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281A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281A
KR20050025281A KR1020040067032A KR20040067032A KR20050025281A KR 20050025281 A KR20050025281 A KR 20050025281A KR 1020040067032 A KR1020040067032 A KR 1020040067032A KR 20040067032 A KR20040067032 A KR 20040067032A KR 20050025281 A KR20050025281 A KR 2005002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upper door
dish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030B1 (ko
Inventor
지쯔다켄이치
신무라미쯔노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윗 문짝에 붙은 물을 보다 적합한 위치에 낙하시킨다.
윗 문짝 6의 내면에,좌우 방향 중앙부 측에서 좌우 양단부의 전단측을 향해 늘어나는 제 1∼제 4 돌조 221∼224를 형성한다.제 1∼제 4 돌조 221∼224는,각각,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측에서 래버린스 리브 19에 접속되어 있다.윗 문짝 6을 연 상태에서는,윗 문짝 6의 내면 6A에 붙은 물이 제 1∼제 4 돌조 221∼224에 의해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로 도출되고, 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하단) 19A으로부터 식기 투입구를 통해 세정 탱크 내로 낙하한다.
윗 문짝 6의 내면 6A에 붙어 있는 물이 식기 세정기의 윗면에 낙하하거나,윗 문짝 6의 전단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식기 투입구를 통해 세정 탱크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WASHING MACHINE FOR TAVLEWARE}
본 발명은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세정 탱크내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물(세정수)을 분사함으로서 식기를 세정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가 알려져 있다.식기는,예를 들면,식기 세정기의 전면에 형성된 식기 투입구를 통해 세정 탱크내에 출입된다.식기 투입구는,예를 들면,상하로 병렬 배치된 2장의 개폐 문짝(윗 문짝 및 아래 문짝)에 의해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식기 투입구의 주연부에는 패킹이 장착되어 있어서,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는,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이 패킹에 눌려져서,식기 투입구가 완전히 닫혀지게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식기 세정기 중에는,아래 문짝의 개폐에 연동하여 윗 문짝이 개폐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특개2002-301003호 공보 참조).아래 문짝을 열면,이에 연동하여 윗 문짝이 식기 투입구에 대해 전방으로 분리되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되게 하여 세정 탱크의 상방에 이동하고,그 내면(닫은 때에 식기 투입구에 임한 면)이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전단부가 후단부보다도 낮은 자세로 된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식기 세정기 상방의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도 윗 문짝을 양호하게 열 수 있다.
그러나,상기 종래 기술에서는,식기 투입구의 주연부에 패킹을 설치함으로서 세정 탱크 내의 물이 기외로 누설되는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세정 탱크 내의 증기가 식기 투입구에서 기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비교적 곤란하고,개폐 문짝의 연동 기구에 문제가 생긴 경우 등에는,식기 투입구에서 증기가 기외로 누설되기 쉽다.따라서 식기 투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는 식기 세정기가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식기 투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4)와,상기 세정 탱크의 전면에 형성되고,상기 세정 탱크에 대해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5)와,상기 식기 투입구를 덮기 위한 2 장의 개폐 문짝(6,7)으로,각각 닫은 상태에서 상기 식기 투입구에 임한 내면(6A,7A)을 가지고,한편의 개폐 문짝(7)의 개폐에 연동하여 다른 편의 개폐 문짝(6)이 상기 식기 투입구에 대해 슬라이드 하도록 개폐되는 2장의 개폐 문짝과,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의 내면(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37)와,상기 식기 투입구의 주연부에 형성되고,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이 닫히는 때에 상기 가이드부가 습접하는 습접면(36A,36B)을 포함하고,상기 습접면에는,상기 가이드부를 후방측에 안내함으로서,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을 닫히는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36B)이 갖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1)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한편의 개폐 문짝을 닫으면,다른 편의 개폐 문짝의 가이드부가 습접면에 습접해서 당해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이 닫히는 위치측으로 도출된 후,또한 당해 가이드부가 경사면을 따라 후방측으로 안내되어 당해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이 닫히는 위치로 인입된다.