 렌즈(12)는 대응하는 조명용 LED(11)의 앞에 위치한다.
이 경우, 에어리어 센서(9)는 예를 들면, 가로 640 화소 x 세로 480 화소로 이루어진 2-차원 촬상 시야(F)(도2a, 도2b 및 도5 내지 도7 참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미지 촬영 렌즈(10)는 판독 개구부(2a)의 중심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조명용 렌즈(12)가 그 주위(예를 들면, 경사진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코드(C)가 기록 또는 인쇄된 판독 대상(전표, 라벨, 카탈로그 등)에 판독 개구부(2a)를 근접시킨 다음에 판독 조작을 수행한다. 즉, 트리거 스위치(6)를 켠다.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조명용 LED(11)가 판독 대상을 조사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리어 센서(9)는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포착한다(즉, 이미지 촬영 조작을 수행한다). 그 다음,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4)는 이 2-차원 코드(C)에 대한 판독(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판독 기구(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 및 투광조명 렌즈(floodlight lens)(14)를 포함한다.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 및 투광조명 렌즈(14)는 예를 들면, 에어리어 센서(9)(및 이미지 촬영 렌즈(10))의 측부(즉,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 및 투광조명 렌즈(14)는 판독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판독 대상을 향해 가이드 광(G)을 조사한다.
판독 부분은 에어리어 센서(9)의 촬상 시야(F)보다 작은 구형(矩形)의 2-차원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가이드 광(G)은 이 2-차원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즉, 프레임)를 표시하는 선분 형상의 광이다. 보다 특정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광(G)은 2-차원 영역의 4개의 모서리를 정의하는 4개의 L-형의 광 부분, 이 2-차원 영역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중심을 표시하는 2개의 T-형의 광 부분 및 2-차원 영역의 중심을 표시하는 십자형의 광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이드 광 조사 수단(즉,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의 광축(P)은 에어리어 센서(9)에 의한 수광 광축과 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즉,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는 판독 개구부(2a)와 판독 대상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에어리어 센서(9)의 촬상 시야(F)에서 변동한다. 보다 특정하게는, 판독 개구부(2a)와 판독 대상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즉, 거리 L1), 조사된 가이드 광(G)은 촬상 시야(F)의 좌측으로 치우친다. 한편, 판독 개구부(2a)와 판독 대상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즉, 거리 L2), 조사된 가이드 광(G)은 촬상 시야(F)의 우측으로 치우친다.
도3은 메인 구성요소로서 제어 장치(4)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 판독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4)는 키 입력부(5)와 트리거 스위치(6)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서 표시부(7)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4)는 각각의 조명용 LED(11)와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4)는 에어리어 센서(9)에 의해 포착된 판독 대상의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 장치(4)는 에어리어 센서(9)의 이미지 촬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센서 신호를 2진-코드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2진 회로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 메모리(15)는 제어 장치(4) 및 에어리어 센서(9)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4)는 2-차원 코드(C)의 판독 조작의 완료시 경적음(buzzer sound)을 발생하는 사운드 발생부(16)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4)는 또한 적외선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관리 컴퓨터)와 디코드된 데이터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17)에도 연결된다.