따라서, 2 장의 개폐 문짝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문제가 생긴 경우 등에도,개폐 문짝의 내면이 식기 투입구의 주연부에 부착된 패킹에 대해서 보다 강하게 꽉 눌러지기 때문에,식기 투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4)와,상기 세정 탱크의 전면에 형성되고,상기 세정 탱크에 대해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5)와,상기 식기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한 개폐 문짝(6)으로,닫은 상태에서 상기 식기 투입구에 임한 내면(6A)을 가지고,상기 식기 투입구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개폐되는 개폐 문짝과,상기 개폐 문짝을 닫히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때에 당해 개폐 문짝의 내면에 계합하고,해당 개폐 문짝이 상기 식기 투입구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1)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개폐 문짝을 닫았을 때,규제부에 의해 개폐 문짝을 닫히는 위치에 규제해서,개폐 문짝이 식기 투입구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개폐 문짝을 확실하게 닫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따라서, 개폐 문짝이 변형하거나,개폐 문짝에 외력이 더해지거나 하여,해당 개폐 문짝의 식기 투입구에 대한 수밀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식기 투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이하,도면을 참조하여,이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 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또,도 2는,식기 세정기 1의 좌측면도이다.이 식기 세정기 1은,식기 세정기 1 내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물(세정수)을 분사함으로서 식기의 세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온풍을 도입하여 세정 후의 식기를 건조시키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식기 세정기 1은,그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광주리체 2에 의해 구획되고 있다.이 식기 세정기 1은 폭이 넓은 타입이고,광주리체 2는, 그 안쪽 보다도 폭 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광주리체 2의 전면 하부에는,해당 식기 세정기1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거나,동작 상황에 관한 표시를 행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 표시 패널 3이 배치되어 있다.
광주리체 2 내에는,세정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 4가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이 세정 탱크4의 전면에는,해당 세정 탱크 4에 대해서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 5가 형성되어 있다.식기 투입구 5는,상방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도록 연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하고 있다.이와 같이,식기 투입구5가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서,식기 세정기 1의 앞측 상방에서 식기 투입구 5를 통해 세정 탱크4에 대한 식기의 출입을 쉽게 할 수 있다.
식기 투입구 5는,2 장의 개폐 문짝(윗 문짝6 및 아래 문짝7)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윗 문짝 6은 식기 투입구 5의 거의 상반분을 덮을 수 있는 한편,아래 문짝 7은 식기 투입구5의 거의 하반분을 덮을 수 있다.아래 문짝 7의 상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해당 아래 문짝7을 개폐할 때에 유저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 레버 8이 배치되어 있다.또,윗 문짝 6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을 닫은 상태에서 세정 탱크 4의 내부를 기외로 연통시키는 배기구9가 좌우로 길게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식기의 세정시나 건조시 등에는,배기구 9를 통해 세정 탱크 4 안의 증기가 기외로 배출되게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식기 세정기 1의 좌측면도로써,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윗 문짝6 및 아래 문짝7은,도시하지 않는 연동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아래 문짝 7의 개폐에 연동하여 윗 문짝 6이 개폐하게 되어 있다.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윗 문짝6 및 아래 문짝 7을 닫은 상태에서 파지 레버 8을 쥐고,이 파지 레버 8을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서,아래 문짝7을 닫는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도시하지 않음)의 록을 해제한 후,파지 레버 8을 당김으로서 아래 문짝 7을 앞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이에 연동하고 윗 문짝 6을 식기 투입구 5를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아래 문짝 7은,끝까지 열린 상태에서 그 내면 7A(닫은 상태에서 식기 투입구 5에 임한 면)가 거의 수평이 된다.한편,윗 문짝 6은,아래 문짝 7이 열림과 함께 식기 투입구 5를 따라 앞쪽으로 분리되면서 상승하고,그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서서히 경도한다.그리고,윗 문짝 6이 끝까지 열린 상태에서는,그 내면 6A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윗 문짝 6의 전단부(하단부)가 후단부(상단부)보다도 약간 낮게 기울어진 자세가 된다.이와 같이,윗 문짝 6이 식기 투입구 5에 대해 슬라이드하게 하여 세정 탱크 4(광주리체 2)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식기 세정기 1 상방의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도 윗 문짝 6을 양호하게 열 수 있다.