2-차원 코드 판독 장치(1)는 제어 장치(4)의 소프트웨어 구성(즉, 판독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다음의 동작을 실행한다. 보다 특정하게는, 사용자가 트리거 스위치(6)를 반 누름 상태로 조작하면(즉, 사용자의 제1단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4)는 판독 대상에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를 표시하는 가이드 광(G)을 조사하도록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를 활성화시킨다. 후속하여, 트리거 스위치(6)의 완전 누름(complete depression)에 응답하여(즉, 사용자의 제2단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4)는 에어리어 센서(9)가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한다. 이 이미지의 포착은 2단계로 분리된다. 제1 단계에서, 에어리어 센서(9)는 가이드 광(G)이 판독 대상에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즉, 조명용 빔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제1 이미지를 포착한다. 후속하여, 제2 단계에서, 에어리어 센서(9)는 가이드 광(G)이 판독 대상에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즉, 조명용 빔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제2 이미지를 포착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4)는 제1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상 시야(F)에서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를 획득하여 제2 이미지상의 동일 위치를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로서 간주한다. 제1 이미지에서,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는 다른 부분에 비해 충분히 밝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의 명암에 기초하여 가이드 광(G)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4)는 본 발명의 검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 장치(4)는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2-차원 코드(C)에 대해 판독 처리(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전술된 촬상 시야(F) 내의 가이드 광(G)의 검출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4)는 가이드 광(G)의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에 포함된 2-차원 코드(C)를 처리 대상으로서 지정한다. 2-차원 영역에 복수의 코드(C)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 장치(4)는 우선적으로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된 2-차원 코드(C)를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지정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드 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장치(4)는 먼저 제2 이미지 내의 2-차원 코드(C)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다음 2-차원 코드(C)의 추정된 존재 영역에서 명암 패턴을 판독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지만, 2-차원 코드(C)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가 도6 및 도7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즉, 제어 장치(4)는 촬영 이미지(즉, 제2 이미지)의 포착된 영역을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이미지 블록(B)(즉, 검사 구역)으로 분할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4)는 각각의 이미지 블록(B) 내의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한다. 그 다음, 그 결과(즉, 명암 변화점의 수)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4)는 2-차원 코드(C)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가능성이 보다 높은 이미지 블록(B)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이미지 블록(B)은 16 화소 x 16 화소의 크기를 갖는다. 존재 영역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04594호 또는 일본특허공개공보 2000-35321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세한 처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드 처리를 수행할 때, 제어 장치(4)는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만을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지정한다. 2-차원 코드(C)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와 그 실패의 원인이 2-차원 코드(C)의 일부가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부터 비롯된 경우, 제어 장치(4)는 2-차원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 다음에 확장된 처리 대상 영역으로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한다. 그 다음,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할 때, 제어 장치(4)는 2-차원 코드(C)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2-차원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다(도7 참조).
다음으로, 전술된 구성의 기능에 대해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 판독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는 판독 대상에 기록 또는 인쇄된 2-차원 코드(C)를 판독하는데 있어서 케이스(2)의 판독 개구부(2a)를 판독 대상을 향해서 이동시키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는 케이스(2)의 측면부에 있는 트리거 스위치(6)를 반 누름 상태로 누른다. 트리거 스위치(6)에 대해 가해진 이 사용자의 제1단 누름 조작은 시스템이 전술된 바와 같이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을 표시하도록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G)을 조사하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판독 대상에 표시된 판독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판독될 의도된 2-차원 코드(C)를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트리거 스위치(6)에 대하여 제2단 누름 조작을 행한다.
제어 장치(4)는 도1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특정하게는, 단계(S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4)는 에어리어 센서(9)가 가이드 광(G)이 판독 대상에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즉, 조명용 빔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제1 이미지의 포착을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S2)에서, 제어 장치(4)는 포착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상 시야(F)에서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즉, 판독 부분을 정의하는 2-차원 영역)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 개구부(2a)와 판독 대상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이드 광(G)의 위치가 에어리어 센서(9)에 의해 포착되는 촬상 시야(F)에서 이동하더라도 시스템이 가이드 광(G)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후속하여, 단계(S3)에서, 제어 장치(4)는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13)를 비활성화하여 가이드 광(G)의 조사를 중단시킨다. 그 대신, 제어 장치(4)는 조명용 LED(11)를 켜고, 판독 대상에 조명용 빔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에어리어 센서(9)가 제2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한다. 제2 이미지의 포착을 완료한 후, 제어 장치(4)는 그 다음 단계(S4)로 진행하여 촬상 시야(F)에서 판독 부분(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의 2-차원 코드(C)의 이미지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장치(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의 영역을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이미지 블록(B)으로 분할하여(도6 및 도7 참조) 각각의 이미지 블록(B)에서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한다.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A'는 명암 레벨이 변화하는 화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4)는 영역 'A'를 2-차원 코드(C)의 존재 영역으로서 추정한다.