세정 탱크 4 안에는,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이 실시 형태에서는,2 개의 식기 바구니(상 바구니 및 하바구니 )가,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상바구니는,그 좌우 양단부가 세정 탱크 4의 내면에 습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전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한편,하바구니는,그 바닥부에 복수(예를 들면,4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고,세정 탱크 4의 바닥면 및 거의 수평으로 열린 아래 문짝 7의 내면 7A상에서 롤러를 전동시킴으로서,하바구니를 전후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4는,하바구니 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하바구니 10의 우측 부분(우단에서 3분의 1 정도의 범위)은,중간 접시나 큰 접시 등의 비교적 큰 접시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큰 접시 수용부 10A로 되어 있다.또,하바구니 10의 중앙부에서 좌측에 걸친 부분(좌단에서 3분의 2 정도의 범위)은,찻잔,국그릇 및 덮밥 등의 그릇을, 옆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그릇 수용부 10B로 되어 있다.큰 접시 수용부 10A와 그릇 수용부 10B와의 사이에는,전후 방향으로 긴 젓가락 수용부 10C가 배치되고 있고,이 젓가락 수용부 10C에는,젓가락 외에 스푼이나 포크 등을 세운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도 5는,윗 문짝 6을 내면 6A 측에서 본 도면이다.또,도6은,윗 문짝 6을 상하 방향(단수 방향)을 따라 절단한 때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윗 문짝 6은,식기 투입구 5를 개폐하기 위한 본체 11과,이 본체 11의 전면측(식기 투입구 5와 반대측)을 덮는 투명 커버 12를 구비하고 있다.본체 11은,윗 문짝 6을 닫은 상태에서 식기 투입구 5에 임한 내면 6A를 구성하는 내면판 13과,본체 11의 외면(전면)을 구성한 외면판 14를 구비하고 있다. 내면판 13은,예를 들면,PP (polypropylene)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외면판 14는,예를 들면,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면판 13에는,예를 들면,앞쪽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환상 돌기부 15가 갖춰져 있고,이 환상 돌기부 15의 내면에 의해 배기구9가 형성되어 있다.외면 판 14 및 투명 커버 12에는,각각,내면판 13의 환상 돌기부 1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 16,17이 형성되어 있다.환상 돌기부 15는,각 개구 16, 17에 관통되고,그 선단이 앞쪽(투명 커버 12의 전면보다도 약간 앞쪽)으로 뻗어 있다.
투명 커버12는,예를 들면,투명한 AS(acrylonitrile styren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이 실시 형태에서는,투명 커버 12와 본체 11과의 사이(외면판 14)에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진 상태에서,투명 커버 12가 외면판14에 대해 앞쪽에서 장착되고 있다.시트는,예를 들면,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에 의해 0.2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이고,외면판 14의 표면(전면)을 따르도록 만곡하여,외면판 14의 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시트는 투명하고,그 외면판 14 측의 표면은,예를 들면,소정의 색으로 컬러 인쇄되어 있다.
윗 문짝 6의 내면 6A의 좌우 양단부에는,당해 윗 문짝6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봉 리브 18이 돌설되어 있다.이 수봉 리브 18은,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식기 투입구 5로부터 기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이 실시 형태에서는,윗 문짝6 내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수봉 리브 18뿐만 아니라,수봉 리브 18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중앙쪽의 위치에,해당 윗 문짝6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하 방향에 늘어나는 래버린스 리브 19가 돌설되어 있다.이 래버린스 리브19를 설치함으로서,세정 탱크4 안에서 수봉 리브 18 측으로 향하는 물을 래버린스 리브 19로 일단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식기 투입구 5로부터 기외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윗 문짝 6의 내면 6A에는,배기구 9의 주위에 대략 직사각형의 수용 홈부 20이 형성되어 있고,이 수용 홈부 20 안에 배기구9의 후방측을 덮기 위한 배기구 커버 21이 끼워져 있다.이 배기구 커버 21의 좌우 양측방에 있어서 윗 문짝 6의 내면 6A에는,각각,해당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하단부에 근접하도록 경사한 제 1 돌조 221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 커버 21의 하방에 있어서 윗 문짝 6의 내면 6A에는,해당 윗 문짝 6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정점을 갖고,이 정점으로부터 해당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측을 향함 따라 하단부에 근접하도록 경사한 약 < 자 모양(대략 산형)의 3개의 돌조(제 2 돌조 222,제 3 돌조223 및 제 4 돌조224)가 상하로 병렬 형성되어 있다.제 1∼제 4 돌조 221∼224는,각각,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측으로 래버린스 리브 19에 접속되어 있다.
윗 문짝 6은 열린 상태에서 세정 탱크 4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 전단부(하단부)가 후단부(상단부)보다도 낮은 자세가 되기 때문에,윗 문짝 6을 연 상태에서는,윗 문짝 6의 내면 6A에 붙은 물이 해당 내면 6A를 타고 전단부측으로 흐르도록 한다.이 윗 문짝 6의 내면 6A를 타고 전단부측에 흐르도록 하는 물을 제 1∼제 4 돌조 221∼224에 의해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로 유도하고,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하단)19A로부터 식기 투입구 5를 통해 세정 탱크 4 내로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윗 문짝 6의 내면 6A에 붙은 물이 식기 세정기 1(광주리체 2)의 윗 면에 낙하하거나,윗 문짝 6 전단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식기 투입구 5를 통해 세정 탱크 4 내로 낙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윗 문짝 6에 부착한 물을 보다 적합한 위치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제 4 돌조 221∼224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돌조의 갯수를 늘리면,보다 많은 물을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로 유도할 수 있다.단, 윗 문짝 6의 내면 6A에 붙은 물을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에 유도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좌우 어느 쪽이나 한편의 단부에 유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윗 문짝 6을 연 상태에서,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 19A가 하바구니 10보다도 외측의 상방에 위치하고,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 19A로부터 세정 탱크 4 내로 낙하한 물은,도 4에 있어 2점 쇄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하바구니 10의 우전단부 및 좌전단부의 부근(전방측의 롤러10D의 부근)에 낙하하게 되어 있다.이와 같이,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 19A로부터 낙하한 물이 세정 탱크 4 내에 있어서 하바구니 10의 주연부 부근에 낙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낙하한 물이 하바구니 10으로 유지되고 있는 식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윗 문짝 6에 붙은 물을 보다 적합한 위치에 낙하시킬 수 있다.단, 각 래버린스 리브 19의 전단 19A로부터 물이 낙하하는 위치는,하바구니 10의 주연부 부근의 다른 위치(하바구니 10의 범위 내 또는 하바구니 10보다도 외측 등이고 식기가 없는 부분)라도 좋다.
도 7은,배기구 커버 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7(a)은,배기구 커버 21을 내측(배기구 9 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고,도 7(b)은,도 7(a)의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배기구 커버 21은,윗 문짝 6의 내면 6A에 형성된 수용 홈부 20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배기구 9에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대향판 23과,이 대향판 23의 4 개의 변에서 윗 문짝 6 측(배기구9 측)에 각각 서있는 상측판 24,하측판 25,좌측판 26 및 우측판 27을 포함한다.대향판 23의 내면(배기구 9 측의 면)에는 ,배기구 9의 좌우 및 하방을 둘러싸도록 래버린스 리브 28이 돌설되어 있고,이 래버린스 리브 28과 상측판 24에 의해 배기구 9의 후측을 감쌈으로서,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배기구 9에서 기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우 측판 26,27에는,각각,그 선단에서 대향판 23 측에 소정 깊이(대향판 23까지 도달하지 않는 정도의 깊이)까지 대략 직사각형의 절결 29가 형성되어 있다.또,윗 문짝 6의 내면 6A에는,배기구 커버 21의 좌우 측판 26,27의 각 절결 29에 대향하는 부분에 홈부 30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식기의 세정시나 건조시에 세정 탱크 4 안에 생기는 증기는,홈부 30 및 절결 29를 통해서 배기구 커버 21 안에 들어가고, 배기구 9에서 기외로 배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배기구 커버 21의 좌우 측판 26,27로 형성된 절결 29가 대향판 23까지 도달하지 않는 정도의 깊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대향 판 23과,각 측판 24∼27의 절결 29의 하단 테두리에 따른 라인보다도 대향판 23 측의 부분에 보다 둘러싸였던 공간이 웅덩이부 31을 구성하고 있다. 즉,윗 문짝 6을 연 상태에서는,대향판 23이 하측에 거의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로 되고,배기구 9의 주위에 붙은 물(결로 한 물)이 윗 문짝 6을 연 때에 낙하한 경우,그 물이 배기구 커버 21로 수용되고 웅덩이부 31에 고이게 된다.그리고,웅덩이부 31에 고인 물은,그 후에 윗 문짝 6을 닫을 때에 세정 탱크 4 안에 낙하시킬 수 있다.따라서 윗 문짝 6을 열었을 때에 배기구 9의 주위에 붙어 있는 물이 식기 세정기 1(광주리체 2)의 윗 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윗 문짝 6에 붙은 물을 보다 적합한 위치에 낙하시킬 수 있다.