단계(S5)에서, 제어 장치(4)는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에 포함된 2-차원 코드(C)를 판독 대상으로서 지정하여, 그 지정된 판독 대상에 대하여 디코드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디코드 처리는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에 포함된 처리 대상 이미지에 대해서만 실행된다. 이 경우, 제2 이미지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시야(F)에 존재하는 복수의(예를 들면, 2개) 2-차원 코드(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4)는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되는 경우 1개의 2-차원 코드(C)를 우선적으로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지정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4)는 판독 대상으로서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2-차원 코드(C)를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포착된 2-차원 코드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 제어 장치(4)는 판독 부분 내에 포함된 최대 면적을 갖는 2-차원 코드(C)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코드에 대하여 디코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도2b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는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2-차원 코드(C)를 판독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코드 처리에 대한 대상 영역이 촬상 시야(F)의 전체 영역과 동일하지 않고, 에어리어 센서(9)의 촬상 시야(F)보다 좁은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에 제한되고, 전술된 단계(S4)를 통한 존재 영역(즉, 도6의 굵은 선에 의해 표시된 영역 'A')에 더 제한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단계(S6)에서, 제어 장치(4)는 선택된 2-차원 코드(C)에 대한 디코드 처리가 성공적인지 여부에 관하여 판단한다. 디코드 처리가 성공적인 경우(즉, 단계(S6)에서 '예'인 경우), 제어 장치(4)는 그 다음 단계(S9)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4)는 표시부(7)가 디코딩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관리 컴퓨터에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4)는 도1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위치파악 조작의 실패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2-차원 코드(C)의 이미지가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의 외부에 일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차원 코드(C)는 처리 대상 이미지의 외부에 일부 존재하여, 이에 따라 디코드 처리가 성공적이지 않게 끝나게 된다(즉, 단계(S6)에서 '아니오').
따라서, 디코딩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4)는 단계(S7)로 진행하여 본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다. 그 다음, 단계(S8)에서, 제어 장치(4)는 디코드 처리를 다시 실행하여 단계(S6)로 돌아간다. 단계(S7)에서 처리 대상 영역을 넓히는데 있어서, 제어 장치(4)는 2-차원 영역의 외부에 위치한(즉, 2-차원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이미지 영역(즉, 이미지 블록(B)) 중에서 2-차원 코드(C)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에 인접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추가함으로써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다. 도7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는 복수의 블록(B)으로 구성되고 판독 부분(즉, 2-차원 영역)의 상측부를 따라 존재하는 사선 영역에 의해 표시된 부분 A'를 추가함으로써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어 장치(4)는 디코드 처리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광(G)에 대한 2-차원 코드(C)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도, 2-차원 코드(C)가 촬상 시야(F)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으면 제어 장치(4)는 2-차원 코드(C)를 판독하는데 있어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코드 처리를 다시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장치(4)는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처리 대상 영역을 넓게 확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처리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에어리어 센서(9)의 촬상 시야(F)보다 좁은 2-차원 영역을 정의하는 가이드 광(G)을 사용하고, 이 가이드 광(G)을 조사하여 판독 대상에 판독 부분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촬상 시야(F)에서 가이드 광(G)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여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에 포함된 2-차원 코드(C)만을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시스템이 2-차원 공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2-차원 코드(C) 중에서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는 의도된 2-차원 코드(C)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시스템이 처리 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미지의 영역을 제한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에어리어 센서(9)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이미지 블록(B)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이미지 블록(B)에서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명암 레벨의 변화와 관련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2-차원 코드(C)의 존재 영역을 추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시스템이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역할을 하는 영역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처리 시간은 더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만을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선택한다. 그러나, 2-차원 코드(C)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 본 실시예는 인접 영역을 포함하도록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여 디코드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따라서, 가이드 광(G)에 대한 2-차원 코드(C)의 사용자의 위치파악이 부정확한 경우라도, 본 실시예는 이 2-차원 코드(C)의 판독 에러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 경우에 필요한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대상에 기록 또는 인쇄된 복수의 2-차원 코드(C)는 그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게 배치된다. 이들 복수의(이 예에서는 2개) 2-차원 코드(C)는 촬상 시야(F)에서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4)는 2-차원 영역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1개의 2-차원 코드(C)(즉, 도면의 우측에 있는 코드)를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지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지 판독될 2-차원 코드(C)를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의 중심 위치에 가깝게 위치시키거나 배치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된 2-차원 코드(C)에 대해서만 판독 처리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코드(C)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 제어 장치(4)는 인접 영역을 포함하도록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여 디코드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그러나, 판독 동작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에게 임의의 판독 에러를 알려서 사용자가 판독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보다 특정하게는, 가이드 광(G)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된 코드만을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2)(즉, 판독 개구부(2a))로부터 판독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검출 수단은 측정된 판독 거리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촬상 시야(F)상의 가이드 광(G)의 위치를 획득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광의 조사 패턴과 관련하여, 2-차원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레임을 정의하도록 투사중일 때에 복수의 선분 또는 점 형상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2-차원 영역의 전체를 조사하는 광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정보 판독 장치는 2-차원 코드에 대한 판독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바코드 또는 다른 1-차원 코드를 판독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적절하게 변형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정보 판독 장치를 이용하면, 2-차원 공간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는 코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처리 대상 영역이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판독 조작시의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2a 및 도2b는 촬상 시야에서 2-차원 코드와 가이드 광 사이의 위치 관계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 판독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 판독 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판독 거리의 변화에 따른 가이드 광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2-차원 코드의 이미지가 판독 부분의 외부에 일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는 처리 대상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2a 및 도2b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차원 코드 판독 장치 2: 케이스
2a: 판독 개구부 3: 판독 기구
4: 제어 장치 5: 키 입력부
5a: 키 스위치 6: 트리거 스위치
7: 표시부 8: 인쇄 회로 기판
9: 에어리어 센서 10: 이미지 촬영 렌즈
11: 조명용 LED 12: 조명용 렌즈
13: 가이드 광용 레이저 다이오드 C: 2-차원 코드
F: 촬상 시야 G: 가이드 광

Claims (16)

  1. 정보 코드가 기록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2-차원 촬상 시야를 갖는 이미지 촬영 수단;
    판독 부분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판독 대상에 가이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가이드 광 조사(照射) 수단; 및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코드의 판독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광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상기 가이드 광은 상기 촬상 시야보다 좁은 판독 부분으로서 2-차원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의 상기 촬상 시야에서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할 때, 상기 2-차원 영역 내에 전부 포함된 정보 코드를 우선적으로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광 조사 수단은 상기 2-차원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투사중일 때에 선, 선분 또는 점 형상을 갖는 광을 조사하거나, 혹은 상기 2-차원 영역의 전체 영역을 향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판독 부분으로서 2-차원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은 상기 판독 대상에 상기 가이드 광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제1 이미지를 포착하고, 후속하여 상기 판독 대상에 상기 가이드 광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제2 이미지를 포착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이미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시야에서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상의 동일 위치를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로서 판단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포착된 촬영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이미지 블록 내의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상기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이미지 블록에 상기 정보 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할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정보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만을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 내에 복수의 코드가 전부 포함되는 경우 상기 2-차원 영역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정보 코드를 상기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정보 코드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 그 실패의 원인이 상기 정보 코드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부터 비롯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 다음에 확장된 처리 대상 영역으로 상기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판독 처리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존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하는
    광학 정보 판독 장치.
  9. 정보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판독 대상에 이미지 촬영 수단의 촬상 시야보다 작은 2-차원 판독 부분을 표시하는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광이 조사되는 상태 하에서 상기 판독 대상의 제1 이미지를 포착하는 단계;
    포착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광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를 중단한 후에 상기 판독 대상의 제2 이미지를 포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정보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상기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전부 포함되는 정보 코드만을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정보 코드에 대해서만 디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광은 투사중일 때에 선, 선분 또는 점 형상을 갖고 상기 2-차원 판독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광이거나, 상기 가이드 광은 상기 2-차원 판독 부분의 전체 영역을 조사하는 광인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1.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시야에서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상의 동일 위치를 상기 가이드 광의 조사 위치로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에 의해 포착된 촬영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각의 이미지 블록 내의 각각의 화소의 명암 레벨뿐만 아니라 상기 명암 레벨의 변화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이미지 블록에 상기 정보 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할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정보 코드의 존재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상기 2-차원 판독 부분에 포함된 이미지를 처리 대상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상기 2-차원 판독 부분 내에 복수의 정보 코드가 전부 포함되는 경우 상기 2-차원 판독 부분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정보 코드를 상기 판독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정보 코드의 판독이 실패한 경우와 그 실패의 원인이 상기 정보 코드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광에 의해 표시된 2-차원 판독 부분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부터 비롯된 경우, 상기 2-차원 판독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처리 대상 영역을 확장한 다음에 확장된 처리 대상 영역으로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영역은 상기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존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확장되는
    광학 정보 판독 방법.