단, 배기구 커버 21의 각 측판 24∼27에 의해 웅덩이부 31을 구성한 것이 아니고,예를 들면,배기구 커버 21의 내면에서 윗 문짝 6 측(배기구9 측)에 돌출한 리브를 별개로 설치하고,이 리브에 의해서 웅덩이부를 구성해도 좋다.
도 8은,세정 탱크 4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세정 탱크 4의 식기 투입구 5의 주연부(상연부 32,좌연부 33 및 위연부 34)에는,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 을 닫은 상태에서 이들 문 6,7의 내면 6A,7A에 밀착하고,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식기 투입구 5로부터 기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 35가 부착되어 있다.식기 투입구 5의 좌우 연부 33,34의 패킹 35보다도 외측에는,윗 문짝 6을 닫았을 때에 해당 윗 문짝 6의 좌우 양단부의 하단부가 대향하는 위치에,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리브 36이 돌설되어 있다.가이드 리브 36의 전면은 ,식기 투입구 5의 좌우 연부 33,34에 따라 거의 평행으로 늘어나는 평행면 36A와,이 평행면 36A의 하단에서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후퇴한 경사면 36B를 포함한다.한편,윗 문짝6의 내면 6A의 좌우 양단 하부에는,해당 윗 문짝 6을 닫을 때에 가이드 리브 36에 습접시키기 위한 습접 돌기 37이,수봉 리브 18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식기 투입구 5의 상연부 32(패킹 35보다도 외측)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상방에 돌출한 계합 돌기 38이 형성되어 있다.한편,윗 문짝 6의 내면 6A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는 계합 홈부 39가 형성되어 있고(도 5 참조),윗 문짝 6을 닫았을 때에 식기 투입구 5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는 윗 문짝6의 계합 홈부 39에 계합 돌기 38을 계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도 12는,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을 닫을 때의 상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정기 1의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아래 문짝 7을 닫고 가면,이에 연동해서 윗 문짝 6도 닫혀 가고,아래 문짝 7보다도 먼저 윗 문짝 6이 식기 투입구 5에 근접한다.그 후,아래 문짝 7이 또한 닫혀지면,연동한 윗 문짝 6의 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가이드 리브 36의 경사면 36B에 당접하고(도 10 참조), 또한 아래 문짝 7이 닫혀지면,연동한 윗 문짝 6의 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가이드 리브 36의 경사면 36B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하여,아래 문짝 7의 상단부가 윗 문짝 6의 하단부에 당접한다(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아래 문짝 7이 또 닫혀지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아래 문짝 7의 상단부에 의해 윗 문짝 6의 하단부가 압압됨으로서,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가이드 리브 36의 경사면 36B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윗 문짝 6이 하방에 인입되고,윗 문짝 6이 닫는 위치에 도달한다.이 때,윗 문짝 6의 계합 홈부 39 안에 계합 돌기 38이 들어가고 윗 문짝 6이 그 이상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됨과 동시에,윗 문짝 6이 식기 투입구 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가이드 리브 36의 경사면 36B를 따라 후방측에 안내되어 윗 문짝 6이 닫는 위치에 인입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에 문제가 생긴 경우 등이라도,윗 문짝 6의 내면 6A가 식기 투입구 5의 주연부에 장착된 패킹 35(특히,윗 문짝 6을 닫는 때의 슬라이드 방향 상류측인 식기 투입구 5의 상연부 32에 장착된 패킹35)에 대해서 보다 강하게 꽉 눌러지기 때문에 ,식기 투입구 5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또,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가이드 리브 36의 평행면 36A로부터 경사면 36B로 습접하여 전방측에서 후방측에 인입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습접 돌기 37의 선단이 평행면 36A에 당접할 때에,윗 문짝 6의 내면 6A가 식기 투입구 5의 주연부에 장착된 패킹 35에 당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따라서 윗 문짝 6이 닫는 위치의 부근에 달할 때까지는,윗 문짝 6의 내면 6A가 패킹 35에 습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패킹 35가 