KR1020040061416A 2003-09-08 2004-08-04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 KR100626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5537A JP4058529B2 (ja) 2003-09-08 2003-09-08 光学情報読取装置
JPJP-P-2003-00315537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894A true KR20050025894A (ko) 2005-03-14
KR100626329B1 KR100626329B1 (ko) 2006-09-20

Family

ID=3413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416A KR100626329B1 (ko) 2003-09-08 2004-08-04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3492B2 (ko)
EP (1) EP1513095B1 (ko)
JP (1) JP4058529B2 (ko)
KR (1) KR100626329B1 (ko)
CN (1) CN129922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00B1 (ko) * 2005-10-24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미지에 따른 코드 정보를 내장한 코드의 판독 방법 및장치
US8074173B2 (en) 2008-05-08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Associating input with computer based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966B2 (en) 2004-10-18 2010-05-25 Datalogic Scanning, Inc. System and method of optical reading employing virtual scan lines
JP4254724B2 (ja) 2005-02-16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バーコード読取り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237638B (zh) * 2007-02-02 2013-01-30 银河联动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动态信息发布的系统和方法
JP2009129227A (ja) * 2007-11-26 2009-06-11 Toshiba Mach Co Ltd 制御装置、工作機械、及び表示方法
JP4968043B2 (ja) * 2007-12-19 2012-07-0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5104713B2 (ja) * 2008-10-17 2012-12-19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5083676B2 (ja) * 2010-02-16 2012-11-2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読取システム、及び光学的情報読取装置
CN101885391B (zh) * 2010-06-04 2012-05-30 北京赛腾工业标识系统有限公司 一种产品赋码标识信息采集装置及方法
JP5130387B2 (ja) * 2010-08-26 2013-01-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商品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073822A (ja) * 2010-09-29 2012-04-12 Panasonic Corp 帳票読取装置
CN102646186A (zh) * 2012-02-27 2012-08-22 北京恒信彩虹科技有限公司 二维码读取方法、设备、装置,计算机及二维码读取系统
CN102930192B (zh) * 2012-09-19 2016-02-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安全信息生成和获取方法、及相关装置
CN105590077A (zh) * 2014-10-24 2016-05-18 秀传医疗财团法人彰滨秀传纪念医院 红外线辨认定位系统及其读取方法
CN104504553A (zh) * 2014-12-31 2015-04-08 刘训志 一种物流收发件信息录入和处理方法
CN104678953B (zh) * 2015-01-23 2017-08-18 深圳市捷佳伟创新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硅片生产的石墨舟识别系统及方法
CN104615786A (zh) * 2015-03-04 2015-05-13 庞迪 一种基于二维码图形的公交车信息查询方法及系统
CN105005754B (zh) * 2015-08-14 2018-05-29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共用补光灯和对准灯的二维码扫描器
CN105404837A (zh) * 2015-11-17 2016-03-1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物品定位方法及系统
JP2017187988A (ja) * 2016-04-07 2017-10-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ド認識装置
JP6387478B2 (ja) * 2016-08-09 2018-09-05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読取装置、プログラム、及びユニット
US9798912B1 (en) * 2016-09-26 2017-10-24 Symbol Technologies, Llc Imaging module and reader for, and method of, reading targets by image capture with a substantially constant resolution over an extended range of working distances
KR102169308B1 (ko) * 2016-12-16 2020-10-23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센싱 방법
US10169631B2 (en) * 2017-03-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gnizing fingerprints and fingerprint combinations as inputs
US11049279B2 (en) * 2018-03-27 2021-06-29 Denso Wave Incorporated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al relationship among objects
US10671824B2 (en) * 2018-04-17 2020-06-0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ecoding designated barcode in field of view of barcode reader
JP7366577B2 (ja) * 2019-04-15 2023-10-2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式情報読取装置及び光学式情報読取方法
CN115140471B (zh) * 2022-06-29 2024-01-02 山东西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物品管理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6755T2 (de) * 1992-03-12 2000-03-02 Norand Corp Leser zum dekodieren zwei-dimensionaler optischer information