스쳐서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윗 문짝 6을 닫은 때,계합 돌기 38과 계합 홈부 39와의 계합에 의해서 윗 문짝 6을 닫는 위치에 규제하며,윗 문짝 6이 식기 투입구 5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윗 문짝 6을 확실하게 닫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따라서 윗 문짝 6이 변형하거나,윗 문짝 6에 외력이 더해지거나 하여,윗 문짝 6의 식기 투입구 5에 대한 수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식기 투입구 5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특히,윗 문짝 6을 식기 투입구 5를 따라 슬라이드 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윗 문짝 6을 닫은 상태에서는,윗 문짝 6의 하단부는 아래 문짝 7의 상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된 것이나,윗 문짝 6의 상단부(아래 문짝7과 반대측의 단부)가 식기 투입구 5에 대하여 떨어진 방향(전방)으로 이동하기 쉽고,윗 문짝 6의 상단부에 있어서 수밀성이 저하되기 쉽다.따라서 이 실시 형태와 같이 계합 돌기 38과 계합 홈부 39와의 계합 위치를 윗 문짝 6의 상단부로 함으로서, 수밀성을 고르고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상기의 설명에서는 습접 돌기 37이 가이드 리브 36의 평행면 36A에 당접하고 있지 않지만,윗 문짝 6이 변형되 버린 경우나 연동 기구에 문제가 생긴 경우 등에는,윗 문짝 6을 닫았을 때,습접 돌기 37을 가이드 리브 36의 평행면 36A에 당접시킨 후,해당 평행면 36A로부터 경사면 36B로 습접 돌기 37을 습접시킴으로서,윗 문짝 6을 양호하게 하방으로 인입할 수 있다.
도 13은,식기 세정기 1의 상부의 종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또,도 14는,식기 세정기 1의 좌전단부의 횡단면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세정 탱크 4의 좌우 양측판 4A의 내면 상부에는,상바구니를 지지하기 위한 바구니 지지 부재 40이 장착되어 있다.좌우의 바구니 지지 부재 40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좌측의 바구니 지지 부재 40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바구니 지지 부재 40은,좌측판 4A의 내면의 상부 전체를 덮고 있고,상바구니의 좌측 연부와 계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2 개의 레일 41이,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상하에 나란히 배치된 2 개의 레일 41의 어느 쪽에 상바구니를 계합시키는 등에 의해,상바구니 높이를 2 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윗 문짝 6의 래버린스 리브 19의 상단부에는, 홈부 42가 형성되어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윗 문짝 6을 식기 투입구 5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고 개폐할 때에도,윗 문짝 6의 래버린스 리브 19가 식기 투입구 5의 상연부 32에 장착된 패킹 35에 습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킹 35가 스쳐서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이와 같이 래버린스 리브 19의 상단부에 홈부 42를 형성한 경우,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수봉 리브 18에 직접 걸리는 것으로 되고,이 부분에 있어서 수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그래서,바구니 지지 부재 40의 전 상단부에는,윗 문짝6의 래버린스 리브19의 홈부 42에 대응하는 형상의 래버린스 리브 43이 형성되고 있다.이 래버린스 리브 43에 의해서,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수봉 리브 18에 직접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식기 투입구 5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래버린스 리브 43의 상단부에는,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그 전단부가 경사 하방으로 경사하도록 대략 < 자 모양으로 굴곡한 비부 44가 수평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이 비부 44에 의해,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래버린스 리브 43 상방의 간극으로부터 수봉 리브18 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세정 탱크 4 안의 물이 수봉 리브 18에 직접 걸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 투입구 5를 더욱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이 발명은,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청구항 기재된 범위내에 있어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다.
예를 들면,식기 투입구 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문짝은,윗 문짝 6 및 아래 문짝 7의 2장으로 구성된 것에 한하지 않고,1 장의 개폐 문짝에 의해 식기 투입구 5를 개폐한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식기 투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닫을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식기 세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식기 세정기의 좌측면도로써,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하바구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윗 문짝을 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윗 문짝을 상하 방향(단수 방향)을 따라 절단한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배기구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세정 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을 닫은 때의 상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을 닫은 때의 상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을 닫은 때의 상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윗 문짝 및 아래 문짝을 닫은 때의 상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식기 세정기의 상부의 종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는, 식기 세정기의 우측 전단부의 횡단면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식기 세정기ㅂ 4 세정 탱크
5 식기 투입구 6 윗 문짝
6A 내면 7 아래 문짝
7A 내면 9 배기구
10 하바구니 18 수봉 리브
19 래버린스 리브 21 배기구 커버
221∼224 제 1∼제 4돌조 23 대향 판
24 상측 판 25 하측 판
26 좌측 판 27 우측 판
29 절결 31 웅덩이 부
36A 평행 면 36B 경사면
37 습접 돌기 38 계합 돌기

Claims (2)

  1.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와,
    상기 세정 탱크의 전면에 형성되고,상기 세정 탱크에 대해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와,
    상기 식기 투입구를 덮기 위한 2 장의 개폐 문짝으로,각각 닫은 상태에서 상기 식기 투입구에 임한 내면을 가지고,한편의 개폐 문짝의 개폐에 연동하여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이 상기 식기 투입구에 대해 슬라이드 하도록 개폐되는 2장의 개폐 문짝과,
    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식기 투입구의 주연부에 형성되고,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이 닫히는 때에 상기 가이드부가 습접하는 습접면을 포함하고,
    상기 습접면에는,상기 가이드부를 후방측에 안내함으로서,상기 다른 편의 개폐 문짝을 닫히는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갖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와,
    상기 세정 탱크의 전면에 형성되고,상기 세정 탱크에 대해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와,
    상기 식기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한 개폐 문짝으로,닫은 상태에서 상기 식기 투입구에 임한 내면을 가지고,상기 식기 투입구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개폐되는 개폐 문짝과,
    상기 개폐 문짝을 닫히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때에 당해 개폐 문짝의 내면에 계합하고,해당 개폐 문짝이 상기 식기 투입구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KR1020040067032A 2003-09-05 2004-08-25 식기 세정기 KR100577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4682 2003-09-05
JP2003314682A JP4212438B2 (ja) 2003-09-05 2003-09-05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81A true KR20050025281A (ko) 2005-03-14
KR100577030B1 KR100577030B1 (ko) 2006-05-10

Family

ID=3441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32A KR100577030B1 (ko) 2003-09-05 2004-08-25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12438B2 (ko)
KR (1) KR100577030B1 (ko)
CN (1) CN126944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4604B1 (en) * 2005-04-22 2007-12-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uilt-in dishwashing machine
JP4561681B2 (ja) * 2006-04-14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635946B2 (ja) * 2006-04-1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609367B2 (ja) * 2006-04-14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2826415B (zh) * 2021-01-22 2022-05-1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80787A (ja) 2005-03-31
KR100577030B1 (ko) 2006-05-10
CN1269447C (zh) 2006-08-16
CN1589727A (zh) 2005-03-09
JP4212438B2 (ja)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5035C (en)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KR101933157B1 (ko) 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637413B1 (ko) 개방이 용이한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0577030B1 (ko) 식기 세정기
KR100271711B1 (ko) 세정기
US9474435B2 (en) Dispenser optimization for easier closing
US20030041523A1 (en) Dishwasher bottom door seal
JP2620139B2 (ja) 食器洗浄機
KR20210026229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JP6868767B2 (ja) 食器洗い機
KR20170140623A (ko) 식기 세척기
JP2006198223A (ja) 食器洗浄機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JP4609367B2 (ja) 食器洗い機
TWI323165B (ko)
JP6994625B2 (ja) 食器洗い機
JP200205195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7282750A5 (ko)
KR0136453Y1 (ko) 바스켓스톱퍼를 갖는 식기세척기
JP6058605B2 (ja) 食器洗浄機
JP4103637B2 (ja) 食器洗い機
JP2005000362A (ja) 食器洗浄機
KR200267113Y1 (ko) 쌀통
JP2006247205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