DE69332814T2 (de) * 1992-09-28 2003-12-18 Olympus Optical Co System zur Informationswiedergabe für optische Punktcode-Ablesung von einem Aufzeichnungsmedium
JPH06266876A (ja) * 1993-03-15 1994-09-22 Tokyo Electric Co Ltd 2次元コードスキャナ
JPH0793459A (ja) * 1993-09-28 1995-04-07 Tec Corp 2次元コードスキャナ
KR950020294A (ko) * 1993-12-15 1995-07-24 키시나 요 2-차원 코드데이터의 판독장치 및 판독방법
US5500516A (en) * 1994-08-30 1996-03-19 Norand Corporation Portable oblique optical reader system and method
US5550516A (en) 1994-12-16 1996-08-27 Honeywell Inc. Integrated resonant microbeam sensor and transistor oscillator
JP3118500B2 (ja) * 1995-02-23 2000-12-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ドリーダ
JPH0997304A (ja) * 1995-10-02 1997-04-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学式情報読取装置
US6034379A (en) * 1996-03-01 2000-03-07 Intermec Ip Corp. Code reader having replaceable optics assemblies supporting multiple illuminators
JP3331300B2 (ja) 1997-02-06 2002-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読取り装置
US6340114B1 (en) * 1998-06-12 2002-01-22 Symbol Technologies, Inc. Imaging engine and method for code readers
JP3952613B2 (ja) 1998-10-23 2007-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4288756B2 (ja) * 1999-04-08 2009-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コード概略存在領域推定方法、情報コード読取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JP2001147987A (ja) 1999-11-24 2001-05-29 Denso Corp 光学情報読取装置
JP3632578B2 (ja) 2000-09-14 2005-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2002140662A (ja) 2000-11-06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情報読取装置
ATE335246T1 (de) * 2001-01-22 2006-08-15 Hand Held Prod Inc Optischer leser mit teilbild-ausschnitt-funktion
JP3890991B2 (ja) 2001-01-31 2007-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コード存在推定方法,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存在推定プログラム
JP4059173B2 (ja) * 2003-06-27 2008-03-1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的情報読取装置および光学的情報の読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00B1 (ko) * 2005-10-24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미지에 따른 코드 정보를 내장한 코드의 판독 방법 및장치
US8074173B2 (en) 2008-05-08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Associating input with computer based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5421A (zh) 2005-03-16
EP1513095A3 (en) 2008-09-24
JP4058529B2 (ja) 2008-03-12
US7503492B2 (en) 2009-03-17
US20050051627A1 (en) 2005-03-10
EP1513095B1 (en) 2011-11-09
KR100626329B1 (ko) 2006-09-20
EP1513095A2 (en) 2005-03-09
CN1299229C (zh) 2007-02-07
JP2005084890A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329B1 (ko) 광학 정보 판독 장치 및 관련 정보 판독 방법
US5754670A (en) Data symbol reading system
JP4389812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JP4186915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US7481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picking up an image of an information code
EP1492044B1 (en)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ading method
US5945661A (en) Data symbol reader and method including data symbol position evaluation
JP2008525911A (ja) ダイレクトパートマークスキャナの性能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507741A1 (en) Imaging-based scanner including border searching for image acquisition
US10325377B2 (en) Image depth sensing method and image depth sensing apparatus
EP3370403B1 (en) Rea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4111216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KR102079697B1 (ko)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JP2008146463A (ja) 位置検出装置
JP4650138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2007079913A (ja) 画像取得装置
JP4466522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JP2011008574A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6398809B2 (ja) 情報コード読取装置
JP5115131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2006134160A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4157759B2 (ja) 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3810154B2 (ja) 光学的シンボルの読み取り装置
KR200287658Y1 (ko) 휴대폰용 바코드 촬영장치
JP2006023912A (ja) 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の読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